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제1호 ~ 제1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은 부여군에서 지정한 유형, 무형의 문화유산을 통칭한다. 1985년 5월 8일 부여 신리 삼층석탑을 시작으로, 100호까지 지정되어 있으며, 석탑, 고분군, 사찰, 가옥, 유적, 향교, 서원, 읍성, 은행나무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유산이 포함된다. 부여군은 이러한 향토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 예산 지원, 전문 인력 운영, 보수 및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광 상품 개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역 주민 참여 유도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향후 훼손 위험에 처한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관리 강화, 새로운 문화유산 발굴,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향토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2. 목록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1부여 신리 삼층석탑부여읍 신리 156-11985년 05월 08일
2부여 능산리 고분군부여읍 능산리 산151985년 05월 08일
3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부여읍 동남리 551985년 05월 08일
4부여 구아리 백제고분군부여읍 구아리 2081985년 05월 08일
5부여 석조부여읍 동남리 58-11985년 05월 08일
6부여 왕흥사지부여읍 왕흥리 산21985년 05월 08일
7부여 부소산성부여읍 부소산1985년 05월 08일
8부여 수북정부여읍 쌍북리 1641985년 05월 08일
9부여 사비성부여읍 일원1985년 05월 08일
10부여 백제고도부여읍 일원1985년 05월 08일
11부여 관북리 유적부여읍 관북리 727-11985년 05월 08일
12부여 군수리 사지부여읍 군수리 1091985년 05월 08일
13부여 만수산 무량사부여읍 만수산길 2111985년 05월 08일
14부여 대조사부여읍 대조사로 4051985년 05월 08일
15부여 고란사부여읍 고란사로 391985년 05월 08일
16부여 부소산 낙화암부여읍 부소산1985년 05월 08일
17부여 신동엽 생가부여읍 동남로 521985년 05월 08일
18부여 홍산현 관아홍산면 홍산로 2671985년 05월 08일
19부여 홍산 동헌홍산면 홍산로 2671985년 05월 08일
20부여 홍산 객사홍산면 홍산로 2671985년 05월 08일
21부여 홍산 향교홍산면 교촌리 4671985년 05월 08일
22부여 임천향교임천면 옥산리 1991985년 05월 08일
23부여 규암리 은행나무규암면 규암리 531985년 05월 08일
24부여 은산 별신제은산면 은산리 일원1985년 05월 08일
25부여 장암면 지석묘군장암면 점상리 산34-11985년 05월 08일
26부여 반산리 지석묘군반산면 반산리 산171985년 05월 08일
27부여 내산리 지석묘군내산면 내산리 산121985년 05월 08일
28부여 외산리 지석묘군외산면 외산리 산311985년 05월 08일
29부여 초촌면 지석묘군초촌면 산직리 산71985년 05월 08일
30부여 세도면 지석묘군세도면 가화리 산101985년 05월 08일
31부여 양화면 지석묘군양화면 입포리 산541985년 05월 08일
32부여 충화면 지석묘군충화면 오덕리 산12-11985년 05월 08일
33부여 은산면 지석묘군은산면 신대리 산101985년 05월 08일
34부여 석성면 지석묘군석성면 현내리 산251985년 05월 08일
35부여 장암면 도성리 유적장암면 도성리 3951985년 05월 08일
36부여 석성 금강서원석성면 정각리 1461985년 05월 08일
37부여 임천 가화리 미륵불임천면 가화리 1711985년 05월 08일
38부여 은산 회암리 팽나무은산면 회암리 238-11985년 05월 08일
39부여 홍산 읍내리 팽나무홍산면 읍내리 3251985년 05월 08일
40부여 임천면 성흥산성임천면 군사리 산31985년 05월 08일
41부여 은산면 거사리 산성은산면 거사리 산11985년 05월 08일
42부여 양화면 와초리 산성양화면 와초리 산11985년 05월 08일
43부여 석성면 가천리 산성석성면 가천리 산11985년 05월 08일
44부여 옥산리 고분군임천면 옥산리 산3-11985년 05월 08일
45부여 세도면 간대리 고분군세도면 간대리 산111985년 05월 08일
46부여 부여향교 대성전부여읍 향교로 421985년 05월 08일
47정흥인 묘역부여읍 동남리 산30-11985년 05월 08일 (2008년 12월 01일 해제)
48부여 사산리 고분군부여읍 사산리 4291988년 12월 16일
49부여 규암리 석불입상규암면 규암리 72-41989년 06월 03일
50부여 구룡사 대웅전부여읍 구룡로 521989년 06월 03일
51부여 신암사 대웅전외산면 신암리 1791989년 06월 03일
52부여 석성 읍내리 석탑석성면 읍내리 1691990년 05월 02일
53부여 가탑리 삼층석탑은산면 가탑리 136-21990년 05월 02일
54부여 임천 부수리 삼층석탑임천면 부수리 246-11990년 05월 02일
55부여 규암 오층석탑규암면 규암리 5481990년 05월 02일
56부여 증산리 삼층석탑부여읍 증산리 1571990년 05월 02일
57부여 백강서원부여읍 동남리 1721990년 05월 02일
58부여 정동리 석불좌상부여읍 정동리 3761990년 05월 02일
59부여 능산리 쌍북 석불좌상부여읍 능산리 4661990년 05월 02일
60부여 저산성부여읍 저산리 산51990년 05월 02일
61부여 금성산성규암면 진변리 산11990년 05월 02일
62부여 왕포리 고분군부여읍 왕포리 산3-11990년 05월 02일
63부여 은산 회암리 고분군은산면 회암리 303-11990년 05월 02일
64부여 석성 중교리 고분군석성면 중교리 산71990년 05월 02일
65부여 임천 부수리 유태사 묘임천면 부수리 산271993년 09월 28일
66부여 석성 정각사석성면 정각리 2151993년 09월 28일
67부여 충화 오덕사 어필각충화면 오덕리 3181993년 09월 28일
68부여 부산서원 고문서부여읍 동남리 1721993년 09월 28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69부여 조왕사 석탑부여읍 동남리 58-11993년 09월 28일
70부여 무량사 영산전부여읍 만수산길 2111993년 09월 28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71부여 만수산 무량사 석등부여읍 만수산길 2111993년 09월 28일
72부여 임천 대조사 목조보살좌상임천면 대조사로 4051993년 09월 28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73부여 고란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보살좌상부여읍 고란사로 391993년 09월 28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74부여 임천향교임천면 옥산리 1991993년 09월 28일
75부여 규암리 은행나무규암면 규암리 531993년 09월 28일
76부여 임천 금강사지임천면 군사리 321993년 09월 28일
77부여 홍산현 동헌홍산면 홍산로 2671994년 11월 07일
78부여 홍산현 아문홍산면 홍산로 2671994년 11월 07일
79부여 홍산 읍내리 느티나무홍산면 읍내리 111-21994년 11월 07일
80부여 홍산 북촌리 느티나무홍산면 북촌리 221-11994년 11월 07일
81부여 석성 북촌리 느티나무석성면 북촌리 1951994년 11월 07일
82부여 석성 북촌리 팽나무석성면 북촌리 1861994년 11월 07일
83부여 홍산객사 은행나무홍산면 홍산리 2671994년 11월 07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84부여 임천 부수리 은행나무임천면 부수리 3421994년 11월 07일
85부여 석성 읍내리 느티나무석성면 읍내리 1761994년 11월 07일
86부여 석성 읍내리 은행나무석성면 읍내리 1421994년 11월 07일
87부여 장암 구암리 은행나무장암면 구암리 3001994년 11월 07일
88부여 장암 지석묘군장암면 점상리 산34-11994년 11월 07일
89부여 홍산현 감리홍산면 홍산로 2671994년 11월 07일
90부여 석성면 정각리 고분군석성면 정각리 산441994년 11월 07일
91부여 석성 정각사 목조보살좌상석성면 정각리 2151994년 11월 07일 (2018년 01월 01일 해제)
92부여 홍산 북촌리 고분군홍산면 북촌리 산161994년 11월 07일
93부여 세도면 간대리 고분군세도면 간대리 산111994년 11월 07일
94부여 양화면 와초리 고분군양화면 와초리 산11994년 11월 07일
95부여 양화면 입포리 고분군양화면 입포리 산541994년 11월 07일
96부여 세도면 고당리 고분군세도면 고당리 산121994년 11월 07일
97부여 홍산 청천리 고분군홍산면 청천리 산11994년 11월 07일
98부여 외산면 만수리 고분군외산면 만수리 산11994년 11월 07일
99부여 외산면 수신리 고분군외산면 수신리 산51994년 11월 07일
100부여 부여읍 쌍북리 고분군부여읍 쌍북리 산8-11994년 11월 07일



부여군에는 다양한 향토문화유산이 존재하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임천 유태사 묘: 고려 시대 고승인 유태 스님의 묘로, 임천면 부수리에 위치해 있다. 유태 스님은 선종의 고승으로 고려 시대 불교 발전에 기여했다. 묘역에는 비석과 석등 등이 있으며, 고려 시대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충화 오덕사 어필각: 조선 시대 왕실 관련 유물을 보관하는 건물로, 충화면 오덕리에 위치해 있다. 어필각에는 왕의 어필 관련 자료가 보관되어 있으며, 조선 시대 왕실의 권위와 문화를 보여준다.
  • 부여 조왕사 석탑: 백제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부여읍 동남리에 조왕사 터에 남아 있다. 3층 석탑으로 백제 석탑 양식을 보여주며, 백제 시대 건축 기술과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과거 부여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해제된 문화유산도 있다.

  • 47호: 정흥인 묘역은 2008년 12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 68호: 부여 부산서원 고문서는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 70호: 무량사 영산전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 72호: 임천 대조사 목조보살좌상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 73호: 부여 고란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보살좌상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 83호: 홍산객사 은행나무는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 91호: 석성 정각사목조보살좌상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해제된 문화유산들은 각기 다른 사유로 지정이 해제되었지만, 부여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2. 1. 표 정보

번호그림명칭소재지소유자(관리자)지정/해제일자비고
1부여 신리 구석기 유적부여군 부여읍 신리 183-1번지 일원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부여 합송리 고분군부여군 부여읍 합송리 산 14-1번지 일원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3부여 가탑리 석조미륵보살입상부여군 내산면 가탑리 산 104-1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부여 무량사 석등무량사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07)무량사2000년 01월 01일 지정
5부여 무량사 오층석탑무량사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07)무량사2000년 01월 01일 지정
6부여 대조사 대웅전대조사 (부여군 은산면 신중리 59)대조사2000년 01월 01일 지정
7부여 대조사 극락전대조사 (부여군 은산면 신중리 59)대조사2000년 01월 01일 지정
8부여 만수산 백련사 대웅전백련사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 31)백련사2000년 01월 01일 지정
9부여 만수산 백련사 극락전백련사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 31)백련사2000년 01월 01일 지정
10부여 임천향교 대성전임천향교 (부여군 임천면 548)임천향교2000년 01월 01일 지정
11부여 임천향교 명륜당임천향교 (부여군 임천면 548)임천향교2000년 01월 01일 지정
12부여 부소산성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일원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13부여 정암사지 오층석탑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 21-1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14부여 능산리사지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105-1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15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105-1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16부여 왕흥사지부여군 부여읍 왕흥리 318-1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17부여 부여읍 쌍북리 고분군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 11-1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18부여 가림성부여군 임천면 가림리 산 1-1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19부여 석성산성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산 1-1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0부여 구드래 조각공원부여군 부여읍 구드래길 9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1부여 낙화암부여군 부여읍 부소산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2부여 궁남지부여군 부여읍 궁남로 5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3부여 서동요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7-1 일원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4부여 고란사부여군 부여읍 부소산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5부여 사비성부여군 부여읍 일원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6부여 정림사지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7부여 백제역사재현단지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575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8부여 백제고도보존사업부여군 부여읍 일원부여군2000년 01월 01일 지정
29부여 구교리 은행나무부여군 장암면 구교리 329-2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30부여 장암면 지석묘군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산 55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31부여 은산별신제부여군 은산면 일원은산별신제보존회2000년 01월 01일 지정
32부여 외산면 만수리 은행나무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423-1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33부여 세도면 간대리 은행나무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216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34부여 규암리 오층석탑부여군 규암면 규암리 191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35부여 규암리 미륵불부여군 규암면 규암리 172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36부여 임천면 가화리 느티나무부여군 임천면 가화리 49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37부여 충화면 천등산 은행나무부여군 충화면 천등산 10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38부여 양화면 송암리 은행나무부여군 양화면 송암리 255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39부여 초촌면 진호리 느티나무부여군 초촌면 진호리 125-2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0부여 은산면 거전리 느티나무부여군 은산면 거전리 135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1부여 은산면 신중리 은행나무부여군 은산면 신중리 240-1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2부여 석성면 현내리 느티나무부여군 석성면 현내리 250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3부여 석성면 봉암리 은행나무부여군 석성면 봉암리 281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4부여 석성면 석성리 느티나무부여군 석성면 석성리 159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5부여 부여읍 동남리 느티나무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3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6부여 부여읍 쌍북리 은행나무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294-1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7부여 부여읍 구교리 느티나무부여군 부여읍 구교리 252-1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48부여 은산면 거전리 산신제부여군 은산면 거전리 109거전리산신제보존회2000년 01월 01일 지정
49부여 임천면 부수리 느티나무부여군 임천면 부수리 230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0부여 석성면 기산리 느티나무부여군 석성면 기산리 41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1부여 홍산현감 정응두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2부여 홍산현감 이성헌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3부여 홍산현감 김이화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4부여 홍산현감 조상우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5부여 홍산현감 김시주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6부여 홍산현감 권익중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7부여 홍산현감 김응규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8부여 홍산현감 이정진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59부여 홍산현감 신후조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0부여 홍산현감 황세영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1부여 홍산현감 송정호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2부여 홍산현감 윤병렬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3부여 홍산현감 유한석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4부여 홍산현감 이기항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5부여 홍산현감 조희순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6부여 홍산현감 한용진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7부여 홍산현감 정창조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8부여 홍산현감 최익현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69부여 홍산현감 정기호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0부여 홍산현감 조기종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1부여 홍산현감 이진동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2부여 홍산현감 심상훈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3부여 홍산현감 민치형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4부여 홍산현감 홍순칠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5부여 홍산현감 조광진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6부여 홍산현감 이성찬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7부여 홍산현감 신관수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8부여 홍산현감 조병규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79부여 홍산현감 이종원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0부여 홍산현감 최병철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1부여 홍산현감 이원규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2부여 홍산현감 이인택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3부여 홍산현감 유병진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4부여 홍산현감 박규현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5부여 홍산현감 김병주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6부여 홍산현감 이헌석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7부여 홍산현감 윤병호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8부여 홍산현감 김기수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89부여 홍산현감 심형구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0부여 홍산현감 양주환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1부여 홍산현감 이시영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2부여 홍산현감 민병석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3부여 홍산현감 조경호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4부여 홍산현감 김관현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5부여 홍산현감 황종억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6부여 홍산현감 한봉래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7부여 홍산현감 이재호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8부여 홍산현감 윤성호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99부여 홍산현감 이병갑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100부여 홍산현감 임기원 선정비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62-4개인2000년 01월 01일 지정


2. 2. 주요 문화유산 소개

임천 유태사 묘는 고려시대 고승인 유태 스님의 묘로, 부여군 임천면 부수리에 위치해 있다. 유태 스님은 선종의 고승으로, 고려 시대 불교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묘역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으며, 유태 스님의 행적을 기리는 비석과 석등 등이 있다. 유태사 묘는 고려 시대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지역 주민들에게는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고 있다.

충화 오덕사 어필각은 조선 시대 왕실과 관련된 유물들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이다. 오덕사는 본래 사찰이었으나, 현재는 어필각만 남아 있다. 어필각에는 왕의 어필(御筆, 임금이 직접 쓴 글씨)과 관련된 자료들이 보관되어 있으며, 조선 시대 왕실의 권위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어필각은 부여 지역의 역사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며, 지역 주민들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역할을 한다.

부여 조왕사 석탑은 백제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조왕사 터에 남아 있다. 석탑은 3층으로, 백제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조왕사 석탑은 백제 시대의 건축 기술과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부여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 중 하나이다. 석탑의 보존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부여군에는 다양한 향토문화유산들이 존재하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관광 자원으로서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부여군은 이러한 문화유산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2. 3. 해제된 문화유산

과거 부여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해제된 문화유산은 다음과 같다.

  • 47호: 정흥인 묘역은 2008년 12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현재는 문화재 지정에서 해제되었지만, 정흥인 선생의 묘역은 여전히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장소로 남아있다.
  • 68호: 부여 부산서원 고문서는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부산서원은 조선 시대의 서원으로, 고문서는 서원의 역사와 유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았으나, 해제 이후에도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70호: 무량사 영산전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무량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된 고찰로, 영산전은 석가모니불을 모시는 전각이다. 영산전은 해제 이후에도 사찰의 중요한 건물로 남아 있으며, 불교 신자들과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 72호: 임천 대조사 목조보살좌상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대조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목조보살좌상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해제 이후에도 대조사에 보존되어 있으며, 종교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73호: 부여 고란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보살좌상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고란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보살좌상은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들은 고란사에 보존되어 있으며, 고란사의 역사와 불교 미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83호: 홍산객사 은행나무는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홍산객사는 조선 시대에 지방 관청의 부속 건물로, 은행나무는 객사 앞에 심어진 나무이다. 은행나무는 해제 이후에도 홍산객사의 역사적 가치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물로 남아있다.
  • 91호: 석성 정각사목조보살좌상은 2018년 1월 1일 지정 해제되었다. 정각사는 석성면에 위치한 사찰로, 목조보살좌상은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정각사에 보존되어 있으며, 지역 불교 신자들의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해제된 문화유산들은 각기 다른 사유로 인해 지정이 해제되었지만, 부여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지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3. 각 유산별 상세 정보

각 향토문화유산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번호명칭지정일해제일소유자 및 관리자비고
1부여 석조1985년 11월 27일
2부여 무량사 오층석탑1985년 11월 27일
3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1985년 11월 27일
4부여 능산리 고분군1985년 11월 27일
5부여 부소산성1985년 11월 27일
6부여 구아리 백제 고분군1985년 11월 27일
7부여 왕흥사지1985년 11월 27일
8부여 수북정1985년 11월 27일
9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1985년 11월 27일
10부여 백제역사재현단지1985년 11월 27일
11부여 신동엽 생가1985년 12월 20일시인 신동엽이 태어나 성장한 곳으로, 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있다. 신동엽은 4.19 혁명과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시를 많이 썼으며, 그의 생가는 민주주의 정신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생가에는 그의 시집과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문학 강좌 및 문화 행사 공간으로 활용된다. 신동엽의 문학 세계와 그의 시대적 고민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다.
12부여 김종서 묘소1985년 12월 20일
13부여 이남규 가옥1985년 12월 20일
14부여 임천 백일헌1985년 12월 20일
15부여 만수산 무량사1985년 12월 20일
16부여 사산 영각사 대웅전1985년 12월 20일
17부여 반교리 삼층석탑1985년 12월 20일
18부여 가탑리 석탑1985년 12월 20일
19부여 송국리 유적1985년 12월 20일
20부여 부여향교1985년 12월 20일
21부여 구교리 백제 고분군1985년 12월 20일
22부여 장암리 고분군1985년 12월 20일
23부여 합송리 고분군1985년 12월 20일백제 시대의 고분군으로,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고분군에서는 백제 시대의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백제의 매장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합송리 고분군은 백제 고분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며, 부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고분군의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4부여 금성산성1985년 12월 20일
25부여 임천향교1985년 12월 20일
26부여 부여군 관아1985년 12월 20일
27부여 규암리 백제 고분군1985년 12월 20일
28부여 외산면 만수산 일원1985년 12월 20일
29부여 홍산현 관아1985년 12월 20일
30부여 홍산 객사1985년 12월 20일
31부여 홍산 동헌1985년 12월 20일
32부여 홍산 아문1985년 12월 20일
33부여 홍산 향교1985년 12월 20일
34부여 장하리 고분군1985년 12월 20일
35부여 백강서원1985년 12월 20일
36부여 부리면 신정리 은행나무1985년 12월 20일
37부여 양화면 신왕리 은행나무1985년 12월 20일
38부여 은산 별신제1985년 12월 20일
39부여 양화면 와초리 석불입상1990년 12월 29일
40부여 초촌면 산직리 석불입상1990년 12월 29일
41부여 규암면 신성리 석탑1990년 12월 29일
42부여 은산면 가중리 석탑1990년 12월 29일
43부여 석성산성1990년 12월 29일
44부여 내산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45부여 장암리 사지1990년 12월 29일
46부여 홍산 읍성1990년 12월 29일
47부여 임천 읍성1990년 12월 29일
48부여 초촌면 진등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49부여 석성 읍성1990년 12월 29일
50부여 임천면 옥산리 석불좌상1990년 12월 29일
51부여 석성 서천군 절터1990년 12월 29일
52부여 옥산리 산신각1990년 12월 29일
53부여 규암면 증산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54부여 석성 동헌1990년 12월 29일
55부여 외산면 반교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56부여 장암면 점상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57부여 석성향교1990년 12월 29일
58부여 석성 객사1990년 12월 29일
59부여 임천 백호정1990년 12월 29일
60부여 임천면 가화리 석탑1990년 12월 29일
61부여 임천면 답상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2부여 외산면 장항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3부여 은산면 신대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4부여 초촌면 추양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5부여 은산면 대양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6부여 초촌면 산직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7부여 규암면 외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8부여 은산면 거전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9부여 옥산리 미륵불1990년 12월 29일
70부여 초촌면 진등리 석탑1990년 12월 29일
71부여 은산면 와야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72부여 외산면 만수산성1990년 12월 29일
73부여 옥산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4부여 석성 남산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5부여 초촌면 진등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6부여 은산면 거전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7부여 규암면 진변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8부여 세도면 가회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9부여 은산 별신제1990년 12월 29일은산 별신제는 부여 지역에서 전승되는 전통적인 별신제 의례이다.
80부여 구룡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02년 12월 27일
81부여 구룡사 목조지장보살좌상2002년 12월 27일
82부여 구룡사 팔상전2002년 12월 27일
83부여 구룡사 대웅전2002년 12월 27일
84부여 부소산 백화정2003년 11월 20일
85부여 반교리 사지2003년 11월 20일
86부여 덕양서원2003년 11월 20일
87부여 임천면 옥산리 석조보살입상2003년 11월 20일
88부여 구교리 석불좌상2003년 11월 20일
89부여 세도면 간대리 은행나무2004년 12월 30일
90부여 장암면 점상리 은행나무2004년 12월 30일
91부여 석성면 정각리 은행나무2004년 12월 30일
92부여 부여군청사2005년 12월 29일
93부여 규암면 진변리 마애불2006년 12월 29일
94부여 홍산현감 내아2006년 12월 29일
95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2007년 12월 28일
96부여 정암사 극락전2008년 12월 26일
97부여 임천면 옥산리 삼층석탑2009년 12월 30일
98부여 간경리 삼층석탑2009년 12월 30일
99부여 백제고도문화재단2010년 12월 30일
100부여 백제역사유적지구2010년 12월 30일



3. 1. 명칭 및 소재지

번호명칭소재지
1부여 신동엽 생가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89
2부여 주유소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518
3부여 구교리 석조미륵보살입상부여군 부여읍 구교리 205-1
4부여 왕흥사지 사리장엄구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302-1
5부여 정암리 5층석탑부여군 부여읍 정암리 200-1
6부여 석성산성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산 10
7부여 합송리 고분군부여군 충화면 합송리 산 24-1
8부여 능산리 고분군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 13-1
9부여 백제역사유물전시관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10부여 백제원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11부여 부소산성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3
12부여 구드래 조각공원부여군 부여읍 구교리 725-3
13부여 수북정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372
14부여 반산리 석조미륵보살입상부여군 내산면 반산리 산 3
15부여 만수산 무량사 대웅전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16부여 만수산 무량사 석탑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17부여 만수산 무량사 아미타불좌상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18부여 만수산 무량사 극락전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19부여 만수산 무량사 사적비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20부여 만수산 무량사 금고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203
21부여 백강서원부여군 장암면 백강서원로 13
22부여 세간사 대웅전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132
23부여 세간사 석조보살입상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132
24부여 보광사 대웅전부여군 은산면 보광사로 451
25부여 보광사 석탑부여군 은산면 보광사로 451
26부여 임천향교부여군 임천면 옥천1길 11
27부여 임천 대청부여군 임천면 옥천1길 11
28부여 홍산현 관아부여군 홍산면 홍산로 292
29부여 홍산 아문부여군 홍산면 홍산로 292
30부여 구룡사 대웅전부여군 양화면 구룡길 102
31부여 자온대부여군 규암면 신리 543-1
32부여 신리 3층석탑부여군 규암면 신리 692
33부여 수촌리 고분군부여군 규암면 수촌리 177
34부여 삼충사부여군 충화면 삼충로 188
35부여 의열사부여군 충화면 지석리 35
36부여 가탑리 5층석탑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536
37부여 석조관음보살입상부여군 부여읍 석목리 산121
38부여 청마산 봉수대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산 195-1
39부여 능산리고분군 석조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13-1
40부여 백제토기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41부여 백제금동대향로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42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사리장치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
43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석조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44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토기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45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금속공예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46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칠공예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47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불교조각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48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회화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49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서예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50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고문헌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51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복식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52부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무기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53부여 가림성부여군 임천면 가림성로 136-22
54부여 서혈사 대웅전부여군 은산면 서천서혈로 101-10
55부여 서혈사 석조보살입상부여군 은산면 서천서혈로 101-10
56부여 반교리 3층석탑부여군 장암면 반교리 439
57부여 장하리 고분군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209
58부여 왕진사지부여군 은산면 왕진길 191
59부여 은산별신제부여군 은산면 일원
60부여 은산관아부여군 은산면 은산로 48
61부여 은산향교부여군 은산면 은산로 44
62부여 논티산성부여군 은산면 가곡리 산 21-1
63부여 임천 오층석탑부여군 임천면 옥천1길 11
64부여 내산리 석탑부여군 내산면 내산리 350
65부여 내산리 삼층석탑부여군 내산면 내산리 350
66부여 외산 대조사 대웅전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67부여 외산 대조사 석탑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68부여 외산 대조사 아미타불좌상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69부여 외산 대조사 지장보살좌상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70부여 외산 대조사 소조사천왕상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71부여 외산 대조사 범종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72부여 외산 대조사 신중도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73부여 외산 대조사 칠성도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74부여 외산 대조사 현왕도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75부여 외산 대조사 독성도부여군 외산면 만수산길 165
76부여 구룡사 석조여래입상부여군 양화면 구룡길 102
77부여 송국사 대웅전부여군 초촌면 송국사길 54
78부여 송국사 석탑부여군 초촌면 송국사길 54
79부여 송국사 삼층석탑부여군 초촌면 송국사길 54
80부여 송국사 보광전부여군 초촌면 송국사길 54
81부여 초촌향교부여군 초촌면 초촌로 51
82부여 장암 장산서원부여군 장암면 장하길 35
83부여 장암 쌍수정부여군 장암면 장하길 35
84부여 규암 송촌고택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8-1
85부여 규암 김민규가옥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6
86부여 규암 황여일가옥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06
87부여 규암 이연호가옥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08
88부여 규암 이선행가옥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0
89부여 규암 나흥모가옥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20
90부여 규암 고대식가옥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2
91부여 규암 김규택가옥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14
92부여 규암 하운택가옥부여군 규암면 규암로 222
93부여 규암 구교리 고분군부여군 규암면 구교리 산 30
94부여 세도 읍내리 고분군부여군 세도면 읍내리 153
95부여 세도 장산리고분군부여군 세도면 장산리 산 4-1
96부여 세도 봉대리 고분군부여군 세도면 봉대리 산 5
97부여 세도 고천리 고분군부여군 세도면 고천리 산 11-1
98부여 세도 청송리 고분군부여군 세도면 청송리 산 14-1
99부여 세도 내동리 고분군부여군 세도면 내동리 산 31
100부여 세도 동남리 고분군부여군 세도면 동남리 산 16-1


3. 2. 소유자 및 관리자

소유자 및 관리자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3. 3. 지정 및 해제 일자

번호명칭지정일해제일
1부여 석조1985년 11월 27일
2부여 무량사 오층석탑1985년 11월 27일
3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1985년 11월 27일
4부여 능산리 고분군1985년 11월 27일
5부여 부소산성1985년 11월 27일
6부여 구아리 백제 고분군1985년 11월 27일
7부여 왕흥사지1985년 11월 27일
8부여 수북정1985년 11월 27일
9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1985년 11월 27일
10부여 백제역사재현단지1985년 11월 27일
11부여 신동엽 생가1985년 12월 20일
12부여 김종서 묘소1985년 12월 20일
13부여 이남규 가옥1985년 12월 20일
14부여 임천 백일헌1985년 12월 20일
15부여 만수산 무량사1985년 12월 20일
16부여 사산 영각사 대웅전1985년 12월 20일
17부여 반교리 삼층석탑1985년 12월 20일
18부여 가탑리 석탑1985년 12월 20일
19부여 송국리 유적1985년 12월 20일
20부여 부여향교1985년 12월 20일
21부여 구교리 백제 고분군1985년 12월 20일
22부여 장암리 고분군1985년 12월 20일
23부여 합송리 고분군1985년 12월 20일
24부여 금성산성1985년 12월 20일
25부여 임천향교1985년 12월 20일
26부여 부여군 관아1985년 12월 20일
27부여 규암리 백제 고분군1985년 12월 20일
28부여 외산면 만수산 일원1985년 12월 20일
29부여 홍산현 관아1985년 12월 20일
30부여 홍산 객사1985년 12월 20일
31부여 홍산 동헌1985년 12월 20일
32부여 홍산 아문1985년 12월 20일
33부여 홍산 향교1985년 12월 20일
34부여 장하리 고분군1985년 12월 20일
35부여 백강서원1985년 12월 20일
36부여 부리면 신정리 은행나무1985년 12월 20일
37부여 양화면 신왕리 은행나무1985년 12월 20일
38부여 은산 별신제1985년 12월 20일
39부여 양화면 와초리 석불입상1990년 12월 29일
40부여 초촌면 산직리 석불입상1990년 12월 29일
41부여 규암면 신성리 석탑1990년 12월 29일
42부여 은산면 가중리 석탑1990년 12월 29일
43부여 석성산성1990년 12월 29일
44부여 내산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45부여 장암리 사지1990년 12월 29일
46부여 홍산 읍성1990년 12월 29일
47부여 임천 읍성1990년 12월 29일
48부여 초촌면 진등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49부여 석성 읍성1990년 12월 29일
50부여 임천면 옥산리 석불좌상1990년 12월 29일
51부여 석성 서천군 절터1990년 12월 29일
52부여 옥산리 산신각1990년 12월 29일
53부여 규암면 증산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54부여 석성 동헌1990년 12월 29일
55부여 외산면 반교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56부여 장암면 점상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57부여 석성향교1990년 12월 29일
58부여 석성 객사1990년 12월 29일
59부여 임천 백호정1990년 12월 29일
60부여 임천면 가화리 석탑1990년 12월 29일
61부여 임천면 답상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2부여 외산면 장항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3부여 은산면 신대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4부여 초촌면 추양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5부여 은산면 대양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6부여 초촌면 산직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7부여 규암면 외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8부여 은산면 거전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69부여 옥산리 미륵불1990년 12월 29일
70부여 초촌면 진등리 석탑1990년 12월 29일
71부여 은산면 와야리 고분군1990년 12월 29일
72부여 외산면 만수산성1990년 12월 29일
73부여 옥산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4부여 석성 남산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5부여 초촌면 진등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6부여 은산면 거전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7부여 규암면 진변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8부여 세도면 가회리 은행나무1990년 12월 29일
79부여 은산 별신제1990년 12월 29일
80부여 구룡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02년 12월 27일
81부여 구룡사 목조지장보살좌상2002년 12월 27일
82부여 구룡사 팔상전2002년 12월 27일
83부여 구룡사 대웅전2002년 12월 27일
84부여 부소산 백화정2003년 11월 20일
85부여 반교리 사지2003년 11월 20일
86부여 덕양서원2003년 11월 20일
87부여 임천면 옥산리 석조보살입상2003년 11월 20일
88부여 구교리 석불좌상2003년 11월 20일
89부여 세도면 간대리 은행나무2004년 12월 30일
90부여 장암면 점상리 은행나무2004년 12월 30일
91부여 석성면 정각리 은행나무2004년 12월 30일
92부여 부여군청사2005년 12월 29일
93부여 규암면 진변리 마애불2006년 12월 29일
94부여 홍산현감 내아2006년 12월 29일
95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2007년 12월 28일
96부여 정암사 극락전2008년 12월 26일
97부여 임천면 옥산리 삼층석탑2009년 12월 30일
98부여 간경리 삼층석탑2009년 12월 30일
99부여 백제고도문화재단2010년 12월 30일
100부여 백제역사유적지구2010년 12월 30일


3. 4. 비고

각 향토문화유산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와 설명을 제공한다.

|번호|명칭|지정일|소재지|비고|

|---|---|---|---|---|

|1|부여 정동창고|1985년 11월 15일|부여읍 동남리 140-3|일제강점기, 1938년 건립된 곡물창고. 근대 산업시설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2000년대 초반까지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부여군의 지원을 받아 보존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내부에는 창고로서의 기능과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교육 및 문화 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건축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2|구 부여군청사|1985년 11월 15일|부여읍 쌍북리 22-1|1920년대에 건립된 건물로, 일제강점기 행정 관청으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에도 오랫동안 군청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전쟁 당시에는 군청 건물 일부가 파괴되기도 했다. 현재는 부여군청이 이전하면서 역사적인 건축물로서 보존되고 있으며, 부여군의 근대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건물 외관과 내부 구조는 당시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3|부여 신동엽 생가|1990년 4월 30일|부여읍 신동리 109|시인 신동엽(申東曄, 1930-1969)이 태어나 성장한 곳으로, 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있다. 신동엽은 4.19 혁명과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시를 많이 썼으며, 그의 생가는 민주주의 정신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생가에는 그의 시집과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문학 강좌 및 문화 행사 공간으로 활용된다. 신동엽의 문학 세계와 그의 시대적 고민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다. |

|4|부여 백강정|1997년 12월 24일|구룡면 금사리 산 19-1|백강(白江)으로 불리는 금강변에 위치한 정자로, 뛰어난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 조선시대 문인들이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백제의 멸망과 관련된 슬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정자 주변에는 다양한 수종의 나무들이 심어져 있으며, 특히 봄에는 벚꽃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백강정은 부여의 아름다운 자연과 역사,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명소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5|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1997년 12월 24일|내산면 대율리 173|대조사(大鳥寺)에 위치한 석불로,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거대한 규모와 웅장한 조형미를 자랑하며, 고려시대 불교 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불상 주변에는 석등과 석탑 등 다른 석조 유물들이 남아 있으며, 대조사는 백제 부흥 운동과 관련된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석조미륵보살입상은 부여의 불교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산이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학술적 가치 또한 높다.|

|6|부여 가탑리 삼층석탑|1997년 12월 24일|장암면 가탑리 산 3|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으로, 가탑리 절터에 위치해 있다. 석탑은 전체적으로 단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백제 석탑의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석탑 주변에는 절터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부여 지역의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석탑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며, 주변 경관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

|7|부여 임천 오층석탑|1997년 12월 24일|임천면 군사리 150-1|고려시대에 건립된 오층석탑으로, 임천면의 한 사찰 터에 위치해 있다. 석탑은 여러 차례 보수되었지만, 전체적인 형태는 잘 유지하고 있다. 석탑 주변에는 석재 부재들이 흩어져 있어, 사찰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임천 오층석탑은 부여 지역의 석탑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석탑의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8|부여 삼충사|1997년 12월 24일|규암면 호계리 7|백제 부흥운동의 충신인 성충, 흥수, 계백을 모신 사당이다. 삼충사는 백제의 충절을 기리는 곳으로, 매년 제향이 열리고 있다. 사당에는 삼충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으며, 그들의 묘소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삼충사는 백제 역사를 기억하고, 충절 정신을 배우는 중요한 교육 공간으로 활용된다.|

|9|부여 충화산성|1997년 12월 24일|충화면 오지리 산 27-1|백제 시대에 축조된 산성으로, 부여 지역의 방어 시설 역할을 했다. 산성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으며,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다. 충화산성은 백제 시대의 축성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며, 부여 지역의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산성 주변에는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부여의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할 수 있다.|

|10|부여 합송리 고분군|1998년 3월 30일|내산면 합송리 197-1|백제 시대의 고분군으로,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고분군에서는 백제 시대의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백제의 매장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합송리 고분군은 백제 고분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며, 부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고분군의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4. 부여군의 문화유산 정책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부여군은 풍부한 향토문화유산을 바탕으로 관광 상품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각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문화유산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부여군은 역사적 가치를 지닌 향토문화유산을 활용, 관광객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백제 문화 관련 유물 전시 박물관 건립, 백제 유적지 탐방 관광 코스 개발, 백제 문화 축제 개최 등을 통해 관광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노력은 관광객 증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지역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백제 역사 및 문화를 학습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청소년들의 지역 문화 이해를 높이고 자긍심을 갖도록 장려하며, 일반 시민을 위한 문화 강좌 및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한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의 문화적 소양을 함양하고 지역 사회의 문화적 발전에 기여한다.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주민들이 문화유산 관련 행사에 참여하고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문화유산 보존에 기여하도록 장려하며, 문화유산 관련 상품 개발 참여 및 문화유산 해설사 활동을 지원한다. 이러한 주민 참여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지역 사회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4. 1. 문화유산 보존 노력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예산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매년 예산을 편성하여 문화유산의 보수, 정비, 그리고 훼손 방지를 위한 사업을 지원한다. 이러한 재정적 지원은 문화유산의 물리적 보존뿐만 아니라,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 및 학술 활동을 활성화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

다음으로, 부여군은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운영하여 문화유산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고 있다. 문화재 전문 관리인을 배치하여 문화유산의 일상적인 관리, 훼손 방지, 안전 점검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문화재 관련 전문가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보수 및 복원 사업 역시 부여군의 중요한 노력 중 하나이다. 낡고 훼손된 문화유산을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기 위해 정기적인 보수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역사적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에 대해서는 면밀한 고증과 철저한 조사를 거쳐 복원 사업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화유산이 지역 사회와 함께 호흡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또한, 복원된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을 훌륭하게 보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 자긍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부여군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통해 소중한 문화유산을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4. 2. 문화유산 활용 방안

부여군은 풍부한 향토문화유산을 바탕으로 관광 상품 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각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더 나아가 문화유산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여군은 역사적인 가치를 지닌 향토문화유산을 활용하여 관광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상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대표적으로, 백제 문화와 관련된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 건립, 백제 유적지를 탐방하는 관광 코스 개발, 그리고 백제 문화를 주제로 한 문화 축제를 개최하여 관광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부여군을 찾는 관광객 수를 증가시키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역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백제 역사 및 문화를 학습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청소년들이 지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긍심을 갖도록 장려하고 있다. 더불어, 일반 시민들을 위한 문화 강좌 및 체험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소양을 함양하고, 지역 사회의 문화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 관련 행사에 참여하고,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문화유산 보존에 기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 관련 상품 개발에 참여하고, 문화유산 해설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주민 참여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더욱 널리 알리고, 지역 사회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부여군은 향토문화유산을 활용하여 관광 상품 개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주민 참여 유도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역량 강화, 그리고 지역 사회의 문화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부여군은 앞으로도 향토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널리 활용하여,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어 나갈 것이다.

5. 향후 과제 및 전망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향토문화유산 관련 정책 수립 및 시행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한다. 공청회, 간담회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 결정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원봉사 활동 등을 장려하여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향토문화유산은 지역 사회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보존하고 활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문화유산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5. 1. 보존 관리 강화

부여군은 훼손 위험에 처한 향토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예산 지원을 확대하고, 전문 인력을 충원하여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문화유산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 조치를 강화하고, 훼손된 문화유산에 대한 복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새로운 문화유산을 발굴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되어야 한다.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숨겨진 문화유산을 찾아내야 한다. 발굴된 문화유산은 체계적으로 조사, 연구, 기록하여 보존하고, 이를 통해 부여군의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2. 지역 사회와의 협력 강화

부여군 향토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우선, 향토문화유산 관련 정책 수립 및 시행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청회, 간담회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 결정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원봉사 활동 등을 장려하여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향토문화유산은 지역 사회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보존하고 활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문화유산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