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찬가는 부산을 주제로 한 노래이다. 윤평원이 작사하고 이범희가 작곡했으며, 정훈희와 윤시내가 불렀다. 1983년 가사 공모를 시작으로, 작곡 공모 및 제정 공모를 거쳐 1984년 9월 25일부터 보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에 관한 노래 - 돌아와요 부산항에
1971년 김해일의 "돌아와요 충무항에"를 원곡으로 하는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황선우 작곡, 김성술 작사의 부산과 한국을 대표하는 노래로, 조용필 리메이크와 일본 번안을 통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가사 내용 차이 및 저작권 표절 소송 등의 이슈도 있다. - 부산광역시의 상징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부산광역시의 상징 - 부산광역시기
부산광역시기는 흰색 바탕에 부산의 영문 이니셜 'B'와 'S'를 형상화한 심벌 마크, 동백꽃과 갈매기를 배치하여 부산의 자연환경과 문화를 표현하며, 파란색, 흰색, 빨간색으로 바다, 순수함과 평화, 열정을 상징하는 깃발이다. - 1984년 노래 - 시간 나라의 앨리스/여름옷의 이브
시간 나라의 앨리스/여름옷의 이브는 1984년에 발매된 싱글 앨범으로, 타이틀곡 〈시간 나라의 앨리스〉와 〈여름옷의 이브〉를 수록하고 있으며, 오리콘 차트에서 47.7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 1984년 노래 - 핑크 모차르트
마츠다 세이코가 1984년 발표한 싱글 핑크 모차르트는 가네보 화장품 가을 이미지 송으로, 마츠모토 타카시 작사, 호소노 하루오미 작곡 및 편곡으로 오리콘 차트 42.4만 장 판매, 베스트 앨범 수록, 나카가와 쇼코 커버, 유리 프리즘 동시 수록 등의 특징을 가진다.
부산찬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곡명 | 부산찬가 |
작사 | 조지훈 |
작곡 | 박태준 |
제정 | 1955년 11월 1일 |
언어 | 한국어 |
음원 정보 | |
설명 | |
제정 배경 | 부산시가 시가 제정 필요성을 느껴, 전국에 현상 공모하여 선정된 곡 |
특징 | 일제강점기 이후 부산시민의 애환과 재건 의지를 담고 있음 |
활용 | 부산시 주요 행사 및 시민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 |
기타 | |
관련 정보 | 가사 정보는 위키문헌에서 확인 가능 부산시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노래임 |
2. 곡 정보
〈부산찬가〉는 윤평원이 작사하고, 이범희가 작곡했으며, 정훈희와 윤시내가 부른 노래이다.
2. 1. 가사
'''1절'''오륙도한국어 굽이치는 검푸른 자락
다섯뭍 여섯바다 잇닿은 물결
끝임없이 넘나드는 검푸른 자락
달빛마저 먼저오라 내고장 부산
달빛마저 먼저오라 내고장 부산
'''2절'''
찬란한 아침해가 오륙도한국어를 비추면
희망이 넘친다 보람찬 우리살림
거리마다 여울지는 정다운 노래소리
우리모두 이룩하자 밝은 내고장
우리의 부산 부산 우리들의 보금자리
'''3절'''
수평선 바라보며 푸른 꿈을 키우고 파도 소리 들으며 가슴 설레이는
여기는 부산 희망의 고향 꿈 많은 사람들이 정답게 사는 곳
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아 너와 나의 부산
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아 너와 나의 부산 영원하리
'''4절'''
뱃고동 울리며 정든 님 찾아오고 웃음 띤 얼굴로
서로 손 잡는 여기는 부산 사랑의 고향 정 많은 사람들이 정답게 사는 곳
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아 너와 나의 부산
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아 너와 나의 부산 영원하리
2. 2. 제작 정보
작사: 윤평원한국어, 작곡: 이범희, 노래: 정훈희, 윤시내.3. 역사
釜山讚歌중국어는 1983년 가사 및 작곡 공모를 시작으로, 1984년 제정 공모를 거쳐 같은 해 9월부터 보급되기 시작했다.
구분 | 내용 |
---|---|
가사 공모 | 1983년 6월 2일 ~ 7월 2일[1] |
작곡 공모 | 1983년 9월 12일 ~ 9월 26일 |
제정 공모 | 1984년 6월 15일[1] |
보급 시작 | 1984년 9월 25일 (카세트 테이프, 릴테이프, 악보 등)[1] |
3. 1. 공모 과정
釜山讚歌중국어는 1983년 6월부터 9월까지 가사 및 작곡 공모를 진행하였다. 가사 공모는 1983년 6월 2일부터 7월 2일까지 진행되었고,[1] 작곡 공모는 1983년 9월 12일부터 9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공모 분야 | 기간 |
---|---|
가사 공모 | 1983년 6월 2일 ~ 7월 2일 |
작곡 공모 | 1983년 9월 12일 ~ 9월 26일 |
3. 2. 제정 및 보급
부산찬가|釜山讚歌중국어는 1984년 6월 제정 공모를 거쳐[1] 1984년 9월부터 카세트 테이프, 릴테이프, 악보 등을 통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1]구분 | 내용 |
---|---|
가사 공모 | 1983년 6월 2일 ~ 7월 2일 |
작곡 공모 | 1983년 9월 12일 ~ 9월 26일 |
제정 공모 | 1984년 6월 15일 |
보급 시작 | 1984년 9월 25일 (카세트 테이프, 릴테이프, 악보 등)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