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벽라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벽라교는 일제강점기에 모란봉과 능라도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다리이다. 능라도 수원지에서 정제된 물을 평양 시내에 공급하기 위한 대형 수도관 부설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1910년경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류벽과 능라도를 연결하는 다리라는 의미에서 또는 부벽루와 능라도에서 이름을 따왔다는 설이 있으며, 일반에서는 수도국 다리 또는 수도교로 불렸다. 1946년 미군 지도와 1949년 사진에도 등장하지만 현재는 존재하지 않으며, 능라교와 청류교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2. 역사

벽라교는 일제강점기 평양시에 상수도 시설을 확충하면서 건설되었다. 1918년 신문기사에 벽라교(碧羅橋)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한다.[4] 이 다리는 미군이 작성한 1946년 지도와[7] 1949년 사진에도 나오지만,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2. 1. 건설 배경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을 보면 모란봉(牡丹峰) 쪽에서 능라도(綾羅島)와 연결하는 다리가 나오는데,[1] 이 다리는 능라도 수원지에서 정제된 물을 평양시내에 공급하기 위해 대형 수도관을 부설한 다리였다.

다리의 정확한 건설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능라도 수원지에서 물을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1910년부터이므로[2] 그때 처음 부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1910년대 평양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안정적인 물 공급이 중요해졌고, 이에 따라 능라도에 수원지가 설치되었으며, 평양 시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관을 설치하면서 벽라교가 함께 건설되었다.

2. 2. 명칭 유래

벽라교(碧羅橋)라는 명칭은 청류벽(淸流壁)과 능라도(綾羅島)를 연결하는 다리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부벽루(浮碧樓)와 능라도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는 설이 있다.[3] 일반인들에게는 '수도국(水道局) 다리'[3][5] 또는 '수도교(水道橋)'로도 불렸다.[6]

2. 3. 구조 및 역할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을 보면 모란봉(牡丹峰) 쪽에서 능라도(綾羅島)와 연결하는 다리가 나오는데,[1] 이 다리는 능라도 수원지에서 정제된 물을 평양 시내에 공급하기 위해 대형 수도관을 부설한 다리였다. 차량 통행은 불가능했고, 수도국 직원들이 능라도를 출입하던 통로로도 이용되었다. 일반에서는 통칭 수도국(水道局) 다리로 불렸으며,[3][5] 수도교(水道橋)라고도 했다.[6]

2. 4. 해방 이후

벽라교는 일제강점기모란봉에서 능라도로 연결되었던 다리로, 능라도 수원지에서 정제된 물을 평양시내에 공급하기 위한 대형 수도관이 부설된 다리였다.[1] 일반인들에게는 수도국(水道局) 다리[3][5] 또는 수도교(水道橋)라고도 불렸다.[6]

벽라교는 미군이 작성한 1946년 지도와[7] 1949년 사진에도 등장하지만,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당시 벽라교는 서평양에서 능라도로 들어가는 유일한 통로였으나, 현재는 능라도와 대동강 양안을 잇는 능라교(1988년 준공)와 청류교(1995년 준공)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능라도 수원지 정수장은 이전된 것으로 보인다.

3. 갤러리

부벽루. 왼편 아래에 벽라교가 보인다.

3. 1. 벽라교와 능라도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을 보면 모란봉(牡丹峰) 쪽에서 능라도(綾羅島)와 연결하는 다리가 나오는데,[1] 이 다리는 능라도 수원지에서 정제된 물을 평양시내에 공급하기 위해 대형 수도관을 부설한 다리였다.

다리의 정확한 건설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능라도 수원지에서 물을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1910년부터이므로[2] 그때 처음 부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1918년 신문기사에 벽라교(碧羅橋)라는 명칭이 보인다. 일반에서는 통칭 수도국(水道局) 다리,[3][5] 수도교(水道橋)라고도 불렀다.[6]

3. 2. 능라도 수원지

능라도 수원지 모형 및 실제 사진을 통해 당시 정수 시설의 규모와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3. 3. 모란봉과 대동강


3. 4. 미군 지도 (1946년)

미군이 1946년에 작성한 평양 지도에는 능라도 정수장 시설과 벽라교가 표시되어 있다.[7]

3. 5. 1949년 사진

1949년에 촬영된 능라도, 모란봉 일대 사진을 통해 해방 직후 벽라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1]

참조

[1] 뉴스 대한민국 최고령 현역작가 하반영(河畔影) 화백을 만나다 http://www.ohmynews.[...] ohmynews 2012-02-16
[2] 간행물 雜報 / 水道測量 https://www.bigkinds[...] 皇城新聞 1906-10-19
[3] 웹사이트 평양시민회와 발자취 http://cafe.daum.net[...]
[4] 뉴스 大同江 一部 解氷, 오는 6일경에는 다 풀려 https://www.bigkinds[...] 每日申報 1918-02-08
[5] 서적 패강냉(浿江冷) http://db.history.go[...] 삼천리사(三千里社) 1938-01-01
[6] 뉴스 水道橋에서 추락 자살, 무슨 까닭으로 죽어, 주소 성명도 모른다 https://www.bigkinds[...] 每日申報 1923-03-09
[7] 문서 미군이 1946년 작성한 평양 지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