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네오오랑우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르네오오랑우탄(Pongo pygmaeus)은 사람과에 속하는 유인원으로, 수마트라오랑우탄과 함께 오랑우탄 속을 구성한다.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세 가지 아종, 즉 북서보르네오오랑우탄, 중부보르네오오랑우탄, 북동보르네오오랑우탄으로 분류되며, 보르네오 섬의 저지대 열대우림과 산악 열대우림에 서식한다. 수컷은 암컷보다 크고 얼굴에 플랜지를 가지고 있으며, 과일, 잎, 씨앗 등을 먹고 둥지를 짓는 행동을 보인다. 보르네오오랑우탄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서식지 파괴, 밀렵, 팜유 농장 개발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현재 보르네오 섬에서는 오랑우탄 구조 및 재활 센터가 운영되며,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화로 인한 절멸위기종 - 수마트라오랑우탄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에 서식하며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날씬하고 붉은 털을 가졌으며 과일을 선호하고 도구를 사용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방화로 인한 절멸위기종 - 마다가스카르땅거북
마다가스카르 북서부 멜라키 지역에 서식하는 희귀종인 마다가스카르땅거북은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여러 단체에서 서식지 보호와 개체 수 증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오랑우탄 - 타파눌리오랑우탄
타파눌리오랑우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토바호 남쪽 지역에 서식하며 곱슬거리는 털과 작은 두개골로 구별되는 희귀한 유인원으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위급종으로 분류되었다. - 오랑우탄 - 수마트라오랑우탄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에 서식하며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날씬하고 붉은 털을 가졌으며 과일을 선호하고 도구를 사용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보르네오오랑우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보르네오오랑우탄 |
학명 | Pongo pygmaeus |
명명자 | (Linnaeus, 1760) |
이명 | P. agris (Schreber, 1799) P. batangtuensis (Selenka, 1896) P. borneensis (Röhrer-Ertl, 1983) P. borneo (Lacépède, 1799) P. brookei (Blyth, 1853) P. curtus (Blyth, 1855) P. dadappensis (Selenka, 1896) P. genepaiensis (Selenka, 1896) P. landakkensis (Selenka, 1896) P. morio (Owen, 1837) P. owenii (Blyth, 1853) P. rantaiensis (Selenka, 1896) P. rufus (Lesson, 1840) P. satyrus (Linnaeus, 1766) [부분적으로] P. skalauensis (Selenka, 1896) P. sumatranus (Mayer, 1856) P. tuakensis (Selenka, 1896) P. wallichii (Gray, 1871) P. wurmbii (Tiedemann, 1808) |
![]() | |
![]() | |
![]() | |
아종 | |
아종 목록 | P. p. morio P. p. pygmaeus P. p. wurmbii |
보전 상태 | |
IUCN | 멸종위기 (CR) |
CITES | 부속서 I |
2. 분류
사람과에 속하는 보르네오오랑우탄은 현존하는 유인원 중 호모 사피엔스와 가까운 친척 관계에 있다. 유전적으로는 수마트라 오랑우탄과 가장 가까우며, 약 150만 년에서 170만 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4] 이는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이 지리적으로 분리되기 전에 일어난 일이며, 침팬지나 보노보와의 분화보다는 더 나중에 발생한 것이다.
과거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수마트라 오랑우탄과 같은 종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1996년 미토콘드리아 DNA(mtDNA) 분석 기술의 발달로 인해 별개의 종으로 재분류되었다.[4] 최근 연구에서는 지리적으로 고립되었던 보르네오오랑우탄 개체군들 사이에서도 과거 유전자 이동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발견되기도 했다.[4]
현재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일반적으로 세 개의 아종으로 나뉘지만[1], 각 아종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서는 일부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논의가 진행 중이다.[5] 아종에 대한 자세한 분류와 논의는 아종 섹션에서 다룬다. 2014년에는 이전까지 오랑우탄이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던 남 칼리만탄 주에서도 약 50마리의 오랑우탄 개체군이 발견되기도 했다.[6]
2. 1. 아종

보르네오오랑우탄과 수마트라 오랑우탄은 약 150만 년에서 170만 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갈라지기 시작했으며,[4] 이는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이 지리적으로 분리되기 전에 일어난 일이다. 두 오랑우탄은 오랫동안 같은 종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1996년 미토콘드리아 DNA(mtDNA)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다.[4]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서식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아종으로 나뉜다.[1]
학명 | 일반명 | 주요 서식지 |
---|---|---|
Pongo pygmaeus pygmaeus | 북서보르네오오랑우탄 | 말레이시아 사라왁 및 인도네시아 북서 칼리만탄 |
Pongo pygmaeus wurmbii | 중부보르네오오랑우탄 | 인도네시아 남서 칼리만탄 및 중부 칼리만탄 |
Pongo pygmaeus morio | 북동보르네오오랑우탄 | 인도네시아 동 칼리만탄 및 말레이시아 사바 |
그러나 이러한 아종 분류에 대해서는 일부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각 아종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5] 예를 들어, 중부보르네오오랑우탄(''P. p. wurmbii'') 개체군이 실제로는 수마트라 오랑우탄과 더 가깝다는 주장이나, 북동보르네오오랑우탄(''P. p. morio'')을 별도의 아종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견해도 있다.[5] 각 아종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분류 논쟁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1. 북서보르네오오랑우탄 (''P. p. pygmaeus'')
북서보르네오오랑우탄(''Pongo pygmaeus pygmaeus'')은 보르네오오랑우탄의 세 아종 중 하나이다.[1] 주요 서식지는 말레이시아의 사라왁주(또는 사라왁)와 인도네시아의 북서 칼리만탄(또는 북부 서 칼리만탄) 지역이다.[1]다만, ''P. pygmaeus'' 아종의 표준 산지는 아직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 중부보르네오오랑우탄(''P. p. wurmbii'')으로 분류된 개체군이 실제로는 ''P. pygmaeus''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만약 이것이 사실로 밝혀진다면, ''P. wurmbii''는 ''P. pygmaeus''의 이명이 되며, 현재 ''P. pygmaeus''의 이명으로 여겨지는 다른 학명 중 하나가 사라왁과 북부 서 칼리만탄에 서식하는 분류군의 정식 명칭이 될 수도 있다.[5]
2. 1. 2. 중부보르네오오랑우탄 (''P. p. wurmbii'')

중부보르네오오랑우탄(''Pongo pygmaeus wurmbii'')은 인도네시아의 남서 칼리만탄과 중부 칼리만탄 지역에 서식한다.[1]
그러나 이 아종의 분류에 대해서는 약간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현재 ''P. p. wurmbii''로 분류된 개체군이 실제로는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수마트라 오랑우탄(''P. abelii'')과 유전적으로 더 가까울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만약 이 주장이 사실로 확인된다면, ''P. abelii''는 ''P. wurmbii''의 아종으로 재분류될 수도 있다.[5]
또한, 보르네오오랑우탄의 기본 아종인 ''P. pygmaeus''의 표준 산지가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는 문제도 있다. 일부에서는 현재 ''P. p. wurmbii''로 분류된 개체군이 실제로는 ''P. pygmaeus''의 기준 집단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 경우 ''P. p. wurmbii''는 ''P. pygmaeus''의 이명이 될 수 있다.[5]
2. 1. 3. 북동보르네오오랑우탄 (''P. p. morio'')
북동보르네오오랑우탄(''Pongo pygmaeus morio'')은 보르네오오랑우탄의 세 아종 중 하나로 분류된다.[1] 이 아종은 주로 인도네시아의 동 칼리만탄 지역과 말레이시아의 사바주에 서식한다.[1]그러나 아종 분류에 대한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Bradon-Jones 등)은 ''P. morio''를 북서보르네오오랑우탄(''P. p. pygmaeus'')의 이명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또한 이들은 동 칼리만탄과 사바에서 발견된 오랑우탄 개체군이 아직 이름이 정해지지 않은 별도의 분류군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5]
3. 신체적 특징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서부고릴라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유인원이며, 현존하는 유인원 중 가장 큰 나무 위에서 사는(수상성) 유인원이다.[10][11] 몸무게는 현생 인류와 상당히 겹치지만, 사람의 경우 크기 변동 폭이 훨씬 크다.[12] 수마트라오랑우탄은 크기가 비슷하지만 평균적으로 약간 더 가볍다.[13][14]
야생 보르네오오랑우탄 수컷은 평균 몸무게 75kg (범위 50kg~100kg), 키 1.2m~1.7m이며, 암컷은 평균 몸무게 38.5kg (범위 30kg~50kg), 키 1m~1.2m이다.[15][16] 사육 상태에서는 165kg 이상으로 살이 찔 수 있다.[17] 사육 상태에서 가장 무거웠던 기록은 1959년 13세였던 '앤디'라는 수컷으로, 당시 몸무게가 204kg에 달했다.[18]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최대 1.5m에 달하는 매우 긴 팔을 가진 독특한 체형이다. 피부는 회색이며, 거칠고 덥수룩한 적갈색 털을 가졌다.[19] 손과 발은 물건을 잡는 데 적합하다.[20] 대부분의 포유류와 달리 얼굴에는 털이 거의 없지만, 수염과 콧수염이 약간 있다. 또한 플랜지(flanges)라고 불리는 크고 두툼한 볼 패드와 아래로 처진 목주머니를 가지고 있다.[21]
성적 이형성이 매우 뚜렷하여 수컷과 암컷의 외형 차이가 크다. 수컷은 근육과 지방으로 이루어진 훨씬 큰 볼 패드, 즉 플랜지를 가지지만, 암컷의 플랜지는 주로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컷은 암컷보다 더 큰 송곳니와 작은어금니를 가지며, 수염과 콧수염도 더 뚜렷하다. 수컷의 목주머니가 암컷보다 훨씬 크다.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은 플랜지가 발달한 큰 개체와 그렇지 않은 작은 개체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큰 수컷이 사회적으로 우세하지만, 작은 수컷도 번식에 성공할 수 있다. 태어날 때는 암수 간 외형 차이가 거의 없다.[21]
4. 서식지 및 분포
보르네오오랑우탄은 보르네오 저지대의 열대우림과 해발 1500m 고지의 산악열대우림에 서식한다.[22] 이 종은 원시림과 2차림의 수관 전체에서 서식하며, 과일이 열리는 나무를 찾아 먼 거리를 이동한다.
현재 말레이시아의 사바주와 사라왁주, 그리고 인도네시아 칼리만탄의 5개 주 중 4개 주에 서식한다.[1] 서식지 파괴로 인해 섬 전체에 걸쳐 분포가 매우 불규칙하며, 섬 남동부와 사라왁 중부의 라장강과 사바 서부의 파다스강 사이의 숲에서는 희귀해졌다. 브루나이에 서식하는지는 불확실하며 확인되지 않았다.[1]
최초로 발견된 완전한 오랑우탄 골격은 베트남 호아빈성에서 발견되었으며,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 오랑우탄과의 차이점은 머리에 비해 몸집이 비례적으로 작았다는 점뿐이다. 이 화석과 다른 화석들은 오랑우탄이 한때 대륙 동남아시아에 서식했음을 확인시켜 주지만, 현재 보르네오오랑우탄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만 발견된다.[23]
5. 생태 및 행동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수마트라오랑우탄보다 덜 군집적인 생활을 하며 더 고독하다. 서로 영역이 겹치는 두세 마리가 짧은 시간 동안 상호작용할 수는 있지만,[24] 기본적으로 세력권을 주장하지는 않는다. 성체 수컷은 다른 수컷을 만나면 위협적인 행동을 보이며, 암컷과는 오직 짝짓기를 위해서만 교류한다.[25] 특히 수컷이 가장 고독한 생활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새끼는 다른 유인원과 비교하여 약 8~9살이 될 때까지 더 오랫동안 어미와 함께 지낸다.
나무 위에서 주로 생활하지만,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수마트라오랑우탄보다 땅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이는 보르네오섬에는 수마트라호랑이나 승냥이와 같이 오랑우탄을 위협할 만한 큰 육상 포식자가 없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있다.[27] 인간을 제외하면 바다악어나 말레이가비알 정도가 천적이다. 야생에서의 수명은 35~45년이며,[4] 사육 상태에서는 약 60년까지 살 수 있다.[26]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정교한 둥지를 짓는 행동을 보인다. 둥지는 밤이나 낮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지며, 어린 오랑우탄은 어미의 행동을 관찰하며 둥지 짓는 기술을 배운다. 둥지는 잎과 가지를 엮어 만든 기초와 매트리스 위에, 잎이 많은 가지를 부러뜨려 얹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때로는 가지, 잔가지, 잎으로 그늘, 방수 지붕, "베개", "담요"와 같은 추가적인 구조물을 만들기도 한다.[28] 영장류의 둥지 짓기는 도구 사용의 한 예로 간주되지만, 동물 건축으로는 보지 않는다.[29]
과거 오랑우탄은 동남아시아 전역과 중국 남부, 자바 섬, 수마트라 남부에 걸쳐 서식했으나, 현재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주로 이탄 습지 숲, 열대 건조 숲, 혼합 디프테로카프 숲에 서식한다.[3]
5. 1. 먹이
보르네오오랑우탄의 먹이는 매우 다양하여 400종이 넘는다.[3][16] 주로 과일, 특히 무화과와 두리안 (''Durio zibethinus'' 및 ''D. graveolens'')을 즐겨 먹으며,[30] 이 외에도 어린 가지, 나뭇가지, 잎, 씨앗, 새알, 꽃, 수액, 덩굴,[31] 꿀, 균류, 거미줄[31] 등을 먹는다. 식물과 덩굴의 어린 순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수마트라오랑우탄보다는 적은 비율이지만 나무껍질도 먹으며,[3][16] 곤충 섭취 범위도 수마트라오랑우탄보다는 좁다.[3] 때때로 영양분이 풍부한 토양을 먹기도 하는데,[31] 이는 주로 채식 위주의 식단에서 섭취하는 독소와 산을 중화시키는 데 필요한 미네랄을 얻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3] 필요한 물은 대부분 과일이나 나무 구멍에 고인 물을 통해 섭취한다.[3]
보르네오오랑우탄은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창처럼 만든 도구로 물고기를 잡으려 시도했지만 성공하지는 못했다.[32] 잎을 이용해 배설물을 닦거나 가시가 많은 두리안을 잡고, 나뭇가지로 벌을 쫓거나 등을 긁기도 한다. 여러 나뭇가지를 묶어 비가 올 때 우산처럼 사용하거나, 나뭇가지나 나무 줄기를 투척 무기로 사용하기도 한다.[33] 드물게 느림보 로리스와 같은 다른 작은 영장류를 사냥하기도 한다.[3]
5. 2. 번식

수컷과 암컷 오랑우탄은 일반적으로 짝짓기를 할 때만 만난다. 아직 뺨에 불룩한 살(플랜지)이 발달하지 않은 아성체 수컷은 기회가 닿는 대로 암컷에게 짝짓기를 시도하며, 성공률은 약 절반 정도이다.[24] 반면, 플랜지를 가진 우점적인 수컷은 특유의 긴 울음소리(long call영어)를 내어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암컷들은 대체로 이런 플랜지 수컷과의 짝짓기를 더 선호한다.[24] 성체 수컷은 종종 젖을 뗀 새끼를 데리고 있는 암컷을 짝짓기 상대로 찾는데, 이는 해당 암컷이 임신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34]
암컷은 약 6세에서 11세 사이에 성적으로 성숙하여 첫 배란 주기를 경험한다. 다만, 체지방이 더 많은 암컷은 더 어린 나이에 성숙할 수도 있다.[24] 암컷의 발정 주기는 약 22일에서 30일 정도 지속되며, 사육 상태에서는 약 48세에 폐경이 관찰되기도 했다.[24] 암컷은 보통 14세에서 15세 무렵에 첫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 오랑우탄은 3~4시간마다 어미 젖을 먹고, 생후 4개월이 되면 어미의 입술을 통해 부드러운 음식을 맛보기 시작한다. 태어난 후 첫 해 동안 새끼는 어미의 배에 매달려 털을 손가락으로 꽉 잡고 지낸다. 새끼는 약 4세 무렵에 젖을 떼지만, 이 기간은 상황에 따라 더 길어질 수도 있다. 젖을 뗀 후에는 사춘기 단계에 접어들어 주변을 탐험하기 시작하지만, 항상 어미의 시야 안에서 머문다.[24] 이 시기에는 다른 어린 오랑우탄들과 함께 놀거나 이동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구한다. 평균적으로 어린 오랑우탄은 약 7세가 되어서야 완전히 독립한다.
오랑우탄의 출산율은 서식지 파괴로 인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면서 크게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1년에 발표된 자유 생활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암컷 오랑우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추가적인 음식 자원을 공급받은 개체들은 출산 간격이 짧아지고 첫 출산 연령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35]
6. 보존 상태
보르네오오랑우탄은 IUCN 적색 목록에서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1][38]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 거래가 엄격히 금지된다. 야생에 서식하는 개체 수는 약 104,700마리로 추정되어, 약 14,000마리 미만이 남은 수마트라오랑우탄보다는 흔하지만,[1][36] 이는 과거(약 1만 년 전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개체 수의 14%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급격한 감소는 주로 지난 수십 년간 진행된 인간 활동과 개발 때문이다.[1] 현재 보르네오섬 내 분포는 매우 불규칙하며, 특히 남동부 지역과 중앙 사라왁의 라장 강과 서부 사바의 파다스 강 사이 지역(브루나이 포함)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1] 약 6,900마리가 서식하는 사방가우 국립공원 역시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39]
주요 멸종 위협 요인은 서식지 파괴, 부쉬미트(야생동물 고기) 거래, 그리고 애완용 거래를 위한 불법 포획이다. 특히 어미를 죽이고 새끼를 잡아 애완용으로 파는 행위가 빈번하다.[37] 유엔환경계획(UNEP)은 2007년 보고서를 통해 불법 벌목, 화재, 그리고 팜유 농장의 광범위한 개발이 오랑우탄을 심각한 멸종 위기로 몰아가고 있으며, 현재 추세가 계속된다면 멸종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40] 팜유 농장을 만들기 위해 숲을 태우는 과정에서 많은 오랑우탄이 서식지를 잃거나 직접적인 화재 피해로 죽거나 다친다. 팜유는 인도네시아 수출 수입의 10% 이상을 차지하며, 가공식품, 화장품, 세제, 사탕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어 수요가 매우 높다.[41]
기후 변화 역시 오랑우탄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인간 활동으로 인한 강우량 변화는 먹이 부족을 야기하여 오랑우탄이 번식에 필요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2011년 칼리만탄 687개 마을 주민 6,98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2008년 4월까지 1년간 약 750마리에서 1,800마리의 오랑우탄이 사살된 것으로 추정된다.[42] 이는 기존 예상보다 높은 수치로, 서식지 파괴 외에도 직접적인 사살이 오랑우탄의 생존에 심각한 위협임을 보여준다. 조사 응답자의 73%는 오랑우탄이 법적으로 보호받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42] 인도네시아 정부의 단속과 처벌은 미미한 수준이다.[43] 2011년에는 드물게 기소가 이루어졌는데, 두 남성이 최소 20마리의 오랑우탄과 다수의 코주부원숭이를 죽인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들은 팜유 농장 감독관의 지시로 농작물을 보호한다는 명목하에 오랑우탄 한 마리당 100USD, 원숭이 한 마리당 22USD를 받고 살해를 저질렀다.[44]
6. 1. 구조 및 재활 센터
보르네오에서는 여러 오랑우탄 구조 및 재활 프로젝트가 운영되고 있다.윌리 스미츠(Willie Smits)가 설립한 보르네오 오랑우탄 생존 재단(BOS)은 동칼리만탄(East Kalimantan)의 와나리셋(Wanariset)과 삼보자 레스타리(Samboja Lestari)에, 그리고 중앙 칼리만탄(Central Kalimantan)의 냐루 멘텅(Nyaru Menteng)에 구조 및 재활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냐루 멘텅 센터는 론 드뢰셔 닐센(Lone Drøscher Nielsen)이 설립 및 관리하고 있다. BOS는 삼보자 레스타리와 마와스(Mawas)에서 오랑우탄의 서식지인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 열대 우림 서식지를 보존하고 복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비루테 갈디카스(Birutė Galdikas)가 설립한 오랑우탄 국제재단(Orangutan Foundation International)은 오랑우탄을 구조하고 재활시켜 인도네시아 열대우림의 보호 지역으로 되돌려 보내는 활동을 한다. 또한 오랑우탄을 위한 열대우림 보존을 촉진한다.
말레이시아 보르네오(Malaysian Borneo) 사바(Sabah) 주 산다칸(Sandakan) 근처에 있는 세필록 오랑우탄 재활센터(Sepilok Orangutan Rehabilitation Centre)는 1964년 최초의 공식 오랑우탄 재활 프로젝트로 문을 열었다.[45]
애슐리 라이먼(Ashley Leiman)이 설립한 오랑우탄 재단(Orangutan Foundation)은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중앙 칼리만탄(Central Kalimantan)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재단은 고아가 된 오랑우탄을 구조하여 soft-release programme|연방사 프로그램eng에 참여시켜 야생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오랑우탄은 나이가 들면 라마다우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방사된다. 오랑우탄 재단은 특히 지역 사회를 중심으로 서식지 보호와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어 오랑우탄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46]
7. 유전체 및 인구 역사
오랑우탄과 인간의 계통은 약 1400만 년에서 1800만 년 전에 갈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르네오오랑우탄과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약 350만 년 전에 서로 다른 종으로 분화되었다.[49] 이는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이 지리적으로 분리되기 전에 일어난 일이다. 두 오랑우탄 종은 침팬지나 보노보보다는 유전적으로 더 먼 관계에 있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종은 1996년에 mtDNA 분석을 통해 비로소 아종으로 분류되었다. 최근까지 지리적으로 고립되었던 보르네오오랑우탄 개체들 사이에서도 유전자 이동이 있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약 1만 7천 년 전에는 보르네오오랑우탄이 수마트라로 이동하여 당시 그곳에 서식하던 수마트라오랑우탄과 서식지를 공유하거나 교류했을 가능성이 있다. 두 오랑우탄 종은 지리적으로 가까워 진화 과정에서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으며, 게놈과 인구 역사에서 유사점을 보인다. 두 종이 공식적으로 분화된 후에도 유전적으로 유사한 이유는, 각 종의 수컷이 두 섬 사이를 이동하며 다른 종의 암컷과 번식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49] 이로 인해 보르네오오랑우탄과 수마트라오랑우탄은 함께 연구되는 경우가 많다.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수마트라오랑우탄에 비해 상염색체의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데, 이는 개체 수가 훨씬 적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염기서열 다양성(nucleotide diversity)도 낮은 편이다.[50]
보르네오오랑우탄과 수마트라오랑우탄은 같은 속(genus)에 속하며, 유사한 환경에서 살고 서로에게서 배우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비슷한 문화적 행동 양식을 공유한다.[51]
보르네오오랑우탄의 인구 역사를 살펴보면, 중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Y 염색체 데이터 분석 결과 낮은 수준의 유전자 흐름이 있었음이 밝혀졌다. 이는 보르네오 섬이 위치한 순다 대륙붕의 지리적 특성 때문일 수 있다.[49] 후기 플라이스토세의 건조한 기후는 두 종 간의 유전자 교환을 더 활발하게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기 플라이스토세 시기, 보르네오오랑우탄 계통은 조상 개체군으로부터 고립되면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일을 겪었다.[50] 이러한 고립은 보르네오 섬의 자연적인 지리적 장벽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결과적으로 보르네오오랑우탄은 다른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지리적 고립이 심각한 유전자 병목 현상으로 이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52] 보르네오오랑우탄에서 나타나는 자연 선택의 증거는 주로 생리적 적응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보르네오 섬의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49]
보르네오오랑우탄은 다음과 같은 3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아종 | 학명 | 분포 지역 |
---|---|---|
북서보르네오오랑우탄 | Pongo pygmaeus pygmaeus | 사라왁주(말레이시아), 북서 칼리만탄(인도네시아) |
중부보르네오오랑우탄 | Pongo pygmaeus wurmbii | 남서 칼리만탄, 중부 칼리만탄(인도네시아) |
북동보르네오오랑우탄 | Pongo pygmaeus morio | 동 칼리만탄(인도네시아), 사바주(말레이시아) |
참조
[1]
IUCN
Pongo pygmaeus
2022-01-17
[2]
웹사이트
Orangutan facts
http://www.orangutan[...]
Orangutan Foundation International
2012-03-17
[3]
서적
The Malay Archipelago
Periplus Editions
2008
[4]
논문
Comparative and demographic analysis of orang-utan genomes
2011
[5]
논문
Asian primate classification
http://www.gibbons.d[...]
[6]
뉴스
Ternyata di kalsel ada populasi orangutan
http://banjarmasin.t[...]
2014-10-10
[7]
논문
The type specimens and type localities of the orangutans, genus ''Pongo'' Lacépède, 1799 (Primates: Hominidae)
https://zenodo.org/r[...]
2016-09-09
[8]
서적
Proceedings of the General Meetings for Scientific Busines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1905
[9]
백과사전
Definition of pygmy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12-02
[10]
웹사이트
San Francisco Zoo - Adopt an Orangutan
http://www.sfzoo.org[...]
2020-02-21
[11]
웹사이트
EDGE :: Mammal Species Information
http://www.edgeofexi[...]
2012-08-21
[12]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WWF – Sumatran Orangutan – Close relative in dire straits
http://www.worldwild[...]
2012-08-21
[14]
웹사이트
The Bornean and Sumatran Orangutans | Visuallens
http://visuallens.wo[...]
2012-08-21
[15]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Sterling Pub. Co.
[16]
웹사이트
ADW: Pongo pygmaeus: Information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09-07-03
[17]
웹사이트
Giza Zoo > Bornean Orangutan إنسان الغابة
http://www.gizazoo-e[...]
2012-08-21
[18]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Guinness Superlatives
[19]
서적
Animal
Dorling Kindersley
[20]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
Oxford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Orangutan Fact Sheet
http://library.sandi[...]
2017-12-02
[22]
웹사이트
Orangutans
http://wwf.panda.org[...]
WWF
2012-03-17
[23]
논문
The first discovery of a complete skeleton of a fossil orang-utan in a cave of the Hoa Binh Province, Vietnam
2001-09
[24]
웹사이트
Primate Factsheets: Orangutan (Pongo) Behavior
http://pin.primate.w[...]
Primate Info Net
2011-03-02
[25]
웹사이트
Orangutan
http://www.seaworld.[...]
Sea World, Busch Gardens, & Discovery Cove
2012-03-17
[26]
웹사이트
Primates: Orangutans
http://nationalzoo.s[...]
Smithsonian National Zoological Park
2011-01-27
[27]
웹사이트
Primate Factsheets: Orangutan (Pongo) Taxonomy, Morphology, & Ecology
http://pin.primate.w[...]
Primate Info Net
2011-07-23
[28]
서적
Orangutans: geographic variation in behavioral ecology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7-05
[29]
서적
Great ape socie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7-04
[30]
논문
The behaviour and ecology of wild orang-utans (Pongo pygmaeus)
1974-02
[31]
웹사이트
Pongo pygmaeus (Bornean orangutan)
https://animaldivers[...]
[32]
웹사이트
Orangutan "Spear Fishes"
http://scienceblogs.[...]
ScienceBlogs
2009-07-03
[33]
서적
The Mentalities of Gorillas and Orangutans: Comparative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논문
Female tactics to reduce sexual harassment in the sumatran orangutan (Pongo pygmaeus abelii)
[35]
논문
Factors affecting reproduction in rehabilitant female orangutans: young age at first birth and short inter-birth. interval
[36]
IUCN
Pongo abelii
[37]
웹사이트
Primate Factsheets: Orangutan (Pongo) Conservation
http://pin.primate.w[...]
Primate Info Net
2011-03-02
[38]
뉴스
Bornean orangutan declared 'critically endangered' as forests shrink
https://www.theguard[...]
2016-07-07
[39]
저널
Density and population estimate of gibbons (Hylobates albibarbis) in the Sabangau catchment, Central Kalimantan, Indonesia
http://www.wildcru.o[...]
[40]
보고서
The last stand of the orangutan – State of emergency: Illegal logging, fire and palm oil in Indonesia's national parks
http://www.unep.org/[...]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GRID-Arendal
2011-03-03
[41]
웹사이트
The Effects of Palm Oil – Orangutan Foundation International
https://orangutan.or[...]
2017-12-02
[42]
저널
Quantifying Killing of Orangutans and Human-Orangutan Conflict in Kalimantan, Indonesia
2011-11-11
[43]
뉴스
Humans killing at least 750 Bornean orang-utans a year
https://www.newscien[...]
2011-11-15
[44]
웹사이트
Mass Slaughter of Orang-utans and Monkeys is Continuing in Kalimantan
http://english.kompa[...]
2011-11-24
[45]
서적
The Intimate Ape: Orangutans and the Secret Life of a Vanishing Species
Citadel Press
[46]
웹사이트
Orangutan Foundation: Our work
https://www.oranguta[...]
2019-09-16
[47]
저널
Happy orang-utans live longer lives
[48]
웹사이트
Killed by 40 Pellets
http://thejakartaglo[...]
2014-12-10
[49]
저널
Two Orangutan Species Have Evolved Different KIR Alleles and Haplotypes
https://www.jimmunol[...]
2017-04-15
[50]
저널
Genomes reveal marked differences in the adaptive evolution between orangutan species
2018-11-15
[51]
저널
Culture and Geographic Variation in Orangutan Behavior
2011-11
[52]
서적
Taxonomy, geographic variation and population genetics of Bornean and Sumatran orangutans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3-02
[53]
IUCN
Pongo pygmaeus
http://www.iucnredli[...]
국제 자연 보전 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16-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