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런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징 런허는 1995년 상하이를 연고로 창단된 중국의 축구 클럽으로, 여러 차례 연고지를 변경하며 구단명도 바뀌었다. 2000년에는 1부 리그로 승격했으며, 2003년에는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구이저우로 연고지를 옮겨 구이저우 런허로, 2016년에는 베이징으로 이전하여 베이징 런허로 팀명을 변경했다. 2021년 채무 문제로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 런허 - 산시성 경기장
- 베이징 런허 -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 센터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 센터는 1990년 아시안 게임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AFC 아시안컵 2004를 대비하여 개수되었고, 베이징 런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베이징시의 축구단 - 베이징 궈안
베이징 궈안은 1951년 창단된 베이징 축구팀을 전신으로 1992년 창단된 중국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중국 슈퍼 리그 우승과 AFC 챔피언스 리그 8강 진출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 베이징시의 축구단 - 베이징 이공대학 축구단
베이징 이공대학 축구단은 2000년에 창단되어 중국 대학 축구 리그에서 우승하고, 중국 을급 리그 우승으로 프로 리그에 진출하여 스폰서십을 맺었으며, 2016년 외국인 투자를 유치했다. - 2021년 해체된 축구단 - 팀 웰링턴 FC
팀 웰링턴 FC는 2004년 웰링턴 지역 클럽 컨소시엄으로 창단되어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에서 3회 우승하고 2018년 OFC 챔피언스리그 우승으로 FIFA 클럽 월드컵에 진출한 미라마 소재 데이비드 패링턴 파크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는 축구 클럽이다. - 2021년 해체된 축구단 - 호크스베이 유나이티드 FC
호크스베이 유나이티드 FC는 2005년 네이피어 시티 사커로 창단된 뉴질랜드 프로 축구 클럽으로, 네이피어 시를 연고로 시작하여 호크스 베이 지역 전체를 대표하는 팀으로 팀명을 변경했고, 2014-2015 시즌에는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베이징 런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베이징 청펑 |
중국어 이름 (간체) | 北京橙丰足球俱乐部 |
로마자 표기 | Běijīng Chéngfēng |
이전 클럽 이름 | 베이징 런허 (北京人和) |
별칭 | 해당 없음 |
창단 | 1995년 2월 3일 |
해체 | 2021년 3월 29일 |
홈 경기장 |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 센터, 베이징 |
수용 인원 | 31,043명 |
구단주 | 런허 커머셜 홀딩스 컴퍼니 리미티드, 다이 용게, 시우리 호켄 |
회장 | 공레이 |
감독 | 왕보 |
리그 | 중국 갑급리그 |
2020 시즌 | 갑급리그, 17위 |
웹사이트 | 베이징 런허 FC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상의: 주황색 하의: 흰색 양말: 주황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
![]() |
2. 클럽 명칭 역사
연도 | 구단명 | 스폰서 팀명 |
---|---|---|
1995–1996 | 상하이 푸둥 축구단 | |
1997–1998 | ||
1999 | 상하이 푸둥 휘르풀 | |
2000 | 푸둥 롄양 8848 | |
2001–2002 | 상하이 COSCO 후이리 축구단 | |
2003 | 상하이 COSCO 산린 축구단 | |
2003–2004 | 상하이 인터내셔널 | |
2005 | 상하이 융타이 축구단 | |
2006 | 시안 찬바 인터내셔널 | |
2007–2009 | 산시 바오룽 찬바 축구단 | 산시 네오-차이나 찬바 |
2009 | 산시 그린란드 찬바 | |
2010 | 산시 종젠 찬바[10] | |
2011 | 산시 런허 상업 찬바[11] | |
2012 | 구이저우 런허 마오타이 | |
2013–2015 | 구이저우 런허 축구단 | 구이저우 마오타이 |
2016–2020 | 베이징 런허 축구단 | |
2021 | 베이징 청펑 축구단 |
베이징 런허는 1995년 상하이 푸둥으로 창단된 이후 여러 번 연고 이전과 구단명 변경을 거쳤다.
; 1995년
: 클럽의 전신인 '''상하이 푸둥 축구팀''' 설립.
; 2000년
: '''상하이 중위안 후이리 축구 클럽'''으로 개칭.
; 2003년
: '''상하이 중위안 산린 축구 클럽'''으로 개칭하고 애칭을 상하이 국제로 함.
; 2005년
: 영다 그룹이 스폰서가 되어, '''상하이 영다 축구 클럽'''으로 개칭.
; 2006년
: 연고지를 시안시로 이전하고, 시안 시다샤 부동산이 스폰서로 참여하여, '''시안 찬바 국제 축구 클럽중국어'''으로 개칭.
; 2007년
: 바오룽 투자 기업이 스폰서가 되어, '''산시 바오룽 찬바 축구 클럽중국어'''로 개칭.
; 2008년
: 바오룽 그룹에 더해 중신 그룹이 스폰서가 되어, 정식 명칭을 산시 바오룽 찬바 축구 클럽중국어・'''산시 중신 찬바 축구팀'''으로 개칭.
; 2010년
: 중국 중젠 부동산이 스폰서가 되어, 정식 명칭을 산시 바오룽 찬바 축구 클럽중국어・'''산시 중젠 부동산 찬바 축구팀'''으로 개칭.
; 2012년
: 1월 6일에 연고지를 구이양시로 이전하는 것을 발표하고, '''구이저우 런허 축구 클럽'''으로 개칭. 스폰서 이름을 포함한 팀명을 「'''구이저우 런허 국주 마오타이 축구 클럽'''」으로 함.
; 2016년
: 연고지를 베이징시로 이전하고 베이징 런허 축구 클럽으로 개칭.
; 2021년
: 베이징 런허는 채무 문제와 급여 미지급 문제가 발생하여, 리그 신청 절차 기한인 2월 28일까지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아 해산이 결정됨.
3. 역사
1995년 상하이 푸둥으로 창단된 후, 2000년에는 상하이 중위안 후이리, 2003년에는 상하이 중위안 산린, 2005년에는 상하이 융다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2006년 시안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시안 찬바 궈지로 구단명을 변경했고, 2007년에는 산시 바오룽 찬바로 다시 구단명을 변경했다. 2012년 구이양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구이저우 런허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2016년 베이징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베이징 런허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2021년, 베이징 런허는 채무 문제와 급여 미지급 문제 등으로 인해 해산되었다.
구단 명칭 변경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2019 시즌 종료 기준''[23][24]
연도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순위 | FA컵 | 슈퍼컵 | 리그컵 | AFC | 기타 | 평균 관중 수 | 경기장 | |
---|---|---|---|---|---|---|---|---|---|---|---|---|---|---|---|---|---|---|
1995 | 3 | 8 | 5 | 1 | 2 | 16 | 우승 | DNQ | DNQ | – | – | 추안샤 스타디움 | ||||||
1996 | 2 | 22 | 6 | 5 | 11 | 17 | 31 | −14 | 23 | 9 | R3 | DNQ | – | – | ||||
1997 | 2 | 22 | 7 | 6 | 9 | 23 | 23 | 0 | 27 | 10 | R2 | DNQ | – | – | ||||
1998 | 2 | 22 | 8 | 4 | 10 | 20 | 27 | −7 | 28 | 7 | R1 | DNQ | – | – | ||||
1999 | 2 | 22 | 10 | 6 | 6 | 32 | 30 | 2 | 36 | 4 | R1 | DNQ | – | – | ||||
2000 | 2 | 22 | 7 | 12 | 3 | 28 | 22 | 6 | 33 | 4 | R2 | DNQ | – | – | 위안선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
2001 | 2 | 22 | 14 | 4 | 4 | 51 | 21 | 30 | 46 | 우승 | R1 | DNQ | – | – | 상하이 스타디움 | |||
2002 | 1 | 28 | 9 | 8 | 11 | 37 | 39 | −2 | 35 | 9 | QF | DNQ | – | – | 17,500 | |||
2003 | 1 | 28 | 16 | 6 | 6 | 39 | 26 | 13 | 54 | 준우승 | QF | DNQ | – | – | 17,821 | |||
2004 | 1 | 22 | 8 | 8 | 6 | 39 | 31 | 8 | 32 | 3 | R2 | R2 | – | A3 | 4 | 8,455 | ||
2005 | 1 | 26 | 8 | 7 | 11 | 30 | 32 | −2 | 31 | 8 | R3 | R1 | – | 4,385 | ||||
2006 | 1 | 28 | 8 | 12 | 8 | 33 | 34 | −1 | 36 | 9 | R1 | – | 17,286 | 산시성 스타디움 | ||||
2007 | 1 | 28 | 4 | 14 | 10 | 24 | 29 | −5 | 26 | 13 | – | 24,643 | ||||||
2008 | 1 | 30 | 15 | 7 | 8 | 41 | 29 | 12 | 52 | 5 | – | 24,625 | ||||||
2009 | 1 | 30 | 9 | 10 | 11 | 26 | 24 | 2 | 37 | 12 | – | 23,026 | ||||||
2010 | 1 | 30 | 9 | 10 | 11 | 33 | 36 | −3 | 37 | 10 | – | 28,053 | ||||||
2011 | 1 | 30 | 10 | 8 | 12 | 34 | 41 | −7 | 38 | 9 | QF | – | 27,836 | |||||
2012 | 1 | 30 | 12 | 9 | 9 | 44 | 33 | 11 | 45 | 4 | 준우승 | DNQ | – | 29,574 | 구이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 |||
2013 | 1 | 30 | 11 | 11 | 8 | 40 | 41 | −1 | 44 | 4 | 우승 | DNQ | 조별 리그 | 21,312 | ||||
2014 | 1 | 30 | 11 | 8 | 11 | 33 | 35 | −2 | 41 | 6 | R4 | 우승 | 조별 리그 | 12,327 | ||||
2015 | 1 | 30 | 7 | 8 | 15 | 39 | 52 | −13 | 29 | 15 | QF | DNQ | – | 15,139 | ||||
2016 | 2 | 30 | 15 | 4 | 11 | 49 | 35 | 14 | 49 | 4 | R3 | DNQ | – | 4,542 | 베이징 펑타이 스타디움 | |||
2017 | 2 | 30 | 18 | 8 | 4 | 48 | 21 | 27 | 62 | 준우승 | R3 | DNQ | – | 6,494 | ||||
2018 | 1 | 30 | 9 | 10 | 11 | 33 | 46 | −13 | 37 | 8 | R5 | DNQ | – | 12,534 | ||||
2019 | 1 | 30 | 3 | 5 | 22 | 26 | 65 | -39 | 14 | 16 | R5 | DNQ | – | 7,545 | ||||
2020 | 2 | 17 | 6 | 3 | 8 | 22 | 27 | -5 | 21 | 17 | DNQ | DNQ | – |
3. 1. 창단과 초기 (1995-2005)
1995년 2월 3일 상하이 푸둥 신구에서 프로 축구 리그 참가를 위해 상하이 푸둥 축구단을 창단, 3부 리그에서 시작하였다.데뷔 시즌에 파란색 유니폼을 입고 리그 우승과 함께 2부 리그로 승격하였다.[2] 그러나 다음 시즌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고, 2000 시즌 초 쉬겐바오 감독을 영입하며 승격 경쟁팀으로 발돋움했다. 쉬겐바오 감독 지휘 아래 리그 우승을 차지, 1부 리그 승격에 성공했다.[3] 이후 상하이 융타이 엔지니어링과 COSCO 부동산 소유 하에 파란색과 흰색 줄무늬 유니폼으로 변경, 청 야오둥, 장 진, 우 청잉(중국 이적료 1300만위안 기록) 등 국가대표 선수들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 상하이 선화와 리그 우승 경쟁을 펼쳤으나, 2003 시즌 최종 순위에서 단 1점 차로 2위를 기록했다.[4] 2012년 6월 13일, 경찰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3년 우승 실패 원인은 선 시, 치 홍, 장 진, 리 밍 선수가 톈진 TEDA 단장 양 이펑에게 뇌물을 받고 2003년 11월 30일 경기에서 고의 패배했기 때문이며, 연루된 모든 선수들은 벌금 및 징역형을 선고받았다.[5]
구단주들은 선수 영입에 대한 지출 수준을 유지할 수 없었고, 팀의 성적은 하락하기 시작했다.
3. 2. 시안 이전과 구이저우 시대 (2006-2015)
구단주들의 지출 수준 유지가 어려워지고 팀 성적이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2005 시즌에 상하이 주본과의 경쟁에 직면하자 팀은 시안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상하이 인터내셔널이라는 새로운 브랜드의 팀은 산시 성 경기장(시안, 산시성)으로 이동했으며, 2006년까지 시안 찬바 인터내셔널로 이름을 변경했다.[8] 2007년에는 바오롱 투자로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클럽은 새로운 노란색 유니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8 시즌에 클럽은 다시 우승 경쟁팀처럼 보였지만, 곧 우승 희망이 사라지고 5위를 기록했다. 다음 시즌에는 팀이 부진했고, 청 야오둥 감독이 사임하고 전 중국 국가대표팀 감독 주 광후가 팀을 강등권에서 벗어나게 했다.[6]2010 시즌 초, 다이 용게와 런허 상업 홀딩스 컴퍼니가 클럽에 대규모 투자를 시작하면서 쑨 지하이, 자오 쉬리, 취 보, 마오 지엔칭 등 중국 국가대표 선수들을 영입했다. 그러나 클럽은 리그에서 고전했고, 주 광후 감독은 밀로라드 코사노비치로 교체되었다. 코사노비치의 재임은 성공적이지 못했고, 슬로보단 산트라치로 교체되었으나 좋지 않은 결과가 이어져 해고되었다. 이후 전 중국 국가대표팀 감독 가오 홍보가 2011 시즌 대부분 기간 동안 팀을 중위권에 머물게 했다.[7]
다이 용게는 팀의 성공 부족에 좌절하여 구이양 정부의 구이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개발 약속을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런허 상업 홀딩스 컴퍼니가 구이양 내에서 더 나은 사업적 연결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 클럽은 팀을 이전하기로 결정했고, 이는 그들을 중국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팀 중 하나로 만들었다.[8] 2012 시즌에 구이저우는 4위를 달성하고 첫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9]
팀의 성공은 2014년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 자격을 얻으면서 계속되었지만, 두 번 모두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이 기간 동안 2014년 중국 FA 슈퍼컵 우승과 2013년 중국 FA컵 우승을 차지했다. 2015 시즌에는 갑급 리그로 강등되었지만, 2018년에 슈퍼 리그로 복귀했다.
3. 3. 베이징 런허와 해산 (2016-2021)
2016년, 구단은 구이저우에서 베이징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베이징 런허로 구단 명칭을 변경하였다.[9] 2018년 중국 슈퍼 리그에서 8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했지만, 2019 시즌에는 부진을 거듭하며 최하위로 다시 중국 갑급 리그로 강등되었다.2020년 중국 갑급 리그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장시 롄성에 합산 2–3으로 패배하여 을급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후 중국 축구 협회의 "중립적인 이름" 요구 사항에 따라 베이징 청펑으로 구단 명칭을 변경하였으나, 2021년 3월 29일, 구단은 공식적으로 해산을 발표하였다.
4. 주요 성적
베이징 런허는 여러 축구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었다. 리그에서는 1995년 중국 을 리그 우승, 2001년 중국 갑B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2003년에는 중국 갑A 리그에서 준우승을 기록했다. 컵 대회에서는 2013년 중국 FA컵 우승[21], 2014년 중국 FA 슈퍼 컵 우승[22]을 차지했다.
4. 1. 리그
대회 | 순위 | 시즌 |
---|---|---|
중국 갑A 리그/중국 슈퍼 리그 | 준우승 | 2003 |
중국 갑B 리그/중국 리그 원 | 우승 | 2001 |
준우승 | 2017 | |
중국 을 리그/중국 리그 2 | 우승 | 1995 |
4. 2. 컵 대회
5.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가오훙보 | 2011 ~ 2012 |
루이스 가르시아 플라사 | 2017 ~ 2018, 2019 |
왕보 | 2019 ~ 2020 |
구이저우 런허가 창단된 이후 구단과 팀을 지도한 감독들이다.[19][20]
감독 | 임기 |
---|---|
왕호준 | 1995–96 |
정연 | 1996, 1998 |
마르셀루 | 1997 |
선들리 | 1997 |
인리화 | 1998–99 |
밥 호턴 | 2000 |
시즈캉 | 2000 |
쉬겐바오 | 2000년 11월 1일 – 2001년 11월 30일 |
클로드 르 로이 | 2001년 7월 1일 – 2003년 6월 30일 |
청야오둥 | 2003년 5월 1일 – 2009년 8월 27일 |
궁레이 (임시) | 2009, 2012년 12월 17일 – 2014년 4월 23일, 2015년 7월 8일 – 2015년 12월 8일 |
주광후 | 2009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밀로라드 코사노비치 | 2010년 5월 1일 – 2011년 12월 31일 |
슬로보단 산트라치 | 2011년 7월 19일 – 2011년 9월 22일 |
주정 (임시) | 2014년 4월 23일 – 2015년 4월 28일 |
리춘만 (임시) | 2015년 4월 28일 – 2015년 7월 8일 |
왕바오산 | 2015년 12월 8일 – 2017년 6월 8일 |
알렉산다르 스타노예비치 | 2018년 12월 18일 – 2019년 7월 9일 |
6. 선수 명단
등번호 | 포지션 | 선수명 |
---|---|---|
3 | MF | 류보양 |
5 | DF | 완호우량 |
6 | MF | 김성준 |
7 | FW | 진후이 |
8 | MF | 장위펑 |
9 | MF | 탕원허 |
12 | GK | 장리에 |
13 | DF | 류샹 |
15 | DF | 스지웨이 |
16 | GK | 주쯔린 |
17 | DF | 류젠 |
18 | MF | 쑨웨이저 |
19 | MF | 류신위 |
25 | DF | 자오저 |
27 | FW | 치아고 레온코 |
28 | MF | 리청룽 |
29 | MF | 니잠딘 에펜디 |
31 | DF | 양자오후이 |
33 | DF | 리시선 |
34 | GK | 우징더 |
35 | FW | 린징하오 |
37 | FW | 허우저 |
38 | DF | 푸제 |
39 | MF | 황젠젠 |
- 감독: 왕보
6. 1. 역대 주요 선수
Ayub Masika|아유브 마시카KENZvjezdan Misimović|즈브예즈단 미시모비치BIH
Sejad Salihović|세야드 살리호비치BIH
Zlatan Muslimović|즐라탄 무슬리모비치BIH
Metodi Stoinev|메토디 스토이네프BUL
Ivan Bulat|이반 불라트CRO
Ivan Brečević|이반 브레체비치CRO
Nikica Jelavić|니키차 옐라비치CRO
Mike Hanke|마이크 한케GER
Fabio Firmani|파비오 피르마니ITA
Elvis Manu|엘비스 마누NED
Krzysztof Mączyński|크시슈토프 몬친스키POL
Derek Riordan|데렉 리오단SCO
Miloš Bajalica|밀로시 바야리차SRB
Tomáš Oravec|토마시 오라베츠SVK
Rafa Jordà|라파 조르다ESP
Rubén Suárez|루벤 수아레스ESP
Nano|나노ESP
Magnus Eriksson|마그누스 에릭손SWE
Guillermo Molins|기예르모 몰린스SWE
Marvin Ávila|마빈 아빌라GUA
Augusto Fernández|아구스토 페르난데스ARG
Rafael Felipe Scheidt|라파엘 펠리페 샤이데BRA
쑨지하이
장청린
천창위안
박주성
위하이
Nelson Cuevas|넬슨 쿠에바스PAR
취보
Mohamed Kallon|모하메드 카론SLE
Ricardo Henrique da Silva dos Santos|히카르두 산토스BRA
7. 엠블럼과 유니폼
클럽은 연고지 이전과 소유권 변동에 따라 엠블럼과 유니폼 디자인을 여러 차례 변경했다. 창단 초기에는 파란색을 주로 사용했으나, 상하이 선화와의 차별화를 위해 파란색과 흰색 줄무늬 상의와 말 모양 엠블럼을 도입했다.[12][13] 시안으로 이전하면서 노란색 상의와 늑대 엠블럼을 사용했고,[14] 구이저우로 연고지를 옮기면서 주황색 유니폼을 채택했다.[15][16]
7. 1. 유니폼
클럽이 창단되었을 당시 홈 유니폼 색상은 주로 파란색이었으나, 클럽이 최상위 리그로 승격한 후 파란색 유니폼을 사용하는 지역 라이벌 상하이 선화와 차별화를 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12] 이에 따라 2003 리그 시즌 초반에 파란색과 흰색 스트라이프 상의를 도입했으며, 유벤투스 FC의 로고에서 직접 영감을 얻어 스트라이프 배경 앞에 말을 배치한 새로운 엠블럼 디자인을 사용했다.[13] 바오롱 투자에 의해 클럽이 시안으로 이전하면서, 2008 리그 시즌 초반에는 새로운 노란색 상의와 늑대 엠블럼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14] 런허 상업 지주 회사가 클럽의 지분 과반수를 인수했을 때, 2011 리그 시즌 동안 새로운 검은색 유니폼을 시도했지만, 이 색상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회사가 클럽을 구이저우로 이전하기로 결정했을 때, 이 이전을 상징하는 새로운 유니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2012 리그 시즌 초반에 주황색 유니폼을 출시했다.[15][16]8. 라이벌
클럽은 상하이에 창단되었을 때, 각 도시에 2개 이상의 클럽을 허용하는 1994년 중국 축구 리그의 프로화 개혁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상하이 선화가 이미 시내에 자리를 잡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 최초의 최고 리그 도시 더비가 생길 가능성이 생겼다. 2002년 3월 9일, 첫 번째 최고 리그 도시 더비가 성사되어 리그 경기에서 두 팀이 맞붙었고, 이 경기에서 런허는 매진된 홍커우 축구 경기장에서 선화를 상대로 2-0으로 승리했다. 상하이 더비로 알려진 이 경기는 두 클럽 간의 치열했지만 짧은 라이벌리의 시작이었으며, 2003년 리그 시즌 마지막 날에 두 팀 모두 리그 우승을 차지할 수 있게 되면서 정점에 달했다.[17] 선화는 경기에서 승리했지만 런허는 강등 경쟁 중인 톈진 터다에 의외로 패했다. 이로 인해 비평가들은 우승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고, 결국 두 팀 모두 선수와 관계자들이 캠페인 기간 동안 승부 조작을 한 것이 드러났다.[18] 선화는 소급하여 우승을 박탈당했고, 런허 구단주들은 상하이에 남는 것이 재정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팀을 시안으로 이전하면서 라이벌 관계가 사실상 종료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陕西人和官方宣布球队南迁 注册地已变更贵州省
https://web.archive.[...]
sports.163.com
2012-01-08
[2]
웹사이트
China League Tables 1995
https://www.rsssf.or[...]
2003-06-19
[3]
웹사이트
China League Tables 2001
https://www.rsssf.or[...]
2003-06-19
[4]
웹사이트
China League Tables 2003
https://www.rsssf.or[...]
2004-04-18
[5]
웹사이트
Match-fixing led to stars' downfall
http://www.shanghaid[...]
shanghaidaily.com
2012-06-14
[6]
웹사이트
陕西浐灞官方宣布主帅朱广沪下课 科萨诺维奇接任
http://sports.sina.c[...]
sports.sina.com.cn
2010-05-08
[7]
웹사이트
高洪波接替桑特拉奇入主陕西 传执教年薪超百万
http://sports.sohu.c[...]
sports.sohu.com
2011-09-25
[8]
웹사이트
Only in the CSL: Shanxi Chanba Moving to Guizhou in 2012
https://wildeastfoot[...]
wildeastfootball.net
2011-12-06
[9]
웹사이트
关于贵州人和足球俱乐部有限公司主要股权转让并更名为北京人和足球俱乐部有限公司的公示
http://www.fa.org.cn[...]
fa.org.cn
2021-01-31
[10]
웹사이트
中建冠名 西北狼更名:陕西中建地产浐灞足球队
https://web.archive.[...]
sports.hsw.cn
2010-03-22
[11]
웹사이트
全新浐灞队亮相 科萨坦言希望争冠
https://web.archive.[...]
news.xiancn.com
2011-03-17
[12]
웹사이트
上海中远vs上海申花
http://www.shenhuafc[...]
shenhuafc.com.cn
2011-01-01
[13]
웹사이트
足协杯西安?哄惫?际胜北京宏登[组图]
https://web.archive.[...]
news.xinhuanet.com
2006-03-16
[14]
웹사이트
Guizhou Renhe FC
http://www.weltfussb[...]
weltfussballarchiv.com
2015-10-05
[15]
웹사이트
China: Shaanxi Renhe Commercial Chanba Nike 2011 Shirts
http://www.football-[...]
football-shirts.co.uk
2015-10-05
[16]
웹사이트
贵州人和2012赛季主客场球衣
http://www.kitstown.[...]
kitstown.com
2012-12-21
[17]
뉴스
A brief history of: The Shanghai Derby
http://wildeastfootb[...]
wildeastfootball.net
2015-10-05
[18]
뉴스
China Strips Shenhua of 2003 League Title, Bans 33 People for Life
https://web.archive.[...]
english.cri.cn
2015-10-05
[19]
웹사이트
Guizhou Renhe " Manager history
http://www.worldfoot[...]
worldfootball.net
2015-06-15
[20]
웹사이트
Guizhou Renhe
https://www.thefinal[...]
footballzz.co.uk
2015-06-15
[21]
웹사이트
China List of Cup Winners
https://www.rsssf.or[...]
2015-11-09
[22]
웹사이트
China List of Super Cup Winners
https://www.rsssf.or[...]
2015-11-09
[23]
웹사이트
China League History
https://www.rsssf.or[...]
2014-01-28
[24]
웹사이트
北京人和
http://www.sodasocce[...]
sodasoccer.com
2014-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