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로모르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로모르스크는 러시아 카렐리야 공화국에 위치한 도시로, 1938년 소로카와 주변 지역이 합쳐져 형성되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소련과 핀란드 간의 계속 전쟁 동안 카렐-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임시 수도 역할을 했다. 백해-발트해 운하 어귀에 위치하며, 포모르 문화의 중심지 중 하나로, 고대 암각화 유적이 있는 잘라브루가와 베소비 스레드키가 있다. 키로프 철도가 무르만스크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연결하며, 아르한겔스크와 무르만스크를 잇는 철도가 지나가고, 페트로자보츠크로 가는 노선이 분기된다. 2014년까지 새로운 항만이 건설되어 연중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렐리야 공화국의 행정 구역 - 페트로자보츠크
페트로자보츠크는 러시아 서부 오네가호 서안에 위치한 카렐리야 공화국의 수도로, 1703년 표트르 대제의 명령에 따라 건설된 철강 주조 공장에서 시작되어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목재 가공, 수산업, 조선업 등의 산업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 시설과 역사적 랜드마크를 보유하고 있다. - 카렐리야 공화국의 행정 구역 - 콘도포가
콘도포가는 러시아 카렐리야 공화국에 위치한 도시로, 18세기 대리석 채석장 개발과 소련 시대 펄프 및 제지 공장을 통해 성장했으나, 2018년 화재로 소실된 성모 승천 교회가 있었으며 현재는 교통 요충지이자 콘도포가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백해 - 카렐리야
카렐리야는 백해에서 핀란드만까지 뻗어 있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분할과 병합을 거쳐 핀란드와 러시아에 걸쳐 있으며 핀란드의 국민 서사시와 관련된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백해 - 사미인
사미인은 북유럽에 거주하는 원주민으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순록 방목 등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활해 왔으며, 차별과 동화 정책을 겪었으나 현재는 자치권 확보와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벨로모르스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Belomorsk |
카렐리야어 | Šuomua |
핀란드어 | Belomorsk, Sorokka |
위치 | 러시아, 카렐리야 공화국 |
행정 구역 | 벨로모르스키 군의 중심지 |
도시 지위 획득일 | 1938년 9월 11일 |
행정 | |
해당 지역 | 카렐리야 공화국 |
군 (행정) | 벨로모르스키 군 |
자치 도시 구역 | 벨로모르스코예 도시 정착지 |
지리 | |
좌표 | 북위 64° 31′ 31″ 동경 34° 45′ 57″ |
인구 | |
2010년 인구 조사 | 11,217명 |
2002년 인구 조사 | 13,103명 |
1989년 인구 조사 | 18,935명 |
일반 정보 | |
전화 지역 코드 | +7 81437 |
우편 번호 | 186500 |
2. 역사
벨로모르스크는 초기에 소로카(Соро́каru) 또는 소로츠카야(Сороцкаяru)라고 불리는 작은 마을이었다. 1938년 9월 11일, 소로카와 인근 지역이 합쳐져 벨로모르스크 시가 되었다.[1]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카렐-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임시 수도 역할을 했다.
벨로모르스크에는 카렐리아인 외에도 중세 시대에 백해 연안으로 이주한 포모르도 거주하며, 포모르 무역이 행해진 곳으로, 포모르 문화의 중심지 중 하나이다. 잘라브루가(Zalavruga)와 베소비 스레드키(Besovy Sledki, "악마의 발자국")에는 고대인이 돌에 새긴 페트로그리프가 다수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계속 전쟁과 임시 수도
소련과 핀란드 간의 계속 전쟁 (1941년~1944년) 동안 벨로모르스크는 소련령 카렐리아의 임시 행정 중심지였다.[1]3. 행정 구역 및 지방 자치
행정 구역상 벨로모르스크는 벨로모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4] 지방 자치체로서 벨로모르스크 읍은 11개의 농촌 지역과 함께 벨로모르스키 시립 구에 '''벨로모르스코예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어 있다.[5]
4. 문화
벨로모르스크는 포모리예의 문화 중심지 중 하나이다. 중세 시대에 백해 연안으로 이주한 포모르들이 거주하며, 포모르 무역이 이루어진 곳이다.
4. 1. 암각화 유적
벨로모르스크 인근에는 고대 암각화가 있는 잘라브루가와 베소비 슬레드키(악마의 발자국) 등의 역사적인 장소가 있다. 이곳에는 고대인이 돌에 새긴 페트로그리프가 다수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교통
벨로모르스크는 백해-발트해 운하 어귀에 있어, 운하의 입구이자 상트페테르부르크까지 이어지는 수로 체계의 종착점 역할을 한다. 백해 남서쪽 오네가 만에 위치하며, 발트해와 수로로 연결된다. 근처에는 카렐리아를 흐르는 비그 강 하구가 있다.
5. 1. 철도
키로프 철도는 무르만스크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벨로모르스크와 연결한다.[6] 카렐리아의 수도 페트로자보츠크로 가는 노선이 분기한다.5. 2. 항만
벨로모르스크에서는 2014년까지 900만 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항만이 건설되고 있다.[6] 2단계에서는 처리 능력이 1,500만 톤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 항만은 연중 얼지 않지만, 겨울철에는 쇄빙선을 사용하여 중단 없이 운영될 것이다.참조
[1]
법률
Law #825-ZRK
[2]
기타
ru-pop-ref
[3]
서적
Venäjän federaation paikannimiä
https://kaino.kotus.[...]
Kotimaisten kielten tutkimuskeskus
2006
[4]
법률
Law #871-RZK
[5]
법률
Law #813-RZK
[6]
뉴스
New port to be constructed near Belomorsk
http://barentsobserv[...]
Barents Observer
2010-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