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치기벌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치기벌속(Synoeca)은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벌의 한 속이다. 이들은 열대우림에서 주로 서식하며, 나무에 둥지를 짓고 무리 생활을 한다. 북치기벌속의 독침은 매우 강력하여, 곤충학자 저스틴 슈미트는 슈미트 독침 고통 지수에서 높은 순위로 평가했으며, 불안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알려진 하위 종으로는 Synoeca cyanea, Synoeca chalybea, Synoeca ilheensis, Synoeca septentrionalis, Synoeca surinama, Synoeca virginea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쌍살벌아과 - 모임벌속
북치기벌속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Synoeca |
명명자 | de Saussure, 1852 |
모식종 | Agelaia testacea |
모식종 명명자 | 칼 린네, 1767 |
분류 계급 | 속 |
하위 분류 | 6개의 기술된 종 |
상위 분류군 | 쌍살벌아과 Epiponini(:en:Epiponini) |
2. 분포와 서식지
북치기벌속은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13][1] ''S. septentrionalis'' 종은 주로 분포 범위의 북부에서 발견되는데, 북쪽으로는 멕시코에서 시작하여 중앙아메리카를 거쳐 남아메리카 북부까지 서식한다.[13][1] 매우 유사한 종인 ''S. ilheensis''는 브라질까지 분포하며, 2017년까지는 ''S. septentrionalis''의 남부 개체군으로 여겨졌다.[1] 북치기벌속의 다른 종들은 주로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되며, 남쪽으로는 아르헨티나까지 서식한다.[13][4]
곤충학자 저스틴 슈미트는 북치기벌속의 독침, 특히 종 ''S. septentrionalis''의 침을 자신의 슈미트 독침 고통 지수에서 4점으로 평가했다. 이는 그가 만든 지수에서 가장 높은 등급으로, 총알개미와 타란툴라사냥벌의 일종인 ''Pepsis'' 속 벌과 같은 수준이다.[7][8] 슈미트는 이 고통을 "고문과 같다"고 표현하며, "활화산에서 흘러나오는 용암의 흐름에 붙들린 듯한 느낌"이라고 묘사했다.[7][8]
이들은 열대우림에서 번성하며, 주로 나무의 굵은 가지 밑이나 나무 줄기 표면에 직접 수목성 둥지를 짓는다.[13][5] 둥지는 아르마딜로를 닮은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어, 현지에서는 '''아르마딜로벌'''(marimbondo-tatu|마림본두-타투pt, armadillo wasp|아마딜로 워스프영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14][5]
북치기벌속은 새로운 둥지를 만들기 위해 무리 행동을 한다. 이때 여왕벌 한 마리가 여러 일벌을 이끌고 새로운 장소로 이동한다.[14][1] 여왕벌은 페로몬을 분비하여 일벌들의 번식 행동을 억제한다.[14][1] 한 여왕벌이 죽으면 다른 여왕벌로 대체되며, 군체는 최대 16년까지 유지될 수 있다.[11][1]
3. 독
유튜버이자 생태교육가인 코요테 피터슨은 교육적 목적으로 북치기벌속에 쏘이는 경험을 했는데, 그는 "통증이 굉장히 빠르게 퍼진다. 총알개미만큼 고통스럽지는 않았지만, 타란툴라사냥벌과 비슷한, 전류가 흐르는 감각이 지속된다. 찌른 곳을 반복해서 찌르는 듯한 느낌이다."라고 말했다.[15]
한편, 브라질의 한 연구팀은 북치기벌속(''Synoeca'')의 독에서 불안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을 발견했다.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이 화합물은 디아제팜과 비슷한 수준의 효과를 보였다.[16][9]
4. 하위 종
참조
[1]
서적
The social wasps of the Americas excluding the Vespinae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2]
서적
Latin American Insects and Entom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학술지
Sting Autotomy, a defensive mechanism in certain social Hymenoptera
1971
[4]
학술지
A phylogenetic analysis of ''Synoeca'' De Saussure, 1852, a neotropical genus of social wasps (hymenoptera: vespidae: epiponini)
https://www.research[...]
[5]
학술지
First records of ''Synoeca septentrionalis'' Richards, 1978 (Hymenoptera, Vespidae, Epiponini) in the Brazilian Atlantic Rain Forest
[6]
학술지
''Synoeca ilheensis'' sp. nov., a new social wasp (Hymenoptera, Vespidae, Polistinae) from Brazilian lowland Atlantic Forest (abstract)
[7]
웹사이트
5 Most Painful Wasp Stings
https://www.insectre[...]
Insect Realm
2022-03-07
[8]
학술지
Pain and Lethality Induced by Insect Stings: An Exploratory and Correlational Study
[9]
웹사이트
The Venom of This Dangerous Wasp Could Someday Help Treat Anxiety
http://www.pbs.org/w[...]
WGBH Educational Foundation
2016-11-04
[10]
서적
The social wasps of the Americas excluding the Vespinae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11]
서적
Latin American Insects and Entomolog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학술지
Sting Autotomy, a defensive mechanism in certain social Hymenoptera
null
1971
[13]
학술지
A phylogenetic analysis of ''Synoeca'' De Saussure, 1852, a neotropical genus of social wasps (hymenoptera: vespidae: epiponini)
https://www.research[...]
[14]
학술지
First records of ''Synoeca septentrionalis'' Richards, 1978 (Hymenoptera, Vespidae, Epiponini) in the Brazilian Atlantic Rain Forest
[15]
웹인용
TUNG by a WARRIOR WASP!
https://www.youtube.[...]
2017-11-24
[16]
웹인용
The Venom of This Dangerous Wasp Could Someday Help Treat Anxiety
http://www.pbs.org/w[...]
WGBH Educational Foundation
2016-11-04
[17]
학술지
''Synoeca ilheensis'' sp. nov., a new social wasp (Hymenoptera, Vespidae, Polistinae) from Brazilian lowland Atlantic Forest (abstrac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