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터미널 소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터미널 소풍은 지하 3층, 지상 9층 규모의 건물로 터미널, 킴스클럽, 뉴코아, CGV 등 다양한 상업 시설이 입점해 있다. 1층, 2층, 3층에 여러 승차홈을 운영하며,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과거 KD운송그룹과의 사업권 갈등이 있었으나, 2007년 합의를 통해 모든 노선이 이전되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동역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송내역이 인접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미구 - 역곡동
역곡동은 부천시에 있는 행정동으로, 조선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지며 역곡역 신설과 함께 발전하여 현재는 3개의 동으로 나뉘었고, 교육기관이 많으며 역원 또는 벌판 끝자락 마을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고 있다. - 원미구 - 한국만화박물관
2001년에 개관한 한국만화박물관은 만화 전문 박물관으로, 만화도서관은 무료로, 상설전시관은 유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월요일과 명절 당일 및 전날은 휴관한다. - 부천시의 건축물 - 한국만화박물관
2001년에 개관한 한국만화박물관은 만화 전문 박물관으로, 만화도서관은 무료로, 상설전시관은 유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월요일과 명절 당일 및 전날은 휴관한다. - 부천시의 건축물 -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은 1958년 성가의원으로 개원하여 부천시 소사동으로 이전, 다양한 진료과목 운영과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는 병원이다. - KD운송그룹 - 세명고등학교 (충북)
1987년 충현고등학교로 개교하여 1994년 세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세명고등학교는 대원교육재단이 운영하는 충청북도의 사립 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습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2023년 2월 기준 11,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KD운송그룹 - 고양종합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로, 2012년 개장 후 화재 사고를 겪었으나 재개장하여 현재 전국 각지로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부천터미널 소풍 | |
---|---|
터미널 정보 | |
![]() | |
이름 | 부천터미널 소풍 |
종류 | 터미널 |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송내대로 239 (상동) |
개장 | 2002년 5월 31일 |
이전 | 2007년 10월 1일 |
운영 기관 | 부천터미널주식회사 |
터미널 코드 | 101 |
표기 | 부천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웹사이트 | 부천터미널 소풍 웹사이트 |
2. 시설
부천터미널 소풍은 지하 3층, 지상 9층 규모의 건물로, 코엑스보다 1.7배, 63빌딩보다 1.3배 더 크다.[1] 1,726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넓은 주차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이랜드그룹 산하 브랜드들의 입점 계약으로 상업 시설 분양율이 75.9%까지 올라갔다.[1] 터미널, 킴스클럽, 뉴코아, CGV, 빕스, 웨딩홀, 하늘정원, 골프연습장 등 다양한 시설이 입점해 있다. 승차장은 동대구복합환승센터와 같이 복층으로 되어 있다.
2. 1. 층별 안내
부천터미널 소풍은 지하 3층, 지상 9층 건물이다.[1] 층별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층수 | 주요 시설 |
---|---|
지하 3층 | 주차장 |
지하 2층 | 소풍웨딩홀, 주차장 |
지하 1층 | 전문식당가, 패션전문관 소풍109, 경인문고, 한샘 가구전문관, 주차장 |
지상 1층 | 터미널, 킴스클럽 |
지상 2층 | 터미널, 뉴코아 |
지상 3층 | 터미널, 뉴코아 |
지상 4층 | 뉴코아, 코코몽, 블루밍스퀘어, 전문식당가, 문화센터 |
지상 5층 | 뉴코아, 푸드스트리트 |
지상 6층 | CGV, 빕스, 소풍웨딩홀, 전문식당가 |
지상 7층 | CGV, 소풍웨딩홀 |
지상 8층 | 하늘정원 |
지상 9층 | 하늘정원, 소풍골프연습장 |
부천터미널 소풍의 승차홈은 1층, 2층, 3층에 걸쳐 운영되며, 각 승차홈별 행선지는 다음과 같다.
부천터미널 소풍에서는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 전국을 운행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노선은 폐선되거나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기도 했다.
주차는 총 1,726대 가능하다.[1]
3. 승차홈
층별 승차홈 행선지 1층 1번홈 부산(심야), 마산(심야), 창원(심야) 2번홈 문산(심야) 3~6번홈 하차홈 2층 1번홈 구룡, 기지시, 남면, 당진, 보령, 서산, 어송, 운산, 음암, 태안 2번홈 광혜원, 김천, 두원공대, 백암, 이월, 제천, 죽산, 증평, 진천, 청주, 추풍령, 황간 3번홈 공주, 대전, 대전청사, 세종, 유성, 천안 4번홈 감곡, 마산, 문경, 부산, 상주, 생극, 수원, 용원, 장호원, 점촌, 주덕, 창원, 충주, 현대전자 5번홈 경주, 구미, 동대구, 부산서부, 북대구, 서수원, 안동, 영주, 오산, 인월, 진주, 통영, 포항, 함양 6번홈 모란역, 성남, 울산, 인천국제공항 3층 1번홈 의왕(고천), 공도, 대림동, 덕평, 동아방송대, 안성, 안중, 이천, 중앙대, 평택 2번홈 가평, 강릉, 강촌, 고한사북, 대성리, 마석, 영월, 청평, 춘천, 태백, 평내 3번홈 낙산, 낙산사입구, 설악산입구, 속초, 원주, 정선, 평촌 4번홈 강진, 광주, 나주, 목포, 무안, 순천, 안산, 영광 5번홈 광양, 군산, 남원, 동광양, 시흥(시화), 익산, 전주, 정읍 6번홈 강남대, 명지대, 신갈, 에버랜드, 용인, 용인대 7번홈 가락시장, 고양, 동서울, 문산, 일산, 잠실
4. 운행 노선
4. 1. 고속버스
운행 노선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
부천 ↔ 대구[4] | 코리아와이드경북 | 부천 | ↔ | 동대구 | 무정차 | 4회 | 07:40, 12:20, 15:50, 18:30 |
부천 ↔ 서산 | 충남고속, 한양고속 | 부천 | ↔ | 서산 | 무정차 | 5회 | 10:30, 11:50, 14:30, 15:50, 17:10 |
부천 ↔ 통영[5] | 대원고속 | 부천 | ↔ | 통영 | 인삼랜드휴게소 | 4회 | 08:00, 10:00, 14:30, 16:30 |
4. 2. 시외버스
- 음성행은 친선고속이 1일 2회 운행했지만 2012년 10월 부로 폐선되었다.
- 부천-양평-홍천행 금강고속 시외버스는 2014년 4월부로 수요 부족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 5000번 (문산, 일산), 수원, 용인, 에버랜드, 성남, 고양, 동서울, 안양, 안산, 서수원, 평촌, 범계, 호계동, 비산동, 시화 방면으로 갈 때는 승차권을 구입할 필요 없이 교통카드를 이용해 승차할 수 있다. 2014년 12월 1일부터 행선지 조회 및 예매 사이트가 변경되었다.[6]
- 2017년 5월 15일부터 구례행 시외버스 이용 수요 저조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 2018년 7월 1일부터 춘천행 시외버스 운행이 중단되었다.
- 2023년 3월 27일부터 문산행 시외버스 노선이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방면 | 행선지 |
---|---|
수도권 방면 | 가락시장, 강남대, 고양, 고양화정, 공도, 구갈, 구성, 구운동, 금곡, 기흥역, 대림동산, 덕평, 동백지구, 동서울, 두원공대, 명지대, 모란, 백암, 범계, 보정역, 비산동, 서수원, 성남, 수원, 수원역, 수지, 시화, 신갈, 안산, 안성, 안양, 안중, 에버랜드, 오산, 용인대, 의왕고천, 이천, 이황리, 인천국제공항, 잠실, 장지역, 장호원, 죽산, 죽전역, 중앙대(안성), 청강대, 태평리, 평택, 한경대, 해군기지, 현대전자, 호계동 |
강원권 방면 | 강릉, 고한사북, 낙산, 마차, 문곡, 문막, 미탄, 설악입구, 속초, 연당, 영월, 원주, 정선, 태백 |
충청권 방면 | 감곡, 공주, 광혜원, 구룡, 기지시, 남면, 당진, 대전, 대전청사, 보령, 생극, 서산, 세종, 심천, 안면도, 어송, 영동, 용원, 옥천, 운산, 유성, 음암, 이원, 이월, 제천, 주덕, 증평, 진천, 창기리, 천안, 청주, 추풍령, 충북혁신도시[7], 충주, 태안, 황간 |
호남권 방면 | 광양, 광주, 군산, 남원, 동광양, 목포, 무안, 순천[8], 영광, 익산, 인월[9], 전주, 정읍, 함평 |
영남권 방면 | 경주, 구미, 김천, 마산, 마천[9], 문경, 백무동[9], 부산, 부산서부, 북대구, 상주, 서상[9], 신복, 안동, 영주, 울산, 점촌, 진주, 창원, 포항, 함양[9], 해운대 |
4. 3. 직행좌석버스
(분)직행좌석[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