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세동선생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범세동 선생 묘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 산94-1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8년 2월 21일에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범세동 선생(范世東, 생몰년 미상)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자는 여명(汝明), 호는 복애(伏崖), 시호는 문충(文忠)입니다. 정몽주의 제자이며, 1369년(공민왕 18년) 과거에 급제하여 덕녕부윤, 간의대부 등의 벼슬을 지냈습니다.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다 고향인 나주(현재 광주 광산구 덕림동)로 돌아와 은거 생활 중 경서를 읽으며 저술에 힘썼습니다.
저서 및 업적:
- 『화해사전(華海師全)』: 정몽주가 원천석에게 전해 범세동과 함께 편집한 책으로, 고려 패망까지의 진상을 담은 역사서입니다.
- 『동방연원록(東方淵源錄)』: 신현이 안향과 우탁의 도통을 정몽주, 이색 등에게 전했다고 밝힌 책입니다.
- 『화동인물총기(話東人物叢記)』: 500년 동안 금서로 지정되었던 책으로, 멸족의 위험을 무릅쓰고 금성 범씨 문중에서 보존해왔습니다.
묘역:
- 높이 70m의 구릉지에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묘비와 문인석이 있습니다.
- 묘비는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1.65m입니다.
- 묘비에는 '여조충신덕령부윤범공세동 배정부인장수이씨지묘(麗朝忠臣德寧府尹范公世東 配貞夫人長水李氏之墓)'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습니다.
- 문인석은 높이 210cm이며, 각진 관모를 쓰고 가슴에 두 손을 모아 홀을 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범세동 선생 묘는 고려 말 충신의 절개와 조선 초기 학자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범세동선생묘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범세동선생묘 | |
국가 | 광주광역시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23 |
지정일 | 1998년 2월 21일 |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 산94-1번지 |
시대 | 조선시대 |
면적 | 1,190m2 |
추가 정보 | |
문화재청 ID | 23,00230000,2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