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에서 운행되는 무인 운전 방식의 경전철이다. 2005년 우진산전과 구매 계약을 체결하여 2009년 시운전을 거쳐 도입되었다. 차량 디자인은 시민 설문 조사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4호선 노선색인 푸른색과 부산시의 상징을 담아 디자인되었다. 알루미늄 더블 스킨 구조와 고무 차륜을 사용하여 경량화 및 소음 감소를 실현했으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안평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경전철운영사업소
    경전철운영사업소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유일의 지상역으로,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의 입·출고 및 검수 관리를 담당하며,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안평기지간이역이 위치한다.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낙민역
    2011년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낙민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으로 운영되는 지하역으로, 주변에 동래경찰서, 낙민초등학교, 충렬사 등의 공공기관과 동래고등학교, 동래시장 등의 시설이 위치하며 동해선 동래역과 인접하여 환승이 용이하다.
  • 우진산전의 철도 차량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는 서울 4호선에서 운행되며 VVVF 인버터 제어 방식과 스테인리스 차체를 최초로 채용하고 볼스터리스 대차와 LED 전광판 형태의 차내 행선 안내 게시기를 설치한 것이 특징으로, 현재 노후 차량 교체 작업이 진행 중이며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구간에서 운행된다.
  • 우진산전의 철도 차량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에서 2량 1편성으로 운행되는 경전철 차량으로, 검단오류역부터 운연역 구간을 운행하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1차로 37편성, 2021년에 6편성이 추가 도입되어 제3궤조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기본 정보
4000계 전동차
4000계 전동차
차량 이름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운영사부산교통공사
노선 색상'#217dcb'
차량 정보
량수6량
MT비6M[1]
전기 방식직류 750V 제3궤조
제어 방식VVVF-IGBT (미쓰비시제) 2레벨 1C2M 제어
차륜 배열1′A′+1′A′+1′A′+1′A′+1′A′+A′1′
영업 최고 속도ATP/ATO 구간 60km/h
설계 최고 속도70km/h
기동 가속도3.5km/h/s
감속도 (영업 시)3.5km/h/s
감속도 (비상 시)4.5km/h/s
전동기 출력110kW
차량 정원 (선두차)58명
차량 정원 (중간차)58/60명
전체 길이9,140mm
전체 폭2,400mm
전체 높이3,500mm
차량 중량12t
편성 중량72t
대차고무 타이어 1축 대차
궤간1,800mm
구동 장치농형 3상 유도전동기
보안 장치ATP/ATO [수동 운전.자동 운전]
제동 방식공기 제동 및 회생 제동 병용
제작사우진산전
제작 연도2008년~2009년
생산량17개 편성 102량
기타 정보
비고우진산전 자료 참조[2]

2. 역사

2005년 9월 13일 조달청 공고 후 2005년 10월 14일 우진산전과 구매 계약이 체결되었다. 2006년 7월 27일 차량 조감도가 확정되었고, 2007년 5월 16일부터 5월 19일까지 부산에서 열린 세계 철도 물류 전시회에서 시제차량 품평회가 개최되었다. 2008년 6월 9일부터 9월 10일까지 경산 경전철 시험선에 차량이 반입되어 주행 시험이 이루어졌으며, 2009년 4월 8일 안평차량사업소 내에서 시운전이 실시되었다.[3] 2008년부터 2009년에 걸쳐 17개 편성, 총 102량이 제작되었다.

2. 1. 개발 및 도입

2005년 9월 13일 조달청 공고를 거쳐, 2005년 10월 14일 우진산전과 구매 계약이 체결되었다.[3] 2006년 7월 27일 차량 조감도가 확정되었고,[3] 2007년 5월 16일부터 5월 19일까지 부산에서 열린 세계 철도 물류 전시회에서 시제차량 품평회가 개최되었다.[3] 2008년 6월 9일부터 9월 10일까지 경산 경전철 시험선에 차량이 반입되어 주행 시험이 이루어졌으며,[3] 2009년 4월 8일 안평차량사업소 내에서 시운전이 실시되었다.[3] 2008년부터 2009년에 걸쳐 17개 편성, 총 102량이 제작되었다.[3]

3. 설계

우진산전은 일본의 철도차량 디자인 업체인 DSH(GK 디자인 총연 히로시마)에 디자인을 의뢰하여 10개의 안을 만들었다. 이후 대한민국 대학 교수, 우진산전 기술진, 부산교통공사가 자체 심사하여 3개 안을 선정하였다. 2006년 부산광역시 홈페이지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3개 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현재의 디자인 안은 참여 시민 1650명 중 72%의 지지를 받았다. 대한민국에서 시민을 상대로 전동차 디자인 설문조사를 한 것은 최초이다.[4]

전체적인 디자인은 신교통 시스템의 이미지와 부산시의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로, 의정부 경전철, 부산-김해 경전철과 같이 제3궤조 방식으로 전류를 공급받는다. 무인 운전으로 운행되지만, 필요에 따라 운전사가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3. 1. 디자인

우진산전은 일본의 철도차량 디자인 업체인 DSH(GK 디자인 총연 히로시마)에 디자인을 의뢰하여 10개의 안을 만들었다. 이후 대한민국 대학 교수, 우진산전 기술진, 부산교통공사가 자체 심사하여 3개 안을 선정하였다. 2006년 부산광역시 홈페이지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3개 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현재의 디자인 안은 참여 시민 1650명 중 72%의 지지를 받았다. 대한민국에서 시민을 상대로 전동차 디자인 설문조사를 한 것은 최초이다.[4]

전체적인 디자인은 신교통 시스템의 이미지와 부산시의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4호선의 노선 색인 푸른색을 사용하였고,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 로고가 있다. 차량 앞부분과 전체적인 외형은 바다와 돛단배를 형상화하였다. 곡선과 유선형을 적절히 활용하였다. 차량 실내는 밝은 느낌을 주는 흰색 계열을 사용하였고, 바닥과 객실 의자는 파란색 계열을 사용하였다.

3. 2. 기술 사양

차체는 알루미늄 더블 스킨 대형 압출합금재를 사용하여 경량화되었다. 대한민국 최초로 고무차륜을 사용했는데, 철제 차륜보다 급경사 및 급커브에 강하며 소음이 적다. 타이어 펑크에 대비하여 알루미늄 안전 차륜이 안에 들어 있고, 타이어 자체는 질소로 충전되어 있다.

그동안의 도시 철도 노선에서는 완전 무인 운전이 이론적으로는 가능했지만 실제 영업에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전동차에서는 대한민국 최초로 영업 무인 운전을 시작하였다. 운전대는 설치되어 있지만 평상시 영업 운전 시에는 잠겨 있고 사용하지 않는다. 운전대 안에는 TCMS를 비롯한 운전 계기들이 배치되어 있다. 양 끝에 CCTV를 설치하여 객실 상황을 감시할 수 있고, 종합사령실로 실시간 전송된다.

1개 편성은 3대의 추진 제어장치가 총 6개의 전동기를 2대씩 개별적으로 제어하며, 일본 미쓰비시 사의 VVVF-IGBT 제어를 사용한다. 보조 전원장치로는 IGBT를 사용한다. 편성 전체가 동력차로 구성된다. 주 전동기는 110kW 급의 4극 농형 3상 유도전동기(KST-110)[5]을 사용한다.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다. 집전 방식은 의정부 경전철이나 부산-김해 경전철 등과 마찬가지로 선로에서 전류를 공급하는 제3궤조 방식이 채택되었다. 무인 운전으로 운행되지만, 필요에 따라 운전사가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부는 일반적인 전동차와 같다. 무인 운전이기 때문에 열차 앞뒤의 창을 통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디자인은 제작사인 우진산전이 GK 디자인 총연 히로시마에 의뢰하여 제안된 10개의 디자인 안을 추가로 좁혀, 최종 후보로 남은 3개의 디자인 안을 시민 투표를 통해 선정된 것을 채택했다.

4. 편성

6량 17개 편성으로, 대한민국 경전철 중 1편성당 길이가 가장 길고 편성 구성 차량 수가 가장 많다. 편성 정원은 총 322명이다.


  • Mc: 동력 운전객대
  • M: 동력객차
  • 40XX, 41XX, 42XX, 43XX, 44XX, 45XX: 객차 번호
  • ¹, ², ³, ⁴: 칸 코드

객차번호좌석 및 입석가능수
40XXMc¹ (좌석 18, 입석 34 [총 52])
41XXM¹ (좌석 22, 입석 30 [총 52])
42XXM² (좌석 24, 입석 30 [총 54])
43XXM³ (좌석 24, 입석 30 [총 54])
44XXM⁴ (좌석 22, 입석 30 [총 52])
45XXMc² (좌석 18, 입석 34 [총 52])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다. 의정부 경전철, 부산-김해 경전철과 같이 제3궤조 방식으로 전류를 공급받는다. 무인 운전으로 운행되지만, 필요에 따라 운전사가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내부는 일반적인 전동차와 같으며, 무인 운전이므로 열차 앞뒤 창을 통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5. 배속


  • 401~417편성: 안평차량사업소 소속, 6량

6. 현재 운행 구간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전 구간 (미남 - 안평)

7. 현황

차호도입 시기비고
401 편성2008년운행 중
402 편성운행 중
403 편성운행 중
404 편성운행 중
405 편성운행 중
406 편성운행 중
407 편성운행 중
408 편성운행 중
409 편성2009년운행 중
410 편성운행 중
411 편성운행 중
412 편성운행 중
413 편성운행 중
414 편성운행 중
415 편성운행 중
416 편성운행 중
417 편성운행 중



2008년부터 2009년에 걸쳐 17개 편성, 총 102량이 제작되었다.

8. 비상시 주의사항

터널 내 선로 옆에는 항상 전기가 흐르고 있어, 무단으로 임의 하차 시 감전될 위험이 있다.[1]

참조

[1] 문서
[2] 웹인용 (주)우진산전 - 부산도시철도 4호선 고무차륜형식 경량전철 차량 http://www.wjis.co.k[...] 2016-04-17
[3] 뉴스 부산 도시철도 '고무바퀴 차량' 8일 시승식 http://www.kookje.co[...] 2009-04-07
[4] 뉴스 도시철도 '반송선' 디자인 시민이 뽑았다 http://www.kookje.co[...] 2006-08-07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