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제1호 ~ 제10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은 부여군에서 지정한 유형, 무형의 문화유산을 통칭한다. 1985년 5월 8일 부여 신리 삼층석탑을 시작으로, 100호까지 지정되어 있으며, 석탑, 고분군, 사찰, 가옥, 유적, 향교, 서원, 읍성, 은행나무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유산이 포함된다. 부여군은 이러한 향토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 예산 지원, 전문 인력 운영, 보수 및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광 상품 개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역 주민 참여 유도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향후 훼손 위험에 처한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관리 강화, 새로운 문화유산 발굴,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향토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목록은 다음과 같다.
2. 목록
번호 명칭 소재지 지정일 1 부여 신리 삼층석탑 부여읍 신리 156-1 1985년 05월 08일 2 부여 능산리 고분군 부여읍 능산리 산15 1985년 05월 08일 3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읍 동남리 55 1985년 05월 08일 4 부여 구아리 백제고분군 부여읍 구아리 208 1985년 05월 08일 5 부여 석조 부여읍 동남리 58-1 1985년 05월 08일 6 부여 왕흥사지 부여읍 왕흥리 산2 1985년 05월 08일 7 부여 부소산성 부여읍 부소산 1985년 05월 08일 8 부여 수북정 부여읍 쌍북리 164 1985년 05월 08일 9 부여 사비성 부여읍 일원 1985년 05월 08일 10 부여 백제고도 부여읍 일원 1985년 05월 08일 11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읍 관북리 727-1 1985년 05월 08일 12 부여 군수리 사지 부여읍 군수리 109 1985년 05월 08일 13 부여 만수산 무량사 부여읍 만수산길 211 1985년 05월 08일 14 부여 대조사 부여읍 대조사로 405 1985년 05월 08일 15 부여 고란사 부여읍 고란사로 39 1985년 05월 08일 16 부여 부소산 낙화암 부여읍 부소산 1985년 05월 08일 17 부여 신동엽 생가 부여읍 동남로 52 1985년 05월 08일 18 부여 홍산현 관아 홍산면 홍산로 267 1985년 05월 08일 19 부여 홍산 동헌 홍산면 홍산로 267 1985년 05월 08일 20 부여 홍산 객사 홍산면 홍산로 267 1985년 05월 08일 21 부여 홍산 향교 홍산면 교촌리 467 1985년 05월 08일 22 부여 임천향교 임천면 옥산리 199 1985년 05월 08일 23 부여 규암리 은행나무 규암면 규암리 53 1985년 05월 08일 24 부여 은산 별신제 은산면 은산리 일원 1985년 05월 08일 25 부여 장암면 지석묘군 장암면 점상리 산34-1 1985년 05월 08일 26 부여 반산리 지석묘군 반산면 반산리 산17 1985년 05월 08일 27 부여 내산리 지석묘군 내산면 내산리 산12 1985년 05월 08일 28 부여 외산리 지석묘군 외산면 외산리 산31 1985년 05월 08일 29 부여 초촌면 지석묘군 초촌면 산직리 산7 1985년 05월 08일 30 부여 세도면 지석묘군 세도면 가화리 산10 1985년 05월 08일 31 부여 양화면 지석묘군 양화면 입포리 산54 1985년 05월 08일 32 부여 충화면 지석묘군 충화면 오덕리 산12-1 1985년 05월 08일 33 부여 은산면 지석묘군 은산면 신대리 산10 1985년 05월 08일 34 부여 석성면 지석묘군 석성면 현내리 산25 1985년 05월 08일 35 부여 장암면 도성리 유적 장암면 도성리 395 1985년 05월 08일 36 부여 석성 금강서원 석성면 정각리 146 1985년 05월 08일 37 부여 임천 가화리 미륵불 임천면 가화리 171 1985년 05월 08일 38 부여 은산 회암리 팽나무 은산면 회암리 238-1 1985년 05월 08일 39 부여 홍산 읍내리 팽나무 홍산면 읍내리 325 1985년 05월 08일 40 부여 임천면 성흥산성 임천면 군사리 산3 1985년 05월 08일 41 부여 은산면 거사리 산성 은산면 거사리 산1 1985년 05월 08일 42 부여 양화면 와초리 산성 양화면 와초리 산1 1985년 05월 08일 43 부여 석성면 가천리 산성 석성면 가천리 산1 1985년 05월 08일 44 부여 옥산리 고분군 임천면 옥산리 산3-1 1985년 05월 08일 45 부여 세도면 간대리 고분군 세도면 간대리 산11 1985년 05월 08일 46 부여 부여향교 대성전 부여읍 향교로 42 1985년 05월 08일 47 정흥인 묘역 부여읍 동남리 산30-1 1985년 05월 08일 (2008년 12월 01일 해제) 48 부여 사산리 고분군 부여읍 사산리 429 1988년 12월 16일 49 부여 규암리 석불입상 규암면 규암리 72-4 1989년 06월 03일 50 부여 구룡사 대웅전 부여읍 구룡로 52 1989년 06월 03일 51 부여 신암사 대웅전 외산면 신암리 179 1989년 06월 03일 52 부여 석성 읍내리 석탑 석성면 읍내리 169 1990년 05월 02일 53 부여 가탑리 삼층석탑 은산면 가탑리 136-2 1990년 05월 02일 54 부여 임천 부수리 삼층석탑 임천면 부수리 246-1 1990년 05월 02일 55 부여 규암 오층석탑 규암면 규암리 548 1990년 05월 02일 56 부여 증산리 삼층석탑 부여읍 증산리 157 1990년 05월 02일 57 부여 백강서원 부여읍 동남리 172 1990년 05월 02일 58 부여 정동리 석불좌상 부여읍 정동리 376 1990년 05월 02일 59 부여 능산리 쌍북 석불좌상 부여읍 능산리 466 1990년 05월 02일 60 부여 저산성 부여읍 저산리 산5 1990년 05월 02일 61 부여 금성산성 규암면 진변리 산1 1990년 05월 02일 62 부여 왕포리 고분군 부여읍 왕포리 산3-1 1990년 05월 02일 63 부여 은산 회암리 고분군 은산면 회암리 303-1 1990년 05월 02일 64 부여 석성 중교리 고분군 석성면 중교리 산7 1990년 05월 02일 65 부여 임천 부수리 유태사 묘 임천면 부수리 산27 1993년 09월 28일 66 부여 석성 정각사 석성면 정각리 215 1993년 09월 28일 67 부여 충화 오덕사 어필각 충화면 오덕리 318 1993년 09월 28일 68 부여 부산서원 고문서 부여읍 동남리 172 1993년 09월 28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69 부여 조왕사 석탑 부여읍 동남리 58-1 1993년 09월 28일 70 부여 무량사 영산전 부여읍 만수산길 211 1993년 09월 28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71 부여 만수산 무량사 석등 부여읍 만수산길 211 1993년 09월 28일 72 부여 임천 대조사 목조보살좌상 임천면 대조사로 405 1993년 09월 28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73 부여 고란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보살좌상 부여읍 고란사로 39 1993년 09월 28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74 부여 임천향교 임천면 옥산리 199 1993년 09월 28일 75 부여 규암리 은행나무 규암면 규암리 53 1993년 09월 28일 76 부여 임천 금강사지 임천면 군사리 32 1993년 09월 28일 77 부여 홍산현 동헌 홍산면 홍산로 267 1994년 11월 07일 78 부여 홍산현 아문 홍산면 홍산로 267 1994년 11월 07일 79 부여 홍산 읍내리 느티나무 홍산면 읍내리 111-2 1994년 11월 07일 80 부여 홍산 북촌리 느티나무 홍산면 북촌리 221-1 1994년 11월 07일 81 부여 석성 북촌리 느티나무 석성면 북촌리 195 1994년 11월 07일 82 부여 석성 북촌리 팽나무 석성면 북촌리 186 1994년 11월 07일 83 부여 홍산객사 은행나무 홍산면 홍산리 267 1994년 11월 07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84 부여 임천 부수리 은행나무 임천면 부수리 342 1994년 11월 07일 85 부여 석성 읍내리 느티나무 석성면 읍내리 176 1994년 11월 07일 86 부여 석성 읍내리 은행나무 석성면 읍내리 142 1994년 11월 07일 87 부여 장암 구암리 은행나무 장암면 구암리 300 1994년 11월 07일 88 부여 장암 지석묘군 장암면 점상리 산34-1 1994년 11월 07일 89 부여 홍산현 감리 홍산면 홍산로 267 1994년 11월 07일 90 부여 석성면 정각리 고분군 석성면 정각리 산44 1994년 11월 07일 91 부여 석성 정각사 목조보살좌상 석성면 정각리 215 1994년 11월 07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92 부여 홍산 북촌리 고분군 홍산면 북촌리 산16 1994년 11월 07일 93 부여 세도면 간대리 고분군 세도면 간대리 산11 1994년 11월 07일 94 부여 양화면 와초리 고분군 양화면 와초리 산1 1994년 11월 07일 95 부여 양화면 입포리 고분군 양화면 입포리 산54 1994년 11월 07일 96 부여 세도면 고당리 고분군 세도면 고당리 산12 1994년 11월 07일 97 부여 홍산 청천리 고분군 홍산면 청천리 산1 1994년 11월 07일 98 부여 외산면 만수리 고분군 외산면 만수리 산1 1994년 11월 07일 99 부여 외산면 수신리 고분군 외산면 수신리 산5 1994년 11월 07일 100 부여 부여읍 쌍북리 고분군 부여읍 쌍북리 산8-1 1994년 11월 07일
부여군에는 다양한 향토문화유산이 존재하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과거 부여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해제된 문화유산도 있다.
해제된 문화유산들은 각기 다른 사유로 지정이 해제되었지만, 부여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2. 1. 표 정보
번호 | 그림 | 명칭 | 소재지 | 소유자(관리자) | 지정/해제일자 | 비고 |
---|---|---|---|---|---|---|
1 | 부여 신리 구석기 유적 | 부여군 부여읍 신리 183-1번지 일원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 | 부여 합송리 고분군 | 부여군 부여읍 합송리 산 14-1번지 일원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 | 부여 가탑리 석조미륵보살입상 | 부여군 내산면 가탑리 산 104-1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 | 부여 무량사 석등 | 무량사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07) | 무량사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 무량사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07) | 무량사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 | 부여 대조사 대웅전 | 대조사 (부여군 은산면 신중리 59) | 대조사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 | 부여 대조사 극락전 | 대조사 (부여군 은산면 신중리 59) | 대조사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 | 부여 만수산 백련사 대웅전 | 백련사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 31) | 백련사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 | 부여 만수산 백련사 극락전 | 백련사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 31) | 백련사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0 | 부여 임천향교 대성전 | 임천향교 (부여군 임천면 548) | 임천향교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1 | 부여 임천향교 명륜당 | 임천향교 (부여군 임천면 548) | 임천향교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2 | 부여 부소산성 |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일원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3 | 부여 정암사지 오층석탑 |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 21-1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4 | 부여 능산리사지 |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105-1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5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105-1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6 | 부여 왕흥사지 | 부여군 부여읍 왕흥리 318-1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7 | 부여 부여읍 쌍북리 고분군 |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 11-1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8 | 부여 가림성 | 부여군 임천면 가림리 산 1-1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9 | 부여 석성산성 |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산 1-1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0 | 부여 구드래 조각공원 | 부여군 부여읍 구드래길 9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1 | 부여 낙화암 |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2 | 부여 궁남지 | 부여군 부여읍 궁남로 5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3 | 부여 서동요 |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7-1 일원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4 | 부여 고란사 |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5 | 부여 사비성 | 부여군 부여읍 일원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6 | 부여 정림사지 | 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7 | 부여 백제역사재현단지 |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575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8 | 부여 백제고도보존사업 | 부여군 부여읍 일원 | 부여군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29 | 부여 구교리 은행나무 | 부여군 장암면 구교리 329-2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0 | 부여 장암면 지석묘군 |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산 55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1 | 부여 은산별신제 | 부여군 은산면 일원 | 은산별신제보존회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2 | 부여 외산면 만수리 은행나무 |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423-1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3 | 부여 세도면 간대리 은행나무 | 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216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4 | 부여 규암리 오층석탑 |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 191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5 | 부여 규암리 미륵불 |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 172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6 | 부여 임천면 가화리 느티나무 | 부여군 임천면 가화리 49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7 | 부여 충화면 천등산 은행나무 | 부여군 충화면 천등산 10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8 | 부여 양화면 송암리 은행나무 | 부여군 양화면 송암리 255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39 | 부여 초촌면 진호리 느티나무 | 부여군 초촌면 진호리 125-2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0 | 부여 은산면 거전리 느티나무 | 부여군 은산면 거전리 135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1 | 부여 은산면 신중리 은행나무 | 부여군 은산면 신중리 240-1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2 | 부여 석성면 현내리 느티나무 |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 250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3 | 부여 석성면 봉암리 은행나무 | 부여군 석성면 봉암리 281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4 | 부여 석성면 석성리 느티나무 | 부여군 석성면 석성리 159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5 | 부여 부여읍 동남리 느티나무 |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3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6 | 부여 부여읍 쌍북리 은행나무 |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294-1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7 | 부여 부여읍 구교리 느티나무 | 부여군 부여읍 구교리 252-1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8 | 부여 은산면 거전리 산신제 | 부여군 은산면 거전리 109 | 거전리산신제보존회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49 | 부여 임천면 부수리 느티나무 | 부여군 임천면 부수리 230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0 | 부여 석성면 기산리 느티나무 | 부여군 석성면 기산리 41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1 | 부여 홍산현감 정응두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2 | 부여 홍산현감 이성헌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3 | 부여 홍산현감 김이화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4 | 부여 홍산현감 조상우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5 | 부여 홍산현감 김시주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6 | 부여 홍산현감 권익중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7 | 부여 홍산현감 김응규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8 | 부여 홍산현감 이정진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59 | 부여 홍산현감 신후조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0 | 부여 홍산현감 황세영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1 | 부여 홍산현감 송정호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2 | 부여 홍산현감 윤병렬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3 | 부여 홍산현감 유한석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4 | 부여 홍산현감 이기항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5 | 부여 홍산현감 조희순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6 | 부여 홍산현감 한용진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7 | 부여 홍산현감 정창조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8 | 부여 홍산현감 최익현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69 | 부여 홍산현감 정기호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0 | 부여 홍산현감 조기종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1 | 부여 홍산현감 이진동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2 | 부여 홍산현감 심상훈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3 | 부여 홍산현감 민치형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4 | 부여 홍산현감 홍순칠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5 | 부여 홍산현감 조광진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6 | 부여 홍산현감 이성찬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7 | 부여 홍산현감 신관수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8 | 부여 홍산현감 조병규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79 | 부여 홍산현감 이종원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0 | 부여 홍산현감 최병철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1 | 부여 홍산현감 이원규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2 | 부여 홍산현감 이인택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3 | 부여 홍산현감 유병진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4 | 부여 홍산현감 박규현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5 | 부여 홍산현감 김병주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6 | 부여 홍산현감 이헌석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7 | 부여 홍산현감 윤병호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8 | 부여 홍산현감 김기수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89 | 부여 홍산현감 심형구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0 | 부여 홍산현감 양주환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1 | 부여 홍산현감 이시영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2 | 부여 홍산현감 민병석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3 | 부여 홍산현감 조경호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4 | 부여 홍산현감 김관현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5 | 부여 홍산현감 황종억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6 | 부여 홍산현감 한봉래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7 | 부여 홍산현감 이재호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8 | 부여 홍산현감 윤성호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99 | 부여 홍산현감 이병갑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
100 | 부여 홍산현감 임기원 선정비 |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 | 개인 | 2000년 01월 01일 지정 |
2. 2. 주요 문화유산 소개
임천 유태사 묘는 고려시대 고승인 유태 스님의 묘로, 부여군 임천면 부수리에 위치해 있다. 유태 스님은 선종의 고승으로, 고려 시대 불교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묘역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으며, 유태 스님의 행적을 기리는 비석과 석등 등이 있다. 유태사 묘는 고려 시대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지역 주민들에게는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고 있다.충화 오덕사 어필각은 조선 시대 왕실과 관련된 유물들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이다. 오덕사는 본래 사찰이었으나, 현재는 어필각만 남아 있다. 어필각에는 왕의 어필(御筆, 임금이 직접 쓴 글씨)과 관련된 자료들이 보관되어 있으며, 조선 시대 왕실의 권위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어필각은 부여 지역의 역사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며, 지역 주민들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역할을 한다.
부여 조왕사 석탑은 백제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조왕사 터에 남아 있다. 석탑은 3층으로, 백제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조왕사 석탑은 백제 시대의 건축 기술과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부여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 중 하나이다. 석탑의 보존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부여군에는 다양한 향토문화유산들이 존재하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관광 자원으로서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부여군은 이러한 문화유산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2. 3. 해제된 문화유산
과거 부여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해제된 문화유산은 다음과 같다.- 47호: 정흥인 묘역은 2008년 12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현재는 문화재 지정에서 해제되었지만, 정흥인 선생의 묘역은 여전히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장소로 남아있다.
- 68호: 부여 부산서원 고문서는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부산서원은 조선 시대의 서원으로, 고문서는 서원의 역사와 유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았으나, 해제 이후에도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70호: 무량사 영산전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무량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된 고찰로, 영산전은 석가모니불을 모시는 전각이다. 영산전은 해제 이후에도 사찰의 중요한 건물로 남아 있으며, 불교 신자들과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 72호: 임천 대조사 목조보살좌상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대조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목조보살좌상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해제 이후에도 대조사에 보존되어 있으며, 종교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73호: 부여 고란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보살좌상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고란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보살좌상은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들은 고란사에 보존되어 있으며, 고란사의 역사와 불교 미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83호: 홍산객사 은행나무는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홍산객사는 조선 시대에 지방 관청의 부속 건물로, 은행나무는 객사 앞에 심어진 나무이다. 은행나무는 해제 이후에도 홍산객사의 역사적 가치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물로 남아있다.
- 91호: 석성 정각사목조보살좌상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정각사는 석성면에 위치한 사찰로, 목조보살좌상은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정각사에 보존되어 있으며, 지역 불교 신자들의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해제된 문화유산들은 각기 다른 사유로 인해 지정이 해제되었지만, 부여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지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3. 각 유산별 상세 정보
각 향토문화유산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번호 | 명칭 | 지정일 | 해제일 | 소유자 및 관리자 | 비고 |
---|---|---|---|---|---|
1 | 부여 석조 | 1985년 11월 27일 | |||
2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 1985년 11월 27일 | |||
3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1985년 11월 27일 | |||
4 | 부여 능산리 고분군 | 1985년 11월 27일 | |||
5 | 부여 부소산성 | 1985년 11월 27일 | |||
6 | 부여 구아리 백제 고분군 | 1985년 11월 27일 | |||
7 | 부여 왕흥사지 | 1985년 11월 27일 | |||
8 | 부여 수북정 | 1985년 11월 27일 | |||
9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1985년 11월 27일 | |||
10 | 부여 백제역사재현단지 | 1985년 11월 27일 | |||
11 | 부여 신동엽 생가 | 1985년 12월 20일 | 시인 신동엽이 태어나 성장한 곳으로, 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있다. 신동엽은 4.19 혁명과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시를 많이 썼으며, 그의 생가는 민주주의 정신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생가에는 그의 시집과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문학 강좌 및 문화 행사 공간으로 활용된다. 신동엽의 문학 세계와 그의 시대적 고민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다. | ||
12 | 부여 김종서 묘소 | 1985년 12월 20일 | |||
13 | 부여 이남규 가옥 | 1985년 12월 20일 | |||
14 | 부여 임천 백일헌 | 1985년 12월 20일 | |||
15 | 부여 만수산 무량사 | 1985년 12월 20일 | |||
16 | 부여 사산 영각사 대웅전 | 1985년 12월 20일 | |||
17 | 부여 반교리 삼층석탑 | 1985년 12월 20일 | |||
18 | 부여 가탑리 석탑 | 1985년 12월 20일 | |||
19 | 부여 송국리 유적 | 1985년 12월 20일 | |||
20 | 부여 부여향교 | 1985년 12월 20일 | |||
21 | 부여 구교리 백제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
22 | 부여 장암리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
23 | 부여 합송리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백제 시대의 고분군으로,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고분군에서는 백제 시대의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백제의 매장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합송리 고분군은 백제 고분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며, 부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고분군의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
24 | 부여 금성산성 | 1985년 12월 20일 | |||
25 | 부여 임천향교 | 1985년 12월 20일 | |||
26 | 부여 부여군 관아 | 1985년 12월 20일 | |||
27 | 부여 규암리 백제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
28 | 부여 외산면 만수산 일원 | 1985년 12월 20일 | |||
29 | 부여 홍산현 관아 | 1985년 12월 20일 | |||
30 | 부여 홍산 객사 | 1985년 12월 20일 | |||
31 | 부여 홍산 동헌 | 1985년 12월 20일 | |||
32 | 부여 홍산 아문 | 1985년 12월 20일 | |||
33 | 부여 홍산 향교 | 1985년 12월 20일 | |||
34 | 부여 장하리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
35 | 부여 백강서원 | 1985년 12월 20일 | |||
36 | 부여 부리면 신정리 은행나무 | 1985년 12월 20일 | |||
37 | 부여 양화면 신왕리 은행나무 | 1985년 12월 20일 | |||
38 | 부여 은산 별신제 | 1985년 12월 20일 | |||
39 | 부여 양화면 와초리 석불입상 | 1990년 12월 29일 | |||
40 | 부여 초촌면 산직리 석불입상 | 1990년 12월 29일 | |||
41 | 부여 규암면 신성리 석탑 | 1990년 12월 29일 | |||
42 | 부여 은산면 가중리 석탑 | 1990년 12월 29일 | |||
43 | 부여 석성산성 | 1990년 12월 29일 | |||
44 | 부여 내산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45 | 부여 장암리 사지 | 1990년 12월 29일 | |||
46 | 부여 홍산 읍성 | 1990년 12월 29일 | |||
47 | 부여 임천 읍성 | 1990년 12월 29일 | |||
48 | 부여 초촌면 진등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49 | 부여 석성 읍성 | 1990년 12월 29일 | |||
50 | 부여 임천면 옥산리 석불좌상 | 1990년 12월 29일 | |||
51 | 부여 석성 서천군 절터 | 1990년 12월 29일 | |||
52 | 부여 옥산리 산신각 | 1990년 12월 29일 | |||
53 | 부여 규암면 증산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54 | 부여 석성 동헌 | 1990년 12월 29일 | |||
55 | 부여 외산면 반교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56 | 부여 장암면 점상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57 | 부여 석성향교 | 1990년 12월 29일 | |||
58 | 부여 석성 객사 | 1990년 12월 29일 | |||
59 | 부여 임천 백호정 | 1990년 12월 29일 | |||
60 | 부여 임천면 가화리 석탑 | 1990년 12월 29일 | |||
61 | 부여 임천면 답상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2 | 부여 외산면 장항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3 | 부여 은산면 신대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4 | 부여 초촌면 추양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5 | 부여 은산면 대양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6 | 부여 초촌면 산직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7 | 부여 규암면 외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8 | 부여 은산면 거전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9 | 부여 옥산리 미륵불 | 1990년 12월 29일 | |||
70 | 부여 초촌면 진등리 석탑 | 1990년 12월 29일 | |||
71 | 부여 은산면 와야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72 | 부여 외산면 만수산성 | 1990년 12월 29일 | |||
73 | 부여 옥산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4 | 부여 석성 남산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5 | 부여 초촌면 진등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6 | 부여 은산면 거전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7 | 부여 규암면 진변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8 | 부여 세도면 가회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9 | 부여 은산 별신제 | 1990년 12월 29일 | 은산 별신제는 부여 지역에서 전승되는 전통적인 별신제 의례이다. | ||
80 | 부여 구룡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2002년 12월 27일 | |||
81 | 부여 구룡사 목조지장보살좌상 | 2002년 12월 27일 | |||
82 | 부여 구룡사 팔상전 | 2002년 12월 27일 | |||
83 | 부여 구룡사 대웅전 | 2002년 12월 27일 | |||
84 | 부여 부소산 백화정 | 2003년 11월 20일 | |||
85 | 부여 반교리 사지 | 2003년 11월 20일 | |||
86 | 부여 덕양서원 | 2003년 11월 20일 | |||
87 | 부여 임천면 옥산리 석조보살입상 | 2003년 11월 20일 | |||
88 | 부여 구교리 석불좌상 | 2003년 11월 20일 | |||
89 | 부여 세도면 간대리 은행나무 | 2004년 12월 30일 | |||
90 | 부여 장암면 점상리 은행나무 | 2004년 12월 30일 | |||
91 | 부여 석성면 정각리 은행나무 | 2004년 12월 30일 | |||
92 | 부여 부여군청사 | 2005년 12월 29일 | |||
93 | 부여 규암면 진변리 마애불 | 2006년 12월 29일 | |||
94 | 부여 홍산현감 내아 | 2006년 12월 29일 | |||
95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 2007년 12월 28일 | |||
96 | 부여 정암사 극락전 | 2008년 12월 26일 | |||
97 | 부여 임천면 옥산리 삼층석탑 | 2009년 12월 30일 | |||
98 | 부여 간경리 삼층석탑 | 2009년 12월 30일 | |||
99 | 부여 백제고도문화재단 | 2010년 12월 30일 | |||
100 | 부여 백제역사유적지구 | 2010년 12월 30일 |
3. 1. 명칭 및 소재지
번호 | 명칭 | 소재지 |
---|---|---|
1 | 부여 신동엽 생가 |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89 |
2 | 부여 주유소 |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518 |
3 | 부여 구교리 석조미륵보살입상 | 부여군 부여읍 구교리 205-1 |
4 | 부여 왕흥사지 사리장엄구 |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302-1 |
5 | 부여 정암리 5층석탑 | 부여군 부여읍 정암리 200-1 |
6 | 부여 석성산성 |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산 10 |
7 | 부여 합송리 고분군 | 부여군 충화면 합송리 산 24-1 |
8 | 부여 능산리 고분군 |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 13-1 |
9 | 부여 백제역사유물전시관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10 | 부여 백제원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11 | 부여 부소산성 |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3 |
12 | 부여 구드래 조각공원 | 부여군 부여읍 구교리 725-3 |
13 | 부여 수북정 |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372 |
14 | 부여 반산리 석조미륵보살입상 | 부여군 내산면 반산리 산 3 |
15 | 부여 만수산 무량사 대웅전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
16 | 부여 만수산 무량사 석탑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
17 | 부여 만수산 무량사 아미타불좌상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
18 | 부여 만수산 무량사 극락전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
19 | 부여 만수산 무량사 사적비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
20 | 부여 만수산 무량사 금고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
21 | 부여 백강서원 | 부여군 장암면 백강서원로 13 |
22 | 부여 세간사 대웅전 | 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132 |
23 | 부여 세간사 석조보살입상 | 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132 |
24 | 부여 보광사 대웅전 | 부여군 은산면 보광사로 451 |
25 | 부여 보광사 석탑 | 부여군 은산면 보광사로 451 |
26 | 부여 임천향교 | 부여군 임천면 옥천1길 11 |
27 | 부여 임천 대청 | 부여군 임천면 옥천1길 11 |
28 | 부여 홍산현 관아 | 부여군 홍산면 홍산로 292 |
29 | 부여 홍산 아문 | 부여군 홍산면 홍산로 292 |
30 | 부여 구룡사 대웅전 | 부여군 양화면 구룡길 102 |
31 | 부여 자온대 | 부여군 규암면 신리 543-1 |
32 | 부여 신리 3층석탑 | 부여군 규암면 신리 692 |
33 | 부여 수촌리 고분군 | 부여군 규암면 수촌리 177 |
34 | 부여 삼충사 | 부여군 충화면 삼충로 188 |
35 | 부여 의열사 |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 35 |
36 | 부여 가탑리 5층석탑 |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536 |
37 | 부여 석조관음보살입상 | 부여군 부여읍 석목리 산121 |
38 | 부여 청마산 봉수대 |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산 195-1 |
39 | 부여 능산리고분군 석조 |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13-1 |
40 | 부여 백제토기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41 | 부여 백제금동대향로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42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사리장치 | 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 |
43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석조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44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토기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45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금속공예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46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칠공예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47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불교조각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48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회화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49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서예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50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고문헌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51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복식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52 |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무기 |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53 | 부여 가림성 | 부여군 임천면 가림성로 136-22 |
54 | 부여 서혈사 대웅전 | 부여군 은산면 서천서혈로 101-10 |
55 | 부여 서혈사 석조보살입상 | 부여군 은산면 서천서혈로 101-10 |
56 | 부여 반교리 3층석탑 | 부여군 장암면 반교리 439 |
57 | 부여 장하리 고분군 |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209 |
58 | 부여 왕진사지 | 부여군 은산면 왕진길 191 |
59 | 부여 은산별신제 | 부여군 은산면 일원 |
60 | 부여 은산관아 | 부여군 은산면 은산로 48 |
61 | 부여 은산향교 | 부여군 은산면 은산로 44 |
62 | 부여 논티산성 | 부여군 은산면 가곡리 산 21-1 |
63 | 부여 임천 오층석탑 | 부여군 임천면 옥천1길 11 |
64 | 부여 내산리 석탑 | 부여군 내산면 내산리 350 |
65 | 부여 내산리 삼층석탑 | 부여군 내산면 내산리 350 |
66 | 부여 외산 대조사 대웅전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67 | 부여 외산 대조사 석탑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68 | 부여 외산 대조사 아미타불좌상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69 | 부여 외산 대조사 지장보살좌상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70 | 부여 외산 대조사 소조사천왕상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71 | 부여 외산 대조사 범종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72 | 부여 외산 대조사 신중도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73 | 부여 외산 대조사 칠성도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74 | 부여 외산 대조사 현왕도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75 | 부여 외산 대조사 독성도 |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
76 | 부여 구룡사 석조여래입상 | 부여군 양화면 구룡길 102 |
77 | 부여 송국사 대웅전 | 부여군 초촌면 송국사길 54 |
78 | 부여 송국사 석탑 | 부여군 초촌면 송국사길 54 |
79 | 부여 송국사 삼층석탑 | 부여군 초촌면 송국사길 54 |
80 | 부여 송국사 보광전 | 부여군 초촌면 송국사길 54 |
81 | 부여 초촌향교 | 부여군 초촌면 초촌로 51 |
82 | 부여 장암 장산서원 | 부여군 장암면 장하길 35 |
83 | 부여 장암 쌍수정 | 부여군 장암면 장하길 35 |
84 | 부여 규암 송촌고택 | 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8-1 |
85 | 부여 규암 김민규가옥 | 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6 |
86 | 부여 규암 황여일가옥 | 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06 |
87 | 부여 규암 이연호가옥 | 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08 |
88 | 부여 규암 이선행가옥 | 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0 |
89 | 부여 규암 나흥모가옥 | 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20 |
90 | 부여 규암 고대식가옥 | 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2 |
91 | 부여 규암 김규택가옥 | 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4 |
92 | 부여 규암 하운택가옥 | 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22 |
93 | 부여 규암 구교리 고분군 | 부여군 규암면 구교리 산 30 |
94 | 부여 세도 읍내리 고분군 | 부여군 세도면 읍내리 153 |
95 | 부여 세도 장산리고분군 | 부여군 세도면 장산리 산 4-1 |
96 | 부여 세도 봉대리 고분군 | 부여군 세도면 봉대리 산 5 |
97 | 부여 세도 고천리 고분군 | 부여군 세도면 고천리 산 11-1 |
98 | 부여 세도 청송리 고분군 | 부여군 세도면 청송리 산 14-1 |
99 | 부여 세도 내동리 고분군 | 부여군 세도면 내동리 산 31 |
100 | 부여 세도 동남리 고분군 | 부여군 세도면 동남리 산 16-1 |
3. 2. 소유자 및 관리자
소유자 및 관리자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3. 3. 지정 및 해제 일자
번호 | 명칭 | 지정일 | 해제일 |
---|---|---|---|
1 | 부여 석조 | 1985년 11월 27일 | |
2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 1985년 11월 27일 | |
3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1985년 11월 27일 | |
4 | 부여 능산리 고분군 | 1985년 11월 27일 | |
5 | 부여 부소산성 | 1985년 11월 27일 | |
6 | 부여 구아리 백제 고분군 | 1985년 11월 27일 | |
7 | 부여 왕흥사지 | 1985년 11월 27일 | |
8 | 부여 수북정 | 1985년 11월 27일 | |
9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1985년 11월 27일 | |
10 | 부여 백제역사재현단지 | 1985년 11월 27일 | |
11 | 부여 신동엽 생가 | 1985년 12월 20일 | |
12 | 부여 김종서 묘소 | 1985년 12월 20일 | |
13 | 부여 이남규 가옥 | 1985년 12월 20일 | |
14 | 부여 임천 백일헌 | 1985년 12월 20일 | |
15 | 부여 만수산 무량사 | 1985년 12월 20일 | |
16 | 부여 사산 영각사 대웅전 | 1985년 12월 20일 | |
17 | 부여 반교리 삼층석탑 | 1985년 12월 20일 | |
18 | 부여 가탑리 석탑 | 1985년 12월 20일 | |
19 | 부여 송국리 유적 | 1985년 12월 20일 | |
20 | 부여 부여향교 | 1985년 12월 20일 | |
21 | 부여 구교리 백제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
22 | 부여 장암리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
23 | 부여 합송리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
24 | 부여 금성산성 | 1985년 12월 20일 | |
25 | 부여 임천향교 | 1985년 12월 20일 | |
26 | 부여 부여군 관아 | 1985년 12월 20일 | |
27 | 부여 규암리 백제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
28 | 부여 외산면 만수산 일원 | 1985년 12월 20일 | |
29 | 부여 홍산현 관아 | 1985년 12월 20일 | |
30 | 부여 홍산 객사 | 1985년 12월 20일 | |
31 | 부여 홍산 동헌 | 1985년 12월 20일 | |
32 | 부여 홍산 아문 | 1985년 12월 20일 | |
33 | 부여 홍산 향교 | 1985년 12월 20일 | |
34 | 부여 장하리 고분군 | 1985년 12월 20일 | |
35 | 부여 백강서원 | 1985년 12월 20일 | |
36 | 부여 부리면 신정리 은행나무 | 1985년 12월 20일 | |
37 | 부여 양화면 신왕리 은행나무 | 1985년 12월 20일 | |
38 | 부여 은산 별신제 | 1985년 12월 20일 | |
39 | 부여 양화면 와초리 석불입상 | 1990년 12월 29일 | |
40 | 부여 초촌면 산직리 석불입상 | 1990년 12월 29일 | |
41 | 부여 규암면 신성리 석탑 | 1990년 12월 29일 | |
42 | 부여 은산면 가중리 석탑 | 1990년 12월 29일 | |
43 | 부여 석성산성 | 1990년 12월 29일 | |
44 | 부여 내산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45 | 부여 장암리 사지 | 1990년 12월 29일 | |
46 | 부여 홍산 읍성 | 1990년 12월 29일 | |
47 | 부여 임천 읍성 | 1990년 12월 29일 | |
48 | 부여 초촌면 진등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49 | 부여 석성 읍성 | 1990년 12월 29일 | |
50 | 부여 임천면 옥산리 석불좌상 | 1990년 12월 29일 | |
51 | 부여 석성 서천군 절터 | 1990년 12월 29일 | |
52 | 부여 옥산리 산신각 | 1990년 12월 29일 | |
53 | 부여 규암면 증산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54 | 부여 석성 동헌 | 1990년 12월 29일 | |
55 | 부여 외산면 반교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56 | 부여 장암면 점상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57 | 부여 석성향교 | 1990년 12월 29일 | |
58 | 부여 석성 객사 | 1990년 12월 29일 | |
59 | 부여 임천 백호정 | 1990년 12월 29일 | |
60 | 부여 임천면 가화리 석탑 | 1990년 12월 29일 | |
61 | 부여 임천면 답상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2 | 부여 외산면 장항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3 | 부여 은산면 신대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4 | 부여 초촌면 추양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5 | 부여 은산면 대양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6 | 부여 초촌면 산직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7 | 부여 규암면 외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8 | 부여 은산면 거전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69 | 부여 옥산리 미륵불 | 1990년 12월 29일 | |
70 | 부여 초촌면 진등리 석탑 | 1990년 12월 29일 | |
71 | 부여 은산면 와야리 고분군 | 1990년 12월 29일 | |
72 | 부여 외산면 만수산성 | 1990년 12월 29일 | |
73 | 부여 옥산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4 | 부여 석성 남산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5 | 부여 초촌면 진등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6 | 부여 은산면 거전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7 | 부여 규암면 진변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8 | 부여 세도면 가회리 은행나무 | 1990년 12월 29일 | |
79 | 부여 은산 별신제 | 1990년 12월 29일 | |
80 | 부여 구룡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2002년 12월 27일 | |
81 | 부여 구룡사 목조지장보살좌상 | 2002년 12월 27일 | |
82 | 부여 구룡사 팔상전 | 2002년 12월 27일 | |
83 | 부여 구룡사 대웅전 | 2002년 12월 27일 | |
84 | 부여 부소산 백화정 | 2003년 11월 20일 | |
85 | 부여 반교리 사지 | 2003년 11월 20일 | |
86 | 부여 덕양서원 | 2003년 11월 20일 | |
87 | 부여 임천면 옥산리 석조보살입상 | 2003년 11월 20일 | |
88 | 부여 구교리 석불좌상 | 2003년 11월 20일 | |
89 | 부여 세도면 간대리 은행나무 | 2004년 12월 30일 | |
90 | 부여 장암면 점상리 은행나무 | 2004년 12월 30일 | |
91 | 부여 석성면 정각리 은행나무 | 2004년 12월 30일 | |
92 | 부여 부여군청사 | 2005년 12월 29일 | |
93 | 부여 규암면 진변리 마애불 | 2006년 12월 29일 | |
94 | 부여 홍산현감 내아 | 2006년 12월 29일 | |
95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 2007년 12월 28일 | |
96 | 부여 정암사 극락전 | 2008년 12월 26일 | |
97 | 부여 임천면 옥산리 삼층석탑 | 2009년 12월 30일 | |
98 | 부여 간경리 삼층석탑 | 2009년 12월 30일 | |
99 | 부여 백제고도문화재단 | 2010년 12월 30일 | |
100 | 부여 백제역사유적지구 | 2010년 12월 30일 |
3. 4. 비고
각 향토문화유산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와 설명을 제공한다.|번호|명칭|지정일|소재지|비고|
|---|---|---|---|---|
|1|부여 정동창고|1985년 11월 15일|부여읍 동남리 140-3|일제강점기, 1938년 건립된 곡물창고. 근대 산업시설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2000년대 초반까지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부여군의 지원을 받아 보존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내부에는 창고로서의 기능과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교육 및 문화 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건축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2|구 부여군청사|1985년 11월 15일|부여읍 쌍북리 22-1|1920년대에 건립된 건물로, 일제강점기 행정 관청으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에도 오랫동안 군청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전쟁 당시에는 군청 건물 일부가 파괴되기도 했다. 현재는 부여군청이 이전하면서 역사적인 건축물로서 보존되고 있으며, 부여군의 근대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건물 외관과 내부 구조는 당시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3|부여 신동엽 생가|1990년 4월 30일|부여읍 신동리 109|시인 신동엽(申東曄, 1930-1969)이 태어나 성장한 곳으로, 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있다. 신동엽은 4.19 혁명과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시를 많이 썼으며, 그의 생가는 민주주의 정신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생가에는 그의 시집과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문학 강좌 및 문화 행사 공간으로 활용된다. 신동엽의 문학 세계와 그의 시대적 고민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다. |
|4|부여 백강정|1997년 12월 24일|구룡면 금사리 산 19-1|백강(白江)으로 불리는 금강변에 위치한 정자로, 뛰어난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 조선시대 문인들이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백제의 멸망과 관련된 슬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정자 주변에는 다양한 수종의 나무들이 심어져 있으며, 특히 봄에는 벚꽃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백강정은 부여의 아름다운 자연과 역사,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명소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5|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1997년 12월 24일|내산면 대율리 173|대조사(大鳥寺)에 위치한 석불로,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거대한 규모와 웅장한 조형미를 자랑하며, 고려시대 불교 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불상 주변에는 석등과 석탑 등 다른 석조 유물들이 남아 있으며, 대조사는 백제 부흥 운동과 관련된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석조미륵보살입상은 부여의 불교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산이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학술적 가치 또한 높다.|
|6|부여 가탑리 삼층석탑|1997년 12월 24일|장암면 가탑리 산 3|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으로, 가탑리 절터에 위치해 있다. 석탑은 전체적으로 단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백제 석탑의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석탑 주변에는 절터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부여 지역의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석탑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며, 주변 경관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
|7|부여 임천 오층석탑|1997년 12월 24일|임천면 군사리 150-1|고려시대에 건립된 오층석탑으로, 임천면의 한 사찰 터에 위치해 있다. 석탑은 여러 차례 보수되었지만, 전체적인 형태는 잘 유지하고 있다. 석탑 주변에는 석재 부재들이 흩어져 있어, 사찰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임천 오층석탑은 부여 지역의 석탑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석탑의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8|부여 삼충사|1997년 12월 24일|규암면 호계리 7|백제 부흥운동의 충신인 성충, 흥수, 계백을 모신 사당이다. 삼충사는 백제의 충절을 기리는 곳으로, 매년 제향이 열리고 있다. 사당에는 삼충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으며, 그들의 묘소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삼충사는 백제 역사를 기억하고, 충절 정신을 배우는 중요한 교육 공간으로 활용된다.|
|9|부여 충화산성|1997년 12월 24일|충화면 오지리 산 27-1|백제 시대에 축조된 산성으로, 부여 지역의 방어 시설 역할을 했다. 산성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으며,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다. 충화산성은 백제 시대의 축성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며, 부여 지역의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산성 주변에는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부여의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할 수 있다.|
|10|부여 합송리 고분군|1998년 3월 30일|내산면 합송리 197-1|백제 시대의 고분군으로,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고분군에서는 백제 시대의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백제의 매장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합송리 고분군은 백제 고분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며, 부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고분군의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4. 부여군의 문화유산 정책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부여군은 풍부한 향토문화유산을 바탕으로 관광 상품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각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문화유산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부여군은 역사적 가치를 지닌 향토문화유산을 활용, 관광객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백제 문화 관련 유물 전시 박물관 건립, 백제 유적지 탐방 관광 코스 개발, 백제 문화 축제 개최 등을 통해 관광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노력은 관광객 증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지역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백제 역사 및 문화를 학습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청소년들의 지역 문화 이해를 높이고 자긍심을 갖도록 장려하며, 일반 시민을 위한 문화 강좌 및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한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의 문화적 소양을 함양하고 지역 사회의 문화적 발전에 기여한다.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주민들이 문화유산 관련 행사에 참여하고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문화유산 보존에 기여하도록 장려하며, 문화유산 관련 상품 개발 참여 및 문화유산 해설사 활동을 지원한다. 이러한 주민 참여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지역 사회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4. 1. 문화유산 보존 노력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예산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매년 예산을 편성하여 문화유산의 보수, 정비, 그리고 훼손 방지를 위한 사업을 지원한다. 이러한 재정적 지원은 문화유산의 물리적 보존뿐만 아니라,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 및 학술 활동을 활성화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다음으로, 부여군은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운영하여 문화유산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고 있다. 문화재 전문 관리인을 배치하여 문화유산의 일상적인 관리, 훼손 방지, 안전 점검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문화재 관련 전문가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보수 및 복원 사업 역시 부여군의 중요한 노력 중 하나이다. 낡고 훼손된 문화유산을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기 위해 정기적인 보수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역사적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에 대해서는 면밀한 고증과 철저한 조사를 거쳐 복원 사업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화유산이 지역 사회와 함께 호흡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또한, 복원된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을 훌륭하게 보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 자긍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부여군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통해 소중한 문화유산을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4. 2. 문화유산 활용 방안
부여군은 풍부한 향토문화유산을 바탕으로 관광 상품 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각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더 나아가 문화유산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부여군은 역사적인 가치를 지닌 향토문화유산을 활용하여 관광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상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대표적으로, 백제 문화와 관련된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 건립, 백제 유적지를 탐방하는 관광 코스 개발, 그리고 백제 문화를 주제로 한 문화 축제를 개최하여 관광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부여군을 찾는 관광객 수를 증가시키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역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백제 역사 및 문화를 학습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청소년들이 지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긍심을 갖도록 장려하고 있다. 더불어, 일반 시민들을 위한 문화 강좌 및 체험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소양을 함양하고, 지역 사회의 문화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 관련 행사에 참여하고,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문화유산 보존에 기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 관련 상품 개발에 참여하고, 문화유산 해설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주민 참여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더욱 널리 알리고, 지역 사회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을 활용하여 관광 상품 개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주민 참여 유도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역량 강화, 그리고 지역 사회의 문화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부여군은 앞으로도 향토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널리 활용하여,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어 나갈 것이다.
5. 향후 과제 및 전망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향토문화유산 관련 정책 수립 및 시행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한다. 공청회, 간담회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 결정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원봉사 활동 등을 장려하여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향토문화유산은 지역 사회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보존하고 활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문화유산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5. 1. 보존 관리 강화
부여군은 훼손 위험에 처한 향토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예산 지원을 확대하고, 전문 인력을 충원하여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문화유산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 조치를 강화하고, 훼손된 문화유산에 대한 복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새로운 문화유산을 발굴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되어야 한다.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숨겨진 문화유산을 찾아내야 한다. 발굴된 문화유산은 체계적으로 조사, 연구, 기록하여 보존하고, 이를 통해 부여군의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2. 지역 사회와의 협력 강화
부여군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우선, 향토문화유산 관련 정책 수립 및 시행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청회, 간담회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 결정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원봉사 활동 등을 장려하여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향토문화유산은 지역 사회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보존하고 활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문화유산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