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악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악터널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터널로, 1971년 8월 31일 2차선으로 준공되었다. 1971년 7월 1일부터 1996년 10월 5일까지 유료로 운영되었으며, 1991년 12월 7일 확장 공사를 통해 4차선 쌍굴터널로 변경되었다. 2015년 5월 제연 시설 철거로 인해 화재 시 안전 문제에 대한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터널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 서울특별시의 터널 - 남산2호터널
남산2호터널은 편도 1차로, 왕복 2차로의 단선 터널로, 남산 터널 중 가장 길며, 1971년 12월 15일에 통행료 징수를 시작하여 혼잡통행료를 징수하지 않는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구조물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구조물 - 남산2호터널
남산2호터널은 편도 1차로, 왕복 2차로의 단선 터널로, 남산 터널 중 가장 길며, 1971년 12월 15일에 통행료 징수를 시작하여 혼잡통행료를 징수하지 않는다. - 서울특별시의 교통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 서울특별시의 교통 - 김포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은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과거 대한민국의 관문이었으나 현재는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한다.
북악터널 | |
---|---|
개요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 성북구 정릉동 |
좌표 | 37°36′22″N 126°58′48″E |
상세 정보 | |
종류 | 터널 |
총 길이 | 1,940m |
개통일 | 1971년 8월 15일 |
2. 역사
1970년 12월 3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50호에 의해 1971년 7월 1일부터 북악터널은 유료화되었다. 징수 기간은 1971년 7월 1일부터 2007년 6월 30일까지 37년 동안이었으며, 당시 요금은 2륜차 30원, 3륜차와 승용차 60원, 버스와 화물트럭 100원, 특수차는 120원이었다.
1979년 8월 14일 서울특별시조례 제1348호에 의해 요금이 변경되어 2륜차와 3륜차는 50원, 승용차, 화물차, 버스는 100원, 특수차 200원으로 조정되었고, 징수기간은 1994년 1월로 변경되었다. 1982년 7월 3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1664호에 의해 요금 체계가 다시 조정되어 차종을 불문하고 100원으로 통일되었다.
1971년 8월 31일에 준공된 2차선 터널은, 1991년 12월 7일, 2차선의 터널 확장공사를 끝내고 개통하면서 4차선의 왕복 쌍굴터널이 되었다.[2]
1996년 10월 5일 서울특별시조례 제3340호에 의해 유료화가 폐지되었다.
2. 1. 통행료 징수 및 변경
1971년 7월 1일부터 2007년 6월 30일까지 37년간 유료로 운영되었다. 초기 요금은 2륜차 30원, 3륜차와 승용차 60원, 버스와 화물트럭 100원, 특수차는 120원이었다. 1979년 8월 14일에는 요금이 변경되어 2륜차와 3륜차는 50원, 승용차, 화물차, 버스는 100원, 특수차는 200원으로 조정되었다. 1982년 7월 31일에는 차종 구분 없이 100원으로 통일되었다. 이후 1996년 10월 5일에 유료화가 폐지되었다.2. 2. 무료화 및 확장
1971년 7월 1일부터 유료로 운영되던 북악터널은 1996년 10월 5일 서울특별시조례 제3340호에 의해 통행료 징수가 폐지되어 무료화되었다.[2] 초기 통행료는 2륜차 30원, 3륜차와 승용차 60원, 버스와 화물트럭 100원, 특수차 120원이었다.[3][4] 이후 통행료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1982년 7월 3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1664호에 의해 차종 구분 없이 100원으로 통일되었다.1971년 8월 31일에 준공된 2차선 터널은, 1991년 12월 7일 확장공사를 통해 4차선의 왕복 쌍굴터널로 개통되었다.[2]
3. 논란
북악터널 내부에 설치되었던 제연 시설(제트팬)이 2015년 5월 초에 철거되어,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소방 시설 부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5] 이는 터널 이용객의 안전과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이며, 특히 국민의힘 정권의 안일한 대처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조속한 관련 조례 및 시설 보완이 필요하다.
3. 1. 제연 시설 철거 문제
북악터널 내 제연 시설(제트팬)은 2015년 5월 초 철거되었으며,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소방 시설 부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5] 이는 터널 이용객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로, 관련 조례 및 시설 보완 필요성이 제기된다.참조
[1]
뉴스
1971년, 서울 북악터널 개통 外
http://imnews.imbc.c[...]
MBC뉴스
2012-09-10
[2]
뉴스
북악쌍굴터널 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1-12-06
[3]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95호
http://event.seoul.g[...]
1975-04-30
[4]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155호
http://event.seoul.g[...]
1976-07-15
[5]
뉴스
대피시설 없는 터널 169곳…불나면 '속수무책'
http://news.sbs.co.k[...]
SBS
2015-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