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붕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붕대는 고대부터 사용된 의료 용품으로, 상처 부위를 보호하고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고대 이집트에서 미라 제작에 아마포 붕대가 사용되었으며, 중세 유럽에서도 의료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까지 무명이나 수건을 찢어 붕대로 사용했으며, 관동대지진 이후 붕대 수요가 증가하여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 붕대는 재료, 형태, 신축성, 접착성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삼각붕대와 같은 특수한 형태도 존재한다. 붕대법은 상처, 염좌, 골절 등의 치료를 위해 환부에 위생 재료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응급 처치와 격투기 등 스포츠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급처치 - 구급 상자
    구급 상자는 부상 시 응급 처치를 위해 붕대, 소독약 등 의약품과 처치용 재료 등을 담아두는 상자이며, 녹색 바탕에 흰색 십자가 표식이 국제 표준이며, 대한민국에서는 관련 법률에 따라 사업장에 비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 응급처치 - 반창고
    반창고는 상처를 보호하고 치유를 돕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성 드레싱이며, 18세기 고약에서 시작되어 밴드에이드 개발을 통해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했고, 현재는 다양한 종류와 스마트 반창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붕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의료용품
목적상처 또는 다른 부상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데 사용됨
적용 부위신체 어느 부위든 사용 가능
재질직물, 탄성 재료, 접착제
역사
기원고대 문명에서 사용, 현재의 형태로 발전
사용 기록고대 이집트 미라에서 발견, 수세기 동안 다양한 형태로 사용
사용법
목적상처 드레싱 고정
부상 부위 압박 및 지지
붓기 감소
부상 부위 움직임 제한
적용 방법깨끗한 손 또는 멸균 장갑 사용
상처 부위 소독
붕대를 적절한 압력으로 감음
붕대가 너무 조이지 않도록 주의
필요한 경우 추가 패딩 사용
종류접착 붕대
롤 붕대
탄력 붕대
삼각 붕대
석고 붕대
주의 사항
주의사항붕대를 너무 조이면 혈액 순환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
붕대가 너무 느슨하면 효과가 없음
붕대는 깨끗하게 유지해야 함
필요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함
추가 정보
붕대 교체 시기젖거나 더러워지면 즉시 교체
상처 상태에 따라 교체 빈도 조절
보관 방법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

2. 붕대의 역사

붕대는 고대부터 사용되어 온 의료 용품 중 하나이다. 고대에는 미라를 만들 때 붕대를 사용했고, 중세 유럽에서는 의료 목적으로 붕대를 사용했다.[2]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중반까지 붕대를 직접 만들어 사용했으며, 간토 대지진 이후 붕대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2]

2. 1. 고대

기원전 고대 이집트에서는 미라를 만들 때 아마포 붕대를 사용하였다.[2]

2. 2. 중세

중세 유럽에서는 의료 목적으로 붕대가 사용되었다.[2]

2. 3. 근대 (일본)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중반까지 삶은 무명(晒(さらし)木綿)이나 수건을 찢어서 사용했으며, 붕대 크기의 단위인 렬(裂(れつ))은 여기서 유래한다.[2] 관동대지진으로 붕대의 수요가 증가하여 1929년(昭和|쇼와일본어 4년) 무렵부터 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2]

3. 붕대의 종류

붕대는 상처나 출혈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호용 거즈를 고정하거나, 환부에 감아 고정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부상당한 팔을 매달거나, 골절 부위에 덧대는 나무(시네)인 부목을 고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부목으로는 알루미늄 합금 표면을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덮은 알루미늄 시네, 수지제 시네, 플라스틱제 시네 등이 있다.[2]

3. 1. 재료 및 형태에 따른 분류

거즈 붕대는 가장 일반적인 붕대로, 상처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텔파(Telfa) 흡수성 장벽이 있는 직조된 띠 모양의 재료이다. 다양한 너비와 길이로 제공되며 드레싱을 고정하는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액체 붕대는 스프레이나 젤 형태로 상처에 바르면 얇은 막을 형성하여 상처를 보호한다.

튜브 붕대는 도포기를 사용하여 감고, 연속적인 원형으로 짜여 있다. 사지에 드레싱이나 부목을 고정하거나, 염좌나 좌상에 지지대를 제공하고 출혈을 멈추는 데 사용된다. 관상(管狀) 붕대에는 넷 붕대와 튜브 붕대가 있다.[2]

2016년에 기리가미(kirigami) 예술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유형의 붕대가 발명되었다. 이 붕대는 평행 절개를 사용하여 구부러지는 신체 부위에 더 잘 맞는다. 이 붕대는 3D 프린팅 몰드로 제작되었다.[1]

3. 2. 신축성에 따른 분류

thumb

'압박붕대'라는 용어는 다양한 적용 분야를 가진 여러 종류의 붕대를 지칭한다.

'''단축형 압박붕대'''는 사지(주로 림프부종 또는 정맥궤양 치료를 위해)에 적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붕대는 적용 후 사지 주변에서 수축할 수 있으므로 활동하지 않을 때 압력이 계속 증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역학적 현상을 정지압이라고 하며, 장기간 치료에 안전하고 편안한 것으로 간주된다. 반대로, 붕대의 안정성은 내부 근육 수축과 관절 움직임을 통해 압력이 가해질 때 매우 높은 신축 저항을 생성한다. 이 힘을 작동압이라고 한다.

'''장축형 압박붕대'''는 긴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 높은 압박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정지압도 매우 높기 때문에 밤이나 환자가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는 제거해야 한다.

  • 압박붕대 - 환부의 고정에 사용하는 신축성이 적은 붕대[2]
  • 신축붕대 - 환부 주변의 보호에 사용하는 신축성이 있는 붕대[2]
  • 탄력붕대 - 외상성 팽창, 염좌, 골절 시 고정 등에 사용하는 고무사를 사용하지 않는 신축성 붕대[2]
  • Elastic bandage|탄성붕대영어 - 압박 고정에 사용하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붕대[2]

3. 3. 접착성에 따른 분류

접착성이 있는 붕대에는 반창고와 같이 상처에 직접 붙여 사용하는 접착 붕대와 붕대 자체에 접착성이 있어 서로 달라붙는 자착 붕대가 있다.[2]

3. 4. 특수 붕대

삼각붕대(크라바트 붕대)는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접은 천 조각으로, 고정을 위해 안전핀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부목으로 사용하거나, 일반 붕대처럼 접거나, 머리 등 특수한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천 조각이나 의류 조각으로 임시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이스카우트는 제복의 일부인 "스카프"를 쉽게 접어 크라바트를 만들 수 있어 응급처치 교육에서 이 붕대의 사용을 대중화했다.

4. 붕대 사용법

붕대는 사용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해야 한다.

4. 1. 일반적인 붕대법 (대한적십자사 응급처치법)

대한적십자사가 응급법 강습에서 지도하고 있는 붕대법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그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환부의 피복, 보호, 압박: 오염, 외력으로부터 상처 부위를 보호하고, 종창, 출혈 부위는 이를 압박한다.
  • 환부의 고정, 지지, 견인: 염좌, 탈구, 골절을 안정화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일반적인 붕대법을 위한 재료로는 롤붕대, 천 붕대, 탄성 롤붕대, 반창고 붕대가 있으며, 사용법으로는 사지에 환행붕대, 사행붕대, 나선형 붕대(주행붕대), 접힘 붕대를, 관절 부위에 8자 붕대를 사용한다. 특수형에는 히포크라테스 모자 붕대, 안대, 유방 지지대가 있다. 삼각건, 사각건 등에 의한 천 붕대는 전신에 사용하고, 롤붕대로서도 응용된다. 특수형에는 복대, T자형 속옷, 스칼테투스 붕대, 다미 붕대가 있다.[3]

기본 붕대법으로는 환행붕대, 나선형 붕대, 접힘 붕대, 거북등 붕대, 맥아 붕대가 있다.[3]

4. 2. 격투기에서의 붕대 사용

격투기나 심한 충돌이 있는 스포츠 등에서는 부상을 방지하거나, 이미 경미한 부상이 있는 경우 해당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신축성 있는 탄력 붕대를 붕대, 핸드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다치기 쉬운 손등 부분과 손목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4] 서포터나 테이핑과 같은 것이다.

프로복싱 공식 경기에서는 붕대에 한쪽 손에 대해 너비 약 5.08cm, 길이 약 9.14m 미만의 부드러운 천을 사용하며, 이를 대기실에서 감독관이 있는 자리에서 감고, 내부에 아무것도 감아서는 안 되며, 손등 부분 이외에는 안정을 위해 한쪽 손에 대해 너비 약 2.54cm, 길이 약 1.83m의 산업용이 아닌 접착 테이프를 사용해도 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JBC가 정한 이 규칙을 위반할 경우 정지, 벌금 등의 처벌을 받는다(JBC 규칙 제2부 제15장). 복싱 글러브를 벗은 후의 붕대에 검은 유성 펠트펜으로 무언가 쓰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감독관의 봉인 사인이다. 일단 감은 후 벗겨지면 쓰여진 것도 벗겨지므로 곧바로 발각된다.

킥복싱 붕대

참조

[1] 웹사이트 Paper-folding art inspires better bandages https://news.mit.edu[...] MIT News Office 2018-03-27
[2] 웹사이트 日衛連NEWS第69号 https://www.jhpia.or[...] 日本衛生材料工業連合会 2021-09-11
[3] 서적 南山堂 医学大辞典 南山堂 2006-03-10
[4] 서적 あなたも手軽にできるトレンディボクシン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