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부산시민공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부산시민공원은 일제강점기 경마장, 미군 기지(캠프 하야리아)를 거쳐 조성된 공원이다. 한국 전쟁 시기 부산은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캠프 하야리아는 미군의 주요 보급 기지 역할을 했다. 2006년 부산시에 반환된 후 환경 정화 과정을 거쳐 2014년 5월 1일 개장했다. 공원역사관, 하야리아 잔디광장 등 다양한 시설과 부전천, 전포천 등의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용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부산진구 - 서면 (부산)
    서면은 부산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서면교차로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상업 지역과 다양한 상권 및 시설들이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부산 도시철도 서면역과 버스 노선이 집중된 시내 교통의 요충지로서, 1930년대 이후 급속한 발전을 거쳐 현재 부산의 대표적인 도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부산 부산진구 - 부산광역시립부전도서관
    부산광역시립부전도서관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으로, 1963년 부산시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198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공원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부산광역시의 공원 - 이기대 도시자연공원
    이기대 도시자연공원은 약 8~7천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안산암질 화산암류와 응회질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지질학적 가치가 높고, '이기대'라는 이름은 좌수영 남쪽 두 기생의 무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여러 영상 매체에도 등장한 곳이다.
  • 2014년 설립 - 태권도원
    태권도원은 태권도 진흥을 위해 전라북도 무주군에 조성된 태권도 관련 시설이며, 1997년 건립 건의를 시작으로 2014년 개관하여 체험, 수련, 상징 공간과 조경 공간을 갖추고 있다.
  • 2014년 설립 - 송상현광장
    송상현광장은 부산진구에 위치한 광장으로, 송상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문화 행사와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3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시민공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부산시민공원
한글 표기부산시민공원
한자 표기釜山市民公園
영어 표기Busan Citizens Park
위치부산진구, 부산광역시, 대한민국
면적528,278 m²
개장일2014년 5월 1일
관리부산시설공단
공식 웹사이트부산시민공원 공식 웹사이트
역사
이전 명칭캠프 하야리아
반환미군 기지 반환 (2010년 1월 27일)
특징
주요 시설거울연못
산책로

2. 역사

일제강점기 현재 부산시민공원 부지에는 조선경마협회 소유 경마장이 있었고, 이 지역은 일본의 항복까지 부산의 일본군 사령부 역할을 했다.[2]

1945년 9월 17일 미군은 히알리아 캠프(Camp Hialeah)를 장악하고 1948년 말까지 주둔하다가 미국 영사관과 유엔에 시설 관리권을 넘겼다.[3]

한국 전쟁 당시 부산은 중요한 전략적·물류적 요충지였다. 1950년 9월 5일까지 조선인민군은 부산 주변 방어선 주변 유엔군 교두보를 제외한 한반도 대부분을 장악했다. 미군은 부산항 시설을 통제하며 막대한 전투 병력 지원을 처리했고, 8069 보충 부대가 히알리아 캠프를 운영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정전 협정 체결 후 부산항 시설 대부분은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히알리아 캠프는 8069 보충 부대, 한국 통신 지역, 부산 군사 주둔지, 부산 지역 사령부, 부산 기지 사령부, 제2 수송단, 부산 지원 활동, 주한미군 부산 주둔지, 제34 및 제20 지원단, 제19 극장 지역 사령부, 지역 IV, 제20 지역 지원단 등 여러 사령부와 임무를 수행했다.

히알리아 캠프는 대한민국 내 미군 기지에 물자, 장비, 보급품, 상품을 공급하는 주요 거점이었고, 대한민국 내외 미군 인원의 비전투원 대피 작전(NEO) 주요 경로 중 하나였다. 최대 2,500명의 미군 및 국방부 민간 직원이 캠프 및 관련 시설에서 근무했다.[1]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지침에 따라 2006년 8월 10일 캠프 하야리아는 공식적으로 부산광역시에 반환되었다.[2] 이후 5가지 테마와 29개의 개별 시설을 갖춘 부산시민공원으로 재개발되어 2014년 5월 1일 개장했다. 공원 건물 중 일부는 개조된 군 기지 건물(퀀셋 헛)이다.

2. 1. 일제강점기 (경마장 시대)

일제강점기 동안, 현재 부산시민공원 부지 중심부를 둘러싼 경마장은 조선경마협회() 소유였다. 미국 수병이 방문했을 때 플로리다주 히알리아(Hialeah, Florida)의 히알리아 공원 경마장(Hialeah Park Race Track)을 따라 진영의 이름을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

이 지역은 일본의 항복까지 부산의 일본군 사령부 역할을 했다.

2. 2. 미군정 시기 및 한국전쟁 (캠프 하야리아)

미군은 1945년 9월 17일 히알리아 캠프(Camp Hialeah)의 지휘권을 장악하고 1948년 말까지 주둔하다가, 시설 관리권을 미국 영사관과 유엔에 넘겼다.[3]

한국 전쟁 당시 부산은 중요한 전략적·물류적 중계 지역이었다. 1950년 9월 5일까지 조선인민군은 부산 주변 방어선 주변 유엔군 교두보를 제외한 한반도 대부분을 장악했다. 부산항 시설은 미군의 통제하에 있어 막대한 전투 병력 지원 요구를 처리했으며, 8069 보충 부대가 히알리아 캠프를 운영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정전 협정이 체결된 후 부산항 시설 대부분은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히알리아 캠프는 여러 사령부와 임무 하에 편성되었다. 여기에는 8069 보충 부대, 한국 통신 지역, 부산 군사 주둔지, 부산 지역 사령부, 부산 기지 사령부, 제2 수송단, 부산 지원 활동, 주한미군 부산 주둔지, 제34 및 제20 지원단, 제19 극장 지역 사령부, 지역 IV, 제20 지역 지원단이 포함된다.

히알리아 캠프는 대한민국 내 미군 기지에 대한 물자, 장비, 보급품 및 상품의 주요 수령 지점이었으며, 대한민국 내외 미군 인원의 주요 비전투원 대피 작전(NEO) 경로 중 하나였다. 히알리아 캠프는 다음과 같은 임차 부대를 지원했다.

  • 142 보급대대 (현재 제142 전투지원지원대대로 지정됨)
  • 부산 저장 시설 (미국 주한군 내에서 가장 큰 냉장 시설로, 한국 전역의 구매소와 교환소에 대한 물품 및 상품을 보관)
  • 제61 화학중대
  • 제552 헌병중대
  • 제4 보급 파견대 (공수)


히알리아 캠프가 지원하는 기타 임차 활동은 다음과 같다.

  • 전투 준비 태세 컨틴전시 병원의 공군 부대 인원
  • 제25 수송대대
  • 김해 공군기지의 통신 부대 및 AMC 터미널
  • 제837 수송대대
  • 수송 자동차 정비소
  • 국방 계약 관리 사령부-김해
  • 미국 군사 해상 수송 사령부 작전, 미국 해군
  • 제74 신호중대
  • 국방 재이용 관리 작전
  • 제주도 휴양 센터
  • 제72 야전포병대대; C 중대
  • 제168 의무대대
  • 제106 의무 파견대
  • 형사 수사국
  • 해군 특수 수사국
  • 미 공군 특수 수사국
  • 제665 의무 (치과) 파견대
  • 제524 군사 정보 대대
  • 제1 신호여단
  • 제154 의무 파견대


캠프 및 관련 시설에는 최대 2,500명의 미군 및 국방부 민간 직원이 근무했다.[1]

2. 3. 미군 주둔 시기 (1953년 ~ 2006년)

1945년 9월 17일 미군은 히알리아 캠프(Camp Hialeah)의 지휘권을 장악하고 1948년 말까지 주둔하다가, 시설 관리권을 미국 영사관과 유엔에 넘겼다.[3]

한국 전쟁 당시 부산은 중요한 전략적·물류적 중계 지역이었다. 1950년 9월 5일까지 조선인민군은 부산 주변 방어선 주변 유엔군 교두보를 제외한 한반도 대부분을 장악했다. 부산항 시설은 미군의 통제하에 있어 막대한 전투 병력 지원 요구를 처리했으며, 8069 보충 부대가 히알리아 캠프를 운영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정전 협정이 체결된 후 부산항 시설 대부분은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히알리아 캠프는 여러 사령부와 임무 하에 편성되었다. 여기에는 8069 보충 부대, 한국 통신 지역, 부산 군사 주둔지, 부산 지역 사령부, 부산 기지 사령부, 제2 수송단, 부산 지원 활동, 주한미군 부산 주둔지, 제34 및 제20 지원단, 제19 극장 지역 사령부, 지역 IV, 제20 지역 지원단이 포함된다.

히알리아 캠프는 대한민국 내 미군 기지에 대한 물자, 장비, 보급품 및 상품의 주요 수령 지점이었으며, 대한민국 내외 미군 인원의 주요 비전투원 대피 작전(NEO) 경로 중 하나였다. 히알리아 캠프는 다음과 같은 임차 부대를 지원했다.

  • 142 보급대대 (현재 제142 전투지원지원대대로 지정됨)
  • 부산 저장 시설 (미국 주한군 내에서 가장 큰 냉장 시설로, 한국 전역의 구매소와 교환소에 대한 물품 및 상품을 보관)
  • 제61 화학중대
  • 제552 헌병중대
  • 제4 보급 파견대 (공수)


히알리아 캠프가 지원하는 기타 임차 활동에는 전투 준비 태세 컨틴전시 병원의 공군 부대 인원, 제25 수송대대, 김해 공군기지의 통신 부대 및 AMC 터미널, 제837 수송대대, 수송 자동차 정비소, 국방 계약 관리 사령부-김해, 미국 군사 해상 수송 사령부 작전(미국 해군), 제74 신호중대, 국방 재이용 관리 작전, 제주도 휴양 센터, 제72 야전포병대대 C 중대, 제168 의무대대, 제106 의무 파견대, 형사 수사국, 해군 특수 수사국, 미 공군 특수 수사국, 제665 의무 (치과) 파견대, 제524 군사 정보 대대, 제1 신호여단, 제154 의무 파견대가 포함된다.

캠프 및 관련 시설에는 최대 2,500명의 미군 및 국방부 민간 직원이 근무했다.[1]

2. 4. 부산시 반환 및 공원 조성 (2006년 ~ 2014년)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지침에 따라, 미군과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 표준 및 인프라를 갖춘 시설이 필요했다. 2005년 6월 1일, 미국과 대한민국 간의 개정된 토지 파트너십 계획에 따라 캠프 하야리아가 폐쇄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 마지막으로 이 기지를 떠난 부대는 한국 반도에 재배치된 제72 야전포병대대와 제6 한국군수지원대대였다. 제552헌병대대, 제4 보급대대(공수), 제61 화학대대는 각각 하와이 스코필드 막사, 알래스카,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로 재배치되었다.[1]

2006년 8월 10일, 캠프 하야리아는 공식적으로 부산광역시에 반환되었다.[2] 미국과 한국 정부는 캠프의 환경 정화 문제에 대해 의견이 달랐고, 이로 인해 한국이 정화 비용을 부담하기로 합의될 때까지 4년 동안 재개발이 지연되었다.[4] 2010년 4월 24일부터 9월 30일까지는 재개발을 위해 폐쇄되기 전에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5]

부산시민공원은 5가지 테마와 29개의 개별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재개발되었다.[6] 부지 3곳에서 환경 오염이 발견됨에 따라 공원 개장이 지연되었으나, 2014년 5월 1일에 개장했다. 공원 건물 중 일부는 몇몇 퀀셋 헛(Quonset hut)을 포함한 개조된 군 기지 건물이다.

3. 시설

부산시민공원에는 공원역사관(옛 장교클럽), 하야리아 잔디광장, 방문자센터, 문화예술촌(옛 부대 하사관 숙소), 뽀로로도서관(옛 퀀셋 막사), 흔적광장(옛 영화관), 시민사랑채(옛 학교), 다솜관(옛 장교 관사), 숲속북카페(옛 사령관 관사), 참여의 정원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공원 내에는 부전천과 전포천이 흐른다.

3. 1. 주요 시설

부산시민공원은 5가지 테마와 29개의 개별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재개발되었다.[6] 공원은 2014년 5월 1일에 개장했다. 공원 건물 중 일부는 퀀셋 헛을 포함한 개조된 군 기지 건물이다.

  • 공원역사관 (옛 장교클럽)
  • 하야리아 잔디광장
  • 방문자센터
  • 문화예술촌 (옛 부대 하사관 숙소)
  • 뽀로로도서관 (옛 퀀셋 막사)
  • 흔적광장 (옛 영화관)
  • 시민사랑채 (옛 학교)
  • 다솜관 (옛 장교 관사)
  • 숲속북카페 (옛 사령관 관사)
  • 참여의 정원
  • 부전천
  • 전포천

3. 2. 자연환경

부산시민공원은 5가지 테마와 29개의 개별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재개발되었다.[6] 공원 부지 3곳에서 환경 오염이 발견되어 개장이 지연되기도 했지만, 2014년 5월 1일에 개장했다. 공원 건물 중 일부는 퀀셋 헛(Quonset hut)을 포함한 개조된 군 기지 건물을 활용하였다.

공원 내에는 부전천과 전포천이 흐른다.

4. 교통

부산시민공원은 대중교통으로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시내버스, 도시철도, 한국철도공사 노선(기차)을 이용하여 공원 근처에 하차할 수 있다.

4. 1. 시내버스

노선경유 도로
5-1, 10, 20, 29, 31, 33, 43, 52, 57, 62, 77, 80, 83, 86, 87, 99, 103, 110-1, 111, 129-1, 141, 1010, 1002(심야)중앙대로
54, 63, 81, 83-1, 88, 133새싹로
33, 44, 63, 179동평로
54, 83-1월드컵대로


4. 2. 도시 철도

4. 3.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부전역

참조

[1] 웹사이트 부산 시민 공원(釜山市民公園) - 부산역사문화대전 https://busan.grandc[...] 2024-08-09
[2] 웹사이트 Army bids adieu to Camp Hialeah https://web.archive.[...] 2013-05-20
[3] 웹사이트 Retreat ceremony planned for closing of Camp Hialeah http://www.stripes.c[...] 2013-05-20
[4] 웹사이트 S.Korea to Pay for Cleanup of US Base in Busan https://www.koreatim[...] 2010-01-14
[5] 웹사이트 The former Camp Hialeah to open to the public from April 24 http://english.busan[...] 2013-05-20
[6] 웹사이트 Establishing Busan Citizens Park https://web.archive.[...] 2013-05-20
[7] 뉴스 ‘하야리아’ 다시 품었다”…반환 현장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1-27
[8] 뉴스 '드디어 시민의 품에'…부산시민공원, 첫 손님맞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4-15
[9] 뉴스 하늘에서 본 부산시민공원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4-04-01
[10] 뉴스 ‘하야리아’ 다시 품었다”…반환 현장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4-19
[11] 뉴스 '드디어 시민의 품에'…부산시민공원, 첫 손님맞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4-19
[12] 뉴스 하늘에서 본 부산시민공원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4-04-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