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닝턴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닝턴 전투는 1777년 8월 16일, 미국 독립 전쟁 중 뉴욕주 베닝턴 인근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존 버고인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은 캐나다에서 허드슨강 계곡으로 진격하며 베닝턴의 대륙군 보급 창고를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존 스타크 장군이 이끄는 뉴햄프셔 민병대를 비롯한 대륙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이 전투에서 영국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이는 사라토가 전투의 패배로 이어져 프랑스의 미국 독립 전쟁 참전을 이끌었다. 베닝턴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의 중요한 승리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매년 베닝턴 전투 기념일이 열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7년 8월 - 오리스카니 전투
    오리스카니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 중 1777년 8월 6일 뉴욕주 오리스카니에서 영국군과 트라이온 군 민병대 간에 벌어진 치열한 전투로, 높은 사상자율을 기록했으며 이로쿼이 연맹 내 부족 간 분열을 심화시켰고, 현재 주립 사적지 및 국립 역사 랜드마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1777년 분쟁 - 새러토가 전투
    새러토가 전투는 1777년 미국 독립 전쟁 중 영국군이 허드슨 강 유역을 장악하려다 대륙군에 항복하면서, 프랑스의 참전을 이끌어 미국 독립에 영향을 준 일련의 전투이다.
  • 1777년 분쟁 - 프린스턴 전투
    프린스턴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 중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대륙군이 영국군을 기습하여 승리한 전투로, 사기 진작과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 전장은 주립공원으로 보존되어 있다.
  • 1777년 미국 - 새러토가 전투
    새러토가 전투는 1777년 미국 독립 전쟁 중 영국군이 허드슨 강 유역을 장악하려다 대륙군에 항복하면서, 프랑스의 참전을 이끌어 미국 독립에 영향을 준 일련의 전투이다.
  • 1777년 미국 - 연합규약
    연합규약은 미국 독립 혁명 중 채택되어 1781년부터 1789년까지 미국의 헌법 역할을 한 최초의 연방 규약이었으나, 중앙 정부의 권한이 약해 1787년 새로운 미국 헌법으로 대체되었다.
베닝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정보
전투베닝턴 전투
부분전미국 독립 전쟁 중 새러토가 방면 전략의 일부
전투 시작 시 부대 위치를 나타낸 1780년 지도
전투 시작 시 부대 위치를 나타낸 1780년 지도
날짜1777년 8월 16일
장소뉴욕 주 월룸색
좌표북위 42° 56′ 19″ 서경 73° 18′ 16″
결과미국-버몬트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미국
버몬트
교전국 2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브라운슈바이크
헤센-하나우
이로쿼이
지휘관
지휘관 1존 스타크
세스 워너
지휘관 2프리드리히 바움
하인리히 브라이만
병력 규모
병력 12,000–2,500명 (스타크)
350명 (워너)
병력 2800명 (바움)
550–650명 (브라이만)
사상자 규모
사상자 1전사 30명
부상 40명
사상자 2전사 207명
포로 700명
기타

2. 배경

미국 독립 전쟁이 2년째에 접어들자, 영국군은 13개 식민지를 분할하여 영국에 더 충성하는 남부 식민지로부터 뉴잉글랜드 식민지를 고립시키는 전략을 추진했다. 영국 지휘부는 올버니를 향한 세 방향의 포위 공격을 계획했으나, 서쪽과 남쪽의 포위 공격은 실패했다.

존 버고인 장군이 이끄는 북쪽 포위 공격군은 몬트리올에서 남쪽으로 진격하여 초반에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대륙군의 지연 전술과 물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버고인은 프리드리히 바움 중령에게 별동대를 주어 베닝턴의 대륙군 창고를 습격하여 물자를 확보하려는 임무를 맡겼다. 그러나 베닝턴에는 존 스타크 장군이 이끄는 뉴햄프셔 민병대가 도착해 있었고, 바움은 증원군을 요청하며 대치 상황에 들어갔다.

2. 1. 영국군의 전략과 초기 진격

1777년 여름, 존 버고인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은 캐나다에서 허드슨강 계곡을 침공하는 새러토가 방면 작전을 진행하고 있었다. 타이컨더로가 요새 전투, 허바드턴 전투 등에서 승리한 버고인은 남쪽의 올버니를 점령하면 허드슨강 협곡을 장악하여 13개 식민지 세력을 둘로 나눌 수 있다고 판단했다.[4]

미국 독립 전쟁이 2년째에 접어들면서, 영국군은 뉴잉글랜드 식민지의 반란을 진압하고 13개 식민지를 분할하여 영국에 충성하는 남부 식민지로부터 뉴잉글랜드를 고립시키려는 계획을 세웠다. 영국 지휘부는 올버니를 향해 세 방향으로 포위 공격을 진행하여 식민지를 분할하는 대규모 계획을 세웠다.[4] 그러나 서쪽 포위 공격군은 포트 스탠윅스 공방전 실패로 격퇴되었고,[5] 남쪽 포위 공격군은 윌리엄 호우 장군이 필라델피아 전역을 점령하기로 결정하면서 실행되지 못했다.[6]

북쪽 포위 공격군은 몬트리올에서 남쪽으로 진격하여 타이컨더로가 요새 전투, 허바드턴 전투, 포트 앤 전투에서 승리하는 등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버고인의 진격은 7월 말, 물류 문제와 대륙군의 도로 파괴로 인해 늦춰졌고, 군대의 보급품은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다.[9] 8월 초, 버고인은 윌리엄 호우가 허드슨강 계곡으로 진격하는 대신 필라델피아로 향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보급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7]

이러한 상황에서 버고인은 프리드리히 아돌프 리데젤의 제안에 따라[8] 프리드리히 바움 중령에게 약 800명의 병력을 주어 포트 밀러에서 파견했다. 이 부대의 임무는 루트비히 왕자 용기병 연대를 위한 말을 획득하고, 군대 이동을 위한 가축을 확보하며, 대륙군을 괴롭히는 것이었다.[9] 바움의 부대는 주로 루트비히 왕자 용기병 연대의 하마한 용기병, 지역 왕당파, 캐나다 불규칙병, 이로쿼이족 전사, 영국 육군의 선별 저격병 부대 병사로 구성되었다.[10]

바움은 원래 코네티컷강 계곡으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11] 버고인은 베닝턴의 보급 창고에 세스 워너 휘하의 약 400명의 민병대만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목표를 변경했다.[12]

8월 13일, 베닝턴으로 가던 바움은 존 스타크 장군이 이끄는 약 1,500명의 뉴햄프셔 민병대가 그 지역에 도착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움은 베닝턴 서쪽 약 약 6.44km 떨어진 와룸잭 강에서 행군을 멈추고, 포트 밀러에 증원을 요청한 후, 고지대에 부대를 배치하여 참호를 파고 기다렸다.

2. 2. 대륙군의 대응과 존 스타크의 등장

뉴햄프셔 그랜츠(현재의 버몬트주) 시민들이 영국군의 침공 위협에 맞서 뉴햄프셔와 매사추세츠 주에 보호를 요청하자, 뉴햄프셔는 1777년 7월 18일 존 스타크에게 민병대를 소집할 권한을 부여했다.[13][9][14] 존 랭던의 자금 지원으로 스타크는 6일 만에 1,500명의 뉴햄프셔 민병대를 모았는데, 이는 뉴햄프셔 16세 이상 남성 인구의 10%가 넘는 숫자였다.[15]

이들은 넘버 4 요새(뉴햄프셔주 찰스타운)를 거쳐 버몬트주 맨체스터에 도착했고, 스타크는 그곳에서 워너와 협의했다.[9][13] 맨체스터에서 벤자민 링컨 장군이 스타크 부대에 대한 지휘권을 주장하려 했으나, 스타크는 뉴햄프셔 당국에만 책임을 진다며 거절했다.[16][9] 이후 스타크는 워너를 안내자로 삼아 베닝턴으로 이동했고, 워너의 부대는 맨체스터에 남았다.[17] 한편, 링컨은 뉴욕주 스틸워터의 미군 진영으로 돌아가 필립 스카일러 장군과 함께 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스타크와 워너에 합류하여 스케네즈보로에서 버고인의 통신 및 보급선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으나, 바움의 움직임으로 인해 계획은 변경되었다.[18]

2. 3. 양측 지휘관의 상황 인식과 오판

1777년 여름, 영국군존 버고인 장군은 캐나다에서 허드슨강 협곡으로 침공하여 사라토가 전역을 진행하고 있었다. 하버드턴 전투와 타이컨더로가 요새에서 영국군이 승리한 후, 버고인은 근처의 대륙군을 격파하고 남쪽의 올버니를 점령하면 허드슨강 협곡을 제압하여 13개 식민지의 세력을 둘로 나눌 수 있다고 판단했다.[1]

하지만, 버고인의 올버니 진격 속도는 대륙군의 지연 전술로 늦춰졌고, 물자가 부족해지기 시작했다. 이에 버고인은 밀러 요새에서 프리드리히 바움 중령에게 약 800명의 분견대를 주어 파견했다. 이 분견대는 절반은 독일 용병 부대였고, 나머지 절반은 캐나다 병사, 왕당파 병사 및 인디언 전사로 구성되었다. 바움의 임무는 베닝턴의 대륙군 창고를 습격하여 물자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당시 베닝턴은 400명도 안 되는 식민지 민병대가 지키고 있다는 정보가 있었다.[1]

8월 13일, 베닝턴으로 가던 바움은 존 스타크 장군이 이끄는 뉴햄프셔 애국 시민군 민병대 약 1,500명이 그 지역에 도착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움은 베닝턴 서쪽 약 6km 지점인 와룸잭 강에서 행군을 멈추고, 밀러 요새에 증원을 요청한 뒤 지형을 이용해 고지에 부대를 배치했다. 비가 내리자 바움 부대 병사들은 참호를 파고 증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비가 미국군의 공격을 막아주기를 기대했다. 스타크도 수 마일 떨어진 곳에 부대를 배치하고 바움 부대의 위치를 정찰하며 날씨가 맑아지기를 기다렸다.[1]

3. 전투의 전개

8월 9일, 프리드리히 바움이 이끄는 부대는 포트 에드워드에서 존 버고인의 진영을 떠나 포트 밀러로 이동하여 이로쿼이족 선발 저격병 부대와 합류했다. 이들은 8월 11일 베닝턴으로 출발했다.[19] 이 과정에서 벌어진 소규모 교전 중 포로를 통해 벤닝턴에 상당한 병력이 주둔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20]

전투지를 묘사한 20세기 초 지도

3. 1. 양측의 초기 접촉과 정찰

1777년 8월 14일, 프리드리히 바움 중령이 이끄는 부대는 이 지역에 영국군과 동맹을 맺은 이로쿼이족이 있다는 보고를 받고 파견된 존 스타크의 부대와 처음으로 마주쳤다.[17] 스타크의 병력은 바움 부대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다리를 파괴하며 후퇴했다.[17] 스타크는 접근하는 적 부대에 대한 소식을 듣고 버몬트주 맨체스터에 지원을 요청했다. 그 후, 자신의 병력을 베닝턴에서 바움 부대 쪽으로 이동시켜 방어선을 구축했다.[17] 바움은 첫 접촉 이후 존 버고인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미군 병력이 예상보다 많지만, 자신 앞에서 후퇴할 것이라고 알렸다.[21] 그는 이후 몇 마일 더 전진하여 스타크 부대의 위치에 접근했다. 그러다 자신의 첫 번째 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버고인에게 증원군을 요청하는 두 번째 메시지를 보냈다.[21]

3. 2. 폭우로 인한 전투 지연과 양측의 증원

8월 14일, 바움은 버고인에게 보낸 첫 번째 메시지에서 미군 병력이 예상보다 크지만 자신 앞에서 후퇴할 것이라고 알렸다. 그는 몇 마일 더 전진하여 스타크의 위치에 접근한 후, 자신의 첫 번째 메시지가 부정확하다는 것을 깨닫고 버고인에게 증원군을 요청했다.[21]

다음 날 반나절 동안 비가 내려 전투가 중단되었다. 이 기간 동안 바움의 부대는 언덕 꼭대기에 작은 요새를 건설하고 날씨가 증원군이 도착하기 전에 미군의 공격을 막아주기를 희망했다.[17] 스타크는 헤세 용병의 전선을 탐색하기 위해 산병대를 보냈는데, 그들은 화약을 건조하게 유지하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30명의 영국군 동맹 이로쿼이 전사를 죽였다.[22][23]

양측의 증원군은 8월 15일에 출발했는데, 폭우로 인해 이동이 매우 어려웠다. 버고인은 하인리히 폰 브레이만 휘하의 550명의 병력을 보냈고, 워너의 약 350명의 그린 마운틴 보이즈 부대는 사무엘 새퍼드 중위의 지휘하에 맨체스터에서 남쪽으로 왔다.[17][24]

8월 15일 밤늦게 스타크는 파슨 토마스 앨런과 인근 버크셔 카운티에서 온 매사추세츠 민병대원들이 합류를 주장하며 도착하는 바람에 잠에서 깼다. 장관의 격렬한 위협에 대해, 그의 병력이 참여가 허용되지 않으면 다시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하자 스타크는 "이 어둡고 비가 오는 밤에 지금 가시겠습니까? 당신의 백성들에게 돌아가서, 할 수 있다면 좀 쉬라고 하고, 만약 주님께서 내일 우리에게 햇빛을 주시고 제가 당신에게 충분한 싸움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다시는 당신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25] 스타크의 병력은 다음 날 스톡브리지 인디언의 도착으로 다시 늘어나 그의 병력(워너의 병력 제외)이 거의 2,000명에 달했다.[26]

바움의 병력은 8월 16일 아침 지역 로열리스트 집단이 그의 진영에 도착하면서 거의 100명이나 증가했다.[27]

3. 3. 존 스타크의 결의와 전투 준비

8월 16일 오후, 비가 그치자 스타크는 부대에 공격 준비를 명령했다. 그는 병사들에게 "저기 붉은 옷을 입은 적군과 왕당파가 있다. 그들은 우리의 것이 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오늘 밤 몰리 스타크는 과부가 될 것이다."라며 사기를 북돋았다.[27]

4. 전투

''베닝턴 전투''


스타크는 널리 분산된 헤센 용병대의 취약점을 간파하고, 양면 포위 공격을 감행했다.

8월 16일 오후 3시경, 전투가 시작되자 헤센 병사들은 즉시 맹렬한 사격을 받았다. 스타크는 이를 "내가 목격한 가장 격렬한 교전으로, 끊임없는 천둥소리와 같았다."라고 묘사했다.[31] 왕당파와 이로쿼이 병사들은 빠르게 도망치거나 항복했고, 바움과 그의 용기병들은 고지대에 고립되었다. 헤센 병사들은 탄약 마차가 파괴된 후에도 용감하게 싸웠으나, 화약이 떨어지자 백병전을 벌여야 했다. 바움은 용기병들에게 돌격을 명령했지만, 미군은 굳건히 버티며 사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결국 남은 헤센 병사들은 항복했고, 바움은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30]

전투가 끝난 후, 스타크의 민병대가 포로를 무장 해제하고 물자를 약탈하는 동안 하인리히 폰 브레이먼이 이끄는 증원군이 도착했다. 이들은 혼란에 빠진 미군을 즉시 공격했다. 스타크의 부대는 후퇴하기 시작했지만, 세스 워너가 이끄는 그린 마운틴 보이즈가 도착하여 전세를 역전시켰다. 허버턴 전투에서 패배했던 워너와 그린 마운틴 보이즈는 복수심에 불타올랐고, 이들의 합류로 미군은 반격을 가해 브레이먼의 부대를 붕괴시켰다. 결전은 어두워질 때까지 계속되었고, 양측 모두 교전을 중단했다. 브레이먼은 병력의 4분의 1과 모든 포병을 잃고 퇴각했다.[30]

4. 1. 대륙군의 포위 공격과 영국군의 혼란

8월 16일 오후, 비가 그치자 스타크는 부대에 공격 준비를 명령했다. 스타크는 부대 병사들을 고무하기 위해 "저기 적의 붉은 옷과 왕당파가 있다. 녀석들은 우리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몰리 스타크(스타크의 아내)는 오늘 밤 과부로 잠들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29] 이 말을 들은 민병들은 숲 속으로 들어갔다. 바움은 애국자군이 철수하거나 재배치하는 것으로 생각했다.[30] 그러나 스타크는 바움이 옆으로 넓게 퍼져 있는 것을 알아차리고 즉시 양쪽에서 적군을 포위하여 동시에 바움 군의 중앙 방루에 공격을 가하기로 했다.

스타크의 병사들은 모자에 흰 종이를 꽂아 왕당파로 위장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영어를 거의 하지 못하는 헤센 병사들은 모자에 흰 종이를 꽂은 병사들은 왕당파이므로 사격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고, 스타크의 병사들도 이 소식을 듣고 많은 이들이 모자에 흰 종이를 꽂았다.[30]

오후 3시경 전투가 시작되자 헤센 병사들의 위치는 즉시 총격에 휩싸였고, 스타크는 이를 "내가 목격한 가장 격렬한 교전으로, 끊임없는 천둥소리와 같았다."라고 묘사했다.[31] 스타크의 작전이 적중하여 왕당파 병사와 인디언들은 도망쳤다. 이 때문에 바움의 용기병대는 말 없이 고지에 고립되는 형국이 되었다. 독일군 부대는 탄약이 부족해도 계속 싸웠다. 용기병은 칼을 휘두르며 공격을 시도하여 돌파구를 열려고 했다. 그러나 이 필사적인 공격마저 실패하고, 바움이 치명상을 입어 독일 용병 부대는 항복했다.[30]

전투가 끝나고, 뉴햄프셔 민병들이 독일군의 무장을 해제하고 있을 때 바움의 원군이 도착했다. 그 원군의 지휘관 하인리히 폰 브라이만 중령은 애국자군이 대형을 흐트러뜨린 것을 보고 즉시 공격을 시작했다. 스타크는 즉시 진형을 재정비하고, 독일군 부대의 공세에 필사적으로 진지를 지키려 했다. 그 전열이 붕괴 직전에 이르렀을 때, 수백 명의 버몬트 민병대가 원군으로 도착했다. 버몬트의 그린 마운틴 보이즈를 이끄는 세스 워너는 직전의 허버턴 전투에서 영국군의 원군에게 패배했기에 복수심에 불타고 있었다. 합류한 뉴햄프셔와 버몬트 민병대는 반격에 나서 마침내 폰 브라이만의 부대를 붕괴시켰다.[30]

4. 2. 영국군과 왕당파, 이로쿼이족의 붕괴



8월 16일 오후, 날씨가 맑아지자 스타크는 병사들에게 공격 준비를 명령했다. 스타크는 병사들에게 "저기 너희의 적, 붉은 옷과 토리가 있다. 그들은 우리 것이 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오늘 밤 몰리 스타크는 과부로 잠들 것이다."라고 말하며 사기를 북돋았다.[29]

민병대가 숲으로 흩어졌다는 소식을 들은 바움은 미국인들이 퇴각하거나 재배치하고 있다고 추정했다.[30] 그러나 스타크는 널리 분산된 헤센 병사들의 약점을 이용하기로 결정하고 그의 병력 양 측면에 상당한 측면 부대를 보냈다.[17]

돈 트로이아니의 베닝턴 전투


오후 3시경 전투가 시작되자 헤센 병사들의 위치는 즉시 총격에 휩싸였고, 스타크는 이를 "내가 목격한 가장 격렬한 교전으로, 끊임없는 천둥소리와 같았다."라고 묘사했다.[31] 대륙군의 공격에 왕당파와 이로쿼이족 병사들은 빠르게 붕괴되었고, 많은 이들이 도망치거나 항복했다. 이로 인해 바움과 그의 용기병들은 고지대에 고립되었다.[30]

헤센 병사들은 탄약 마차가 파괴된 후에도 용감하게 싸웠다. 화약이 떨어지자 그들은 백병전에 의존했다. 절망에 빠진 바움은 용기병들에게 말을 다시 타고 돌진하여 돌파구를 열고 탈출하라고 명령했다. 미국인들은 굳건히 버티며 돌진하는 헤센 병사들에게 사격하여 많은 사상자를 내고 사기를 꺾었다. 남은 헤센 병사들은 항복했고, 바움은 곧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30]

4. 3. 헤센 용병대의 저항과 바움의 죽음



오후 3시경 전투가 시작되자 헤센 병사들의 위치는 즉시 총격에 휩싸였다. 스타크는 이를 "내가 목격한 가장 격렬한 교전으로, 끊임없는 천둥소리와 같았다."라고 묘사했다.[31] 왕당파와 이로쿼이 병사들의 위치는 빠르게 붕괴되었고, 많은 이들이 도망치거나 항복했다. 이로 인해 바움과 그의 용기병들은 고지대에 고립되었다. 헤센 병사들은 탄약 마차가 파괴된 후에도 용감하게 싸웠다. 화약이 떨어지자 그들은 백병전에 의존했다. 절망에 빠진 바움은 용기병들에게 말을 다시 타고 돌진하여 돌파구를 열고 탈출하라고 명령했다. 미국인들은 굳건히 버티며 돌진하는 헤센 병사들에게 사격하여 많은 사상자를 내고 사기를 꺾었다. 남은 헤센 병사들은 항복했고, 바움은 곧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30]

4. 4. 브레이만의 증원군 도착과 2차 전투

전투가 끝날 무렵, 하인리히 폰 브레이만 중령이 이끄는 영국군 증원군이 도착하여 즉시 공격을 개시했다. 스타크의 부대는 재집결하여 헤센 병사들의 맹공에 맞서 싸웠으나 후퇴하기 시작했다. 전선이 붕괴되기 직전, 세스 워너가 이끄는 버몬트 민병대가 지원군으로 도착했다. 허버턴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패배했던 워너는 복수심에 불타고 있었다. 뉴햄프셔와 버몬트 민병대는 협력하여 반격했고, 브레이만 부대는 결국 붕괴되었다. 결전은 어두워질 때까지 계속되었고, 양측 모두 교전을 중단한 후 브레이먼은 퇴각했다. 그는 병력의 4분의 1과 모든 포병을 잃었다.[30]

4. 5. 대륙군의 반격과 영국군의 퇴각

8월 16일 오후, 날씨가 맑아지자 존 스타크는 병사들에게 공격 준비를 명령했다. 스타크는 "저기 너희의 적, 붉은 옷과 토리가 있다. 그들은 우리 것이 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오늘 밤 몰리 스타크는 과부가 될 것이다."라며 병사들을 독려했다.[29] 프리드리히 바움은 미국 민병대가 숲으로 흩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이들이 퇴각하거나 재배치하는 것으로 판단했다.[30] 그러나 스타크는 넓게 분산된 헤센 병사들의 약점을 간파하고 양 측면에 부대를 보내 포위 공격을 시도했다.[17]

오후 3시경 전투가 시작되자 헤센 병사들은 즉시 맹렬한 사격을 받았고, 스타크는 이를 "내가 목격한 가장 격렬한 교전으로, 끊임없는 천둥소리와 같았다."라고 묘사했다.[31] 왕당파와 이로쿼이 병사들은 빠르게 도망치거나 항복했고, 바움과 그의 용기병들은 고립되었다. 헤센 병사들은 탄약 마차가 파괴된 후에도 용감하게 싸웠으나, 화약이 떨어지자 백병전을 벌여야 했다. 바움은 용기병들에게 돌격을 명령했지만, 미군은 굳건히 버티며 사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결국 남은 헤센 병사들은 항복했고, 바움은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30]

전투가 끝난 후, 스타크의 민병대가 포로를 무장 해제하고 물자를 약탈하는 동안 하인리히 폰 브레이먼이 이끄는 증원군이 도착했다. 이들은 혼란에 빠진 미군을 즉시 공격했다. 스타크의 부대는 후퇴하기 시작했지만, 세스 워너가 이끄는 그린 마운틴 보이즈가 도착하여 전세를 역전시켰다. 허버턴 전투에서 패배했던 워너와 그린 마운틴 보이즈는 복수심에 불타올랐고, 이들의 합류로 미군은 반격을 가해 브레이먼의 부대를 붕괴시켰다. 결전은 어두워질 때까지 계속되었고, 양측 모두 교전을 중단했다. 브레이먼은 병력의 4분의 1과 모든 포병을 잃고 퇴각했다.[30]

5. 전투의 결과와 영향



베닝턴 전투 기념비(Bennington Battle Monument)는 버몬트주 베닝턴(Bennington, Vermont)에 있다.


베닝턴 전투에서 영국군은 200명 이상이 사망하고 700명이 포로로 잡히는 큰 손실을 입었다. 반면 대륙군의 피해는 상대적으로 경미했다. 왕당파와 애국자들은 때때로 같은 지역 사회 출신이었기에, 전투는 특히 잔혹했다.[34] 포로들은 처음에는 베닝턴에 갇혔다가 결국 보스턴으로 보내졌다.[35]

바움의 패배 원인은 바움 자신의 실전 경험 부족과, 서로 연락이 어려운 산개된 진형 배치 방식 때문이었다. 반면 스타크는 수많은 전투를 경험한 베테랑이었고, 상대의 진형을 간파하여 그 약점을 파고들었다. 바움의 원군을 이끌었던 폰 브라이만은 바움과의 사이가 좋지 않아 일부러 도착을 늦추었다는 설도 있다. (프리드리히 바움 참조)

오늘날 베닝턴 주민들은 이 날을 베닝턴 전투의 날이라고 부르며 기념하고 있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대포인 몰리 스타크포로 축포를 쏜다.

8월 16일은 버몬트 주의 공휴일이다. 올드 베닝턴에는 높이 약 93.27m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5. 1. 영국군 작전에 미친 영향

베닝턴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버고인이 이끄는 영국군은 1,000명에 가까운 병력을 잃었다. 이 중 절반은 대체하기 어려운 정규군이었다. 또한, 전투 후 열린 회의에서 인디언 동맹 부족민들이 버고인을 버리고 떠나면서 병력 손실은 더욱 커졌다. 이로 인해 영국군의 정찰 능력은 심각하게 약화되었다.[33] 신선한 보급품을 가져오지 못하면서, 이미 과도하게 확장된 캐나다로부터의 영국 보급선에 더 큰 부담이 가해졌고, 결국 9월에 보급선은 붕괴되었다.[37] 이러한 보급품 부족은 버고인이 사라토가에서 항복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38] 이는 프랑스가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다.[39]

5. 2. 대륙군과 프랑스에 미친 영향

베닝턴 전투에서 헤센군, 왕당파, 이로쿼이족의 총 손실은 사망 207명, 포로 700명으로 기록되었다.[33] 미국 측의 손실은 사망 30명, 부상 40명이었다.[3]

미국 애국자들은 전투 소식에 낙관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버고인의 인디언 엄호가 그를 떠난 후, 지역 애국자들의 소규모 그룹이 나타나 영국군 진지의 주변부를 괴롭히기 시작했다.[40] 스타크 부대의 상당수는 집으로 돌아갔고,[41] 10월 13일 사라토가에서 버고인 군대를 포위하기 전까지는 작전에 다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았다.[42]

뉴햄프셔주 의회는 "기억할 만한 베닝턴 전투"에 대한 존 스타크(John Stark)의 보상으로 "그의 지위에 걸맞는 완벽한 옷 한 벌"을 주었다.[43] 스타크가 가장 높이 평가했을 보상은 대륙 회의 의장 존 핸콕(John Hancock)으로부터 받은 감사 메시지였는데, 여기에는 "미국 육군의 준장" 임명장이 포함되어 있었다.[43]

스타크가 적을 베닝턴에 도착하기 전에 차단하고 파괴한 것은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고, 영국군은 물자가 부족한 채 결국 사라토가 전투 이후 버고인의 항복으로 이어졌다.

베닝턴에서 애국군의 승리는 사기를 북돋았으며, 프랑스가 미국 측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6. 기념

베닝턴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승리로 기억되고 있다. 이 전투에서 영국군은 바움 중령을 포함하여 전사 200명, 포로 700명의 손실을 보았다. 반면 애국군 측의 손실은 전사 40명, 부상 40명이었다. 바움의 패인은 실전 경험 부족과 산개된 진형 때문이었던 반면, 스타크는 수많은 전투 경험을 바탕으로 상대의 약점을 공략했다. 스타크가 적을 차단하고 파괴한 것은 영국군의 물자 부족으로 이어져 결국 사라토가 전투 이후 버고인의 항복을 초래했다.

베닝턴에서의 승리는 애국군의 사기를 북돋았으며, 프랑스가 미국 측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6. 1. 베닝턴 전투 기념일과 기념물

150주년 베닝턴 전투 기념 우표


렌셀러 카운티, 뉴욕의 역사적 표지 - 베닝턴 전장 공원 표지


8월 16일버몬트주에서 법정 공휴일로, 베닝턴 전투 기념일로 알려져 있다.[51] 현재 베닝턴 전장 주립 사적지인 전장은 1961년 1월 20일에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고, 1966년 10월 15일에 국립 역사 등록지에 추가되었다.[52][53] 1870년대에 베닝턴의 지역 역사 협회는 베닝턴 전투 기념비의 설계 및 건설을 의뢰했으며, 1889년에 완공되어 1891년에 대통령 벤자민 해리슨이 참석한 기념식과 함께 헌정되었다. 높이 약 93.27m의 오벨리스크인 기념비는 국립 역사 등록지에도 등재되어 있다.[53][54] 기념비는 전투 100주년을 기념하기에 맞춰 준비되지 않았지만, 전투 100주년은 대통령 러더퍼드 B. 헤이스가 참석한 연설로 기념되었다.[55]

매년 베닝턴 전투 기념일에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발사 가능한 대포인 몰리 스타크 대포의 발포 행사가 열린다. 이 대포는 베닝턴 전투에서 노획되었다.[56] 베닝턴 주민들은 이 날을 베닝턴 전투의 날이라고 부르며 기념하고, 몰리 스타크포로 축포를 쏜다.

8월 16일은 버몬트 주의 공휴일이다. 올드 베닝턴에는 높이 93m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6. 2. 몰리 스타크 대포

베닝턴 전투 기념일에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발사 가능한 대포인 몰리 스타크 대포의 발포 행사가 매년 열린다. 이 대포는 베닝턴 전투에서 노획되었다.[56] 베닝턴 주민들은 이날을 베닝턴 전투의 날이라고 부르며 기념하고, 몰리 스타크포로 축포를 쏜다.

7. 전투 서열

일반적으로 전투 병력은 모리세이의 묘사와 일치한다.[44][45] 모리세이는 영국군 병력 수에 대해서는 다른 자료와 대체로 일치하지만, 브레이만 지휘 하의 병력 수에 대해서는 다양한 자료에서 이견이 있는데, 보통 약 550명 또는 65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17][24] 모리세이는 일부 미국 부대를 잘못 식별하고 있는데, 윌리엄 그레그가 별도의 지휘권을 가졌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그레그는 니콜스 연대에서 여러 중대를 이끌었던 것으로 보인다.[46] 또한 모리세이는 매사추세츠 민병대를 포함하지 않았고,[47] 랭던의 중대를 매사추세츠주 우스터 출신이라고 잘못 기술하였으나,[48] 실제 우스터 지역 민병대 중대는 베닝턴으로 이동했으며, 일부는 전투 다음 날 도착했다.[49] 랭던은 1776년에 처음 중대를 소집했지만, 기병대 부대가 된 것은 1778년이었다.[50]

7. 1. 대륙군 (American units)

전투 병력은 일반적으로 모리세이의 묘사에 나타난 것과 같다.[44][45] 모리세이는 영국군 병력 수에 대해서는 다른 자료와 대체로 일치하지만, 브레이만의 지휘 하에 있던 병력 수에 대해서는 다양한 자료에서 이견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약 550명 또는 65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17][24] 모리세이는 또한 일부 미국 부대를 잘못 식별하고 있는데, 윌리엄 그레그가 별도의 지휘권을 가졌다고 주장하지만, 그레그는 니콜스 연대에서 여러 중대를 이끌었던 것으로 보인다.[46] 또한 모리세이는 매사추세츠 민병대를 포함하지 않았으며,[47] 랭던의 중대를 잘못 식별하여 그들이 매사추세츠주 우스터 출신이라고 잘못 생각했다.[48] (우스터 지역의 민병대 중대는 베닝턴으로 행군했으며, 일부 중대는 전투 다음 날 도착했다.)[49] 랭던은 1776년에 처음으로 자신의 중대를 소집했지만, 1778년이 되어서야 기병대 부대가 되었다.[50]

부대병력
뉴햄프셔주 민병대
호바트 민병대 연대150
니콜스 민병대 연대550
스티키 민병대 연대150
랭던 경보병 자원대불명
기타 뉴햄프셔 민병대 부대1,000
버몬트주 민병대
헤릭 연대300
기타 버몬트 민병대 부대200
매사추세츠주 민병대
시몬즈 민병대 연대불명
대륙군
워너의 추가 대륙 연대350


7. 2. 영국군 (British units)

전투 병력은 일반적으로 모리세이가 묘사한 것과 일치한다.[44][45] 모리세이의 병력 수는 영국군에 대한 다른 자료와 대체로 일치하지만, 브레이만의 지휘 하에 있는 병력 수에 대해서는 다양한 자료에서 이견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약 550명 또는 65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17][24]

;'''바움 부대'''

부대병력
루트비히 공작 기병 연대205
폰 브레이먼 보병 연대24
폰 바너 경보병 대대57
리데젤 머스킷티어 연대, 슈페히트 머스킷티어 연대, 폰 레츠 머스킷티어 연대37
파우쉬 포병대13
여왕 충성 레인저스150+
선발 저격수 연대48
왕당파 비정규군150+
캐나다 비정규군56
이로쿼이족 전사100+



;'''브레이먼 부대'''

부대병력
폰 브레이먼 보병 연대353
폰 바너 경보병 대대277
파우쉬 포병대20


참조

[1] 문서 Morrissey (2000)
[2] 서적 The Battle of Bennington: Soldiers & Civilians
[3] 문서 Crockett (1921)
[4] 문서 Ketchum (1997)
[5] 문서 Ketchum (1997)
[6] 문서 Ketchum (1997)
[7] 문서 Ketchum (1997)
[8] 문서 Nickerson (1967)
[9] 문서 Pancake (1977)
[10] 문서 Nickerson (1967)
[11] 문서 Nickerson (1967)
[12] 문서 Nickerson (1967)
[13] 문서 Nickerson (1967)
[14] 문서 Ketchum (1997)
[15] 문서 Ketchum (1997)
[16] 문서 Nickerson (1967)
[17] 문서 Pancake (1977)
[18] 문서 Ketchum (1997)
[19] 문서 Ketchum (1997)
[20] 문서 Ketchum (1997)
[21] 문서 Nickerson (1967)
[22] 문서 Nickerson (1967)
[23] 문서 Ketchum (1997)
[24] 문서 Nickerson (1967)
[25] 문서 Nickerson (1967)
[26] 문서 Nickerson (1967)
[27] 문서 Nickerson (1967)
[28] 서적 The American Republic: Primary Sources Liberty Fund 2002
[29] 문서 Crockett (1921)
[30] 문서 Pancake (1977)
[31] 문서 Ketchum (1997)
[32]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Bennington Flag
[33] 문서 Pancake (1977)
[34] 문서 Ketchum (1997)
[35] 문서 Ketchum (1997)
[36] 인용 Ketchum (1997), p. 321
[37] 인용 Ketchum (1997), pp. 323, 340–341
[38] 인용 Ketchum (1997), p. 418
[39] 인용 Nickerson (1967), p. 411
[40] 인용 Nickerson (1967), pp. 268–269
[41] 인용 Nickerson (1967), p. 265
[42] 인용 Nickerson (1967), pp. 385–386
[43] 인용 Ketchum (1997), p. 327
[44] 인용 Morrissey (2000), p. 22 (British forces)
[45] 인용 Morrissey (2000), pp. 25–26 (American forces)
[46] 인용 Griffin (1904), p. 226
[47] 인용 Niles (1912), p. 337
[48] 인용 Morrissey (2000), pp. 26
[49] 인용 Worcester Historic Society (1881), p. 136
[50] 인용 Head (1866), p. 333
[51] 인용 Vermont State Holidays
[52] 인용 NHL summary listing
[53] 인용 National Register Information System
[54] 인용 Bennington Battle Monument
[55] 인용 Bartlett (1894), p. 445
[56] 웹사이트 New Boston Historical Society http://www.newboston[...] 2022-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