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강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강안은 청나라의 장군으로, 1784년 자흐리야 수피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 1787년 대만에서 임상문이 이끄는 반란이 일어나자, 건륭제의 명을 받아 해란찰과 함께 대만으로 원정하여 반란을 진압했다. 이후 복건성 및 절강성 총독을 역임했으며, 청-네팔 전쟁에도 참전했다. 그는 가궁공, 충예가용공 등의 작위를 받았으며, 사후 가용군왕에 추봉되었다. 김용의 소설에 등장하며, 여러 드라마에서 다루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1등 후작 - 이홍장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던 이홍장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직례총독으로서 외교를 주도하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부패 논란 등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삶은 청나라 격변기와 근대화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청나라의 1등 후작 - 증국번
    증국번은 청나라 말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고 양무운동에 참여하여 국가 안정과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증문정공전집》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청나라의 군기대신 - 장정옥
    장정옥은 청나라 3대에 걸쳐 활약한 한족 관료로, 옹정제의 신임을 받아 군기처의 초기 구성원이 되어 주요 정책 결정에 관여하고 《명사》 편찬을 주도했으며, 사후 태묘에 배향되는 영예를 누렸으나 만년에는 건륭제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 청나라의 군기대신 - 좌종당
    좌종당은 청나라 말 군인이자 정치가로, 태평천국의 난, 둥간 혁명, 신장 수복 등 주요 사건에서 활약하며 신장 지역의 야쿱 벡의 난을 진압하고 신장성 설치를 건의하여 국토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복강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어필평정대만이십공신상찬에 있는 복강안의 초상화. 18세기 그림.
성씨푸차
자 (字)요림 (瑤林)
시호문양 (文襄)
작위패륵 품계 가용공 1등 공
칭호가용 바투루
관직
군기대신 임기 시작1783년
군기대신 임기 종료1784년
군기대신 임기 시작1776년
군기대신 임기 종료1777년
군기대신 임기 시작1772년
군기대신 임기 종료1772년
무영전대학사 임기 시작1792년
무영전대학사 임기 종료1796년
무영전대학사 겸임아계
무영전대학사 전임아계
협판대학사 임기 시작1786년
협판대학사 임기 종료1792년
이부상서 임기 시작1786년
이부상서 임기 종료1792년
이부상서 겸임유용(1789년까지), 팽원서 (1789년–1791년), 손시의(1791년부터)
이부상서 전임화신
이부상서 후임금간
양광총독 임기 시작1789년 2월 19일
양광총독 임기 종료1793년 9월 14일
양광총독 전임손시의
양광총독 후임창린
개인 정보
출생일1748년
사망일1796년
친척부항 (아버지), 효현순황후 (고모), 건륭제 (이모부 및 소문상의 친아버지), 영련 (아버지의 사촌), 고륜화정공주 (아버지의 사촌), 영총 (아버지의 사촌), 서비 (외숙모)
소속청나라
깃발양황기 만주족 양황기
군사 정보
복무청나라군
참전금천전역, 임상문 사건, 청-네팔 전쟁, 묘족 반란 (1795년–1806년)

2. 주요 전투 및 사건

복강안은 여러 주요 전투와 사건에 참여하여 군사적 업적을 쌓았다. 1784년 감숙성에서 살라르족이 일으킨 자흐리야 수피 반란을 아구이, 리시야오와 함께 진압했고,[9][10] 니오후루 허션은 진압에 실패하여 소환되었다.[11]

1787년 대만에서 임상문이 주도한 반란이 일어났다. 건륭제는 복강안을 장군으로, 해란찰을 참찬대신으로 임명하여 대만으로 파견했다.[14] 복강안은 루강진에 상륙하여 여러 마을을 되찾고, 가의현 포위를 푸는 데 성공했으나,[17][18] 복건성 해군제독 시대기(柴大紀)를 처형하는 등 논란을 일으켰다.[19] 이후 복강안은 임상문과 장대전을 생포하여 반란을 진압했다.[21]

1790년 네팔 구르카 군대가 티베트를 침공하자, 건륭제는 복강안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군대를 파견했다. 복강안은 청-네팔 전쟁에서 협상을 통해 군대를 보호하기도 했다.[23]

2. 1. 자흐리야 수피 반란 진압 (1784년)

1784년 감숙성의 살라르족이 일으킨 자흐리야 수피 반란(Jahriyya Sufi Revolt)을 복강안은 아구이, 리시야오와 함께 진압했다.[9][10] 니오후루 허션은 반란 진압에 실패하여 소환되었다.[11]

2. 2. 임상문 사건 (1787년)

1787년(건륭 20년) 대만에서 청나라를 몰아내려는 비밀결사조직 천사회(天四會)의 지도자 임상문이 군대를 일으켰다. 이들은 대만지부(台湾知府) 손경수(孫景燧), 이번동지(理番同知) 장경(張庚), 북로협부장(北路协副将) 혁생액(赫生額)을 살해하였다.[12] 봉산현(鳳山縣)의 장대전(庄大田)도 이에 호응하여 군대를 일으켰고, 대만 대부분이 임상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3]

2. 2. 1. 반란 발발

1787년(건륭 20년) 대만에서 청나라를 몰아내려는 비밀결사조직 천사회(天四會)의 지도자 임상문(林爽文)이 군대를 일으켰다. 그들은 대만지부(台湾知府) 손경수(孫景燧), 이번동지(理番同知) 장경(張庚), 북로협부장(北路协副将) 혁생액(赫生額)을 살해하였다.[12]

봉산현(鳳山縣)에 있던 장대전(庄大田)도 이에 호응하여 군대를 집결시켰고, 대만 대부분이 임상문(林爽文)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3]

2. 2. 2. 복강안의 출정 및 가의현 포위전

건륭제는 복강안을 장군으로, 해란찰을 참찬대신(参赞大臣)으로 임명하여 대만으로 원정을 떠나게 했다.[14] 복강안은 지금의 대만 장화현 남서쪽에 있는 루강진에 상륙하였고, 청나라군은 위창(劉昌)을 비롯한 여러 마을을 되찾았다.[17]

해질녘에 폭우가 내리자 복강안은 군대를 산정상으로 이동시켰고, 어두운 산 아래를 공격하기 위해 불화살을 날리게 했다. 해가 뜨고 비가 그치자, 해란찰의 군대가 합류했고, 가의현(嘉義縣)의 포위는 풀렸다. 그리하여 복강안은 가궁공(嘉宮公)이라는 칭호를 받고, 홍옥석(루비) 모자와 사단용포복(四團龍補服)을 상으로 받았다.[18]

2. 2. 3. 진압 과정 및 논란

1787년(건륭 20년), 복강안은 가의현을 지켜낸 복건성 해군제독 시대기(柴大紀)를 질책했다. 시대기가 활과 칼로 무장한 채 복강안을 알현했기 때문이었다. 복강안은 군인들에게 도박과 매춘을 허용하고, 소금을 사적으로 판매하여 급여를 주도록 하였으며, 임상문의 반란이 시대기의 방치로 커졌다고 비판했다.[19]

해란찰은 시대기를 변호했다. 건륭제는 칙령을 내려 시대기와 해란찰이 복강안 앞에서 예절을 지키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복강안도 대신으로서의 품위를 가지라고 했다. 그러나 시대기는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되었다. 당시 여론은 시대기가 억울하게 죽었다고 여겼고, 복강안은 인재에 대한 질투가 심하며 아버지 푸차 푸헝보다 훨씬 못하다고 평가했다. 복강안은 해란찰을 탄핵하여 좌천시켰다.[19]

복주장군 항서(恒瑞)의 사단은 진격하지 못했지만, 복강안은 사촌동생인 그를 적극 보호했고, 건륭제는 복강안의 이기심을 질책하는 칙령을 내렸다.[20]

임상문의 생포


같은 해 12월, 복강안의 청나라 군대는 임상문의 반란군을 진압했다. 복강안은 해란찰에게 임상문을 추격하도록 명령했다. 임상문은 생포되어 베이징으로 보내졌고,[21] 봉산현(鳳山縣)에 있던 장대전(庄大田)까지 생포되면서 대만은 평정되었다.

2. 3. 청-네팔 전쟁 (1790-1793년)

1790년 네팔 구르카 군대가 티베트를 침공했다. 제8대 달라이 라마 참빼갸초는 라싸에서 탈출하여 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했다. 건륭제는 복강안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군대를 보냈다. 복강안은 군대를 보호하기 위해 청-네팔 전쟁의 협상에 나서기도 했다.[23]

3. 관작

시기관작/작위/시호
1776년 ~ 1784년삼등가용남(三等嘉勇男) / 삼등 가용남작(三等嘉勇男)
1784년 ~ 1787년일등가용후(一等嘉勇侯) / 일등 가용후작(一等嘉勇侯)
1787년 ~ 1793년일등가용공(一等嘉勇公) / 일등 가용공작(一等嘉勇公)
1793년 ~ 1796년충예가용공(忠銳嘉勇公) / 충예 가용공작(忠銳嘉勇公)
사후가용군왕(嘉勇郡王)
사후문양(文襄)


4. 대중문화

김용의 소설 《서검은구록》과 《비호외전》에 등장한다.[1] 2019년 드라마 《연희공략 2》에서 왕이저가 연기했으며,[2] 2022년 드라마 《설산비호외전》에서는 예샹밍이 연기했다.[3]

참조

[1] 기타 Anonymous 1795
[2] 웹사이트 Fuk'anggan https://web.archive.[...] Academia Sinica 2018-01-05
[3] 간행물 Fu-k'ang-an
[4] 간행물 Li Shih-yao
[5] 간행물 Ho-shên
[6] 간행물 A-kuei
[7] 웹사이트 Nepal and Tibetan conflict https://web.archive.[...] Official website of Nepal Army 2017-04-29
[8] 웹인용 "Fuk'anggan" http://npmhost.npm.g[...] Academia Sinica 2023-11-24
[9] 웹인용 "Fu-k'ang-an" .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 https://en.wikisourc[...]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3-11-24
[10] 웹인용 "Li Shih-yao" .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 https://en.wikisourc[...]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3-11-24
[11] 웹인용 "Ho-shên".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 https://en.wikisourc[...]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3-11-24
[12] 서적 乾隆传
[13] 서적 中国通史纲要
[14] 서적 乾隆传
[15] 서적 乾隆朝东华录
[16] 서적 清史稿
[17] 서적 啸亭杂录
[18] 서적 啸亭杂录
[19] 서적 明清档案
[20] 서적 清史稿
[21] 서적 乾隆传
[22] 서적 清史稿
[23] 웹인용 Nepal and Tibetan conflict http://nepalarmy.mil[...] Nepalese Army 2023-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