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레니케 (헤로데 아그립파의 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레니케는 헤로데 아그립파 1세와 키프로스의 딸로, 헤로데 왕조 출신이다. 오빠 아그리파 2세, 여동생 마리암네, 드루실라와 함께 성장했으며, 여러 차례 결혼을 거쳤다. 유대-로마 전쟁 시기에 예루살렘을 방문하여 유대인들을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했으며, 로마 황제 티투스와의 관계를 통해 로마에서 생활하기도 했다. 예술 작품에서 로마의 여제로 묘사되기도 한다.
17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베레니케와 티투스의 관계를 다루거나 묘사하는 예술 작품(소설, 드라마, 오페라 등)의 오랜 전통이 존재해 왔다.[26]
2. 생애
2. 1. 초기 생애
베레니케는 28년에 헤로데 아그리파와 키프로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리스토불루스 4세의 손녀이자 헤로데 대왕의 증손녀였다.[1] 그녀의 오빠는 아그리파 2세(27년생)였고, 여동생들은 마리암네(34년생)와 드루실라(38년생)였다.[2][3] 요세푸스에 따르면, 드루수스라는 남동생도 있었지만 10대 이전에 죽었다고 한다.[2] 그녀의 가족은 기원전 39년부터 서기 92년까지 유대 속주를 통치했던 헤로데 왕조의 일부를 구성했다.
요세푸스는 베레니케의 삶에서 세 번의 단명한 결혼을 기록하고 있는데, 첫 번째 결혼은 41년에서 43년 사이에, 그녀가 13세에서 15세 사이였을 때, 알렉산드리아의 알라바르크 알렉산더의 아들이자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더의 형제인 마르쿠스 율리우스 알렉산더와 이루어졌다.[4][5] 44년에 그가 일찍 죽자, 그녀는 아버지의 형제인 칼키스의 헤로데와 결혼했고,[3] 그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 베레니키아누스와 히르카누스를 낳았다.[6] 48년에 남편이 죽은 후, 그녀는 오빠 아그리파와 몇 년 동안 함께 살다가 킬리키아의 왕인 폰토스의 폴레몬 2세와 결혼했으나, 이후 그를 버렸다.[7] 요세푸스에 따르면, 베레니케는 그녀와 오빠가 근친상간 관계를 맺고 있다는 소문을 잠재우기 위해 이 결혼을 요청했고, 폴레몬은 주로 그녀의 재산 때문에 이 결혼을 설득당했다.[7] 그러나 그 결혼은 오래가지 않았고, 그녀는 곧 오빠의 궁정으로 돌아왔다. 유베날리스는 그의 여섯 번째 풍자시에서 그들이 연인 관계였다고 단언한다.[8] 베레니케는 실제로 그녀의 삶의 많은 부분을 아그리파의 궁정에서 보냈고, 거의 동등한 권력을 공유했다. 아그리파가 한 번도 결혼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대중의 소문을 부추겼을 수 있다.[9]
오빠처럼, 베레니케는 현재 이스라엘에 속한 로마 제국의 일부의 종속 통치자였다. 사도행전은 이 시기에 바오로가 카이사레아에서 그들의 법정에 나타났다고 기록하고 있다.[10]
2. 2. 결혼
2. 3. 유대-로마 전쟁 시기
64년에 황제 네로는 게시우스 플로루스를 유대 속주의 검찰관으로 임명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유대인들은 해당 지역의 그리스인들에게 유리하게 체계적으로 차별받았다.[11] 플로루스가 황실 세금이라는 명목으로 예루살렘의 성전 보물을 약탈하면서 긴장이 시민 불안으로 급격히 고조되었다.[11] 폭동이 발생한 후, 선동자들은 체포되어 로마인들에 의해 십자가형에 처해졌다. 동족의 처우에 격분한 베레니케는 66년에 예루살렘으로 가서 플로루스에게 유대인들을 살려달라고 직접 청원했다. 그는 그녀의 요청에 응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베레니케는 도시의 충돌 중에 죽을 뻔했다.[12] 마찬가지로 시리아의 군단장 케스티우스 갈루스에게 지원을 요청했지만 아무런 응답도 없었다.[13]
폭력이 더 이상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아그리파는 군중을 소집하여 누이와 함께 군중에게 연설을 했다.[13] 그러나 반군은 그들의 궁전을 불태웠다.[14] 그들은 도시를 탈출하여 갈릴리로 갔고, 그곳에서 나중에 로마인들에게 항복했다. 한편, 케스티우스 갈루스는 제12군단과 함께 이 지역으로 이동했지만 질서를 회복하지 못하고 벳호론 전투에서 패배하여 로마인들이 예루살렘에서 철수하게 되었다.[15]
2. 4. 티투스와의 관계
네로 황제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베스파시아누스를 임명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67년에 제5군단과 제10군단을 이끌고 유다에 상륙했다.[16] 그는 나중에 프톨레마이스에서 아들 티투스와 합류했고, 티투스는 제15군단을 데리고 왔다.[17] 6만 명의 전문 군인으로 구성된 로마군은 갈릴리를 빠르게 휩쓸었고, 69년에는 예루살렘으로 진군했다.[17]
이때 베레니케는 티투스를 만나 사랑에 빠졌는데, 티투스는 그녀보다 11살 어렸다.[18] 헤로데 왕가는 이 분쟁 동안 플라비우스 왕조 편에 섰으며, 69년 네 황제의 해—로마 제국에서 황제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가 빠르게 교체되었을 때—베레니케는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가 되도록 돕기 위해 자신의 모든 재산과 영향력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19] 69년 12월 21일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로 선포되자, 티투스는 유다에 남아 반란을 진압했다. 이 전쟁은 70년에 제2성전의 파괴와 예루살렘 약탈로 끝나면서 수십만 명이 죽고 9만 7천 명이 로마군에 포로로 잡혔다.[20] 승리한 티투스는 아버지의 통치를 돕기 위해 로마로 돌아왔고, 베레니케는 유다에 남았다.
2. 5. 로마에서의 삶
티투스와 베레니케는 75년에 그녀와 오빠 아그리파 2세가 로마에 오면서 4년 만에 재회했다.[21] 아그리파 2세는 프라에토르의 지위를 받았고, 베레니케는 티투스와의 관계를 재개하여 궁궐에서 그와 함께 살았으며, 모든 면에서 그의 아내처럼 행동했다고 전해진다.[22] 고대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는 이 기간 동안 베레니케가 권력의 정점에 있었다고 기록했으며,[22] 퀸틸리아누스는 『웅변가 양성법』에서 자신이 베레니케를 대신하여 그녀가 재판장으로 있는 사건을 변론하게 되었다는 일화를 기록했다.[23] 그러나 로마 대중은 동방의 여왕을 침입자처럼 여겼고, 두 사람이 극장에서 견유학자들에 의해 공개적으로 비난받자, 티투스는 압력에 굴복하여 그녀를 떠나보냈다.[22]
79년 티투스가 황제로 즉위하자 그녀는 로마로 돌아왔지만, 대중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티투스의 여러 인기 조치 속에서 빠르게 추방되었다.[24] 그는 더 적절한 시기에 그녀를 다시 부를 의도가 있었을 수도 있다.[21] 그러나 황제로서 겨우 2년 동안 통치한 후, 그는 81년 9월 13일에 갑자기 사망했다.[25] 베레니케가 로마에서 마지막으로 추방된 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21]
2. 6. 이후의 삶
티투스와 베레니케는 75년에 그녀와 오빠 아그립파 2세가 로마에 오면서 4년 만에 재회했다. 이 오랜 부재의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72년에서 78년 사이에 사망한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의 정치적 동맹인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무키아누스가 그녀의 존재에 반대했을 가능성이 있다.[21] 아그리파 2세는 프라에토르의 지위를 받았고, 베레니케는 티투스와의 관계를 재개하여 궁궐에서 그와 함께 살았으며, 모든 면에서 그의 아내처럼 행동했다고 전해진다.[22] 고대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는 이 기간 동안 베레니케가 권력의 정점에 있었다고 기록했으며,[22] 그녀가 얼마나 영향력이 있었는지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면, 퀸틸리아누스는 그의 저서 『웅변가 양성법』에서, 놀랍게도 자신이 베레니케를 대신하여 그녀가 재판장으로 있는 사건을 변론하게 되었다는 일화를 기록했다.[23] 그러나 로마 대중은 동방의 여왕을 침입자처럼 여겼고, 두 사람이 극장에서 견유학자들에 의해 공개적으로 비난받자, 티투스는 압력에 굴복하여 그녀를 떠나보냈다.[22]
79년 티투스가 황제로 즉위하자 그녀는 로마로 돌아왔지만, 대중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티투스의 여러 인기 조치 속에서 빠르게 추방되었다.[24] 그는 더 적절한 시기에 그녀를 다시 부를 의도가 있었을 수도 있다.[21] 그러나 황제로서 겨우 2년 동안 통치한 후, 그는 81년 9월 13일에 갑자기 사망했다.[25] 베레니케가 로마에서 마지막으로 추방된 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21] 아그립파 2세는 92년경에 사망했으며, 그와 함께 유대 지역에 대한 헤로데 왕조의 통치가 종말을 고했다.
3.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현대사에서 그녀는 로마의 잠재적인 여제로서의 열망 때문에 '작은 클레오파트라'로 묘사되어 왔다.[27]
4. 가계도
베레니케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 베레니케 | 2. 헤로데 아그립파 | 3. 키프로스 | 4. 아리스토불루스 4세 | 5. 베레니케 | 6. 파사엘 2세 | 7. 살람프시오 | 8. 헤로데 대왕 | 9. 하스몬 왕가의 마리암네 | 10. 코스토바루스 | 11. 살로메 1세 | 12. 파사엘 | 13. | 14. 헤로데 대왕 (= 8) | 15. 하스몬 왕가의 마리암네 (= 9) |
참조
[1]
서적
Ant. XIX.9.1
[2]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XVIII.5.4
[3]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XIX.9.1
[4]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XIX.5.1
[5]
논문
Julia Crispina, Daughter of Berenicianus, a Herodian Princess in the Babatha Archive: A Case Study in Historical Identific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XX.5.2
[7]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XX.7.3
[8]
서적
Satires VI
[9]
논문
Julia Berenic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
서적
Acts 25, 26
[11]
서적
The War of the Jews II.14
[12]
서적
The War of the Jews II.15.1
[13]
서적
The War of the Jews II.16.1
[14]
서적
The War of the Jews II.17.6
[15]
서적
The War of the Jews II.19.9
[16]
서적
The War of the Jews III.1.2
[17]
서적
The War of the Jews III.4.2
[18]
서적
Histories II.2
[19]
서적
Histories II.81
[20]
서적
The War of the Jews VI.6.1, VI.9.3
[21]
논문
Titus and Berenic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2]
서적
Roman History LXV.15
https://penelope.uch[...]
[23]
서적
Institutio Oratoria IV.1
https://penelope.uch[...]
[24]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Life of Titus 7
https://penelope.uch[...]
[25]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Life of Titus 10, 11
https://penelope.uch[...]
[26]
서적
Portraits of Middle Judaism in Scholarship and Arts
Zamorani
[27]
서적
The History of Rome, Book V.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Monarchy
https://www.gutenber[...]
2007-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