맨위로가기

번개 6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개 6호는 북한이 개발한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2012년 처음 공개되었으며 2020년 열병식에서 실물이 공개되었다. 요격 비행 속도, 사거리 등에서 러시아의 S-400과 유사하다는 평가가 있으며, 2021년부터 여러 차례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 이동식 발사대와 고체 연료 미사일, 레이더를 갖추고 있으며, S-400 또는 THAAD와 유사한 성능을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 2017년 8월 2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
    2017년 8월 29일 북한은 평양에서 화성-12형 미사일을 발사하여 일본 상공을 통과, 태평양에 낙하시켰고, 이는 북한 탄도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한 최초 사례로,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 및 관련국들의 규탄과 추가 제재 논의를 야기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 깃대령 미사일 기지
    깃대령 미사일 기지는 북한 강원도에 위치한 스커드 미사일 기지이며, 김정일 시대에 미사일 발사 실험이 진행되었고, 산악 지형에 위치하여 미사일 발사 차량 노출을 최소화하며 전략군 소속 핵미사일 부대로 추정된다.
번개 6호
개요
종류지대공 미사일
개발 국가북한
생산 시기2020년–
사용 국가조선인민군 공군 반항공군
제조업체북한
발사 플랫폼2축 4연장 발사대 트레일러 (TEL)
수송 차량3축 트럭
추진 방식고체 연료
변형표준형
사거리 연장형
차량 사거리 (추정)400-600 km
탄두직접 타격 무기 (추정)
명칭
정식 명칭번개-6
다른 이름KN-06 (미사일 식별 코드)
제원
사거리400 km
요격 고도185 km
유도 방식
유도 방식레이더 유도
목표 탐색 장치불명

2. 역사

2012년 5월, 김정은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지도부를 시찰하는 과정에서 청사에 전시된 트럭 형태의 대공미사일 모형이 처음 공개되었다. 이후 일부 언론에서는 이 미사일을 '번개 6호'로 지칭하며, 요격 비행 속도 마하 12, 사거리 400km, 요격 고도 185km로 러시아의 최신예 지대공 미사일인 S-400에 견줄 만한 성능이라고 주장했으나, 이러한 주장은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검증되지 않았다.[18]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일 기념 열병식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지대공 미사일이 등장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기존의 번개 5호(KN-06, S-300 기반)의 TEL이 개량된 것(탑재 미사일 수가 2~3발에서 4발로 증가)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공개된 미사일이 개량된 번개 5호인지, 아니면 새로운 번개 6호(S-400 기반 추정)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열병식에 등장한 미사일은 길이가 약 7m에서 8m 정도로 추정되어, 기존 번개 5호(약 4m~5m)보다 훨씬 크고 S-400의 발사관과 유사한 외형을 보였다.

참고로, 주요 지대공 미사일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미사일길이사거리
천궁4.61m40km
9М96Е (S-400 시스템용)4.75m40km
9М96M (S-400 시스템용)5.65m150km
40N6E (S-400 시스템용 장거리)7.5m400km


2. 1. 개발 배경

북한의 대공 미사일 체계는 퐁개-5 시스템 개발 이전에는 주로 S-75, S-125 및 S-200과 같은 구형 소련식 미사일에 의존했다.[3] 이 무기들은 비록 노후화되었지만, 특히 S-200은 300km에 달하는 장거리 타격 능력을 갖추고 있어 여전히 유효한 전력으로 평가받았다.[4] 이후 퐁개-5의 등장은 S-300과 유사한 현대적인 시스템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북한 방공망의 중요한 발전으로 여겨진다.[5] 이와 함께 새로운 플랩 리드 레이더가 도입되면서 북한의 방공 능력은 한층 강화되었다.[6]

번개 6호 시스템은 2012년 5월 3일 김정은이 조선인민군 공군 및 반항공군 사령부를 방문했을 때 처음 공개된 것으로 추정되며, 2020년 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해당 시스템이 전시되면서 그 존재가 확실해졌다.

2. 2. 개발 과정

북한의 대공 미사일 체계는 퐁개-5 시스템 개발 이전에는 주로 S-75, S-125 및 S-200과 같은 구형 소련 방식이었다.[3] 이 무기들은 노후화되었지만, S-200은 300km에 달하는 장거리 성능으로 여전히 장점을 가지고 있다.[4] 퐁개-5의 등장은 S-300과 유사한 훨씬 더 현대적인 시스템을 도입했기에 중요한 발전이었다.[5] 이와 함께 새로운 플랩 리드 레이더가 도입되면서 북한의 방공 능력은 훨씬 더 위협적인 수준이 되었다.[6]

번개 6호 시스템은 2012년 5월 3일 김정은이 조선인민군 공군 및 반항공군 사령부를 방문했을 때 처음 공개된 것으로 보이며, 2020년 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시스템이 전시된 후에야 그 존재가 확실해졌다.

2. 3. 시험 발사

현재까지 알려진 시험은 다음과 같다.

9월 30일에 시험된 것으로 알려진 번개 6호 SAM 시스템


시도날짜장소발사 전 발표 / 탐지결과추가 사항
12021년 9월 30일[12]미상없음성공9월 13일과 14일에 있었던 이전 순항 미사일 발사와 마찬가지로, 이번 발사도 전혀 탐지되지 않았으며, 대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이 발사 소식이 전해졌다.[13]박정천이 시험을 감독했으며, 김정은은 참석하지 않았다.[13]
22022년 11월 8일[14]미상성공
32024년 2월 2일[15]미상성공
42024년 4월 19일[16]미상성공


3. 디자인

번개 6호 시스템은 TEL, 미사일, 그리고 레이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TEL은 3축 트럭에 2축 TEL 트레일러가 연결된 형태로, 이전의 화성-15형 TEL과 비교했을 때 캐니스터가 더 길어지고 크레인 적재용 후크가 사라지는 등 몇 가지 디자인적 차이점을 보인다. 특히 미국 사드 시스템을 견인하는 M1705 트럭과 외형이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 특징이다.[7][3] TEL 측면에는 지휘실 입구로 추정되는 문이 있어, 별도의 지휘 차량 없이 자체적으로 미사일 발사 통제가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7]

미사일은 2012년 모형으로 처음 모습이 드러났으며,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일 열병식에서 본격적으로 공개되었다. 이때 공개된 미사일은 기존 번개 5호(S-300 기반 추정)보다 훨씬 큰 7m ~ 8m 길이로 추정되며, 4발을 탑재하도록 개량되었다. 외형적으로 러시아의 최신예 지대공 미사일 S-400과 유사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18]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2단 로켓 구조를 가지며, 각 단의 제어 날개(핀) 구성은 기존 S-125 등과는 다른 독자적인 형태를 띤다.[8][7] 2021년 '자위-2021' 전시회에서는 부스터(1단) 길이가 다른 두 가지 버전의 미사일이 전시되어, 사거리가 다른 옵션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2]

레이더 시스템은 화성-12형 시험 발사 당시 관측된 것과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다. 트럭 운전실 뒤에 큰 레이더가 장착되고, 운전실 상단에는 작은 레이더가 추가로 탑재된 모습이 확인되었다.[10][12]

3. 1. 이동식 발사대 (TEL)

퍼레이드 분석 결과, 이전의 화성-15형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캐니스터가 더 길어졌고, 크레인 적재용 후크가 사라졌다. 또한 캐니스터 하단부의 형태가 다르고, 캐니스터 주변에 케이블이 없는 점도 차이점이다. 이동식 발사대(TEL) 측면에는 문이 있는데, 이는 지휘실 입구로 추정되며, 이를 통해 미사일이 별도의 지휘 차량 없이 발사대 자체에서 통제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시험 발사 및 퍼레이드에서는 3축 트럭에 2축 TEL 트레일러가 연결된 형태가 사용되었다.[7] 이 트럭은 사드 시스템을 견인하는 M1705 트럭과 외형이 매우 유사하다.[3]

3. 2. 미사일

2012년 5월, 김정은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지도부를 시찰하는 과정에서 트럭 형태의 대공미사일 모형이 처음 공개되었다. 이후 한 언론은 북한이 이 미사일을 '번개 6호'라 칭하며 요격 비행 속도 마하 12, 사거리 400km, 요격 고도 185km로 러시아의 최신예 지대공 미사일 S-400에 견줄 만하다고 선전한다고 주장했고, SBS가 이를 인용 보도했다.[18] 그러나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다른 근거나 교차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일 열병식에서는 사거리 150km급으로 알려진 번개 5호(S-300 기반 추정)가 개량된 이동식발사차량(TEL)과 함께 등장했다. 기존에 2~3발을 탑재했던 것과 달리 4발을 탑재하도록 개량된 점이 특징이다. 하지만 이날 공개된 미사일이 실제 번개 5호인지, 아니면 사거리 400km급으로 추정되는 번개 6호(S-400 기반 추정)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공개된 미사일의 외형은 기존 번개 5호나 S-300보다 훨씬 컸으며, S-400 발사대의 바퀴 배열이나 미사일 발사관 길이와 유사하다는 분석이 있다. 과거 열병식에 등장했던 번개 5호 추정 미사일의 길이는 약 4m~5m였으나, 2020년에 공개된 미사일은 7m~8m 정도로 추정된다.

미사일 제원 비교
미사일길이사거리
천궁4.61m40km
9М96Е (S-400 단거리)4.75m40km
9М96M (S-400 중거리)5.65m150km
40N6E (S-400 장거리)7.5m400km
번개 5호 (추정)4m ~ 5m150km (추정)
2020년 공개 미사일 (번개 6호 추정)7m ~ 8m400km (추정)



S-300은 마하 8 속도의 탄도미사일까지 요격할 수 있는 반면, S-400은 마하 14의 탄도미사일까지 요격이 가능하다. 또한 S-400은 S-300에 비해 레이더 반사 면적(RCS)이 낮은 B-2 스피릿, F-117 나이트호크, F-35와 같은 스텔스 항공기에 대한 탐지 능력이 뛰어나고, 소형 순항미사일에 대한 대응 능력도 향상되었다.

2020년에 공개된 신형 미사일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며, 이전의 화성-5형과는 완전히 다른 2단 로켓 구조를 가진다. 각 단이 순차적으로 연소하는 '이중 추력 비행 엔진'을 장착한 것으로 보인다. 미사일의 배치는 2단 미사일인 S-125 네바/페초라 시스템과 유사해 보이지만, 1단 부스터가 더 길고 각 단의 제어 날개(핀) 구성이 S-125와는 다른 독자적인 형태를 띤다.[8] 전반적으로 기존의 검증된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7] 2단 구성이라는 점에서는 이스라엘의 다윗의 물매와도 유사성이 있지만, 적외선 탐색기가 없어 기술적으로는 덜 발전된 것으로 평가된다.[3] 2021년 '자위-2021' 전시회에서는 두 가지 버전의 미사일이 전시되었는데, 하나는 더 긴 부스터(1단)와 케이블 배선을 가지고 있어 사거리가 다른 옵션으로 추정된다. 또한 2단에는 고정된 날개 외에 두 세트의 움직이는 제어 날개가 있음이 확인되었다.[12] '트윈 러더 제어' 기능이 언급되기도 했으나, 이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하다.[9][7]

여러 소식통은 이 미사일의 성능이 S-400이나 THAAD와 유사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10][8] 한국 측에서는 이 미사일이 S-400을 역설계했거나 러시아 또는 중국에서 밀수한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다른 국가에 판매된 S-400 시스템을 북한 연구진이 분석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11][1] 이 미사일의 개발은 유사시 한국의 핵 및 전략 미사일 시설 타격 능력을 방해하고, '한반도 안보 균형을 흔들 수 있는' 잠재적 위협으로 평가된다. 한국 국방 관계자는 북한의 전략 미사일 방어 능력이 러시아 및 중국 시스템과 유사한 모델을 개발하며 빠르게 향상되고 있지만, 아직 한국과 미국의 공격을 완전히 막아낼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1]

3. 3. 레이더

화성-12형의 시험 발사에 참여한 것과 유사한 레이더가 2021년 9월 30일 시험 발사 배경에서도 관찰되었다.[10] 이 레이더는 트럭 운전실 뒤에 큰 레이더와 운전실 상단에 작은 레이더가 장착된 것으로 보이며, 작은 레이더가 회전 기능을 갖추고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12] 화살-6형은 600km의 탐지 범위를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4. 성능

2012년 5월, 김정은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지도부를 시찰하는 과정에서 트럭 형태의 대공미사일 모형이 공개되었다. 이후 한 언론은 북한이 이 미사일(번개 6호로 추정)에 대해 '요격 비행 속도 마하 12, 사거리 400km, 요격 고도 185km로 러시아의 최신예 지대공 미사일 S-400에 견줄 만한 무기체계라고 주장한다'고 보도했고, SBS가 이를 인용 보도했다.[18] 그러나 이 주장을 뒷받침할 객관적인 증거나 교차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일 열병식에서는 사거리가 150km로 알려진 번개 5호(S-300 계열)가 등장했는데, 전문가들은 기존의 이동식발사차량(TEL)이 개량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전에는 트럭 당 미사일 탑재량이 2발 또는 3발이었으나, 이번에는 4발이 탑재된 모습이었다. 다만, 이날 공개된 미사일이 기존의 번개 5호 개량형인지, 아니면 사거리 400km로 추정되는 번개 6호(S-400 계열)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공개된 사진의 미사일은 기존 번개 5호(S-300 계열)로 보기에는 상당히 대형이었으며, S-400 발사대의 바퀴 배치나 미사일 발사관 길이와 유사한 측면이 있었다.

과거 열병식에서 공개된 번개 5호의 미사일 길이는 약 4m에서 5m 정도로 추정되었으나, 2020년 열병식에 등장한 지대공 미사일은 길이가 약 7m에서 8m 정도로 추정되었다. 이는 S-400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40N6E 미사일의 길이(7.5m)와 유사한 수준이다. 참고로 다른 지대공 미사일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미사일길이사거리
천궁4.61m40km
9М96Е (S-300/S-400 계열)4.75m40km
9М96M (S-300/S-400 계열)5.65m150km
40N6E (S-400 계열)7.5m400km



일반적으로 S-300은 마하 8 수준의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을 가지는 반면, S-400은 마하 14의 탄도미사일까지 요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S-400은 S-300에 비해 낮은 레이다 반사 면적(RCS)을 가진 스텔스 항공기(예: B-2 스피릿, F-117 나이트호크, F-35)에 대한 탐지 능력이 뛰어나며, 소형 순항미사일에 대한 대응 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만약 2020년에 공개된 미사일이 번개 6호이고 S-400급 성능을 가진다면, 기존 번개 5호보다 향상된 탄도미사일 및 스텔스 표적 대응 능력을 갖추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가속화하는 북한판 미사일방어망...한반도 '공포의 균형' 흔드나 https://www.sedaily.[...] 2021-10-03
[2] 웹사이트 North Korea conducts test-firing of new anti-air missile https://www.janes.co[...] 2021-10-01
[3] 웹사이트 North Korea's latest air defence system is a 'hybrid' S-300 with David's Sling? - Defence View https://defenceview.[...] 2021-10-04
[4] 웹사이트 Snaps From Ashgabat: Turkmenistan's 2021 Military Parade https://www.oryxspio[...]
[5] 웹사이트 KN-06 (Pon'gae-5) https://missilethrea[...]
[6] 웹사이트 The KN-06 may not be state-of-the-art, but it represents a credible and potentially wily threat for US and South Korean combat aircraft. https://www.thedrive[...] 2017-05-28
[7] 웹사이트 Preliminary Analysis of 30 September 2021 Anti-Aircraft Missile Tes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oneearthfutu[...]
[8] 웹사이트 "[아침햇살146] 북한이 요즘 선보인 무기들과 관련해" https://615tv.net/30[...] 2021-10-05
[9] 웹사이트 North Korea conducts test-firing of new anti-air missile https://www.janes.co[...]
[10] 웹사이트 北 새로 개발한 '반항공미사일'?…'번개-5호' 후속 기종 시험한 듯 https://www.news1.kr[...] 2021-10-01
[11] 웹사이트 "남북 통신선 복원" 김정은 발언 하루 만에… 북한 "신형 지대공미사일 시험발사" https://www.newdaily[...] 2021-10-01
[12] 웹사이트 Brief on the Defence Development Exhibi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oneearthfutu[...]
[13]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it tested new 'anti aircraft missile' on Thursday {{!}} NK News https://www.nknews.o[...] 2021-09-30
[14] URL https://biz.chosun.c[...]
[15] URL http://www.kcna.kp/e[...]
[16] URL http://www.kcna.kp/e[...]
[17] 웹사이트 [취재파일] 북한판 MD, 주체식 요격 미사일 '번개' http://news.sbs.co.k[...] SBS 2014-02-05
[18] 뉴스 "[취재파일] 북한판 MD, 주체식 요격 미사일 '번개'" SBS 2014-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