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 (선우휘의 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꽃은 선우휘가 쓴 소설로, 주인공 고 현의 일제강점기부터 6.25 전쟁을 겪는 과정을 통해 시대적 혼란과 인간의 고뇌를 그린다. 고 현은 아버지의 죽음, 일본 유학, 학병 징집, 탈영, 소련군의 만행 등 다양한 경험을 하며, 해방 후 여학교 교사로 일하며 이념 갈등을 겪는다. 6.25 전쟁 중 월북했던 친구 연호가 공산주의자로 돌아와 혁명에 동참할 것을 제안하지만, 현은 이를 거부하고 갈등 끝에 연호를 사살한다. 소설은 허무주의에 빠진 젊은이들에게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현실에 맞서 싸울 것을 강조하며, 한국 문학계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초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은 1957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단편소설 - 바다 순찰대
바다 순찰대는 베테랑 경비원 프랭클린이 바다 순찰대 일원으로서 향유고래 떼죽음의 원인인 거대 대왕오징어 포획 시도, 동료를 잃는 비극, 고래국 국장 취임 후 고래 수확 중단 임무, 해저 재앙 원인 조사 심해 탐험 등을 겪는 이야기를 다룬 소설로, 배경은 확장된 헤론 섬이며 플로이드 C. 게일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한국 전쟁 소설 - 병신과 머저리
- 한국 전쟁 소설 - 광장 (소설)
광장은 최인훈이 1960년에 발표한 소설로, 남한 사회의 '밀실성'과 북한 사회의 '획일성'을 비판하며 이념적 갈등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주인공 이명준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불꽃 (선우휘의 소설)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불꽃 |
저자 | 선우휘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표 | 1957년 |
장르 | 소설 |
형태 | 단편 소설 |
출판 정보 | |
출판사 | 문학예술 |
발표년도 | 1957년 |
2. 줄거리
주인공 고 현의 아버지는 기독교 신자로서 3.1 운동 때 일경(日警)의 총을 맞고 뒷산 동굴에 피신하였다가 죽은 민족주의자였다. 현의 할아버지 고 노인은 충직하기는 하나 풍수지리를 믿고 조상 일만 돌보며 안일하게 살아가면서 손자 현에게 지극한 관심을 쏟는다. 현의 어머니는 현실의 고통과 외로움을 극복하려는 인고(忍苦)의 인물로서 기독교에 귀의하여 아들을 보살핀다. 현은 일본 유학시 제국주의 찬양론자 다까다 교수의 영웅주의적 감상과 기만에 불만을 품고 귀국했다가 학병으로 끌려간다.
중국에 파병되었다가 탈영해 연안으로 잠복했다가 또 다시 탈출하여 만주에서 고향으로 돌아온다. 그 과정에서 만주에 진주한 소련군의 만행도 경험하며 인간에게 내재된 잔악성에 대해 극심한 혐오를 느낀다. 이후 해방된 고향으로 돌아온다. 여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사상적 부조리와 혼란을 경험하고 여수·순천 사건도 듣게 된다. 6.25 전쟁이 터지자, 월북했던 고향친구 '연호'가 공작임무를 받고 고향에 돌아온다. '현'은 '연호'로부터 혁명의 일원이 될 것을 요청받지만 오히려 현은 그런 연호를 동정하며 혁명에 대해 회의적 태도를 보인다. 이후 연호는 분노로 인민재판을 준비한다.
인민 재판이 있던 날, '현'은 동료 여교사 조 선생의 부친이 처형당하는 것을 보고 드디어 분노가 폭발한다. '연호'를 치고 보안서원의 총을 빼앗아 아버지가 죽은 동굴로 피신한다. '현'의 은신처를 알게 된 '연호'는 '현'의 할아버지를 인질로 잡고서 투항을 종용한다. 처음에는 투항하라시던 할아버지가 '너는 살아야 한다'고 용기를 준다. 이때 '연호'가 할아버지를 사살한다. '현'은 연호를 총으로 쏘아 죽이고 탈출한다. 그는 '연호'의 총탄을 맞고 흐려져 가는 의식 속에서도 생명의 불꽃을 느끼며, 현실과 정정 당당하게 대결하면서 살아 갈 것을 결심한다.[2]
2. 1. 일제강점기와 해방
현의 아버지는 기독교 신자이자 민족주의자로, 3.1 운동 때 일경(日警)의 총을 맞고 뒷산 동굴에 피신하였다가 죽었다.[2] 현은 풍수지리를 믿고 조상 일만 돌보는 할아버지와, 현실의 고통과 외로움을 인내하며 기독교에 귀의한 어머니 밑에서 성장했다.현은 일본 유학 시절 제국주의 찬양론자 다까다 교수의 영웅주의적 감상과 기만에 불만을 품고 귀국했다가 학병으로 징집되었다.[2] 중국에 파병되었다가 탈영하여 연안으로 잠복했다가 다시 탈출, 만주를 거쳐 고향으로 돌아왔다.[2] 그 과정에서 만주에 진주한 소련군의 만행을 경험하며 인간에게 내재된 잔악성에 대해 극심한 혐오를 느꼈다.[2]
해방 후 고향으로 돌아온 현은 여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사상적 부조리와 혼란을 경험하고 여수·순천 사건에 대한 소식을 듣게 된다.[2]
2. 2. 6.25 전쟁과 이념 갈등
6.25 전쟁이 발발하자, 월북했던 고향 친구 연호가 공작 임무를 받고 돌아온다. 현은 연호로부터 혁명에 동참할 것을 제안받지만, 오히려 연호를 동정하며 혁명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보인다.[2] 연호는 분노하여 인민 재판을 주도하고, 이 과정에서 현의 동료 여교사 조 선생의 부친이 처형당한다. 이를 본 현은 분노가 폭발하여 연호를 공격하고, 아버지가 죽은 동굴로 피신한다.[2]연호는 현의 은신처를 알아내고 현의 할아버지를 인질로 삼아 투항을 종용한다. 처음에는 투항을 권유하던 할아버지는 "너는 살아야 한다"라며 현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고, 연호에게 사살당한다. 현은 연호를 총으로 쏘아 죽이고 탈출한다. 연호에게 총상을 입고 의식이 흐려져 가는 상황 속에서도 현은 생명의 불꽃을 느끼며, 현실과 정정당당하게 맞서 싸우며 살아갈 것을 다짐한다.[2]
3. 주요 등장인물
현은 태어나기 전에 아버지가 독립운동 중 사망하여 어머니와 함께 생활하였다. 어린 시절 겪은 사건으로 인해 세상과 자신을 단절하는 폐쇄적인 성격을 띄게 된다. 하지만 죽어가던 도중 자신의 인생의 허무함을 타파하고 현실과 싸워나가는 삶을 살 것을 결심하며 생명의 불꽃을 점화한다.
할아버지는 보수적인 유학자이자 풍수지리설 신봉자이며 부조리한 현실에 순응한 불운한 인물이었다. 후에 연호에게 인질로 잡히며, 결국 사살되나 현에게 중요한 계기가 된다. 아버지는 독립운동을 하다 사망하였다.
어머니는 열성적인 기독교인이다. 남편이 요절하여 친정으로 돌아가지만 다시 시댁에 들어와서 현을 낳고 모성애와 신앙으로서 현을 지극정성으로 키운다.
연호는 열성 공산주의자이며, 작품 내에서는 '청탁 없는 청부업자'로 불린다. 현과 토론을 벌이나 현이 공산주의를 거부하자 인민재판에 현을 참가하게 한다. 현의 할아버지를 인질로 삼아 인민재판을 '살인'이라고 외친 현을 찾아가 협박하나 현에게 사살당한다.
고 노인은 매우 보수적인 노인으로, 손자인 현을 항상 돌보지만 조상 묘소와 지형에 더 관심이 많다.
아오야마는 현의 유일한 일본인 친구이다. 나중에 아오야마는 제국군에 자원하여 현에게 감자를 준다. 조 선생과 그녀의 아버지는 공산주의 통치 하의 북한에서 도망쳤는데, 이는 그녀의 아버지가 공산당의 통제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나중에 그녀는 공산주의자들이 그녀의 아버지를 죽이는 것을 목격한다.
4. 문학적 의의
6.25 전쟁이 끝난 후 허무주의에 빠진 젊은이들의 상태를 예리하게 묘사했고, 방향 감각을 상실한 젊은 세대들에게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일 것을 강조하면서 한국 문학계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초작으로 평가받는다.
4. 1. 포스트모더니즘적 요소
6.25 전쟁이 끝난 후 허무주의에 빠진 젊은이들의 상태를 예리하게 묘사했고, 방향 감각을 상실한 젊은 세대들에게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일 것을 강조하면서 한국 문학계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초작으로 평가받는다.4. 2. 전쟁 후 허무주의 극복
6.25 전쟁이 끝난 후 한국 문학계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초작이다. 전쟁 후 허무주의에 빠진 젊은이들의 상태를 예리하게 묘사했고, 방향 감각을 상실한 젊은 세대들에게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일 것을 강조하였다.4. 3. 실존적 고민과 성장
6.25 전쟁이 끝난 후 허무주의에 빠진 젊은이들의 상태를 예리하게 묘사했고, 방향 감각을 상실한 젊은 세대들에게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일 것을 강조하였다.5. 수상
《불꽃》은 1957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6. 번역
《불꽃》은 선우휘의 소설집 《불꽃》에 수록되어 있다.
7. 작품 목록
선우휘의 소설들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다음은 그의 소설들이다.
- 불꽃
- 불꽃 - 선우휘 단편선
- 선우휘 작편선
참조
[1]
서적
Flowers of Fire: Twentieth-Century Korean Stori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6
[2]
웹사이트
선우휘-불꽃
http://www.seelot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