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가사의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가사의》는 1986년 발매된 나카모리 아키나의 열 번째 정규 앨범으로, 몽환적이고 신비스러운 컨셉을 담고 있다. 나카모리가 프로듀서를 맡아 영화 《엑소시스트》의 음악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는 컨셉 아래 기존 싱글곡을 제외하고 신곡들로 채워졌다. 앨범은 LP, 카세트 테이프, CD 형태로 발매되었으며, 발매 당시 오리콘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평론가들은 앨범의 실험성과 나카모리의 음악적 발전을 높이 평가했지만, 일부 팬들은 독특한 사운드와 보컬 기법에 다소 낯설어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오리콘 앨범 차트 1위 작품 - MY BEST THANKS
    MY BEST THANKS는 나카모리 아키나가 1985년에 발매한 세 번째 LP 한정반 앨범으로, 오리콘 주간 LP 차트 1위를 기록했다.
  • 1986년 오리콘 앨범 차트 1위 작품 - BEST (나카모리 아키나의 음반)
    나카모리 아키나의 베스트 앨범인 BEST는 1986년 발매 이후 여러 차례 리마스터 및 재발매되었으며, 2023년에는 신곡이 추가된 리마스터 앨범으로도 발매되었다.
  • 나카모리 아키나의 음반 - 가희4 -My Eggs Benedict-
    나카모리 아키나가 2015년 1월에 발매한 네 번째 "가희 시리즈" 커버 앨범인 가희4 -My Eggs Benedict-는 197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까지의 러브송을 수록하고 나카모리가 직접 구상하고 촬영한 에그 베네딕트가 앨범 제목과 재킷 사진에 반영되었다.
  • 나카모리 아키나의 음반 - 가희 (음반)
    나카모리 아키나가 1994년에 발표한 첫 커버 앨범 《가희》는 1960~70년대 곡들을 50인조 오케스트라와 동시 녹음하여 제작되었고, 오리콘 앨범 주간 차트 5위를 기록하며 가희 시리즈의 첫 작품이 되었다.
  • 나카모리 아키나 - 붉은 새가 도망쳤다
    붉은 새가 도망쳤다는 1986년 전영록의 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지예가 작사하고 전영록이 작곡 및 편곡했으며, 여러 차례 재발매되었다.
  • 나카모리 아키나 - 십계 (1984)
    나카모리 아키나가 1984년에 발표한 싱글 '십계'는 우리노 마사오 작사, 다카나카 마사요시 작곡으로, 오리콘 싱글 차트 1위와 연간 차트 6위를 기록했으며 '밤의 히트 스튜디오'에서 처음 공개, NHK 홍백가합전에서도 불려졌다.
불가사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Fushigi 음반 커버
Fushigi 음반 커버
유형스튜디오 음반
아티스트나카모리 아키나
발매일1986년 8월 11일
녹음1986년
장르뉴 웨이브 음악
에테리얼 웨이브
길이45분 08초
언어일본어
레이블워너 파이오니어
프로듀서나카모리 아키나
관련 음반
이전 음반Best (1986년)
다음 음반Crimson (1986년)
트랙 목록
트랙 목록 정보트랙 목록 정보는 제공된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스튜디오
녹음 장소Sedic Audio Studio
사운드 인 스튜디오
Freedom Studio
Sound Atelier
체리 아일랜드 스튜디오
Music Inn Studio
워너-파이오니어 스튜디오
차트 성적
오리콘 차트1위
1986년 연간 15위

2. 배경

《불가사의》는 나카모리 아키나일본 레코드 대상을 연속 수상하며 전성기를 구가하던 1986년 8월 11일에 발매되었다. 나카모리는 데뷔 초부터 곡과 무대 컨셉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이번에는 프로듀서까지 맡아 음반의 컨셉을 진두지휘했다.[37]

디렉터 후지쿠라 가츠미(藤倉克己|후지쿠라 가쓰미일본어)는 나카모리에게 싱글 활동처럼 음반에서도 특정 컨셉을 잡는 것이 어떤지 물었고, 나카모리는 몽환적이고 신비스러운 "불가사의"라는 느낌을 제안했다.[37] 나카모리는 이 앨범에 대해 마이크 올드필드와 잭 니체(Jack Nietsche)가 작곡한 영화 《엑소시스트》의 음악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38] 당시 《엑소시스트》의 영화 음악은 스트링 4중주와 테이프 실험 등을 통해 영화의 공포와 불확실성을 극대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39]

나카모리는 이전 음반들과 달리 싱글 곡을 수록하지 않고 신곡만으로 구성했으며,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는 앨범의 메인 컨셉에 집중했다.[40] 녹음은 Sedic Audio Studio, 사운드 인 스튜디오, Freedom Studio, Sound ATELIER 등에서 진행되었다.[40] 1985년부터 앨범 기획이 시작되어 EUROX, 요시다 미나코(吉田美奈子|요시다 미나코일본어), SANDII & THE SUNSET 등에게 곡을 받아 1986년 1월에서 2월까지 녹음 작업을 진행했다. 5월 초까지 트랙다운[41] 작업을 마쳤으나, 나카모리는 곡이 멋은 있지만 "불가사의"라는 앨범 제목과 맞지 않는다며 다시 믹싱 작업을 요청했다.[42] 그녀는 보컬을 작게 처리해 잘 들리지 않게 할 것을 주문했고, EUROX의 작업 하에 다시 트랙다운 과정과 편곡을 거쳤다.[42] EUROX는 대부분의 곡 편곡 작업에 깊이 관여했으며, 앨범 릴리스 노트 밑에는 "Special Thanks to"라는 문구와 함께 EUROX가 아니었다면 이 음반이 나올 수 없었다는 감사의 말이 적혀있다.[34][37][42]

《불가사의》의 모든 곡에서 나카모리의 보컬은 보코더디스토션 작업을 거쳐 리버브(reverb)만 어렴풋이 들리도록 처리되었다.[35] 녹음 후 발매 예정이었던 〈Fin〉은 앨범 컨셉과 맞지 않아 9월 26일에 16번째 싱글로 따로 발매되었다.

첫 LP 판의 디스크 재킷에는 야광 도료로 “不思議|후시기일본어”라는 타이틀을 썼고, 디스크 재킷의 의상과 메이크업은 나카모리가 하와이의 전통 인형 디코돈에서 착안하여 촬영하였다.[43] 릴리스 노트 옆 가사 카드에는 중국어로 번안한 곡 제목과 가사가 쓰여 있었다.[34]

나카모리 아키나의 팬들은 《불가사의》를 그녀 최대의 문제작으로 꼽는다. 이질적이고 몽환적인 사운드에 보코더와 디스토션으로 처리된 희미한 보컬 때문에 가사를 알아듣기 어려웠고, 음반 출시 직후 소속사와 레이블 사무소에는 새 음반이 불량품이 아니냐는 전화가 쇄도했다.[36][37] 그러나 나카모리와 소속사가 의도적인 컨셉이었음을 해명한 후, 주춤했던 판매량이 다시 상승했다.[54]

2. 1. 초기 기획

1986년 2월 또는 3월, 앨범 《불가사의》의 이름과 초기 트랙 목록이 발표되었다.[1] 원래 앨범에는 프로모션 싱글 〈Fin〉과 B-사이드 곡이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이 곡들은 나중에 미니 컴필레이션 앨범 《CD'87》에 수록되었다. 초기 트랙 중 일부는 다른 정규 앨범에 사용되었는데, "Akai Mystery"는 《Cruise》에, "Fire Starter"는 《Stock》에 실렸다. 〈Fushigi〉는 나중에 미니 앨범 《Wonder》에서 다시 녹음되었다.

5월에는 싱글 〈Gypsy Queen〉에 7월 초로 예정된 앨범 발매 정보가 담긴 문의 서한이 포함되었지만,[2] 제작 문제로 발매가 8월로 연기되었다.

6월에는 최종 공식 트랙 목록이 발표되었는데, 이전 목록에서 "Okibi", "Glass no Kokoro", "Marionette", "Teenage Blue" 4곡만 남았다. 1988년, 이 4곡은 보컬을 더 선명하게 하고 편곡을 바꿔 미니 앨범 《Wonder》에 다시 녹음되어 포함되었다. 이전 트랙 목록에 있었던 데모 테이프 트랙 "Aoi Twilight Rain"과 "Akage no Sandora"가 앨범에서 이름을 바꾼 것인지, 아니면 완전히 삭제된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앨범은 나카모리 아키나가 처음으로 셀프 프로듀싱한 앨범이다.[3] 모든 트랙의 보컬에 리버브 등 여러 효과가 강하게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인데, 처음에는 많은 일본 대중들이 의도치 않은 잘못된 녹음이라고 생각했을 정도였다.

디렉터 후지쿠라 가츠키에 따르면, 컨셉 앨범을 만들자는 이야기가 나오던 중, 나카모리 아키나가 "불가사의"라는 컨셉을 제안했다고 한다.[24] 나카모리는 1985년 초부터 이 기획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24] 이후, 세키네 아사토(훗날 싱글 TATTOO를 담당), EUROX, 요시다 미나코, SANDII & THE SUNSETS (SANDII, 쿠보타 마코토, 이노우에 켄이치) 등의 곡이 선정되었고, 1986년 정월부터 2월까지 레코딩 작업을, 5월 초까지 트랙 다운 작업을 진행했다.[24][22]

1차 트랙 다운이 끝난 후, 나카모리는 "그 믹싱으로는 멋있지만, 불가사의하지 않다"라고 말했다.[24] 이후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한 EUROX가 편곡을 변경했고,[25][24] 사운드와 보컬이 하나로 묶여 들리는 2차 트랙 다운이 진행되었다.[24] 믹싱은 원래 나카모리의 아이디어로 보컬을 작게 처리했는데,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는 것이 이 앨범의 컨셉이었다.[22][26] EUROX는 편곡에도 도움을 주었으며, 앨범 크레딧에는 "EUROX 덕분에 이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는 설명이 적혀있다.[14][24]

2. 2. 트랙 선정 및 녹음

자야정녕중국어「Back door night」, 새로운 세대중국어「뉴・제네레이션」, 사랑의 미궁중국어「Labyrinth」, 꼭두각시중국어「마리오네트」, 당신을 위해 매료되다중국어「환혹되어」, 적나라한 마음중국어「유리의 마음」, 일찍 찾아온 우울중국어「Teen-age blue」, 정열의 불꽃중국어「욱화」, 잠깐만 기다려 줘중국어「Wait for me」, 마지막 춤중국어「Mushroom dance」는 앨범 『불가사의』의 수록곡 명칭이다.[14]

1986년 2월 또는 3월, 앨범 이름과 초기 트랙 목록이 발표되었다.[1] 원래 앨범에는 프로모션 싱글 "Fin"과 B-사이드가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나중에 미니 컴필레이션 앨범 ''CD87''에 발매되었다. "Akai Mystery"는 ''Cruise''에, "Fire Starter"는 ''Stock''에 수록되는 등 일부 트랙은 다른 정규 앨범에 사용되었다. 앨범 트랙 "Fushigi"는 나중에 미니 앨범 ''Wonder''에서 다시 녹음되었다.

1986년 5월, 싱글 "Gypsy Queen"에 앨범의 7월 초 발매 예정 정보가 담긴 문의 서한이 포함되었으나,[2] 제작 문제로 발매가 8월로 연기되었다.

6월에 발표된 최종 공식 트랙 목록에는 이전 목록의 "Okibi", "Glass no Kokoro", "Marionette", "Teenage Blue" 4곡만 남았다. 1988년, 이 4곡은 더 선명한 보컬과 변화된 편곡으로 미니 앨범 ''Wonder''에 다시 녹음되어 포함되었다.

앨범의 컨셉은 "불가사의"였으며, 이는 나카모리 아키나의 제안이었다.[24] 나카모리는 1985년 초부터 이 기획에 관심을 가졌다.[24] 이후, 세키네 아사토(후에 싱글 TATTOO 담당) 등의 EUROX, 요시다 미나코, SANDII & THE SUNSETS (SANDII, 쿠보타 마코토, 이노우에 켄이치) 등의 곡이 선정되었다.[24][22]

1986년 정월부터 2월까지 레코딩 작업이, 5월 초까지 트랙 다운이 소요되었다.[24][22] 1차 트랙 다운 종료 후, 나카모리는 "그 믹싱으로는 멋있지만, 불가사의하지 않네?"라고 말했다.[24] 이후, 공동 프로듀스에 참여한 EUROX의 어레인지로 변경되었다.[25][24] 사운드와 보컬이 하나로 묶여 들리는 2차 트랙 다운이 진행되었다.[24] 나카모리의 아이디어로 보컬을 작게 처리했으며,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는 것이 본작의 컨셉이었다.[24][22][26] EUROX는 어레인지 면에서도 협력하여, 앨범 크레딧에 "EUROX 덕분에 이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는 설명이 기재되었다.[14][24]

2. 3. 믹싱 및 편곡 변경

1차 트랙 다운이 끝난 후, 나카모리 아키나는 "그 믹싱으로는 멋있지만, 불가사의하지 않네?"라고 말하며 EUROX에 의한 편곡으로 변경할 것을 요청했다.[24] EUROX는 공동 프로듀서로서 참여하여 사운드와 보컬이 하나로 묶여 들리는 2차 트랙 다운을 진행했다.[24] 믹싱에 대해서는, 원래 나카모리의 아이디어로 보컬을 작게 처리했는데,[24] 이는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는 본작의 컨셉 때문이었다.[22][26] EUROX의 도움으로 앨범을 완성할 수 있었기에, 앨범 크레딧에는 "EUROX 덕분에 이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라는 설명이 적혀있다.[14][24]

3. 특징

《불가사의》는 나카모리 아키나가 직접 프로듀싱한 9번째 정규 음반으로, "아키나 최대의 문제작"이라고도 불린다.[14][19][20][21] 1986년 8월 11일 LP (L-12595), 컴팩트 카세트 (LKF-8095), CD (32XL-155) 세 가지 형태로 동시 발매되었다.[16][22]

당시 일본 레코드 대상을 연속 수상하며 전성기를 누리고 있던 나카모리는 데뷔 초부터 곡과 무대 컨셉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이번 음반에서는 프로듀서까지 맡아 음반의 컨셉을 주도했다. 나카모리는 마이크 올드필드와 잭 니체가 작곡한 영화 《엑소시스트》의 음악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38] 이러한 컨셉 때문에 음반 발매 직후, 소속사와 레이블 사무소에는 새 음반이 불량품이 아니냐는 전화가 쇄도하기도 했다.[36][37] 그러나 나카모리와 소속사가 의도적인 컨셉임을 해명한 후, 판매량이 다시 상승했다.[54]

수록곡은 다음과 같이 중국어로 번안되어 가사 카드에 표기되었다.[14]

원제중국어 번안 제목한국어 번역
Back door night子夜叮嚀 (자야정녕)자정의 당부
ニュー・ジェネレーション新的一代 (새로운 세대)새로운 세대
Labyrinth愛的迷宮 (사랑의 미궁)사랑의 미궁
マリオネット木偶 (목우)꼭두각시
幻惑されて為你着迷 (당신을 위해 매료되다)당신에게 매혹되어
ガラスの心赤裸的心 (적나라한 마음)적나라한 마음
Teen-age blue早來的憂鬱 (일찍 찾아온 우울)때이른 우울
燠火情火 (정열의 불꽃)정열의 불꽃
Wait for me等我一下 (잠깐만 기다려 줘)잠깐만 기다려 줘
Mushroom dance最後一舞 (마지막 춤)마지막 춤


3. 1. 사운드 및 보컬

나카모리 아키나는 이 음반에서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는 컨셉트에 집중하여, 싱글곡을 수록하지 않고 신곡들로만 채웠다.[40] 보컬은 보코더디스토션 작업을 거쳐, 마치 벽을 사이에 두고 멀리서 들려오는 듯한 잔향(reverb) 효과를 냈다.[35]

음반 기획은 1985년부터 시작되어 EUROX, 요시다 미나코(吉田美奈子|요시다 미나코일본어), SANDII & THE SUNSET 등에게 곡을 받아 1986년 1월에서 2월까지 녹음 작업을 진행하였다. 5월 초까지 트랙다운[41] 작업을 마쳤으나, 나카모리는 곡이 “불가사의”라는 음반 제목과 맞지 않는다며 다시 믹싱 작업을 요청했다. 그녀는 보컬을 작게 처리해 잘 들리지 않게 할 것을 주문했고, EUROX의 작업 하에 다시 트랙다운 과정과 편곡을 거쳤다.[42] EUROX 멤버들은 대부분의 곡 편곡 작업에 깊이 관여하여, 릴리스 노트에 “Special Thanks to”로 표기되었고, 나카모리는 EUROX가 아니었다면 이 음반이 나올 수 없었다고 크게 고마워했다.[34][37][42]

녹음은 Sedic Audio Studio, 사운드 인 스튜디오, Freedom Studio, Sound ATELIER 등에서 번갈아가며 진행되었다.[40]

3. 2. 앨범 커버 및 디자인

초회 LP판 디스크 재킷에는 야광 도료로 타이틀 “不思議일본어”를 썼다. 디스크 재킷에 사용된 의상과 메이크업은 나카모리 아키나가 하와이의 전통 인형 디코돈에서 착안하여 촬영한 것이다.[43] 릴리스 노트 옆 가사 카드에는 중국어로 번안한 곡 제목과 가사도 쓰여 있었다.[34]

아날로그 레코드 초회 프레스반 20만 장은 B면에 야광 도료로 "불가사의" 글자가 떠오르는 한 면 피처 레코드 사양이었다.[14] 홍콩반에서는 띠 부분이 재킷에 직접 인쇄되었고, 레코드 본체는 클리어 레코드였다.

4. 발매 및 반응

《불가사의》는 1986년 8월 11일 LP(L-12595), 컴팩트 카세트(LKF-8095), CD(32XL-155) 세 가지 형태로 동시에 발매되었다.[16][22] 당시 나카모리 아키나는 싱글 〈미 아모레〉와 〈DESIRE -정열-〉로 일본 레코드 대상을 연속 수상하며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나카모리 아키나는 이 음반에 이전 싱글곡을 수록하지 않고 신곡들로만 구성했으며,[40]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는 컨셉트를 내세웠다.[35] LP 판 재킷에는 야광 도료로 “不思議일본어”라는 타이틀을 썼고, 재킷 사진의 의상과 메이크업은 하와이 전통 인형 디코돈에서 착안했다.[43] 가사 카드에는 중국어 번안 곡 제목과 가사가 함께 수록되었다.[34]

《불가사의》는 나카모리 아키나 최대의 문제작으로 불리기도 한다.[36][37] 오리콘 앨범 차트 1위로 데뷔하여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고,[3] 1987년 오리콘 연간 앨범 차트 16위에 올랐다.[4] 그러나 《D404ME》와 《CRIMSON》이 일본 레코드 대상 우수앨범상을 수상한 것과 달리, 《불가사의》는 오리콘 차트에서만 좋은 반응을 얻었다.[45][46]

4. 1. 발매 전 상황

中森明菜일본어는 1986년 7월 12일부터 전국 콘서트 투어 LIGHT & SHADE를 개최하여 본 음반의 곡들을 미리 선보였다.[47] 이 투어에서는 〈Back Door Night〉, 〈Marionette〉, 〈幻惑されて일본어〉, 〈Glassの心일본어〉, 〈New Generation〉을 공연했다. 1987년 라이브 투어 'A Hundred Days'에서는 〈Wait for me〉와 〈Mushroom Dance〉를 공연했다.

1987년 2월 3일, 후지 테레비의 음악방송 프로그램 《밤의 히트 스튜디오 DELUXE》에 출연하여 〈Back door night〉과 〈마리오네트〉를 선보였다.[48] 이는 정식 음반 수록곡으로는 이례적인 출연이었다. 당초 中森明菜일본어는 음반의 이미지를 방송에서 표현하기 어렵다며 출연을 거절했으나, 방송 관계자들의 간곡한 요청으로 출연을 결심했다. 그녀는 무대 세팅, 조명, 카메라 워킹까지 음반의 이미지에 맞게 연출할 것을 요구했고, 마녀를 연상시키는 의상과 거미줄로 뒤덮인 음산한 분위기의 무대에서 공연을 펼쳤다.[48]

이후 中森明菜일본어는 다른 방송사의 음악 프로그램에서는 《불가사의》의 수록곡을 부르지 않았다. 2003년 전국 콘서트 투어 AKINA NAKAMORI LIVE TOUR 2003 - I hope so -에서 〈燠火일본어〉와 〈마리오네트〉를 불렀고, 동명의 라이브 음반에도 수록되었다.[49] 2004년 라이브 투어 'I hope so'에서는 〈燠火일본어〉와 〈마리오네트〉를 다시 공연했다.

4. 2. 대중의 반응

《불가사의》는 보코더디스토션을 사용해 몽환적인 사운드로 처리, 가사를 알아듣기 힘들게 했다. 이 때문에 음반 발매 직후 소속사와 레이블 사무소에는 새 음반이 불량품이 아니냐는 문의 전화가 쇄도했다.[36][37] 그러나 나카모리 아키나와 소속사가 의도적인 컨셉임을 해명한 후, 판매량이 다시 상승했다.[54]

이 앨범은 독특한 보컬 기법으로 팬들에게 낯설었지만, 오리콘 앨범 차트에서 1위로 데뷔하여 3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좋은 판매고를 올렸다.[3] 1987년 오리콘 연간 앨범 차트에서는 16위를 기록했다.[4] 오리콘 주간 LP&TAPES 차트 1986년 8월 25일자에 처음 등장하여 최고 순위 1위를 기록한 후, 1986년 9월 8일자까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22][16] 1986년 오리콘 연간 앨범 차트에서는 15위를 기록했다.

4. 3. 평론가들의 평가

《불가사의》는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마키아노 모토히로는 이 음반을 기점으로 나카모리 아키나의 가창력이 명료하고 확고하게 다져졌다고 평가했다.[51] 특히,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는 음반의 콘셉트에 충실하며, 심리 묘사에 치중한 가사와 어우러져 감각적이고 오컬트적인 느낌을 준다고 덧붙였다.[35] 〈Labyrinth〉와 〈마리오네트〉의 절정 부분에서는 두꺼운 소리의 파도가 몰려오는 듯한 느낌을 준다고 호평했다.[35]

CD 저널은 처음 들었을 때 무언가 부족하다는 의문과 불안감이 들 수 있지만, 이는 의도된 것이라고 지적했다.[52] 음반의 타이틀인 "불가사의"에 걸맞게 신비스럽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중 요시다 미나코의 〈욱화〉가 이러한 분위기를 가장 잘 살렸다고 평가했다.[53] 중국의 음악 웹사이트 더우반은 팬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리지만, 나카모리의 실험성과 창의성이 돋보이며 주제 의식이 뚜렷한 음반이라고 평했다.[54]

반면, 러시아의 평론가 알렉세이 예레멘코는 너무 앞서나간 음악성이 오히려 독이 되어 음반 판매량을 떨어뜨렸다고 비판했다.[55] 이전과 이후의 스튜디오 음반인 《D404ME》와 《CRIMSON》이 《불가사의》보다 더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A.V. 클럽의 이그나티 비쉬네베츠키는 2016년에 이 앨범이 "진보적이면서도 당시 낭만적인 팝의 세련된 작곡 공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 매우 중독성 있는 음향 실험으로, ''불가사의''는 매우 크게 재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앨범이다."라고 평했다.[3]

Sigh의 카와시마 미라이는 고블린의 곡을 참고한 듯한 편곡과 프레이즈가 가득하며, "'마리오네트'의 엄마 바이올린 등, 곳곳에 '튜블라 벨스'를 기반으로 한 미니멀한 프레이즈가 뿌려져 있다"고 지적하며, "호러 팬에게 꼭 들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명작"이라고 평가했다.[30]

5. 공연 활동

中森明菜일본어는 1986년 7월 12일부터 전국 콘서트 투어 LIGHT & SHADE를 개최하여 본 음반의 곡들을 미리 선보였다.[47] 1987년 2월 3일에는 후지 테레비의 음악방송 프로그램 《밤의 히트 스튜디오 DELUXE》에 출연하여 〈Back door night〉과 〈마리오네트〉를 선보였다.[48] 2003년에는 전국 콘서트 투어 AKINA NAKAMORI LIVE TOUR 2003 - I hope so -에서 〈잉걸불일본어〉과 〈마리오네트〉를 불렀으며, 이 공연은 동명의 라이브 음반으로도 발매되었다.[49]

5. 1. 콘서트 투어

음반 발매 전, 나카모리는 1986년 7월 24일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 요루노 힛 스튜디오에서 "Back Door Night"와 "Marionette"를 메들리로 공연했다. 이후 1986년 라이브 투어 'Light and Shade', 1987년 라이브 투어 'A Hundred Days', 2004년 라이브 투어 'I hope so'에서 각각 다른 곡들을 공연했다.

연도투어 제목공연곡
1986년Light and Shade"Back Door Night", "Marionette", "Genwaku Sarete", "Glass no Kokoro", "New Generation"
1987년A Hundred Days"Wait for me", "Mushroom Dance"
2004년I hope so"Okibi", "Marionette"


5. 2. 방송 출연

1987년 2월 3일, 후지 테레비의 음악방송 프로그램 《밤의 히트 스튜디오 DELUXE》에 출연하여 〈Back door night〉과 〈마리오네트〉를 선보였다. 나카모리 아키나는 이 음반의 이미지대로 방송을 하는데 난색을 표하며 두 곡의 방송을 거절하였으나, 후지 테레비 관계자들의 간곡한 요청에 마음을 바꾸어 출연을 승낙했다. 이어 무대를 최대한 음반과 곡의 이미지에 접근하기를 원하여 무대의 세팅과 조명, 그리고 카메라 워킹까지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할 것을 고집하였다. 이 방송에서 나카모리는 무대 의상을 마녀처럼 입고, 무대도 거미줄로 뒤덮인 음산한 분위기에서 곡들을 선보였다.[48]

이것이 그녀가 유일하게 《불가사의》의 수록곡들을 부른 텔레비전 방송이었고, 이후 나카모리는 다른 방송사의 음악 프로그램에서도 이 음반의 곡들을 부르지 않았다.

6. 셀프 커버 및 재발매

나카모리 아키나는 《불가사의》가 좋은 반응을 얻자, 2년 뒤인 1988년에 이 음반의 수록곡 중 〈Labyrinth〉, 〈마리오네트〉, 〈유리의 마음〉, 〈Teen-age blue〉, 〈잉걸불〉을 추려 미니 앨범 《Wonder》를 발매하였다. 이 곡들은 다시 녹음하고 리믹스 작업을 거쳤다.[50]

6. 1. Wonder (미니 앨범)

나카모리 아키나는 1988년에 《불가사의》의 수록곡 중 〈Labyrinth〉, 〈마리오네트〉, 〈유리의 마음〉, 〈Teen-age blue〉, 〈잉걸불〉을 추려 미니 앨범 《Wonder》를 발매하였다. 이 곡들은 다시 녹음하고 리믹스 작업을 거쳤다.[50] 1987년, 이 앨범의 주요 사운드 프로듀서였던 유로스(Eurox)는 앨범 ''메가트렌드''에서 "Please Wait for me"(Wait for me), "Adulation"(New Generation), "Dream of"(Back Door Night)를 새롭게 편곡하고 가사를 수정하여 셀프 커버했다.[5]

6. 2. 재발매

연도형식음반 번호레이블비고
1986LP, 카세트 테이프, CDL-12595, LKF-8095, 32XL-155워너 뮤직 재팬[40]
1991CDWPCL-420워너 뮤직 재팬[7]
1996CDWPC6-8190워너 뮤직 재팬[52]
2006CD, 디지털 다운로드WPCL-10286워너 뮤직 재팬[36]
디지털 다운로드워너 뮤직 재팬[56]
2012CDWPCL-11444워너 뮤직 재팬[53]
2014CDWPCL-11730워너 뮤직 재팬[57]
2018LPWPJL-10093워너 뮤직 재팬
20232CDWPCL-13474/5워너 뮤직 재팬


  • 2006년 재발매에는 24비트 디지털 리마스터 사운드 소스가 포함되었다.
  • 2012년 및 2014년 재발매에는 "2012 리마스터" 트랙에 자막이 포함되었다.
  • 2023년 재발매에는 "2023 래커 리마스터" 트랙에 자막과 트랙의 오리지널 가라오케 버전이 포함된 래커 리마스터가 포함되었다.

7. 수록곡 목록

《불가사의》에 수록된 모든 곡은 나카모리 아키나가 프로듀싱했으며,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34]

곡 제목작사작곡편곡재생 시간
〈Back Door Night〉아소 게이코EUROXEUROX5:33
〈뉴 제너레이션〉 (ニュー・ジェネレーション|뉴 제네레숀일본어)다케하나 이치코EUROXEUROX3:59
〈Labyrinth〉아소 게이코EUROXEUROX4:50
〈마리오네트〉 (マリオネット|마리오네토일본어)야스오카 다카아키야스오카 다카아키EUROX4:21
〈현혹되어〉 (幻惑されて|겐와쿠사레테일본어)요시다 미나코EUROXEUROX4:11
〈유리의 마음〉 (ガラスの心|가라스노 코코로일본어)SANDII구보타 마코토이노우에 아키라4:24
〈Teen-age blue〉요시다 미나코요시다 미나코시이나 카즈오4:14
〈잉걸불〉 (燠火|오키비일본어)요시다 미나코요시다 미나코요시다 미나코, 시이나 카즈오4:08
〈Wait for Me〉SHOWEUROXEUROX4:55
〈Mushroom Dance〉SANDII구보타 마코토, 이노우에 겐이치EUROX4:33


7. 1. 중국어 수록곡명

《불가사의》의 가사 카드에는 중국어로 번안된 수록곡들의 제목이 쓰여져 있다.[34]

# 〈Back Door Night〉 -

# 〈뉴 제너레이션〉 -

# 〈Labyrinth〉 -

# 〈마리오네트〉 -

# 〈현혹되어〉 -

# 〈유리의 마음〉 -

# 〈Teen-age blue〉 -

# 〈잉걸불〉 -

# 〈Wait for Me〉 -

# 〈Mushroom Dance〉 -

8. 참여 스태프

다음은 앨범 《불가사의》 제작에 참여한 스태프 목록이다.

역할이름
프로듀서나카모리 아키나
디렉터후지쿠라 카츠미 (藤倉克己|후지쿠라 가쓰미일본어)
리믹스 & 마스터이시자키 노부오 (石崎信郎|이시자키 노부오일본어)
보조 엔지니어Hiroyuki Satoh, Motonari Matsumoto, Yasu Itoh, Mr. Kenmochi
촬영츠카다 카즈노리 (塚田和徳|쓰카다 가즈노리일본어)
스타일리스트히가시노 쿠니코 (東野邦子|히가시노 구니코일본어)
헤어 & 메이크업야노 스미오 (矢の澄生|야노 스미오일본어)
커버 디자인모치다 야스오 (持田恭男|모치다 야스오일본어)
매니지먼트치노네 히로야스 (茅根浩康|지노네 히로야스일본어, 켄온), 나코 보소쿠 (名幸房則|나코 보소쿠일본어, 켄온)


  • Special Thanks to: EUROX (이 음반 제작에 큰 도움을 줌), 요시다 미나코 (吉田美奈子|요시다 미나코일본어), Paul Ewing, Maggie Ng, David Wong, Yasunari Ishimura, NOAH CORPORATION, (RIGODON)[34]


믹싱 작업은 Music Inn Studio, Sedic Audio Studio, 워너 파이오니어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으며,[34] 마스터링 작업은 워너 파이오니어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34]

9. 평가 및 영향

A.V. 클럽의 이그나티 비쉬네베츠키는 2016년에 이 앨범을 "진보적이면서도 당시 낭만적인 팝의 세련된 작곡 공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 매우 중독성 있는 음향 실험"이라고 평가하며, "''불가사의''는 매우 크게 재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앨범"이라고 덧붙였다.[3]

『CD저널』은 "처음 들으면, 무언가 부족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과 불안이 뒤섞인 복잡한 기분이 든다. 그렇다, 그것을 의도한 작품인 것 같다"고 평했다.[20]

『Hotwax presents 가요곡 명곡 명반 가이드 1980's』의 마카이노 모토히로는 "평소보다 더한 파워 넘치는 창법은, 심리 묘사에 기운 가사와 어우러져 선동적이며, 곡에 따라서는 오컬트하다"고 평하며, "그녀의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고 덧붙였다.[19]

Sigh의 카와시마 미라이는 "고블린의 곡을 분석, 참고한 듯, 호러 팬에게는 익숙한 편곡, 프레이즈가 가득하다"며, "'마리오네트'의 〔엄마〕 바이올린 등, 곳곳에 '튜블라 벨스'를 기반으로 한 미니멀한 프레이즈가 뿌려져 있다"고 지적하며, "호러 팬에게 꼭 들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명작"이라고 평가했다.[30]

9. 1. 음악적 실험성

평론가들은 이 음반에 대해 대부분 호평했다. 음악평론가 마키아노 모토히로는 이 음반을 기점으로 나카모리 아키나의 가창력이 명료하고 확고하게 다져졌다고 평가했다. 또한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라는 음반의 콘셉트에 충실하며, 심리 묘사에 치중한 가사에 맞춰 감각적이면서도 오컬트스러운 느낌을 잘 살렸다고 덧붙였다.[51][35]

CD 저널은 처음 들으면 무언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오히려 그것을 의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52] 또한 "불가사의"라는 음반 제목에 맞게 신비스럽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중 요시다 미나코의 곡 〈욱화〉가 이러한 분위기를 가장 잘 살렸다고 호평했다.[53] 중국의 음악 웹사이트 더우반은 나카모리의 실험성과 창의성이 돋보이며 주제 의식이 뚜렷한 음반이라고 평가했다.[54]

하지만 러시아의 평론가 알렉세이 예레멘코는 너무 앞서나간 음악성이 오히려 음반 판매량을 떨어뜨렸다고 비판했다.[55] A.V. 클럽의 이그나티 비쉬네베츠키는 2016년에 이 앨범이 "진보적이면서도 당시 낭만적인 팝의 세련된 작곡 공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 매우 중독성 있는 음향 실험"이라고 평가했다.[3] Sigh의 카와시마 미라이는 고블린의 곡을 분석, 참고한 듯한 편곡과 프레이즈가 가득하며, 호러 팬에게 꼭 들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명작이라고 평가했다.[30]

9. 2. 나카모리 아키나의 음악적 발전

음악평론가 마키아노 모토히로는 이번 음반과 이후 이 음반의 곡들이 수록된 미니 앨범 《Wonder》를 기점으로 나카모리 아키나의 가창력이 명료하고 확고하게 다져졌다고 호평하였다. 또한 3주 연속 오리콘 차트에서 1위를 한 것은 음악성뿐만 아니라, 당시 나카모리 아키나의 연예인으로서의 영향력이 상당히 컸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51] 이번 음반에서 보여준 나카모리의 파워하우스 창법은 심리묘사에 기울어진 가사에 맞춰 감각적이면서도 오컬트스러우며, 음반의 컨셉트인 “목소리도 악기의 일부”에 충실했다고도 덧붙였다. 특히 〈Labyrinth〉와 〈마리오네트〉의 절정 부분에서 두꺼운 소리의 파도가 몰려오는 듯한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35]

CD 저널은 처음 들으면 무언가 부족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과 불안에 휩싸이게 되는 복잡한 기분이 든다면서 오히려 사람들에게 그것을 유도하였다고 지적했다.[52] 그러나 “불가사의”라는 음반의 타이틀에 맞게 신비스럽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주옥같은 곡이 줄지어 있으며 이 중 요시다 미나코의 곡 〈욱화〉가 가장 그러한 분위기를 잘 살렸다고 호평하였다.[53] 중국의 음악웹사이트인 더우반은 이 음반이 비록 팬들 사이에 호불호가 갈리나, 나카모리의 실험성과 창의성이 돋보였으며 주제 의식이 뚜렷한 음반이라고 평하였다.[54]

하지만 러시아의 평론가 알렉세이 예레멘코는 너무 앞서나간 음악성이 오히려 독이 되어 음반판매량을 떨어뜨렸다고 비판하였는데, 바로 이전과 이후의 스튜디오 음반인 《D404ME》와 《CRIMSON》이 이질적인 컨셉트의 《불가사의》보다 더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기 때문이다.[55]

참조

[1] 간행물 オリコン・ウィークリー オリジナルコンフィデンス 1986-09-15
[2] 문서 ジプシー・クイーン Warner Pioneer 1986
[3] 웹사이트 A one-of-a-kind album tried to turn '80s pop on its ear https://www.avclub.c[...] The A.V. Club 2018-12-05
[4]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オリコン・マーケティング・プロモーション 2006-04-25
[5] 문서 Megatrend Warner Bros. Records 1987
[6] 웹사이트 不思議 (中森明菜) https://www.oricon.c[...] Oricon 2023-10-31
[7] 웹사이트 中森明菜 / 不思議 [再発] (1991) https://www.hmv.co.j[...] HMV Japan 2023-10-31
[8] 웹사이트 中森明菜 / 不思議 [再発] (1996) http://artist.cdjour[...] CD Journal 2023-10-31
[9] 웹사이트 中森明菜 / 不思議 (2006) (Archived) http://wmg.jp/artist[...] WMG.JP 2011-07-30
[10] 웹사이트 中森明菜 / 不思議 [SA-CDハイブリッド] [紙ジャケット仕様] [限定] http://artist.cdjour[...] 2023-10-31
[11] 웹사이트 不思議 https://wmg.jp/akina[...] WMG.JP 2023-10-31
[12] 웹사이트 不思議<LP(180g重量盤)>【初回生産限定】 https://wmg.jp/akina[...] WMG.JP 2023-10-31
[13] 웹사이트 中森明菜 / 不思議【オリジナル・カラオケ付】〈2023ラッカーマスターサウンド〉 [2CD] https://artist.cdjou[...] cdjournal 2023-10-31
[14] LP AKINA ワーナー・パイオニア
[15] 웹사이트 iTunes - ミュージック - 中森明菜「不思議」 http://itunes.apple.[...] Apple 2012-12-09
[16] 서적 ALBUM CHART-BOOK COMPLETE EDITION 1970 〜 2005 オリコン・マーケティング・プロモーション 2006-04-25
[17] 웹사이트 オリコンランキング情報サービス「you大樹」 https://ranking.oric[...]
[18] 웹사이트 オリコンランキング情報サービス「you大樹」 https://ranking.oric[...]
[19] 서적 Hotwax presents 歌謡曲 名曲名盤ガイド 1980's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メント 2006-07-20
[20] 웹사이트 中森明菜 / 不思議 [再発] [CD] [アルバム] - CDJournal.com https://artist.cdjou[...] 音楽出版社 2011-03-13
[21] 웹사이트 不思議 | 中森明菜 | ワーナー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 - Warner Music Japan http://www.wmg.jp/ar[...] ワーナー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 2011-03-13
[22] 4×12cmCD AKINA ワーナー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
[23] 간행물 中森明菜◎不思議 「よい子の歌謡曲」編集部
[24] 간행물 オリコン・エンタテインメント 1986-09-15
[25] 웹사이트 diskunion: EUROX / メガトレンド+2 http://diskunion.net[...] ディスクユニオン 2011-06-25
[26] 서적 音楽CD検定公式ガイドブック(下) - CDジャーナル(編) https://books.google[...] 音楽出版社 2012-03-15
[27] 문서 LIGHT & SHADE』のツアー・パンフレット ケン企画 1986
[28] 6DVD 中森明菜 IN 夜のヒットスタジオ 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
[29] DVD Live tour 2003 〜I hope so〜 ユニバーサルJ
[30] 웹사이트 重厚音楽考察「ホラー映画サウンドトラックの系譜に連なる中森明菜」 https://peckinpah.jp[...] ペキンパー 2018-10-22
[31] 웹사이트 中森明菜-リリース-ORICON STYLE ミュージック http://www.oricon.co[...] オリコン 2012-03-15
[32] 웹사이트 音楽ダウンロード・音楽配信サイト mora 〜“WALKMAN”公式ミュージックストア〜 https://mora.jp/pack[...] レーベルゲート 2012-12-09
[33] 웹사이트 中森明菜 / 不思議 [SA-CDハイブリッドCD] [紙ジャケット仕様] [限定] [CD] [アルバム] - CDJournal.com https://artist.cdjou[...] 音楽出版社 2012-07-25
[34] LP 《不思議》 워너 파이오니어 1986-08-11
[35] 서적 Hotwax presents 歌謡曲 名曲名盤ガイド 1980's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メント 2006-07-20
[36] 웹인용 不思議 {{!}} 中森明菜 {{!}} ワーナー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 - Warner Music Japan http://www.wmg.jp/ar[...] 워너 뮤직 재팬 2014-01-11
[37] 저널 オリコン・ウィークリー 1986-09-15
[38] 저널 中森明菜◎不思議
[39] 웹인용 Musical Excerpts from The Exorcist - Original Soundtrack{{!}}Songs, Reviews, Critic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1-10
[40] 음악 릴리스 노트 정보 《AKINA》 ワーナー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 1993-11-10
[41] 문서
[42] 웹인용 diskunion: EUROX / メガトレンド+2 http://diskunion.net[...] ディスクユニオン 2014-01-10
[43] 서적 WP社に問い合わせ 殺到 - 中森明菜「不思議」の ”不思議” に世の中 大混乱 오리콘 1986-08-20
[44] 서적 ALBUM CHART-BOOK COMPLETE EDITION 1970 〜 2005 오리콘 마케팅 프로모션 2006-04-25
[45] 웹인용 第27回日本レコード大賞 http://www.jacompa.o[...] 日本作曲家協会 2013-11-19
[46] 웹인용 第28回日本レコード大賞 http://www.jacompa.o[...] 日本作曲家協会 2013-11-19
[47] 저널 LIGHT & SHADEのツアー・パンフレット ケン企画
[48] 영상 夜のヒットスタジオDELUXE 후지 테레비 1987-02-03
[49] 영상 AKINA NAKAMORI Live tour 2003 〜I hope so〜 ユニバーサルJ 2003-12-17
[50] 음악 릴리스 노트 정보 《Wonder》 워너 뮤직 재팬 1988-06-01
[51] 문서
[52] 웹인용 中森明菜 / 不思議 [再発] [CD] [アルバム] - CDJournal.com http://artist.cdjour[...] 音楽出版社 2011-03-13
[53] 웹인용 中森明菜 / 不思議 [SA-CDハイブリッドCD] [紙ジャケット仕様] [限定] [CD] [アルバム] - CDJournal.com http://artist.cdjour[...] 音楽出版社 2012-07-25
[54] 웹인용 不思議 (豆辯) http://music.douban.[...] douban.com 2014-01-12
[55] 웹인용 Akina Nakamori -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1-10
[56] 웹인용 音楽ダウンロード・音楽配信サイト mora 〜“WALKMAN”公式ミュージックストア〜 http://mora.jp/packa[...] レーベルゲート 2014-01-17
[57] 웹인용 中森明菜 「不思議」- Warner Music Japan http://wmg.jp/artist[...] 워너 뮤직 재팬 2014-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