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덕은 《삼국유사》에 기록된 고구려 출신의 승려로, 열반경을 강론하고 영탑사를 창건했다. 연개소문의 불교 탄압을 피해 백제로 건너가 경복사를 세우고 열반종을 전파했으며, 제자들이 각지에 절을 세워 종교를 널리 알렸다. 전주 경복사는 비래방장 설화로 유명하며, 고려 대각국사 의천이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기는 등 후대에도 존경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승려 - 관륵
    관륵은 백제 출신 승려로 602년 일본에 건너가 천문학, 역법, 음양도 등 다양한 학문을 전파하고 일본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일본 최초의 승정으로 불교계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백제의 승려 - 도침
    도침은 백제 멸망 후 귀실복신, 부여풍과 함께 백제 부흥 운동을 일으켰으나 내분으로 복신에게 살해되었고, 이후 백강 전투에서 부흥 운동이 붕괴된 인물이다.
  • 고구려의 승려 - 혜자
    혜자는 고구려 출신의 승려로서 일본 아스카 시대 불교 발전에 기여하고,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으며, 621년 쇼토쿠 태자의 죽음을 슬퍼하며 다음 해 죽음을 예언하고 실제로 사망했다.
  • 고구려의 승려 - 담징
    담징은 7세기 고구려의 승려, 화가, 공예가로 일본에 건너가 종이, 먹, 맷돌 제조 기술 등을 전파했으며, 오경에 능통하고 채색화에 뛰어났다는 기록이 있다.
  • 한국의 불교 - 직지심체요절
    《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저술하고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된 불교 서적으로,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한국의 불교 - 진언종
    진언종은 쿠카이가 당나라에서 밀교를 전수받아 일본에서 창시한 불교 종파로, 대일여래 중심의 밀교적 세계관, 삼밀 수행, 즉신성불을 핵심 교리로 하며, 고야산 금강봉사와 교토 동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일본 및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다.
보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법명보덕(普德)
출생일미상
출생지고구려 용강현(龍岡縣)
입적일미상
입적지미상
종파열반종
속명미상
출가미상
주요 제자

2. 생애

삼국유사》에 따르면 보덕은 고구려 용강현 출신으로[2] 출가해서 반룡산(盤龍山) 연복사(延福寺)에 있었다.[1] 평양(平壤)에서 노승의 요청으로 《열반경》(涅槃經) 40권을 강론하였고,[3] 강론 후 평양 서쪽 대보산(大寶山) 바위굴 아래에서 참선하다가 신인(神人)의 계시를 받고 8면 7층 석탑을 찾아낸 뒤 그 자리에 영탑사(靈塔寺)를 지었다고 한다.[4]

고구려 말기에 (唐)에서 도교(道敎)가 유입되고, 대막리지(大莫離支) 연개소문(淵蓋蘇文)이 도교 진흥책을 펼치면서 불교 억압이 일어났다. 연개소문은 강력한 권력을 바탕으로 도교를 장려하고 불교를 탄압하여 많은 사찰을 몰수하고 도관으로 바꾸었다. 보덕은 도교와 불교의 충돌이 나라를 위태롭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연개소문은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보덕은 650년(혹은 667년 3월 3일)[5] 고구려를 떠나 백제로 갔다.[6] 이후 완산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을 강론하였으며, 그의 제자 11명이 각각 절을 세워 열반종을 포교했다.[1][6]

전주 경복사는 비래방장(飛來方丈)이라 불렸으며, 조선 시대까지 보덕의 초상화를 모신 존영각으로 쓰였다. 고려 대각국사 의천이 1092년 경복사를 방문해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겼는데, 그 시에는 원효(元曉)와 의상(義湘)이 보덕으로부터 《열반경》을 배웠다고 적고 있다.[6][7]

2. 1. 출가와 초기 활동

삼국유사》에 따르면 보덕은 고구려 용강현 출신으로[2] 출가해서 반룡산(盤龍山) 연복사(延福寺)에 있었다.[1] 평양(平壤)에서 노승의 요청으로 《열반경》(涅槃經) 40권을 강론하였고,[3] 강론 후 평양 서쪽 대보산(大寶山) 바위굴 아래에서 참선하다가 신인(神人)의 계시를 받고 8면 7층 석탑을 찾아낸 뒤 그 자리에 영탑사(靈塔寺)를 지었다고 한다.[4]

고구려 말기에 (唐)에서 도교(道敎)가 유입되고, 대막리지(大莫離支) 연개소문(淵蓋蘇文)이 도교 진흥책을 펼치면서 불교 억압이 일어났다.[6] 보덕은 도교와 불교의 충돌이 나라를 위태롭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650년(혹은 667년 3월 3일)[5] 고구려를 떠나 백제로 갔다.[6] 이후 완산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을 강론하였으며, 그의 제자 11명이 각각 절을 세워 열반종을 포교했다.[1][6]

전주 경복사는 비래방장(飛來方丈)이라 불렸으며, 조선 시대까지 보덕의 초상화를 모신 존영각으로 쓰였다. 고려 대각국사 의천이 1092년 경복사를 방문해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겼는데, 그 시에는 원효(元曉)와 의상(義湘)이 보덕으로부터 《열반경》을 배웠다고 적고 있다.[6][7]

2. 2. 고구려 말기의 상황과 백제 망명

삼국유사에 따르면 보덕은 용강현 출신으로[2] 평양에서 《열반경》을 강론하고 영탑사(靈塔寺)를 지었다고 한다.[3][4]

고구려 말기 에서 도교가 유입되고, 대막리지 연개소문이 도교 진흥책을 펼치면서 불교가 탄압받았다. 사찰이 도관으로 개조되는 등 억불 사건이 벌어지자, 보덕은 도교와 불교의 충돌이 나라를 위태롭게 할 것이라 진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6] 이에 보덕은 650년(혹은 667년 3월 3일)[5] 백제로 망명하여[6] 완산주에 경복사를 세우고 열반종을 강론하였다.[1][6] 그의 제자 11명은 각각 절을 세워 열반종을 포교했다.

고려의 고승 대각국사 의천은 1092년 경복사를 방문해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겼는데, 그의 시에는 원효의상이 보덕으로부터 《열반경》을 배웠다고 적고 있다.[6][7]

2. 3. 백제에서의 활동과 열반종 전파

삼국유사》에 따르면 그는 전고려(고구려) 용강현 출신으로[2] 출가해서 반룡산(盤龍山) 연복사(延福寺)에 주석하였으며[1] 평양(平壤)에서 《열반경》(涅槃經) 40권을 강론하였다.[3]

고구려 말기 도교(道敎)가 (唐)에서 유입되고, 대막리지(大莫離支) 연개소문(淵蓋蘇文)에 의해 도교 진흥책이 펼쳐지면서 불교에 대한 억불 사건이 벌어졌다. 보덕은 도교와 불교가 서로 충돌하게 되면 나라가 위태롭게 될 것이라 진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650년(혹은 667년 3월 3일)[5] 고구려를 떠나 백제로 갔다(비래방장 설화).[6] 이후 완산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을 강론하였고, 그의 제자들이 열반종을 포교했다.[1][6]

보덕이 주석했던 전주 경복사는 비래방장(飛來方丈)이라 불리며, 조선 시대까지 보덕의 초상화를 모신 존영각으로 쓰였다. 고려의 고승이었던 대각국사 의천이 1092년 경복사를 방문해서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겼는데, 그의 시에는 원효(元曉)와 의상(義湘)이 보덕으로부터 《열반경》을 배웠다고 적고 있다.[6][7]

3. 비래방장 설화

삼국유사》에는 보덕이 신통력으로 자신의 거처 즉 방장을 허공에 띄워서 하룻밤 만에 평양에서 전주로 날아왔다고 적고 있다.[6] 고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있는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에도 비래방장 설화가 실려 있는데, 어느 날 보덕이 자신의 제자들을 불러 "고구려도교만을 존숭하고 불법을 숭상하지 않으니, 이 나라는 반드시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피난을 해야 하겠는데 어느 곳이 좋을까?"라고 물었고, 제자 명덕(明德)이 "전주에 있는 고달산(高達山)이 바로 편안히 머무를 만한 땅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건봉(乾封) 2년(667년, 보장왕 26년) 정묘 3월 3일에 제자가 문을 열고 나와 보니, 당(堂)이 이미 고달산으로 옮겨와 있었고, 원래 있던 반룡산과는 1천여 리나 떨어져 있는 거리였다.[8]

3. 1. 설화의 내용

삼국유사》에는 보덕이 신통력으로 자신의 거처 즉 방장을 허공에 띄워서 하룻밤 만에 평양에서 전주로 날아왔다고 적고 있다.[6] 고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있는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에도 비래방장 설화가 실려 있는데, 어느 날 보덕이 자신의 제자들을 불러 "고구려도교만을 존숭하고 불법을 숭상하지 않으니, 이 나라는 반드시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피난을 해야 하겠는데 어느 곳이 좋을까?"라고 물었고, 제자 명덕(明德)이 "전주에 있는 고달산(高達山)이 바로 편안히 머무를 만한 땅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건봉(乾封) 2년(667년, 보장왕 26년) 정묘 3월 3일에 제자가 문을 열고 나와 보니, 당(堂)이 이미 고달산으로 옮겨와 있었고, 원래 있던 반룡산과는 1천여 리나 떨어져 있는 거리였다.[8]

3. 2. 설화의 의미

삼국유사》에는 보덕이 신통력으로 자신의 거처, 즉 방장을 허공에 띄워 하룻밤 만에 평양에서 전주로 날아왔다고 적고 있다.[6] 고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있는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에도 비래방장 설화가 실려 있는데, 어느 날 보덕이 자신의 제자들을 불러 "고구려도교만을 존숭하고 불법을 숭상하지 않으니, 이 나라는 반드시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피난을 해야 하겠는데 어느 곳이 좋을까?"라고 물었고, 제자 명덕(明德)이 "전주에 있는 고달산(高達山)이 바로 편안히 머무를 만한 땅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건봉(乾封) 2년(667년, 보장왕 26년) 정묘 3월 3일에 제자가 문을 열고 나와 보니, 당(堂)이 이미 고달산으로 옮겨와 있었고, 원래 있던 반룡산과는 1천여 리나 떨어져 있는 거리였다.[8]

4. 사후 평가 및 영향

삼국유사》에 따르면 보덕은 전고려(고구려) 용강현 출신으로[2] 출가해서 반룡산(盤龍山) 연복사(延福寺)에 주석하였으며[1] 평양(平壤)에서 산골 노승의 요청으로 《열반경》(涅槃經) 40권을 강론하였고,[3] 강론을 마친 뒤에 평양 서쪽 대보산(大寶山)의 바위굴 아래에 이르러 참선하다 신인의 계시를 받고 신인이 알려준 땅을 파서 8면 7층의 석탑을 찾아냈고, 탑을 찾은 자리에 영탑사(靈塔寺)를 지었다고 한다.[4]

고구려 말기 도교(道敎)가 (唐)에서 유입되고, 이어 쿠데타를 일으켜 보장왕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한 대막리지(大莫離支) 연개소문(淵蓋蘇文)에 의해 적극적인 도교 진흥책이 펼쳐지면서 사찰이 몰수되어 도관으로 개조되는 등 불교에 대한 억불 사건이 벌어지자, 보덕은 도교와 불교가 서로 충돌하게 되면 나라가 위태롭게 될 것이라 진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650년(혹은 667년 3월 3일)[5] 고구려를 떠나 백제로 갔다고 한다(비래방장 설화).[6] 이후 완산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을 강론하였고, 그의 제자 11명이 각각 절을 세워 열반종을 포교했다.[1][6]

보덕이 주석했던 전주 경복사는 비래방장(飛來方丈)이라 불리며, 조선 시대까지 보덕의 초상화를 모신 존영각으로 쓰였다고 한다. 고려의 고승이었던 대각국사 의천이 1092년 경복사를 방문해서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겼는데, 그의 시에는 원효(元曉)와 의상(義湘)이 보덕으로부터 《열반경》을 배웠다고 적고 있다.[6][7]

4. 1. 고려 시대의 평가

대각국사 의천이 1092년 경복사를 방문해서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겼는데, 그의 시에는 원효의상이 보덕으로부터 《열반경》을 배웠다고 적고 있다.[6][7] 이를 통해 고려 시대에도 보덕에 대한 존숭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경복사는 조선 시대까지 보덕의 초상화를 모신 존영각으로 쓰였다고 한다.[6]

4. 2. 조선 시대의 평가

보덕이 주석했던 전주 경복사는 비래방장(飛來方丈)이라 불렸으며, 조선 시대까지 보덕의 초상화를 모신 존영각으로 쓰였다.[6] 고려의 고승이었던 대각국사 의천이 1092년 경복사를 방문해서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겼는데, 그의 시에는 원효의상이 보덕으로부터 《열반경》을 배웠다고 적고 있다.[6][7]

4. 3. 현대의 재조명

보덕의 사상과 행적은 현대 한국 사회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보덕과 같은 역사적 인물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한국 불교 발전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1][2][3][4][5][6][7]

삼국유사》에 따르면, 보덕은 고구려 용강현 출신으로 반룡산 연복사에서 주석하였다. 평양에서 《열반경》을 강론하고 대보산에서 참선하던 중 신인의 계시를 받아 영탑사를 지었다고 한다. 연개소문의 억불 정책으로 도교불교가 충돌하면 나라가 위태로워질 것이라 진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650년 (667년 3월 3일) 백제로 건너가 완산주에 경복사를 세우고 열반종을 강론하였다. 그의 제자 11명은 각각 절을 세워 열반종을 포교하였다.[1][6]

보덕이 주석했던 전주 경복사는 비래방장이라 불리며, 조선 시대까지 보덕의 초상화를 모신 존영각으로 쓰였다. 고려의 고승 대각국사 의천은 1092년 경복사를 방문해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겼으며, 그의 시에는 원효의상이 보덕으로부터 《열반경》을 배웠다고 적고 있다.[6][7]

참조

[1] 백과사전 보덕
[2]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
[3] 서적 열반경
[4] 서적 삼국유사
[5] 서적 고구려 불교사 연구 서경문화사 2007
[6] 서적 삼국유사
[7] 서적 대각국사문집
[8] 서적 동국이상국전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