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렐리스 쿼드랭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렐리스 쿼드랭글은 수성의 북극 지역을 포함하는 지질학적 쿼드랭글이다. 이 지역은 매리너 10호의 사진을 통해 연구되었으며, 세 개의 광활한 평원, 즉 인터크레이터 평원, 중간 평원, 매끄러운 평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평원들은 충돌구 밀도에 따라 구분되며, 지질학적 역사를 보여준다. 보렐리스 쿼드랭글은 수성의 기후, 지층, 구조, 지질학적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매끄러운 평원 물질의 화산 기원 가능성과 수성 표면의 구조적 특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성 - 수성의 지질학
    수성의 지질학은 탐사 제약으로 인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선톨스토이기부터 카이퍼기까지 지질 역사를 거치며 평원, 충돌구, 압축 지형 등의 특징을 보이며, 극지방 얼음 존재 가능성과 초기 생명체 거주 가능성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 수성 - 수성 일면통과
    수성 일면통과는 수성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 태양 원반 위를 가로지르는 현상이며, 궤도면 교차 시 내합을 형성할 때 발생하고 과학 연구에 활용되며, 불규칙한 주기로 5월과 11월에 관측된다.
보렐리스 쿼드랭글
개요
보레알리스 사변형 지도
보레알리스 사변형 지도
위치수성의 최북단에 위치
명칭 유래"보레알리스"는 라틴어로 "북쪽"을 의미
좌표 범위북위 65°에서 90°
서경 0°에서 동경 360°
지름
특징수성에서 가장 큰 충돌 분지인 보레알리스 평원을 포함
수성 표면의 지질학적 특징 연구에 중요한 지역
발견마리너 10호 (1974년 ~ 1975년)
지질학적 특징
주요 지형보레알리스 평원 (Borealis Planitia): 광대한 평원 지대로, 수성 표면의 상당 부분을 차지
다양한 크레이터(Crater):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크레이터들이 존재
단층(Fault): 지각 활동의 흔적을 보여주는 단층 구조
산맥(Mountain range): 일부 지역에서 산맥이 관찰됨
지질 시대선-님바스 시대 (Pre-Tolstojan System): 가장 오래된 지질 시대
님바스 시대 (Tolstojan System): 님바스 충돌 분지 형성 시기
칼로리스 시대 (Calorian System): 칼로리스 분지 형성 시기
만수르 시대 (Mansurian System): 비교적 젊은 지질 시대
퀴페르 시대 (Kuiperian System): 가장 최근의 지질 시대
암석현무암질 용암 (Basaltic lava): 화산 활동의 결과로 형성된 현무암질 용암 지대
충돌 퇴적물 (Impact ejecta): 크레이터 형성 시 분출된 퇴적물
표토 (Regolith): 운석 충돌 등으로 인해 생성된 표면 물질
구조적 특징주름 능선(Wrinkle ridge): 수성 표면에서 흔히 보이는 지형 구조
단층崖(Fault scarp): 단층 작용으로 형성된 절벽 지형
연구 역사
최초 관측마리너 10호(Mariner 10)가 1974년과 1975년에 이 지역을 촬영
추가 연구메신저(MESSENGER)와 베피콜롬보(BepiColombo) 탐사선이 추가적인 데이터와 이미지를 제공하여 지질학적 특징을 더 자세히 연구
주요 연구 주제보레알리스 평원의 기원과 형성 과정
수성 표면의 화산 활동과 지각 변동
크레이터 형성 과정과 영향
수성 지질 시대별 지형 변화
참고 문헌

2. 매리너 10호의 사진

매리너 10호의 모자이크 사진


매리너 10호의 보렐리스 지역 사진은 서경 0° - 190°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데, 이는 그 이상의 부분에서는 어두운 지역이기 때문이다. 1974년 3월 29일, 매리너 10호가 처음 플라이바이를 하면서 그 지역의 가장 선명한 사진을 찍었다.[19] 지도에 쓰인 대부분의 사진들은 소우주선 (Mercury I)이 처음 이동할 때 찍혔지만, 다른 소우주선 (Mercury II)은 그런 사진을 찍지 못 했다.[19]

보렐리스 지역의 입체사진은 존재하지 않는다. 명암 경계선이 자오선과 처음 닿았을 때 수 도만큼 떨어졌기 때문에, 일반 지역의 사진들은 밝은 조명 아래에서 찍혔다. 그러나 조명과 표면의 큰 경사도는 지질학적으로 해석하는데는 방해가 됐다.[19] 카이퍼 쿼드랭글, 빅토리아 쿼드랭글, 셰익스피어 쿼드랭글과 마찬가지로 표면 물질에 대한 지질학적 해석을 방해했다.[7]

3. 기후

수성의 적도면은 궤도면에 대해 2° 미만으로 기울어져 있으며,[19] 58.64 지구일의 자전 주기는 87.97 지구일의 궤도 주기와 2:3 공명 관계에 있다.[7] 그 결과 발생하는 지연과 궤도 이심률은 지구에서와 같이 위도뿐만 아니라 경도에 따라서도 평균 온도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수성의 비교적 느린 자전 주기 때문에, 일변화하는 온도는 고위도에서도 위도와 경도에 따른 평균 온도 변화를 크게 초과할 것이다. 뚜렷한 궤도 이심률(0.2563)로 인해 수성에서 보이는 태양의 세기는 수성 1년 동안 2배 이상 변동하며,[8] 이는 평형 온도의 약 20% 변화에 해당한다. 게다가, 궤도 각운동량 보존과 스핀-궤도 결합은 낮의 길이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킨다. 일출과 일몰은 수성 지평선이 태양 원반을 가로지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연장되므로, 일몰 시에는 낮이 길어지고 밤이 며칠씩 줄어들며 일출 시에는 그 반대가 된다(Robert Wildey, U.S. 지질 조사국, 구두 통신, 1982).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고, 표면 온도가 매일 수백 켈빈씩 변동함에도 불구하고, 극지방의 지하 온도는 항상 어는점 이하로 유지된다(Murray, 1975).

4. 지층

보렐리스 지역에는, 3종류의 광활한 평원이 알려져 있다. 각각의 종류는 상대적인 나이와 크게 연관이 있는 충돌구의 밀도가 각각 다르다. 가장 큰 충돌구(가장 오래된 충돌구)부터 가장 작은 충돌구(가장 젊은 충돌구)까지, 충돌구와 충돌구 사이의 평원, 중간 평원 그리고 부드러운 평원. 거의 대부분의 충돌구는 이 3종류에 속한다.

보레알리스 지역 내에서는, 상대적인 연령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화구 밀도의 뚜렷한 차이로 인해 세 개의 광범위한 평원 단위가 인식된다(Soderblom and Boyce, 1972). 분화구가 가장 밀집된(가장 오래된) 것부터 분화구가 가장 적은(가장 젊은) 것까지, 이 단위는 상호 분화구 평원 물질, 중간 평원 물질, 그리고 매끄러운 평원 물질이다. 실제 분화구 수를 통해 시각적 식별이 확인되고 개선된다. 달 표면을 기준으로 삼으면, 보레알리스 지역의 수성 평원의 분화구 밀도는 분화구가 가장 밀집된 달 표면인 달 고지대, 그리고 적당한 분화구가 있는 달의 바다 표면인 폭풍의 바다에 의해 묶인다. 달 고지대의 곡선은 치올코프스키 분화구 북서쪽, 멘델레예프 분화구와 스미스 해 사이의 지역에서 분화구 수를 세어 얻었다. 폭풍의 바다 남동부의 곡선은 위도 2°00' N, 경도 31°00'W 근처, 쿠노프스키 분화구 남쪽 지역에서 얻었다. 폭풍의 바다는 오랫동안 "평균적인 달의 바다"에 가깝다고 여겨져 왔으며(Hartmann, 1966, 1967), 분화구 밀도는 분화구가 밀집된 고요의 바다와 분화구가 적은 맑음의 바다 사이이다.

보레알리스 평원의 물질은 우주선의 움직임으로 인해 해당 지역의 이미지가 흐릿해져 신뢰할 수 있는 분화구 수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매끄러운 평원 수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셰익스피어 쿼드랭글, 스트린드베르크 분화구, 그리고 수이세이 평원 내 위도 65° N 남쪽의 매끄러운 평원들은 이러한 수에 포함된다. 보레알리스 평원 외부에 위치한 평원 물질은 불규칙한 벨트로 분포되어 있으며, 이는 종단선 및 서로에 대해 거의 평행하다. 경도 190°W 동쪽에서, 다음 벨트 패턴이 관찰된다: 상호 분화구 평원 물질, 중간 평원 물질, 그리고 다시 상호 분화구 평원 물질. 세 개의 벨트 모두 셰익스피어 쿼드랭글 남쪽으로 뻗어 있다(Guest and Greeley, 1983).

거칠기 및 분화구 밀도의 변화에 따라 평원 물질의 유형을 구별하는 것은 개별 마리너 프레임의 해상도 및 조명 조건에 크게 의존한다(Schaber and McCauley, 1980). 이러한 제약은 달(Masursky 외, 1978, p. 80–81)과 화성(Boyce 외, 1976)에 대해 잘 문서화되어 있다. 보레알리스 지역에서는, 상호 분화구 및 중간 평원 물질이 종단선에 가까운 점점 낮은 태양 각도로 촬영되었으며, 관찰 가능한 작은 분화구의 수는 종단선으로부터의 거리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태양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러한 분화구의 겉보기 풍부함의 불일치는 직경이 작은 분화구에서만 발생하며, 직경이 3 km보다 큰 분화구만 세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4. 1. 오래된 평원 물질

보렐리스 지역에는 3종류의 광활한 평원이 알려져 있는데, 각각 충돌구의 밀도가 다르며 이는 상대적인 나이와 관련이 있다. 충돌구 밀도에 따라 인터크레이터 평원, 중간 평원, 부드러운 평원으로 구분된다.

인터크레이터 평원 물질은 보렐리스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지질학적 단위이다. 이 물질은 경도 155°에서 190°W 사이의 큰 크레이터 사이와 가우갱 분화구 서쪽, 망사르 분화구의 남쪽 및 남동쪽에 있는 크고 겹쳐진 크레이터 무리 사이에서 발견된다. Trask와 Guest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수성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단위로 간주되었다. Strom은 이 물질이 마리너 10호가 관측한 표면의 3분의 1을 덮고 있다고 보고했다. 인터크레이터 평원 물질의 주요 형태학적 특징은 직경 5~10km의 겹쳐진 크레이터의 높은 밀도이며, 이들은 얕고 길쭉한 모양을 보인다.

인터크레이터 평원 물질의 상대적인 나이와 특성은 불확실하다. Strom은 수성의 인터크레이터 평원과 달의 넥타리스 해 남서쪽에 있는 임브리안 이전의 구덩이가 많은 평원 사이의 표면 형태학적 유사성을 언급했다. 달의 임브리안 이전 구덩이 평원의 구덩이는 수성의 인터크레이터 평원 물질 표면에 흩어져 있는 작은 이차 크레이터와 유사하다. 보렐리스 지역의 인터크레이터 평원 물질의 크레이터 밀도는 달의 뒷면, 치올코프스키 분화구 북서쪽 지역, 멘델레예프 분화구와 스미스 해로 경계가 정해진 지역의 크레이터 밀도와 일치한다.

인터크레이터 평원 물질의 상대적인 나이는 그 기원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만약 매우 오래되었다면, 인터크레이터 평원 물질은 달에서 존재했을 수 있는 마그마 해양에서 파생된 사문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수성의 진화 후기에 배치되었다면, 이것은 분지 분출물 또는 용암류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크레이터 평원 물질의 배치 과정은 격렬한 강착 폭격의 초기 단계에 시작되어 중간 평원 물질이 형성될 때까지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직경 30km에서 60km 사이의 크레이터가 상대적으로 드물다는 점은 보렐리스 지역에서 지지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크레이터의 겹침에 의한 표면 재생성, 크레이터 분출물에 의한 덮임, 또는 용암류에 의한 표면 재생성을 나타낼 수 있다.

4. 2. 분지 물질

보렐리스 지역에는 세 종류의 광활한 평원이 존재하며, 이들은 충돌구 밀도에 따라 상대적인 나이가 다르다. 가장 오래된 것부터 가장 젊은 순서대로 충돌구와 충돌구 사이의 평원, 중간 평원, 부드러운 평원으로 구분된다.

괴테 분지는 직경이 약 400 km에 달하는 거대한 원형 함몰 지형이다. 괴테 분지의 북쪽과 동쪽은 완만한 경사면과 단절된 낮은 언덕 모양의 가장자리 물질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톨스토이 사분면의 칼로리스 분지 주변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하게 사출물 퇴적물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괴테 분지의 서쪽 경계는 매끄러운 평원 물질로 부분적으로 채워진 좁은 구덩이로 분리된, 최소 3개 이상의 평행 능선 또는 기울어진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분지 퇴적물과 사출물의 잔해로 보이는 언덕들이 분지 벽 위로 튀어나와 있으며, 분지 남서쪽과 북쪽으로 뻗어 있다. 괴테 분지는 매끄러운 평원 물질보다 오래되었으며, 일부 운석 구덩이 평원 물질 및 인근의 큰 크레이터보다도 오래되었을 수 있다. 또한 칼로리스 분지보다 훨씬 오래되었다.

보렐리스 지역 및 남쪽에는 여러 충돌 구조들이 존재하는데, 보티첼리(직경 약 140 km), 투르게네프(직경 약 110 km)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운석 구덩이 평원 물질만큼 오래되었거나 괴테 충돌 분지와 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빅토리아 사분면의 몬테베르디 분지(직경 약 130 km)도 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조카이와 베르디는 칼로리스 분지보다 훨씬 젊은, 중앙 봉우리를 가진 분지 형태를 보인다.

칼로리스 그룹의 반 에이크 형성과 유사한 지형은 보렐리스 지역에서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지만, 오딘 형성과 유사한 작은 언덕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칼로리스 몬테스에서 북동쪽으로 약 1100 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칼로리스 분지 사출물, 베르디 사출물, 또는 니자미 크레이터 북쪽의 이름 없는 크레이터에서 나온 사출물과 관련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사르와 같은 크레이터 남서쪽 벽과 운석 구덩이 평원 물질의 홈, 그리고 작은 이차 크레이터들의 연장 방향은 칼로리스 분지와의 연관성을 시사한다.

4. 3. 젊은 평원 물질

보렐리스 지역에는 3종류의 광활한 평원이 존재하며, 이들은 충돌구 밀도에 따라 상대적인 나이가 결정된다.[3] 가장 오래된 충돌구부터 가장 젊은 충돌구 순으로, 충돌구와 충돌구 사이의 평원, 중간 평원, 그리고 부드러운 평원으로 구분된다.

매끄러운 평원 물질(ps 단위)은 보레알리스와 스이세이 평원의 광대한 지역, 그리고 대부분의 분지 및 충돌구 바닥을 형성하며, 보렐리스 지역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층서 단위이다.[3] 지도화된 면적의 약 30%를 차지한다.[3] 이 물질은 간충돌구 평원 물질에 비해 충돌구가 비교적 적게 나타나며, 주름 능선이 흔하게 관찰된다.[3] 괴테 분지 바닥과 그 위에 겹쳐진 더 젊은 충돌구(현재는 묻힌 충돌구로 관찰됨)는 매끄러운 평원 물질로 덮여 있다.[3] 또한, 달의 충돌구 아르키메데스와 유사한 유령 충돌구와 물에 잠긴 충돌구를 채우고 있다.[3]

기존 지형을 묻기 위해 보렐리스 평원 아래에 놓여야 하는 매끄러운 평원 물질의 막대한 양과 분지 및 충돌구 바닥에 이 물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이 물질이 화산 용암류처럼 유동화된 상태로 배치되었음을 시사한다.[3] 비록 보렐리스 평원에서 흐름 전선을 명확하게 지도화할 수는 없지만, 보렐리스 평원의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간충돌구 평원 물질에 겹쳐져 있다는 점이 화산 기원 가능성의 추가적인 증거가 된다.[3]

수성의 평원 물질은 다양한 유형 간 색조 대비가 거의 없다.[3] 매끄러운 평원 물질의 알베도는 달의 바다 물질보다 높다.[3] Wilhelms는 수성의 매끄러운 평원 물질과 달의 밝은 평원 물질 사이의 알베도 유사성을 근거로 두 단위가 아폴로 16호에서 채취한 달의 케일레이 형성과 유사한 충돌 분출물로 구성되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10][11] 그는 보렐리스 평원의 광대한 평원 물질의 근원 분지가 "터미네이터 너머 어둠 속에 숨어 있을 수도 있다"는 가설을 제기하기도 했다.[11] 이 문제에 대한 더 자세한 논의는 Strom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5]

4. 4. 크레이터 물질

보렐리스 지역에는 세 종류의 광활한 평원이 존재하며, 이들은 충돌구 밀도에 따라 상대적인 나이가 구분된다. 가장 오래된 것부터 가장 젊은 순서대로 충돌구와 충돌구 사이의 평원, 중간 평원, 부드러운 평원으로 나뉜다. 거의 대부분의 충돌구는 이 세 종류에 속한다.

보렐리스 쿼드랭글에서는 McCauley 외 (1981)가 제안한 5중 분류에 따라 크레이터를 분류하며, 이는 크레이터 직경과 형태적 열화를 기준으로 한다. 직경 30km 미만의 크레이터는 지도화되지 않으며, 직경 100km에서 200km 사이의 분지는 크레이터로 간주된다. 충돌 구조 결정 기준은 방사선, 이차 방사선, 둔덕형 가장자리, 크레이터 분출물의 다양한 모습, 크레이터 기하학 및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직경이 30km 이상인 방사형 크레이터는 관찰되지 않지만, 옅은 방사선이 보렐리스 플라니티아에서 발견된다. 지도 지역 남쪽 가장자리 근처의 작고 이름 없는 방사형 크레이터에서 방사되는, 괴테 분지까지 뻗어 있는 북동쪽 방향의 불연속 방사선 열도 존재한다. 중간 평원 물질에서 작은 밝은 후광 크레이터가 부족한 현상은 톨스토이 쿼드랭글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보렐리스 지역에서도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수성의 강한 중력장은 달에 비해 탄도 범위를 감소시켜 분출물과 이차 크레이터 분산을 줄인다.[5][12] 이러한 현상은 크레이터 베르디[4][12]와 데프레즈 주변에서 잘 관찰된다. 수성과 달 크레이터 형태의 약간의 차이는 중력장 차이와 관련이 없으며,[5] 크레이터 내부 형태와 중앙 봉우리, 테라스의 풍부함은 표적 물질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 고갱 서쪽과 망사르 동쪽의 겹쳐진 대형 크레이터 무리와 주변의 고립된 크레이터, 주변 물질은 심하게 크레이터화된 지형으로 분류된다. 이 대형 크레이터 내부는 크레이터가 적고 부드러워, 크레이터 사이 평원 물질보다 젊은 물질로 채워져 있다.

보렐리스 지역에는 두 가지 유형의 유령 크레이터가 나타난다. 스이세이 플라니티아 북서쪽 경계를 따라 발견되는 유형은 벽과 가장자리의 가장 높은 부분만 부드러운 평원 물질 위로 튀어나와 있으며, 둥근 가장자리 능선은 이차 크레이터로 덮여 있다. 보렐리스 플라니티아에서 흔히 발견되는 또 다른 유형은 부드러운 평원 물질의 얇은 덮개 아래에서 가장자리 능선의 불규칙하거나 얇은 윤곽선으로만 인식된다. 데프레즈 북서쪽의 다각형 유령 크레이터는 이 두 유형 사이의 과도기적 형태이다. 수성에서는 극지방 암화가 부족하지만,[5] 보렐리스 지역의 일부 크레이터 바닥, 중간 평원, 부드러운 평원 물질에서 낮은 알베도 지역이 관찰된다. 낮은 알베도 평원은 보렐리스 및 스이세이 플라니티아 경계에 인접해 있으며, 이는 묻히거나 열화된 분지의 파편화된 가장자리를 따라 탈출하는 내부 휘발성 물질 때문일 수 있다.

5. 구조

수성 표면은 달 표면과 달리 절벽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13] 이러한 절벽들은 수성의 지각 압축 기간의 결과로 나타나는 역단층으로 추정된다.[13] 머레이 등(1974)은 이 절벽들을 구불구불한 윤곽, 엽형의 전면, 그리고 500km 이상의 길이를 가진 것으로 묘사했다.[3]

멜로쉬(Melosh, 1977)와 멜로쉬와 듀리신(Melosh and Dzurisin, 1978)은 수성 초기의 조석 감속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형성된 북동-남서 방향과 북서-남동 방향의 짝을 이루는 전단 파단으로 구성된 행성 격자를 제안했다. 페히만과 멜로쉬(Pechmann and Melosh, 1979)는 이후 보고서에서 "북동 및 북서 방향의 추세가 극지방에서 거의 남북 방향으로 된다"라고 언급했다.[3]

보레알리스 지역에서 북서 방향의 전 지구적 균열 격자 성분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지만, 북동 방향의 절벽과 골짜기는 155°에서 185° 자오선 사이, 반 다이크 분화구에서 퍼셀 분화구 너머까지 분화구 평원 물질과 분화구 채움(매끄러운 평원 물질)에서 눈에 띈다. 절벽은 분화구 사이 평원 물질에서는 직선형을 띠지만, 분화구 채움(예: 사이카쿠)에서는 엽형으로 변한다.

일부 절벽은 카이퍼 사변형과 같이 일부 분화구 바닥을 덮고 있는 매끄러운 평원 물질의 정단층 운동에 의해 형성되었을 수 있다. 멜로쉬(1977)는 약간의 지각 단축의 결과로 수성의 고위도에서 동-서 방향의 정단층이 형성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보레알리스 평원[5][6] 아래에 제기된 것과 같은 매우 큰 다중 링 충돌 분지의 굴착 이후 수성 지각의 구조적 조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아치형 및 방사형 선형 구조는 보레알리스 지역에서 명확하게 식별되지 않았다. 수성에서 이 유형의 능선은 지각의 압축 및 약간의 단축에 기인한다.[3]

괴테 분지의 북동쪽 경계를 따라 있는 주름과 같은 구불구불한 능선은 그 주변을 따라 바깥쪽을 향하는 동심 절벽과 함께 분지 채움과 벽 사이의 구조적 해자에 관련된 용암류의 전면을 나타낼 수 있다.

보레알리스 평원에서는 대부분의 능선이 외부 기원이다. 이들은 매끄러운 평원 물질로 가볍게 덮인 아래에 있는 유령 분화구의 가장자리를 나타내거나 용암류 전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데프레즈 분화구에서 나온 방출물은 지름 170km의 매몰된 분화구의 가장자리, 또는 용암류 전면을 나타낼 수 있는 원형 절벽 너머로 동쪽으로 40km 이상 뻗어 있다.

6. 지질학적 역사

머레이 등(1975)은 수성의 표면 역사를 다섯 시기로 추정했다. 응집 이후의 시기만이 보렐리스 지역 내에서 직접적으로 해석 가능하다.

분화구 사이 평원 물질은 충격과 화산 퇴적물의 재작업되고 혼합된 집합체일 수 있으며, 괴테 분지 및 다수의 소규모 분지 및 분화구의 생성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었다. 분화구 사이 평원 물질을 가로지르는 절벽과 구덩이는 더 이른 시기의 팽창과 지각의 분화 이후 발생한 초기 압축 현상을 나타낼 수 있다. 괴테 분지 내부의 매끄러운 평원 물질 아래에서 감지되는 유령 분화구의 크기와 밀도는 중간 평원 물질과 매끄러운 평원 물질이 형성되기 전에 분화구 생성과 분화구 사이 물질의 형성에 의해 크게 변형된 원래의 분지 바닥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해석은 괴테 분지의 형성이 분화구 사이 평원 물질의 형성이 시작되기 전이거나 직후에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수성의 평원이 분화구 사이, 중간, 또는 매끄러운 평원 물질로 형성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알베도가 상대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은 평원 물질의 화학적 조성과 아마도 형성 방식의 유사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분화구 사이 평원과 중간 평원 물질의 높은 분화구 밀도는 이 두 단위의 원래 암석 유형 (현무암, 충격 용융물, 또는 충격 각력암)이 형성 이후 추가적인 각력화에 의해 상당히 변형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괴테 분지는 칼로리스 분지보다 훨씬 오래되었다. 수성 북극 평원의 매끄러운 평원 물질은 여러 번 또는 많은 에피소드를 거쳐 형성되었으며, 괴테 분지 및 그 주변의 원래 물질을 수백 킬로미터에 걸쳐 재표면화하고 매끄럽게 만들었다.

수성의 표면은 수십억 년 전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솔로몬, 1978). 그 이후로 다른 모든 퇴적층 위에 보편적으로 중첩된 충격 분화구에 의해 약간만 변경되었다. 수성의 역사에 대한 일반적인 요약은 게스트와 오도넬(1977), 데이비스 등,[14] 및 스트롬[5]에 의해 제공되었다.

참조

[1] 논문 Radar imagery of Mercury’s putative polar ice: 1999–2005 Arecibo results https://doi.org/10.1[...] 2011
[2] 웹사이트 Map of the H-1 (Borealis) Quadrangle of Mercury https://planetarynam[...]
[3] 학술지 Tectonism and volcanism on Mercury
[4] 학술지 Preliminary geologic terrain map of Mercury
[5] 학술지 Mercury: A post-Mariner 10 assessment
[6] 학술지 Additional evidence of mercurian volcanism
[7] 간행물 1978
[8] 간행물 1978
[9] 학술지 Observations of intercrater plains on Mercury
[10] 학술지 Mercurian volcanism questioned
[11] 간행물 1976
[12] 문서 REDIRECT
[13] 간행물 1979
[14] 서적 Atlas of Mercury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15] 저널 Tectonism and volcanism on Mercury
[16] 저널 Preliminary geologic terrain map of Mercury
[17] 저널 Mercury: A post-Mariner 10 assessment
[18] 저널 Additional evidence of mercurian volcanism
[19] 서적 Atlas of Mercury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 서적 Atlas of Mercury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