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 밀루티노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라 밀루티노비치는 선수 시절에는 유고슬라비아, 프랑스, 스위스, 멕시코 등에서 활동했으며, 감독으로서 여러 국가의 대표팀과 클럽팀을 지휘했다. 그는 멕시코, 코스타리카, 미국, 나이지리아, 중국, 온두라스, 자메이카, 이라크 대표팀을 맡았으며, 특히 멕시코 대표팀을 이끌고 1986년 FIFA 월드컵 8강, 코스타리카와 미국을 각각 16강에 진출시켰다. 또한 멕시코 대표팀과 미국 대표팀을 이끌고 CONCACAF 골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클럽팀 감독으로는 UNAM을 이끌고 멕시코 리그, CONCACAF 챔피언스컵, 코파 인테라메리카나에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보라 밀루티노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벨리보르 "보라" 밀루티노비치 |
로마자 표기 | Velibor "Bora" Milutinović |
출생일 | 1944년 9월 7일 |
출생지 | 바이나 바슈타 |
신장 | 1.77m |
포지션 | 미드필더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보르 (1954–1958) |
클럽 | OFK 베오그라드 (1958–1960): 15경기 2골 파르티잔 (1960–1966): 40경기 3골 OFK 베오그라드 (임대) (1965–1966): 12경기 3골 빈터투어 (1966–1967): 20경기 1골 모나코 (1967–1969): 42경기 3골 니스 (1969–1971): 37경기 0골 루앙 (1971–1972): 11경기 0골 UNAM (1972–1976): 93경기 12골 |
통산 출장 및 득점 | 270경기 24골 |
감독 경력 | |
클럽 및 국가대표팀 | UNAM (1977–1983) 멕시코 (1983–1986), (1995-1997) 산로렌소 (1987) 우디네세 (1987) 베라크루스 (1988) 테코스 UAG (1988–1989) 코스타리카 (1990) 미국 (1991–1995) 나이지리아 (1997–1998) 메트로스타즈 (1998–1999) 중국 (2000–2002), (2014, 어드바이저) 온두라스 (2003–2004) 알사드 (2004–2005) 자메이카 (2006–2007) 이라크 (2009) |
수상 내역 (감독) | |
CONCACAF 골드컵 | 1991년 미국: 우승 (미국) 1993년 미국-멕시코: 준우승 (미국) 1996년 미국: 우승 (멕시코)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1992년 사우디 아라비아: 3위 (미국) |
코파 아메리카 | 1997년 볼리비아: 3위 (멕시코) |
2. 선수 경력
FK 파르티잔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프랑스와 스위스의 클럽들을 거쳐 멕시코의 UNAM 푸마스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12] UNAM 푸마스에서 코파 MX와 1975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에서 우승했다.
보라 밀루티노비치는 FK 파르티잔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프랑스와 스위스 클럽들을 거쳐 멕시코의 UNAM 푸마스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이후 UNAM 푸마스의 감독으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12] 취임 2년 만에 리그 첫 우승을 달성했다.[12]
3. 감독 경력
1982년 멕시코 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어[12] 자국에서 개최된 1986년 FIFA 월드컵에서 8강에 진출했다.[11][13] 199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코스타리카 대표팀을 이끌고 "'''보라 매직'''"을 선보이며 16강에 진출했고,[11] 1994년 FIFA 월드컵에서는 미국 대표팀 감독으로 "축구 불모지" 미국을 16강에 진출시켰다.[11]
1998년 FIFA 월드컵에서는 나이지리아 대표팀 감독을 맡아 스페인을 꺾고 16강에 진출했다.[11] 2000년 중국 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하여 2002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통과,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으나 중국 축구 협회와는 불안정한 관계를 이어갔다.[11]
2003년 온두라스 대표팀 감독을 맡아 2006년 FIFA 월드컵 출전을 목표로 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자메이카 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했지만 1년도 채 되지 않아 해임되었다.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는 이라크 대표팀을 지휘했다.
3. 1. 클럽 감독 경력
밀루티노비치는 클럽팀 감독으로서 엇갈린 성공을 거두었다. 1977년부터 1983년까지 멕시코의 UNAM 감독을 가장 오랫동안 맡았다. 그가 UNAM에서 지도했던 선수들 중 일부는 1986년 월드컵에서 멕시코 국가대표로 뛰기도 했다.[1]
이후 여러 클럽에서 짧게 감독직을 수행했다. 1987년에는 이탈리아 세리에 B의 우디네세를 9경기 동안 지휘했다. 1999년에는 메이저 리그 사커의 메트로스타스(1999년 당시 명칭) 감독을 맡아 리그 역사상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2004-05 시즌에는 카타르 스타스 리그의 알사드에서 잠시 감독을 맡았다.[1]3. 2. 국가대표팀 감독 경력
FK 파르티잔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해 여러 클럽을 거쳐 멕시코의 UNAM 푸마스에서 은퇴한 밀루티노비치는 곧바로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12] UNAM 푸마스 감독으로 취임해 2년 만에 리그 첫 우승을 달성하는 등 좋은 평가를 받았다.[12]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1982년 멕시코 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어 1986년 FIFA 월드컵에서 8강 진출을 이끌었다.[11][12][13] 이후 199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코스타리카를 이끌고 '''보라 매직'''을 선보이며 16강에 진출했고,[11] 1994년 FIFA 월드컵에서는 개최국 미국을 맡아 16강 진출을 이끌며 "축구 불모지"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11]
1998년 FIFA 월드컵에서는 나이지리아를 이끌고 스페인을 꺾는 등 16강에 진출했으며,[11] 2000년에는 중국 감독으로 취임하여 2002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통과,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 그러나 중국 축구 협회와의 관계는 불안정했으며, 2002년 월드컵 이후 은퇴를 시사했다.[11]
2003년부터 온두라스를 맡아 2006년 월드컵 진출을 노렸으나 실패했고, 이후 자메이카 감독으로 취임했지만 1년도 채 되지 않아 해임되었다.[12]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는 이라크를 지휘했다.
3. 2. 1. 멕시코 (1983-1986, 1995-1997)
밀루티노비치는 1986년 FIFA 월드컵에서 멕시코 대표팀을 이끌고 8강에 진출했는데, 이는 멕시코의 월드컵 최고 성적이었다. 멕시코는 8강에서 서독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12]
3. 2. 2. 코스타리카 (1990-1991)
밀루티노비치는 1990년 FIFA 월드컵 직전 코스타리카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을 16강에 진출시키는 "'''보라 매직'''"을 선보였다.[3] 월드컵 90일 전에 급하게 부임한 그는 주장과 다른 주전 선수들을 대거 교체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다.[3] 코스타리카는 조별 리그에서 스코틀랜드와 스웨덴을 꺾고, 브라질에 1-0으로 패하며 16강에 진출했으나, 체코슬로바키아에 4-1로 패했다.[3]
3. 2. 3. 미국 (1991-1995)
밀루티노비치는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미국 대표팀을 이끌었는데, 이 대회는 미국에서 개최되었고, 미국팀은 1950년 이후 월드컵에서 첫 승을 거두었으며 1930년대 이후 처음으로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다.[4] 이는 축구 경험이 부족한 국가에게 성공적인 결과로 칭송받았다.
그는 선수단 운영에 있어 확고한 모습을 보였다. 피터 버메스와 데스몬드 암스트롱 등 미국 축구 연맹 이사였던 두 명의 미국 선수들을 월드컵 팀에서 제외했고, 미국 역대 최다 골 득점자인 브루스 머레이도 제외했다. 알렉시 라라스에게는 머리를 자르거나 팀에서 나가라고 말하기도 했다.[3]
미국 축구 연맹은 1995년 4월 14일 코치와 행정가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인물을 원했기 때문에 밀루티노비치를 해고했다. 밀루티노비치는 행정 업무를 전혀 맡고 싶어하지 않았다고 알려졌다.[5]
3. 2. 4. 나이지리아 (1997-1998)
밀루티노비치는 1998년 FIFA 월드컵에서 나이지리아 대표팀을 이끌었다.[6] 나이지리아는 조별 예선에서 스페인을 3-2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는데, 이는 밀루티노비치가 월드컵에서 4번째로 16강에 진출시킨 기록이다.[7]
3. 2. 5. 중국 (2000-2002)
2000년, 밀루티노비치는 중국 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하여 2002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통과, 중국을 사상 첫 월드컵 본선으로 이끌었다. 이로 인해 그는 '밀루'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중국 축구 영웅으로 칭송받았다.[8] 하지만 2002년 월드컵 본선에서는 세계 무대 경험 부족으로 인해 조별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밀루티노비치 감독은 중국 축구 협회와 불안정한 관계를 이어갔으며, 본 대회 이후에는 나이를 이유로 감독직 은퇴를 시사했다.[11]
3. 2. 6. 온두라스 (2003-2004)
2003년 여름, 밀루티노비치는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과 계약했다. 그는 팀을 CONCACAF 예선 1라운드까지 진출시켰으나, 2004년 6월 30일에 사임했다. 그는 2006년 독일 월드컵 예선 기간 중 사임 이유로 "국가 대표팀 감독, 관계자, 언론의 발언으로 조성된 좋지 않은 분위기"를 꼽았다.[12]
3. 2. 7. 자메이카 (2006-2007)
2006년 11월 16일, 밀루티노비치는 자메이카의 감독으로 발표되었다.[12] 6연속 친선 경기 패배 이후, 2007년 11월 9일에 자메이카 축구 협회는 밀루티노비치를 해고했다. 자메이카 축구 협회는 계약 위반을 해임 이유로 밝혔으나,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3. 2. 8. 이라크 (2009)
밀루티노비치는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조별 리그에서 2무 1패를 기록하며, 결선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12]
4. 개인사
밀루티노비치는 축구인 가족 출신으로, 두 형제 밀로시와 밀로라드와 함께 파르티잔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10]
그의 아버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사망했고, 어머니는 전쟁 직후 결핵으로 사망했다. 그는 부모님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말했으며, 고모 밑에서 축구를 하며 성장했다.[10]
밀루티노비치는 멕시코인 아내와 결혼했으며 현재 카타르에 거주하고 있다. 모국어인 세르보크로아트어 외에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에 능통하다.[10]
5. 수상 내역
선수 시절 코파 멕시코 (1974-75)와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 (1975)에서 우승했다.[1] 감독으로서는 UNAM에서 리가 MX (1980-81), CONCACAF 챔피언스컵 (1980, 1982), 코파 인테라메리카나 (1981) 우승을, 미국 대표팀에서 CONCACAF 골드컵 (1991) 우승과 CONCACAF 골드컵 (1993) 준우승을, 멕시코 대표팀에서 CONCACAF 골드컵 (1996) 우승을 기록했다.[1]
5. 1. 선수
- 코파 멕시코: 1회 (1974-75)
-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 1회 (1975)
5. 2. 감독
팀 | 대회 | 우승 |
---|---|---|
UNAM | 리가 MX | 1980-81 |
CONCACAF 챔피언스컵 | 1980, 1982 | |
코파 인테라메리카나 | 1981 | |
미국 | CONCACAF 골드컵 | 1991 |
CONCACAF 골드컵 | 준우승 1993 | |
멕시코 | CONCACAF 골드컵 | 1996 |
참조
[1]
뉴스
Five in a row for the miracle worker
http://news.bbc.co.u[...]
2002-04-15
[2]
Webarchive
Profile: Bora Milutinovic
http://www.soccertim[...]
soccertimes.com
2010-06-10
[3]
Webarchive
A Soccer Coach Who Has To Win Is The U.s.'s Bora Milutinovic Good? The World Cup Will Tell
http://articles.phil[...]
Philly.com
1994-06-05
[4]
뉴스
WORLD CUP '94: 35 DAYS AND COUNTING : Bora! Bora! Bora? : Milutinovic Enjoyed World Cup Success With Mexico and Costa Rica, but the United States Might Be His Biggest Challenge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4-05-13
[5]
Webarchive
World Cup-winning Coach Is Fired, Eyed By U.S. Team
http://articles.phil[...]
Philly.com
1995-06-03
[6]
뉴스
Milutinovic confirmed as Nigeria coach for France 98
https://www.independ[...]
1997-12-18
[7]
Webarchive
Nigeria advances in World Cup
http://chronicle.aug[...]
The Augusta Chronicle
1998-06-20
[8]
뉴스
Another Bora-Fest
https://www.newspape[...]
2002-06-04
[9]
웹사이트
Velibor "Bora" Milutinovic - International Matches as Coach
https://www.rsssf.or[...]
RSSSF
2016-09-15
[10]
뉴스
A Soccer Coach Who Has To Win Is The U.s.'s Bora Milutinovic Good? The World Cup Will Tell.
http://articles.phil[...]
1994-06-05
[11]
웹사이트
Five in a row for the miracle worker
http://news.bbc.co.u[...]
BBC SPORT
2002-04-15
[12]
웹사이트
1986年メキシコW杯「ユーゴのコーチを起用」
http://library.footb[...]
賀川サッカーライブラリー
[13]
웹사이트
伝統の技巧に速さと強さ対ドイツに見るメキシコの変革
http://library.footb[...]
賀川サッカーライブラリ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