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즈 오브 캐나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즈 오브 캐나다는 마이클 샌디슨과 마커스 에오인 형제로 구성된 전자 음악 듀오이다. 1980년대부터 음악 활동을 시작하여, 1998년 데뷔 앨범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을 발매하며 이름을 알렸다. 샘플링을 기반으로 한 다운템포 음악을 주로 선보이며, 1970년대의 컴퓨터 랩 폐허에서 발굴한 듯한 독특한 사운드를 특징으로 한다. 4장의 정규 앨범과 여러 EP, 싱글을 발매했으며,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리믹스 앨범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음악 그룹 - 틴에이지 팬클럽
틴에이지 팬클럽은 1989년 스코틀랜드에서 결성된 밴드로, 얼터너티브 록 등의 음악 스타일을 선보이며, 1991년 앨범 《Bandwagonesque》가 호평을 받았고, 2023년 12번째 앨범을 발매했다. - 스코틀랜드의 음악 그룹 - 벨 & 세바스찬
벨 & 세바스찬은 1996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결성된 밴드로, 12장의 정규 앨범을 발매하며 꾸준히 활동하고 있으며, 1999년 브릿 어워드에서 베스트 브리티시 뉴커머상을 수상했다. - 영국의 전자 음악 그룹 - 프라이멀 스크림
프라이멀 스크림은 1982년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로, 펑크 록, 포스트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여 독자적인 사운드를 구축했으며, 1991년 앨범 《스크리마델리카》는 1990년대 음악 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전자 음악 그룹 - 매시브 어택
매시브 어택은 1988년 영국에서 결성된 음악 그룹으로, 덥, 레게, 힙합을 결합한 트립합 장르를 개척하고 사회, 정치적 문제에 대한 발언을 해왔다. - 198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THE BOOM
THE BOOM은 오키나와 민요에서 영감을 받은 "섬 노래"로 큰 성공을 거둔 일본 록 밴드로, 해외 공연과 "섬 노래"의 리메이크를 통해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데뷔 25주년 기념 투어를 마지막으로 해산했다. - 198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1986년 웨일스 카디프에서 결성된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는 사회적 메시지와 다양한 음악적 실험을 통해 상업적 성공과 멤버 실종의 위기를 극복하고 영국을 대표하는 록 밴드로 자리매김했다.
보즈 오브 캐나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Hell Interface (헬 인터페이스) |
국적 |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
장르 | 일렉트로니카 다운템포 사이키델리아 앰비언트 IDM 트립 합 |
활동 기간 | 1986년 – 현재 |
레이블 | 워프 스캠 Music70 |
관련 활동 | Hexagon Sun Odd Nosdam |
웹사이트 | boardsofcanada.com |
현재 구성원 | 마이크 샌디슨 마커스 오언 |
이전 구성원 | 크리스토퍼 홈 |
음반 목록 | |
음반 목록 | Boards of Canada 음반 목록 |
2. 역사
1980년대 후반부터 음악 활동을 시작하여, 1987년에 자체 레이블인 "Music70"에서 첫 앨범을 카세트 테이프 형태로 발매했다.
1996년에 Skam 레코드와 계약하고 싱글을 발매했으며, 1998년에는 워프 레코즈에서 첫 번째 상업적 앨범인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을 발매했다. 워프로 이적한 후, 초기에 카세트 테이프 한정으로 발매했던 작품 일부를 한정반으로 재발매하기도 했다.
자주 투어를 하지는 않았으나 초기에는 워프 레코드 소속 아티스트들과 함께 공연했으며, 2001년 공연을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라이브 활동은 하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총 5장의 정규 앨범과 다수의 싱글을 발매했으며, 보즈 오브 캐나다 명의 외에도 헬 인터페이스(Hell Interfaceeng)라는 다른 이름으로 활동하며 4곡을 발표했다.
2. 1. 초창기 (1986-1995)
친형제인 마이크 샌디슨(Michael Sandisoneng, 1971년 7월 14일 출생)[7][8]과 마커스 에오인(Marcus Eoineng, 1973년 5월 27일 출생)[9]은 스코틀랜드 북동 해안의 컬린, 모레이에서 자랐다.[10] 그들의 아버지는 건설업에 종사했으며, 1979년부터 1980년까지 아버지가 캐나다 캘거리의 새들돔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가족이 함께 그곳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다.[3] 형제는 음악적인 가정 환경에서 성장하여 어린 시절부터 다양한 악기를 연주했다. 특히 10살 무렵부터는 테이프 기계를 사용하여 녹음된 소리들을 잘라 붙여 자신들의 곡에 맞추는 샘플링 기법을 실험하며 음악 녹음 기술을 익혔다.형제는 에든버러 대학교에 다녔는데, 마이크는 음악을, 마커스는 인공지능을 공부했지만 마커스는 학위를 마치기 전에 중퇴했다.[10] 십대 시절 여러 아마추어 밴드를 거친 후, 1986년 마커스가 마이크가 속해 있던 밴드에 합류하면서 보즈 오브 캐나다(Boards of Canada)가 결성되었다. 밴드 이름은 그들이 어린 시절 캐나다에서 보았던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NFB,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에서 영감을 받았다.[3] 1989년경에는 밴드 멤버가 두 형제만 남게 되었다.
그들의 첫 번째 알려진 작업물은 1987년 자체 설립한 레이블 'Music70'을 통해 카세트 테이프로 발매된 ''Catalog 3''이다.[11] (이 앨범은 이후 1997년 같은 레이블에서 CD로 재발매되기도 했다.) 1989년에는 ''Acid Memories''를 발매했다.[12] 이 초기 앨범들은 주로 친구와 가족 등 소수에게만 배포되었으며, 대중적으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Acid Memories''는 형제가 인터뷰에서 직접 언급한 유일한 초기 앨범이다. 1990년대 초반, 밴드는 헥사곤 선 콜렉티브와 여러 차례 협력하며 소규모 공연을 열었고, 1994년에는 ''Play By Numbers''[13]와 ''Hooper Bay''[14]를 역시 친구와 가족에게만 한정적으로 발매했다. 이 앨범들 중 일부 곡("Wouldn't You Like To Be Free", "Circle")의 짧은 발췌본만이 과거 팬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된 바 있다.[15]
이 시기의 음악들은 현재 구하기 어려운 악기들로 제작되었으며, 보즈 오브 캐나다는 공식 매체를 통해 이러한 초기 작품들의 존재를 명확히 인정하지 않고 있어 대중이 접하기는 매우 어렵다. 관련 정보 대부분은 팬들에 의해 보존되어 왔다. 형제 관계라는 사실은 다른 전자 음악 형제 듀오인 오비탈과의 비교를 피하고자 2005년 피치포크와의 인터뷰에서야 공식적으로 밝혔다.[3]
2. 2. 발전기 (1995-2002)
1995년, 보즈 오브 캐나다는 아티스트 모임인 '헥사곤 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첫 싱글 앨범인 Twoism을 발매했다. 이 앨범은 초창기 작업처럼 자체 자금으로 소량만 제작되어 주로 친구나 레이블 관계자에게 배포되었다. 하지만 이전과 달리, 일부는 IDM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판매되기도 했다. 상업적 유통 목적이 아니었음에도 완성도가 높아 2002년에 재발매되었다.1996년에는 60분 분량의 앨범 Boc Maxima가 제한적인 배포 형태로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이후 발매될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과 많은 트랙을 공유하며 그 전조가 되었다. 같은 해, 보즈 오브 캐나다는 여러 레코드사에 데모를 보내기 시작했고, 유명 IDM 듀오 오테커의 멤버 신 부스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Skam 레코드에는 많은 데모가 접수되었지만, 보즈 오브 캐나다의 데모가 특히 돋보였다. 이를 계기로 싱글 Hi Scores가 1996년 Skam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고, 이후 1998년, 2002년, 2005년에 재발매되었다.
1998년 4월, 보즈 오브 캐나다의 첫 번째 정규 상업 앨범인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이 Skam Records와 Warp Records에서 공동으로 발매되었다.[16] 이 앨범은 1995년부터 1997년 사이에 녹음되었다. 앨범 표지는 밴프 스프링스에서 찍은 가족 사진을 사용했는데, 인물들의 얼굴은 디지털 방식으로 지워졌다. 앨범은 짧은 곡들과 섞인 긴 트랙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듀오의 가장 인기 있는 곡 중 하나인 "Roygbiv"를 포함하고 있다.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은 발매와 동시에 큰 호평을 받았고, 피치포크의 "1990년대 최고의 앨범 100" 목록에서 35위를 차지했다.[17] 같은 해 BBC 라디오 1에서도 이들의 음악이 소개되었다.
자주 투어를 하지는 않았지만, 보즈 오브 캐나다는 능숙한 라이브 공연 실력을 보여주었다. 초기 공연은 주로 영국에서 워프 레코드 소속 동료인 Seefeel이나 오테커와 함께 진행되었다. 또한 여러 페스티벌에도 참여했는데, 1999년에 열린 워프 레코드 10주년 기념 행사 등이 대표적이다. 2001년에는 영국 서머싯에서 그룹 더 톨터즈가 주관한 공연의 헤드라이너로 섰으나, 이 공연을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라이브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2000년 11월에는 4개의 트랙으로 구성된 LP 형식의 싱글 앨범 In a Beautiful Place Out in the Country가 발매되었다. 이는 2년 만의 신보였지만, 팬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었다.
2002년에는 두 번째 정규 앨범 Geogaddi가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독특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 먼저 600개의 곡 조각들을 만들고 이를 조합하여 64곡을 완성한 뒤, 최종적으로 22곡(마지막의 무음 트랙을 포함하면 23곡)을 선별하여 앨범에 수록했다고 한다. Geogaddi는 타임지가 선정한 '2000년대 베스트 팝 앨범 100선'에서 86위에 오르기도 했다. 멤버 샌디슨은 이 앨범에 대해 "듣는 이를 어둠 속으로 몰아넣어 가장 깊은 심연까지 끌고 가는 여정이며, 밀실 공포증과 실험에 대한 음반"이라고 설명했다.
2. 3. 전성기 (2002-2013)
보즈 오브 캐나다는 1999년과 2001년 사이에 다음 스튜디오 앨범인 Geogaddi의 녹음을 시작했다. 샌디슨은 이 앨범을 "어떤 종류의 시련을 위한 기록, 폐쇄적이고 뒤틀린 여정으로, 다시 탁 트인 곳에 도달하기 전에 꽤 어두운 경험을 하게 한다."[18]라고 묘사했다. Geogaddi는 2002년 1월 8일 일본에서 Vivid 레이블을 통해 공식적으로 발매되었고,[19] 같은 해 2월 18일에는 유럽에서 Warp Records를 통해 발매되었다. 비평가들은 Geogaddi에서 나타나는 분위기 변화에 주목했다. 웹사이트 피치포크의 마크 리차드슨은 "이 앨범의 분위기는 이전 발매작보다 약간 더 어둡고, 비교적 긴장감이 있으며 현저한 편집증의 실마리가 있다."[20]고 평가했다. 이후 듀오는 이 앨범이 9.11 테러에 대한 반응으로 만들어졌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1]2002년 초부터 듀오는 다음 스튜디오 앨범인 The Campfire Headphase의 초기 구상 작업을 시작했으며, 본격적인 스튜디오 작업은 2004년에 착수했다.[22] 이 앨범에 수록될 싱글 두 곡을 온라인 상점 블립에서 독점적으로 발매하고, "Dayvan Cowboy" 트랙의 뮤직 비디오를 공개한 후,[23] The Campfire Headphase는 2005년 10월 17일에 발매되었다. 옵저버 지에서 이 앨범에 대해 글을 쓴 비평가 사이먼 레이놀즈는 "록과 테크노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것은 현명한 움직임이다. 보즈 오브 캐나다는 항상 전자 음악 팬들 이상에게 어필할 자격이 있는 음악을 만들어왔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하며 "그들의 프로덕션이 보여주는 입체 음향적 황홀경"을 높이 평가했다.[24]
2. 4. 현재 (2013-현재)
레코드 스토어 데이 2013년에, 짧은 음악 클립과 6자리 코드를 말하는 왜곡된 목소리가 담긴 비닐 레코드가 보즈 오브 캐나다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뉴욕 레코드 가게 Other Music에 나타났다.[28] 발매 직후, 워프 레코드는 레코드의 진위 여부를 보증했다.[29]다른 코드들은 다양한 웹사이트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숨겨졌으며, BBC 라디오 원, NPR, Adult Swim을 통해서도 방송되었다.[30] 많은 추측 끝에, 밴드의 공식 웹사이트는 사용자를 다른 웹사이트로 리디렉션하여[31] 암호를 입력하도록 했다. 6개의 고유 코드를 모두 입력하면, 네 번째 정규 앨범인 ''Tomorrow's Harvest''를 발표하는 비디오가 표시되었다. 웹사이트에는 앨범 커버 아트, 발매 월과 년도, 짧은 음악 발췌본이 표시되었다. 이 앨범은 2013년 6월 5일 일본, 2013년 6월 10일 유럽, 2013년 6월 11일 미국에서 발매되어 광범위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2016년, 보즈 오브 캐나다는 두 개의 리믹스를 발표했다. 첫 번째는 Nevermen의 "Mr Mistake"의 리믹스로 2016년 1월 12일에 발매되었으며,[32] 얼마 지나지 않아 2016년 2월 22일 Odd Nosdam의 "Sisters" 리믹스가 발매되었다.[33] 2017년 2월 17일, "Mr Mistake" 리믹스의 instrumental 버전이 발매되었다.[34] 2017년 7월 29일, 보즈 오브 캐나다는 The Sexual Objects의 "Sometimes" 리믹스를 발매했다.[35]
2019년, 워프 레코드는 창립 30주년을 기념하여 WXAXRXP라는 제목의 행사를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온라인 라디오 방송국 NTS 라디오를 100시간 동안 점거하여 소속 아티스트들의 믹스, 라디오 쇼, 미발표 음악을 선보였다. 여기에는 보즈 오브 캐나다의 2시간짜리 믹스 테이프[36] ''Societas x Tape''가 포함되었으며, 2019년 6월 23일 오후 9시(BST)에 방송되었고, Grace Jones, Devo, Yellow Magic Orchestra와 같은 다른 아티스트들의 음악과 함께, 말로 하는 샘플과 그룹 자체의 미발표 작품으로 추정되는 음악이 섞여 있었다.[37][38][39]
2021년 7월 3일, 보즈 오브 캐나다는 두 번째 Nevermen 노래인 "Treat Em Right"의 리믹스를 발매했다.[40]
3. 음악 스타일
보즈 오브 캐나다의 음악은 듣는 이에게 행복한 회상을 불러일으키는 특징이 있다. 이들의 음악은 가상악기 대신 실제 악기로 녹음된 1970년대 풍의 아날로그 사운드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어린 시절의 기억, 향수, 자연과 같은 감성을 담고 있는 듯하다. 마이크 샌디슨과 마커스 이오인 형제는 그룹 이름의 유래이자 영감의 원천으로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National Film Board of Canada)의 다큐멘터리를 언급한 바 있다.
이들의 독특한 소리와 질감은 아날로그 악기 사용에서 비롯된다. 전자 악기와 실제 악기를 함께 믹싱하며, 악기 본연의 순수한 소리보다는 의도적으로 로파이(Lo-fi) 필터를 거쳐 왜곡된 소리를 샘플링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그 결과, 음악은 따뜻하면서도 듣는 이의 향수를 자극하는 감성적인 소리들로 채워진다. 이러한 소리들은 1970년대 텔레비전 쇼나 그들이 어린 시절 접했던 미디어에서 샘플링되어 독특한 속성을 지닌다. 특히, 캐나다 정부 소속 기관으로 자연주의적 영상을 제작하는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의 영상에서 많은 영감을 얻는다.
보즈 오브 캐나다의 음악은 "1970년대 초반의 컴퓨터 랩 폐허에서 발굴한 고장난 장비로 제작된 듯한, 샘플이 많이 들어간, 다운템포 음악"으로 묘사되기도 한다.[41] 평론가 사이먼 레이놀즈는 이들의 스타일을 "흐릿한 신스톤과 아날로그적인 부패로 만들어진 소리, 인내심 있고 몽유병적인 비트 위에 실리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설명하며, 기술의 의도적인 오용을 통해 사이키델리아 요소를 "재창조"했다고 평가했다.[42] 이 독특한 스타일은 아날로그 장비 사용, 전자 악기와 일반 악기의 혼합, 왜곡된 샘플 사용,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겹겹이 쌓고 혼합하는 방식의 결과이다.[43][44] 이들은 인상적이면서도 "낡은" 느낌의 사운드를 얻기 위해 Grundig에서 만든 테이프 머신과 같은 구식 녹음 장비를 사용하기도 했다.[45] 또한, 형제들이 어린 시절을 보낸 1970년대 텔레비전 쇼나 다른 미디어, 특히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의 자연 다큐멘터리에서 샘플을 가져와 사용했다.[3] 기억, 과거의 미학, 공영 방송에 대한 이들의 몰두는 2000년대 헌톨로지라 불리는 전자 음악 운동의 등장을 예견했다.[42] 음악 이론가이자 평론가인 아담 하퍼는 이들의 작품을 "잘린 샘플, 빈티지 신디사이저 기술, 20세기 중반 텔레비전, 과학, 공교육, 어린 시절, 그리고 영성에서 비롯된 퇴색된 모더니즘을 기반으로 한, 동시에 아르카디아적이면서 음산한 음악적 헌톨로지"라고 묘사했다.[46]
샌디슨 형제는 인터뷰를 통해 자신들의 창작 과정에 영향을 준 여러 아티스트를 언급했다. 여기에는 조니 미첼, 인크레더블 스트링 밴드("우리에게는 모든 스트링 밴드 레코드가 있고 (...) 우리의 시골 감성은 비슷하다"), 비틀즈("[그들은] 그들의 사이키델리즘을 통해 우리에게 정말 매혹적이 되었다"), 그리고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우리가 그들과 같은 사운드를 내지 않더라도, 음악에 대한 접근 방식 측면에서 연관성이 있다")이 포함된다.[3][47][48] 또한 신스 사운드에 있어서는 미트 비트 매니페스토를 주요 영향으로 꼽았다.[49]
이들의 음악에서는 종종 2분 미만의 짧은 간주곡이나 장면(vignette)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샌디슨은 "우리는 '전체적인' 트랙보다 [이런 것들을] 훨씬 더 많이 쓰며, 어떤 면에서 그것들이 우리의 가장 좋아하는 것들이다"라고 말했다. 보즈 오브 캐나다는 이러한 짧은 곡들과 정규 트랙을 매우 많이 작곡했으며, 그중 대부분은 발표되지 않았다. 이들의 음악은 단순히 상업적 발매만을 목표로 만들어지는 것 같지 않으며, 오히려 앨범은 현재 작업 중인 방대한 곡들 중에서 서로 보완적인 곡들을 선별한 결과물에 가깝다. 예를 들어, 앨범 ''지오가디''는 400개의 곡 조각과 64개의 완성된 곡을 만드는 과정을 거쳐, 그중 22개(마지막 트랙의 무음 부분을 포함하면 23개)가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이오인은 듀오의 음반 작업에 대해 "완벽한 앨범이라는 아이디어는 우리가 항상 목표로 하는 무형의 것이다 (...) 음악을 만드는 전체 요점은 적어도 자기 자신의 완벽함에 대한 아이디어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47]
듀오는 잠재 의식적 메시지라는 주제에 관심을 보여왔으며, 그 결과 이들의 작품에는 수비학이나 컬트 집단 분파 다윗파의 지도자였던 데이비드 코레쉬와 관련된 암호화된 메시지가 포함되기도 한다.[50] 이러한 언급의 의도에 대해 보즈 오브 캐나다는 "우리는 전혀 종교적이지 않다 [...] 그리고 우리가 영적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순전히 예술에 대한 관심과 사람들에게 아이디어를 고취시키는 의미에서이다"라며 중립적인 입장을 밝혔다.[47] 동시에 그들은 음악이 사람들의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에 매료되어 있으며, "[우리는] 실제로 음악에는 거의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고 믿는다. 나는 실제로 음악으로 사람들을 조종한다고 생각한다..."라고 아이러니하게 언급하기도 했다.[51]
4. 디스코그래피
보즈 오브 캐나다는 1995년 자체 제작 싱글 ''Twoism''을 시작으로, 1996년에는 ''Boc Maxima''와 Skam 레코드를 통해 발매된 싱글 ''Hi Scores''를 발표했다. ''Hi Scores''는 IDM 듀오 오테커 멤버의 주목을 받아 발매된 것으로, 이후 상업적 활동의 발판이 되었다.
1998년 Warp와 Skam을 통해 첫 정규 앨범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을 발매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EP ''In a Beautiful Place Out in the Country'' (2000)와 정규 앨범 ''Geogaddi'' (2002), ''The Campfire Headphase'' (2005) 등을 꾸준히 발표했다.
주요 발매작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995: ''Twoism'' - (Music70)
- 1996: ''Hi Scores'' - (Skam)
- 1998: ''Aquarius'' - (Skam)
- 1998: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 – (Warp/Skam) #193 UK
- 1999: ''Peel Session TX 21/07/1998'' - (Warp)
- 2000: ''In a Beautiful Place Out in the Country'' – (Warp/Music70)
- 2002: ''Geogaddi'' – (Warp/Music70) #21 UK
- 2005: ''The Campfire Headphase'' – (Warp) #41 UK
- 2006: ''Trans Canada Highway'' - (Warp)
4. 1. 정규 앨범
발매 연도 | 앨범명 | 레이블 | 비고 |
---|---|---|---|
1998 |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 | Warp / Skam | 첫 상업적 정규 앨범. 영국 앨범 차트 193위. BBC 라디오 1에서 소개되었다. |
2002 | Geogaddi | Warp / Music70 | 영국 앨범 차트 21위. 타임지 선정 2000년대 베스트 팝 앨범 100 중 86위에 올랐다.[51] 600여 개의 곡 조각으로 64곡을 만든 뒤, 최종 22곡(마지막 무음 트랙 포함 시 23곡)을 선별하여 제작했다. 샌디슨은 이 앨범에 대해 "듣는 이를 어둠 속으로 몰아 내려가 양지로 다시 돌아오기도 전에 가장 깊은 심연까지 끌고 갈 여정, 밀실 공포증, 그리고 실험에 대한 음반"이라고 설명했다. |
2005 | The Campfire Headphase | Warp | 영국 앨범 차트 41위. |
2013 | 'Tomorrows Harvest'' | Warp |
4. 2. EP 및 기타 앨범
1995년, 보즈 오브 캐나다는 아티스트 모임인 '핵사곤 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첫 싱글 앨범인 Twoism을 발매했다. 이 앨범은 초창기 작업처럼 자체 자금으로 소량 제작되어 주로 친구나 레이블 관계자들에게 배포되었다. 이전과 달리 소량은 IDM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서도 판매되었다. 상업적 유통을 목적으로 하지 않았음에도 완성도가 높아 2002년에 재발매되기도 했다.1996년에는 60분 러닝타임의 앨범 Boc Maxima가 제한적인 배포 형태로 공개되었다. 이 앨범은 이후 발매될 정규 앨범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과 많은 트랙을 공유하며 그 전조가 되었다.
보즈 오브 캐나다는 여러 레코드사에 데모를 보냈고, 그 과정에서 유명 IDM 듀오 오테커의 멤버 신 부스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오테커가 소속된 Skam 레코드에는 많은 데모가 접수되었지만, 보즈 오브 캐나다의 데모였던 Hi Scores가 특히 돋보였다. 이 싱글 앨범은 1996년에 발매되었고, 이후 1998년, 2002년, 2005년에 재발매되었다.
1998년에는 첫 번째 상업적 앨범인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이 워프 레코드와 Skam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고, 같은 해 BBC 라디오 1에서 이들의 음악이 소개되기도 했다.
2000년 11월에는 4개의 트랙으로 구성된 LP 형식의 EP In a Beautiful Place Out in the Country가 발매되었다. 이는 2년 만에 나온 작업물이었으나 팬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었다.
2002년에는 정규 앨범 Geogaddi가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독특한 제작 과정을 거쳤는데, 600개의 곡 조각들을 선별하고 조합하여 64곡을 만든 뒤, 최종적으로 22곡(마지막의 무음 트랙을 포함하면 23곡)을 선곡하여 완성했다고 한다. 타임은 이 앨범을 '2000년대 베스트 팝 앨범 100선' 중 86위로 선정하기도 했다. 멤버 샌디슨은 이 앨범에 대해 "듣는 이를 어둠 속으로 몰아 내려가 양지로 다시 돌아오기도 전에 가장 깊은 심연까지 끌고 갈 여정, 밀실 공포증, 그리고 실험에 대한 앨범"이라고 설명했다.
=== 주요 EP 목록 ===
발매 연도 | 앨범명 | 레이블 |
---|---|---|
1995 | Twoism | Music70 |
1996 | Hi Scores | Skam |
1998 | Aquarius | Skam |
1999 | Peel Session TX 21/07/1998 | Warp |
2000 | In a Beautiful Place Out in the Country | Warp/Music70 |
2006 | Trans Canada Highway | Warp |
4. 3. 초기 한정 발매 앨범
보즈 오브 캐나다는 초기에 자체 레이블인 Music70을 통해 매우 한정된 수량의 앨범을 발매했다. 이 앨범들은 주로 카세트 테이프나 레코드 형태로 제작되어 친구나 지인들에게 배포되었다.1995년에는 아티스트 모임인 '핵사곤 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첫 번째 싱글 앨범인 ''Twoism''을 발매했다. 이 앨범은 자체 자금으로 소량만 제작되어 친구들이나 레이블 관계자들에게 주로 배포되었으며, 일부는 IDM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판매되기도 했다. 비록 소량만 제작되었지만, 높은 완성도를 인정받아 2002년에 Warp를 통해 재발매되었다.
1996년에는 ''Boc Maxima''가 준-사적인 형태로 배포되었다. 이 앨범은 처음으로 60분에 달하는 러닝타임을 가졌으며, 이후 발매된 첫 정규 상업 앨범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과 많은 트랙을 공유하며 그 전조가 되었다.
이 외에도 보즈 오브 캐나다는 Music70 레이블을 통해 다음과 같은 초기 작업물들을 한정적으로 발매했다.
연도 | 앨범명 | 레이블 | 비고 |
---|---|---|---|
1987 | Catalog 3 | Music70 | 카세트 테이프 (1997년 CD 재발매) |
1989 | Acid Memories | Music70 | 카세트 테이프 |
1992 | Closes Vol. 1 | Music70 | 카세트 테이프 (1997년 CD 재발매) |
1994 | Play By Numbers | Music70 | 카세트 테이프 & CD |
1994 | Hooper Bay | Music70 | 레코드 |
1995 | Twoism | Music70 | 레코드 (2002년 Warp에서 LP, CD 재발매) |
1996 | A Few Old Tunes | Music70 | 카세트 테이프 |
1996 | Boc Maxima | Music70 | 카세트 테이프 & CD |
이러한 초기 활동 중, 보즈 오브 캐나다는 자신들의 데모 테이프를 여러 레코드 레이블에 보내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유명 IDM 듀오 오테커의 멤버 신 부스(Sean Booth)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당시 오테커가 소속되어 있던 Skam 레코드에는 많은 데모가 도착했지만, 보즈 오브 캐나다의 데모 ''Hi Scores''는 특히 뛰어난 평가를 받았다. 이를 계기로 싱글 앨범 ''Hi Scores''가 1996년 Skam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으며, 이후 1998년, 2002년, 2005년에 재발매되었다. 이는 보즈 오브 캐나다가 본격적인 상업적 활동을 시작하는 발판이 되었다.
5. 영향
보즈 오브 캐나다의 음악은 "1970년대 초반의 컴퓨터 랩 폐허에서 발굴한 고장난 장비로 제작된 듯한, 샘플이 많이 들어간, 다운템포 음악"으로 묘사되어 왔다.[41] 음악 평론가 사이먼 레이놀즈는 이들의 스타일을 "흐릿한 신스톤과 아날로그적인 부패로 만들어진 소리, 인내심 있고 몽유병적인 비트 위에 실리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설명하며, 기술을 의도적으로 잘못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사이키델리아의 요소를 "재창조"했다고 평가했다.[42] 이들 특유의 사운드는 아날로그 장비 사용, 전자 악기와 일반 악기의 혼합, 왜곡된 샘플의 활용,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겹겹이 쌓고 혼합하는 방식에서 비롯된다.[43][44] 인상적이면서도 "낡은" 느낌의 사운드를 만들기 위해 그룬딕에서 만든 테이프 머신과 같은 구식 녹음 장비를 사용하기도 했다.[45] 또한, 형제가 어린 시절을 보낸 1970년대의 텔레비전 쇼나 다른 미디어, 특히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에서 제작한 자연 다큐멘터리에서 가져온 샘플을 자주 사용했다.[3] 이러한 기억, 과거의 미학, 공영 방송에 대한 몰두는 2000년대 전자 음악의 한 흐름인 헌톨로지를 예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42] 이론가이자 음악 평론가인 아담 하퍼는 보즈 오브 캐나다의 음악을 "잘린 샘플, 빈티지 신디사이저 기술, 20세기 중반 텔레비전, 과학, 공교육, 어린 시절, 그리고 영성에서 비롯된 퇴색된 모더니즘을 기반으로 한, 동시적으로 아르카디아적이면서 음산한 음악적 헌톨로지"라고 묘사했다.[46]
샌디슨 형제는 인터뷰를 통해 자신들의 음악에 영향을 준 여러 아티스트를 언급했다. 조니 미첼, 인크레더블 스트링 밴드("우리에게는 모든 스트링 밴드 레코드가 있고 (...) 우리의 시골 감성은 비슷하다"), 비틀즈("[그들은] 그들의 사이키델리즘을 통해 우리에게 정말 매혹적이 되었다"), 그리고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우리가 그들과 같은 사운드를 내지 않더라도, 음악에 대한 접근 방식 측면에서 연관성이 있다") 등이 그들이다.[3][47][48] 또한 신스 사운드에 있어서는 미트 비트 매니페스토를 주요 영향으로 꼽았다.[49]
이들의 음악에는 종종 2분 미만의 짧은 간주곡이나 소품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샌디슨은 "우리는 '전체적인' 트랙보다 [이런 것들을] 훨씬 더 많이 쓰며, 어떤 면에서 그것들이 우리의 가장 좋아하는 것들이다"라고 말했다. 보즈 오브 캐나다는 이러한 짧은 곡들과 정규 트랙을 매우 많이 작곡했지만, 대부분은 발표되지 않았다. 이들의 음악 작업은 상업적 발매만을 목표로 하는 것 같지는 않으며, 앨범은 현재 작업 중인 곡들 중에서 서로 어울리는 곡들을 선별한 결과물에 가깝다. 예를 들어, 앨범 ''지오가디''를 만들 때는 400개의 곡 조각과 64개의 완성된 곡을 만들었고, 그중 22개(마지막 트랙의 완전한 침묵을 포함하면 23개)를 골라 앨범에 수록했다. 이오인은 "완벽한 앨범이라는 아이디어는 우리가 항상 목표로 하는 무형의 것이다 (...) 음악을 만드는 전체 요점은 적어도 자기 자신의 완벽함에 대한 아이디어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완벽을 추구하는 작업 태도를 드러냈다.[47]
듀오는 잠재 의식적 메시지라는 주제에 관심을 보여왔으며, 그 결과 이들의 음악에는 수비학이나 컬트 집단인 분파 다윗파의 지도자 데이비드 코레쉬와 관련된 암호 같은 메시지가 포함되기도 했다.[50] 이러한 언급의 의도에 대해 질문받았을 때, 보즈 오브 캐나다는 "우리는 전혀 종교적이지 않다 [...] 그리고 우리가 영적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순전히 예술에 대한 관심과 사람들에게 아이디어를 고취시키는 의미에서이다"라며 중립적인 입장을 밝혔다.[47] 동시에 그들은 음악이 사람들의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에 매료되어 있으며,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실제로 음악에는 거의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고 믿는다. 나는 실제로 음악으로 사람들을 조종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하기도 했다.[51]
보즈 오브 캐나다의 음악은 여러 영상 매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지오가디'' 앨범의 "1969"는 영국 BBC의 자동차 프로그램 탑 기어에 쓰였고, 다른 방송 프로그램에서는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 앨범의 곡들이 사용되었다. ''The Campfire Headphase'' 앨범의 "Dayvan Cowboy"는 미국 드라마 CSI: 마이애미와 카일 XY에 삽입되었으며, "Amo Bishop Roden"은 영국 E4 채널의 드라마 스킨스 시즌 3와 시즌 5에 쓰였다. 이 외에도 다수의 영국 방송 프로그램에서 그들의 음악을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Boards of Canada Biography
http://www.matadorre[...]
Matador Records
2012-05-04
[2]
간행물
Boards of Canada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Rovi Corporation
2014-01-31
[3]
웹사이트
Pitchfork: Interviews: Boards of Canada
http://pitchfork.com[...]
2005-09
[4]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
http://pitchfork.com[...]
Pitchfork
2014-10-28
[5]
서적
Listening through the Noise: The Aesthetics of Experimental Electronic Musi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10
[6]
웹사이트
The genius of Boards of Canada in 10 essential tracks
http://www.factmag.c[...]
2017-05-31
[7]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 Boc Maxima
https://www.discogs.[...]
2024-04-04
[8]
웹사이트
Michael SANDISON
https://find-and-upd[...]
2024-04-04
[9]
웹사이트
Marcus SANDISON
https://find-and-upd[...]
2024-04-04
[10]
간행물
Breaking Into Heaven
2001-01
[11]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 Hi Scores
http://www.boardsofc[...]
[12]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 Acid Memories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 Play by Numbers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 Hooper Bay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EHX - Artists - Boards of Canada - Sounds
http://ednet.co.uk:8[...]
[16]
뉴스
Why Boards of Canada’s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 Is the Greatest Psychedelic Album of the ’90s
https://pitchfork.co[...]
2024-11-06
[17]
간행물
Top 100 Albums of the 1990s
https://pitchfork.co[...]
Pitchfork
2023-06-16
[18]
웹사이트
http://fredd-e.narfu[...]
[19]
웹사이트
Geogaddi - Boards of Canada
https://www.allmusic[...]
2024-11-06
[20]
뉴스
Boards of Canada: Geogaddi Album Review
https://pitchfork.co[...]
2024-11-06
[21]
뉴스
Boards of Canada's Geogaddi at 20
https://epigram.org.[...]
2024-11-06
[22]
뉴스
Emotional ABUSE
http://remixmag.com/[...]
2024-11-06
[23]
뉴스
Top 25 Music Videos of 2006
https://pitchfork.co[...]
2024-11-06
[24]
뉴스
Boards of Canada, The Campfire Headphase
https://www.theguard[...]
2024-11-07
[25]
뉴스
Boards of Canada: 'We've become a lot more nihilistic over the years'
https://www.theguard[...]
2024-11-04
[26]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Tap A Devout Following To Push New Album
https://www.npr.org/[...]
2024-11-04
[27]
간행물
Boards of Canada Return with 'Tomorrow's Harvest'
https://www.billboar[...]
2024-11-04
[28]
웹사이트
Does Boards of Canada's record-store clue point to new album? | Music
https://www.theguard[...]
2013-06-15
[29]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Released a Mysterious 12" on Record Store Day | News
http://pitchfork.com[...]
Pitchfork
2013-06-15
[30]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Commercial Airs on Cartoon Network
http://pitchfork.com[...]
2013-04
[31]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Mystery Continues with New Password Protected Website
http://pitchfork.com[...]
2013-04
[32]
Youtube
NEVERMEN – Mr Mistake (Boards of Canada Remix)
https://www.youtube.[...]
YouTube
2016-01-12
[33]
Youtube
Odd Nosdam – Sisters (Boards of Canada remix)
https://www.youtube.[...]
2016-02-22
[34]
Youtube
NEVERMEN – Mr Mistake (Boards of Canada Remix Instrumental)
https://www.youtube.[...]
2017-02-17
[35]
웹사이트
The Sexual Objects - Sometimes Remixes
https://www.discogs.[...]
2019-12-01
[36]
웹사이트
WXAXRXP
https://www.nts.live[...]
2019-07-21
[37]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 Societas x Tape
https://www.nts.live[...]
2019-07-21
[38]
웹사이트
LISTEN: WXAXRXP Highlights
https://thequietus.c[...]
2019-06-24
[39]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debut new two-hour mix Societas x Tape
https://consequenceo[...]
2019-06-24
[40]
뉴스
Boards of Canada Share New Remix of Nevermen's "Treat Em Right": Listen
https://pitchfork.co[...]
2021-07-03
[41]
웹사이트
Geogaddi – Boards of Canada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12-02
[42]
웹사이트
Why Boards of Canada's Music Has the Right to Children Is the Greatest Psychedelic Album of the '90s
https://pitchfork.co[...]
2018-04-03
[43]
간행물
The Colour & The
http://fredd-e.narfu[...]
HMV magazine
2002-02
[44]
간행물
Northern Exposure
http://fredd-e.narfu[...]
Remix magazine
2002-07
[4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5-12
[46]
간행물
Sounds of Future Past: the Poetics of Electronica
2013
[47]
간행물
Play Twice Before Listening
http://fredd-e.narfu[...]
OOR magazine
2002-03
[48]
간행물
Two Aesthetes of Electronic Music
http://fredd-e.narfu[...]
Virgin Megaweb magazine
1998-06
[49]
웹사이트
The Last Unexplored Area of Boards of Canada
https://bocpages.org[...]
2002-03
[50]
웹사이트
What the hell is up with Boards of Canada? Shorter analysis of ''Geogaddi''
https://web.archive.[...]
2006-03-23
[51]
간행물
Big Country
http://fredd-e.narfu[...]
XLR8R
2001-03
[52]
웹사이트
Boards of Canada - peel session
http://www.boardsofc[...]
Boardsofcanada.com
2001-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