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리앙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리앙송은 프랑스 오트알프주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에는 브리가눔으로 불렸다. 알프스 코티아 지역에 속했으며, 그르노블, 앙브룅, 갭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였다. 1040년대에는 알봉 백작가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도피네에 속하게 되었다. 1713년 우트레히트 조약으로 사보이아에 넘어갔으나, 1815년 동맹군의 포위를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브리앙송은 보방이 건설한 요새 도시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건축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르 슈발리에 스키 리조트의 기점이자, 투르 드 프랑스 등 스포츠 행사의 출발점 또는 결승점으로 자주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트잘프주의 코뮌 - 가프
    가프는 골족이 건설한 마을에서 시작하여 로마 시대에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종교 전쟁과 프랑스 혁명을 거쳐 오트알프 주의 주도가 되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관광, 행정, 상업의 중심지이다.
  • 오트잘프주의 코뮌 - 앙브룅
    프랑스 오트알프주에 위치한 앙브룅은 뒤랑스 강이 보이는 바위 위에 자리한 코뮌으로, 역사적인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그리고 활발한 국제 교류를 특징으로 한다.
  • 프랑스의 준주도 - 오툉
    오툉은 기원전 1세기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건설된 프랑스의 역사적인 도시이며, 로마 시대 유적, 로마네스크 양식의 생 라자르 대성당, 롤랭 박물관을 포함하고 스테버니지 등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프랑스의 준주도 - 뮐루즈
    뮐루즈는 프랑스 알자스 지역의 역사적인 산업 도시로, 한때 "프랑스의 맨체스터"라 불리며 번영했고,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유산을 가진 도시로 푸조 자동차 공장, 박물관, 발달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브리앙송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브리앙송
프랑스어 표기Briançon
오크어 표기Brianson
로마자 표기Briançon
위치프랑스
지역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오트알프
브리앙송 군
코뮌코뮌
행정
오트알프
브리앙송 군
행정 구역레지옹
소속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코뮌 간 연합브리앙소네
시장아르노 무르지아
임기 시작2020년
임기 종료2026년
우편 번호05100
INSEE 코드05023
지리
해발 고도1,326m
최소 해발 고도1,167m
최대 해발 고도2,540m
면적28.07km2
인구
2006년11,542명
인구 밀도411명/km2
기타 정보
브리앙송 문장
문장
노트르담 및 생니콜라 참사회 교회 전경
노트르담 및 생니콜라 참사회 교회 전경

2. 역사

브리앙송은 로마 시대에 브리가눔(Brigantium)으로 불렸으며, 코티우스 왕의 왕국에 속했다.[2] 알프스 코티아(몽주네브르) 이후 갈리아에서 첫 번째 장소로 표시되었다. 브리가눔에서 도로는 갈라져 서쪽으로는 그르노블을 거쳐 론 강에 있는 비엔나(Vienna, 현 비엔)로, 남쪽으로는 에브로두눔(Ebrodunum, 현 앙브룅)을 거쳐 바핀쿰(Vapincum, 현 갭)으로 이어졌다. 안토니누스 여정기와 포이팅거 지도는 모두 브리가눔에서 바핀쿰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보여주며, 포이팅거 지도는 브리가눔을 알프스 코티아에서 약 9.66km 떨어진 곳으로 표시하고 있다. 스트라보는 알프스 코티아로 가는 길에 있는 브리가눔 마을을 언급했지만, 그의 설명은 모호하다.

프톨레마이오스는 브리가눔을 세구시니족(세구시오(Segusio), 현 수사)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언급했지만, 당빌이 지적했듯이 세구시니족의 자연적인 영역 너머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왈케네르(Walckenaer)는 아우구스투스 이전의 이탈리아 구분을 따른다는 가정 하에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장을 정당화하는데, 이는 플리니우스의 저서를 통해 알 수 있다. 왈케네르는 또한 예루살렘 여정기를 통해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이 여정기는 알프스 코티아가 앙브룅과 브리앙송 사이에 있는 라마(현 라 로슈 드 람 근처)에서 시작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중세 시대에는 1040년대에 알봉 백작가의 손에 들어왔고, 그 이후로는 도피네의 운명을 공유했다. 브리앙송 지역에는 듀랑스 강 상류 계곡(지류인 지롱드 강과 기유 강 계곡 포함)뿐만 아니라 도라 리파리아 강 계곡(세산느, 올크스, 바르도네슈, 엑실)과 키소네 강 계곡(페네스트렐, 페루즈, 프라겔라스)도 포함되었으며, 이 모든 계곡들은 알프스 산맥 동쪽 사면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우트레히트 조약에 따라 알프스 서쪽 사면에 있는 바르셀로네트 계곡과 교환으로 이 모든 계곡들이 사보이아 공국에 넘어갔다. 1815년 브리앙송은 동맹군의 3개월간의 포위 공격을 성공적으로 견뎌냈는데, 이는 도시의 한 문에 새겨진 "과거가 미래를 보장한다"라는 뜻의 "Le passé répond de l'avenir"라는 비문으로 기념되고 있다.

2. 1. 고대

로마 시대의 브리앙송은 브리가눔(Brigantium)으로 불렸으며, 코티우스 왕의 왕국에 속해 있었다. 브리가눔은 알프스 코티아(몽주네브르) 이후 갈리아에서 첫 번째 장소로 표시되었다. 브리가눔에서 도로는 갈라져 서쪽으로는 그르노블을 거쳐 론 강에 있는 비엔나(Vienna, 현 비엔)로, 남쪽으로는 에브로두눔(Ebrodunum, 현 앙브룅)을 거쳐 바핀쿰(Vapincum, 현 갭)으로 이어졌다.[2] 안토니누스 여정기와 포이팅거 지도 모두 브리가눔에서 바핀쿰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보여준다. 포이팅거 지도는 브리가눔을 알프스 코티아에서 6 로마 마일 떨어진 곳으로 표시하고 있다. 스트라보는 알프스 코티아로 가는 길에 있는 브리가눔 마을을 언급하지만, 그의 설명은 모호하다.

프톨레마이오스는 브리가눔을 세구시니족(세구시오(Segusio), 현 수사)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언급하지만, 당빌이 지적했듯이 세구시니족의 자연적인 영역 너머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왈케네르(Walckenaer)는 아우구스투스 이전의 이탈리아 구분을 따른다는 가정 하에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장을 정당화하는데, 이는 플리니우스의 저서를 통해 알 수 있다. 왈케네르는 또한 예루살렘 여정기를 통해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이 여정기는 알프스 코티아가 앙브룅과 브리앙송 사이에 있는 라마(현 라 로슈 드 람 근처)에서 시작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2. 2. 중세

브리앙송은 로마 시대에 브리가눔(Brigantium)으로 불렸으며, 코티우스 왕의 왕국에 속했다. 브리가눔은 알프스 코티아(몽주네브르) 이후 갈리아에서 첫 번째 장소로 표시되었다. 브리가눔에서 도로는 갈라져 서쪽으로는 그르노블을 거쳐 론 강에 있는 비엔나(Vienna, 현 비엔)로, 남쪽으로는 에브로두눔(Ebrodunum, 현 앙브룅)을 거쳐 바핀쿰(Vapincum, 현 갭)으로 이어졌다.[2] 안토니누스 여정기와 포이팅거 지도는 모두 브리가눔에서 바핀쿰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보여준다. 포이팅거 지도는 브리가눔을 알프스 코티아에서 약 9.66km 떨어진 곳으로 표시하고 있다. 스트라보는 알프스 코티아로 가는 길에 있는 브리가눔 마을을 언급했지만, 그의 설명은 모호하다.

프톨레마이오스는 브리가눔을 세구시니족(세구시오(Segusio), 현 수사)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언급했지만, 당빌이 지적했듯이 세구시니족의 자연적인 영역 너머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왈케네르(Walckenaer)는 아우구스투스 이전의 이탈리아 구분을 따른다는 가정 하에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장을 정당화하는데, 이는 플리니우스의 저서를 통해 알 수 있다. 왈케네르는 또한 예루살렘 여정기를 통해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이 여정기는 알프스 코티아가 앙브룅과 브리앙송 사이에 있는 라마(현 라 로슈 드 람 근처)에서 시작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1040년대에 알봉 백작가의 손에 들어왔고, 그 이후로는 도피네의 운명을 공유했다. 브리앙송 지역에는 듀랑스 강 상류 계곡(지류인 지롱드 강과 기유 강 계곡 포함)뿐만 아니라 도라 리파리아 강 계곡(세산느, 올크스, 바르도네슈, 엑실)과 키소네 강 계곡(페네스트렐, 페루즈, 프라겔라스)도 포함되었다. 모든 계곡들은 알프스 산맥 동쪽 사면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우트레히트 조약 (1713)에 따라 알프스 서쪽 사면에 있는 바르셀로네트 계곡과 교환으로 이 모든 계곡들이 사보이아에 넘어갔다. 1815년 브리앙송은 동맹군의 3개월간의 포위 공격을 성공적으로 견뎌냈는데, 이는 도시의 한 문에 새겨진 "과거가 미래를 보장한다"라는 뜻의 "Le passé répond de l'avenir"라는 비문으로 기념되고 있다.

2. 3. 근세

1040년대에 알봉 백작가의 손에 들어왔고, 그 이후로는 도피네의 운명을 공유했다. 브리앙송 지역에는 듀랑스 강 상류 계곡(지류인 지롱드 강과 기유 강 계곡 포함)뿐만 아니라 도라 리파리아 강 계곡(세산느, 올크스, 바르도네슈, 엑실)과 키소네 강 계곡(페네스트렐, 페루즈, 프라겔라스)도 포함되었다. 모든 계곡들은 알프스 산맥 동쪽 사면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우트레히트 조약에 따라 알프스 서쪽 사면에 있는 바르셀로네트 계곡과 교환으로 이 모든 계곡들이 사보이아에 넘어갔다. 1815년 브리앙송은 동맹군의 3개월간의 포위 공격을 성공적으로 견뎌냈는데, 이는 도시의 한 문에 새겨진 "과거가 미래를 보장한다"라는 뜻의 "Le passé répond de l'avenir"라는 비문으로 기념되고 있다.[2]

2. 4. 근대

로마 제국 시대에 브리앙송은 브리가눔(Brigantium)으로 불렸으며, 코티우스 왕의 왕국에 속했다.[2] 브리가눔은 알프스 코티아(몽주네브르) 이후 갈리아에서 첫 번째 장소로 기록되었다. 브리가눔에서 도로는 갈라져 서쪽으로는 그르노블을 거쳐 론 강에 있는 비엔나(Vienna, 현 비엔)로, 남쪽으로는 에브로두눔(Ebrodunum, 현 앙브룅)을 거쳐 바핀쿰(Vapincum, 현 갭)으로 이어졌다. 안토니누스 여정기와 포이팅거 지도 모두 브리가눔에서 바핀쿰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보여준다. 포이팅거 지도는 브리가눔을 알프스 코티아에서 약 9.66km 떨어진 곳으로 표시하고 있다. 스트라보는 알프스 코티아로 가는 길에 있는 브리가눔 마을을 언급했지만, 그의 설명은 모호하다.[2]

프톨레마이오스는 브리가눔을 세구시니족(세구시오(Segusio), 현 수사)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언급했지만, 당빌이 지적했듯이 세구시니족의 자연적인 영역 너머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왈케네르(Walckenaer)는 아우구스투스 이전의 이탈리아 구분을 따른다는 가정 하에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장을 정당화하는데, 이는 플리니우스의 저서를 통해 알 수 있다. 왈케네르는 또한 예루살렘 여정기를 통해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이 여정기는 알프스 코티아가 앙브룅과 브리앙송 사이에 있는 라마(현 라 로슈 드 람 근처)에서 시작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1040년대에 브리앙송은 알봉 백작가의 손에 들어왔고, 그 이후로는 도피네의 역사를 함께 했다. 브리앙송 지역에는 듀랑스 강 상류 계곡(지류인 지롱드 강과 기유 강 계곡 포함)뿐만 아니라 도라 리파리아 강 계곡(세산느, 올크스, 바르도네슈, 엑실)과 키소네 강 계곡(페네스트렐, 페루즈, 프라겔라스)도 포함되었다. 이 모든 계곡들은 알프스 산맥 동쪽 사면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우트레히트 조약 (1713)에 따라 알프스 서쪽 사면에 있는 바르셀로네트 계곡과 교환으로 이 모든 계곡들이 사보이아 공국에 넘어갔다. 1815년 브리앙송은 동맹군의 3개월간의 포위 공격을 성공적으로 견뎌냈으며, 이는 도시의 한 문에 새겨진 "과거가 미래를 보장한다"라는 뜻의 "Le passé répond de l'avenir"라는 비문으로 기념되고 있다.

3. 지리

브리앙송은 이탈리아 국경 근처, 세르 슈발리에 스키 지역에 위치해 있다. 뒤랑스 강과 기잔 강이 합류하는 고원 지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브리앙송역은 갭, 마르세유, 발랑스, 파리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7]

3. 1. 기후

고도 때문에 브리앙송은 쾨펜 분류로 ''Dfb''인 온난한 여름과 습윤한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쾨펜 시스템에 따른 해양성 기후(''Cfb'')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여름은 따뜻하지만 밤에는 서늘하고, 겨울은 춥고 눈이 많이 온다.[7]

브리앙송 (1981–2005년 평균, 극값 1966–2005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17°C17.2°C21.4°C22.9°C29.4°C31.8°C34.3°C33.3°C30.2°C27.6°C22.8°C18.3°C34.3°C
평균 최고 기온 (°C)5°C5.9°C9.8°C11.6°C16.9°C21.4°C24.8°C24.6°C19.8°C14.4°C8.6°C5.5°C14.1°C
평균 기온 (°C)0.1°C0.6°C4°C6.2°C11°C14.8°C17.7°C17.5°C13.5°C9°C3.8°C1°C8.3°C
평균 최저 기온 (°C)-4.8°C-4.7°C-1.7°C0.9°C5.2°C8.1°C10.5°C10.4°C7.2°C3.7°C-1°C-3.6°C2.6°C
최저 기온 (°C)-17.9°C-17.4°C-18.4°C-10.7°C-5.7°C-0.2°C2.4°C1.4°C-4°C-8.1°C-12.5°C-16.9°C-18.4°C
강수량 (mm)58.5mm39.3mm46.8mm71.3mm67.3mm68.9mm51.5mm54.4mm72mm99mm69.9mm60.2mm759.1mm
평균 강수일 (≥ 1.0 mm)6.95.25.88.69.48.76.96.96.89.67.07.289.0
일조 시간149.7164.8207.4180.9207.6232.7253.7230.1192.2156.6130.8126.22232.6


4. 인구

연도인구
17933023
18002666
18062945
18212835
18312939
18363455
18414301
18464309
18514439
18564601
18614510
18663579
18724169
18764491
18815439
18865777
18916580
18967177
19017426
19067524
19117888
19215013
19265636
19316822
19367543
19466671
19548274
19627570
19688215
19759489
19829710
199011041
199910737
200711604
201212301
201711625



브리앙송의 인구 자료는 EHESS[3] 및 INSEE (1968–2017)[4]에서 제공되었다.

5. 문화

브리앙송은 17세기 보방이 오스트리아로부터 이 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건설한 요새화된 도시로, 역사적인 중심지는 가파르고 좁지만 그림 같은 풍경을 자랑한다. 몽주네브르 고개에서 토리노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주변 고지대에 많은 요새가 건설되었으며, 특히 자누스 요새는 도시 위 1200m 이상에 있다.

2008년 7월 8일, 브리앙송의 여러 건물은 "보방의 요새" 그룹의 일부로 유네스코(UNESCO)에 의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1]

브리앙송은 투르 드 프랑스, 지로 디탈리아 등 유명 자전거 대회의 출발점과 결승점으로 자주 사용되어 자전거 애호가들에게 인기 있는 곳이다. 1947년 이후 22번의 투르 드 프랑스 구간을 개최했으며, 2007년에는 9구간 결승점이 되기도 했다.

또한, 브리앙송에는 프랑스 최고 리그인 마그뉘 리그(Ligue Magnus)에서 활동하는 아이스하키 팀인 브리앙송 레주 드 디아블(Diables Rouges de Briançon)이 있다.

봄에는 눈이 녹아 형성되는 듀랑스 강과 그 지류에서 카약래프팅을 즐길 수 있어 유럽 각지에서 관광객들이 찾아온다. 알프스의 급류는 대부분 빙하에서 녹은 물로 이루어져 길고 연속적인 급류가 특징이며, 초여름 2~3개월 동안 안정적인 급류를 즐길 수 있다.

프로렐 케이블카는 몽 프로렐 정상으로 향한다.


브리앙송은 대규모 세르 슈발리에 스키 리조트의 기점이자 가장 낮은 지점으로, 겨울에는 인구가 세 배로 증가한다.

5. 1. 건축 유산

브리앙송의 요새


브리앙송은 17세기 보방이 오스트리아로부터 이 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건설한 요새화된 도시이다. 역사적인 중심지의 거리는 매우 가파르고 좁지만 그림 같다. 브리앙송은 토리노로 가는 길목인 몽주네브르 고개에서 내려오는 길 기슭에 위치하여, 특히 동쪽을 향해 주변 고지대에 많은 요새가 건설되었다. 자누스 요새는 도시 위 1200m 이상에 있다.

1703년부터 1726년 사이에 건설된, 두 개의 탑이 있는 본당 교회는 매우 눈에 띄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734년에 건설된 도시 동쪽의 아스펠드 다리(Pont d'Asfeld)는 듀랑스 강을 가로질러 높이 56m, 길이 40m의 아치를 이룬다.

2008년 7월 8일, 브리앙송의 여러 건물은 "보방의 요새" 그룹의 일부로 유네스코(UNESCO)에 의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건물은 도시 성벽, 살레트 수비대(Redoute des Salettes), 트루아텟 요새(Fort des Trois-Têtes), 랑뒤이예 요새(Fort du Randouillet), 통신 Y 공사(ouvrage de la communication Y), 아스펠드 다리이다. 브리앙송과 함께 프랑스의 다른 11개 요새 건물 유적지가 등재되었는데, 그중에는 오트알프주에 있는 몽도팽의 요새도 있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프랑스 루이 14세 국왕 시대의 군사 기술자인 세바스티앵 르 프레스트르 드 보방(1633~1707)이 설계했다.[1]

5. 2. 스포츠

브리앙송은 투르 드 프랑스, 지로 디탈리아, 다피네 리베레 구간의 출발점과 결승점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2017년 투르 드 프랑스 18구간은 여기서 시작되었다.

1947년 이후, 브리앙송은 22번의 투르 드 프랑스 구간의 출발점이자 결승점이었다. 2007년에는 7월 17일 발디제르에서 출발하여 콜 드 리세랑, 콜 뒤 텔레그라프, 콜 뒤 갈리비에를 지나 브리앙송까지 37km의 내리막 구간으로 이어지는 159.5km 길이의 9구간 결승점이기도 했다. 이처럼 브리앙송이 정기적으로 투르 드 프랑스의 구간 도시로 선정되었기 때문에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기지이다.

브리앙송 레주 드 디아블(Diables Rouges de Briançon)은 프랑스 최고 리그인 마그뉘 리그(Ligue Magnus)에서 활동한다.

브리앙송은 봄에 눈이 녹아내려 형성되는 뒤랑스 강과 그 지류인 기산 강이 합류하는 지점 주변에 위치해 있다. 유럽 각지에서 온 관광객들은 이로 인해 형성된 급류와 그 지류인 온드 강, 지롱드 강, 귀유(Guil) 강, 라비우 강, 위베이(Ubaye) 강 등에서 카약래프팅을 즐기며, 종종 브리앙송을 거점으로 삼는다.

알프스의 인기 있는 급류 강은 대부분 빙하에서 녹은 물로 이루어진 중간 규모의 강으로, 길고 연속적인 급류가 많고 큰 낙차는 거의 없다. 계절은 짧지만(눈과 빙하가 녹는 초여름 2~3개월) 이 기간 동안은 급류가 안정적이다.

브리앙송은 대규모 세르 슈발리에(Serre Chevalier) 스키 리조트의 기점이자 가장 고도가 낮은 지점이다. 도시의 숙박 시설 대부분은 겨울에만 사용되며, 이 기간 동안 인구는 세 배가 된다.

6. 인물


  • 아이몽 드 브리앙송(Aymon de Briançon) (1211년 사망): 부르고뉴 귀족, 카르투시오 수도사, 타랑테즈 대주교
  • 오롱스 피네(Oronce Finé) (1494–1555): 수학자이자 지도 제작자

장-앙투안 모랑(Jean-Antoine Morand)

  • 장-앙투안 모랑(Jean-Antoine Morand) (1727–1794): 건축가이자 도시 계획가
  • 오귀스탱 슈뉘(Augustin Chenu) (1833–1875): 화가
  • 알베르 아샤르(Albert Achard) (1894–1972): 제1차 세계 대전의 비행 에이스
  • 에밀리 카를(Emilie Carles) (1900–1979): 프랑스 작가이자 운동가
  • 프레데리크 뤼시앵(Frédérique Lucien) (1960년생): 시각 예술가
  • 장-크리스토프 켁(Jean-Christophe Keck) (1964년생): 음악학자, 지휘자
  • 자비에르 모티머(Xavier Mortimer) (1980년생): 라스베이거스(Las Vegas)의 마술사이자 버라이어티 공연자
  • 조반니 탐부리니(Giovanni Tamburrini) (1982년생): 전 법학교수, 서울 서초동에 있는 이탈리아 레스토랑 주인

6. 1. 스포츠


  • 쥘 멜키옹(Jules Melquiond) (1941년생), 알파인 스키 선수
  • 앙리 브레슈(Henry Bréchu) (1947년생), 알파인 스키 선수
  • 뤼크 알팡(Luc Alphand) (1965년생), 알파인 스키 선수이자 레이싱카 드라이버
  • Benjamin Melquiond|뱅자맹 멜키옹프랑스어 (1975년생), 알파인 스키 선수
  • 니콜라 보네(Nicolas Bonnet) (1984년생), 스키 등반가이자 러너

피에르 발튀에(Pierre Vaultier), 2017

  • 피에르 발튀에(Pierre Vaultier) (1987년생), 2014년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스노보드 크로스 금메달 2회 수상자
  • 로르 바르텔레미(Laure Barthélémy) (1988년생),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자 군인
  • 리샤르 주브(Richard Jouve) (1994년생),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2018년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 단체전 동메달 2회 수상자

7. 국제 관계

브리앙송은 다음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3-06-06
[2] 문서 Strabo, iv.
[3] Cassini-Ehess Briançon
[4]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5] 웹사이트 Briancon (05) https://donneespubli[...] Meteo France 2018-04-04
[6] 웹사이트 動画:パリ-ニース間、寝台列車復活 エコ意識高い若年層狙う https://www.afpbb.co[...] AFP 2021-12-29
[7] 웹인용 Briancon (05) https://donneespubli[...] Meteo France 2018-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