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보스토크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보스토크항은 러시아 금각만 북서부에 위치한 부동항으로,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러시아 항구이다. 15개의 부두와 4km의 총 연장을 갖추고 있으며, 컨테이너선, RORO선 등 14개의 정기 항로가 운영된다. 2014년에는 극동 러시아 지역 항만 물동량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중요한 항구로 성장했다. 1991년 이후 국제무역항으로 개방되어,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과의 교역을 담당하며, 2016년에는 563만 7천 톤의 화물을 처리했다. 2020년부터는 한일 항로가 운항되고 있으며, 2015년부터 자유항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과도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해의 항구 - 나가사키항
나가사키항은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위치하며 여러 섬으로 연결되는 항로의 기점이고 마쓰가에 국제 터미널과 미쓰비시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 등의 시설이 있으며 서양 문물 창구 역할 및 어반 르네상스 계획에 따른 재개발, 그리고 다양한 축제가 개최되는 항구이다. - 러시아의 항구 - 사라풀
사라풀은 러시아 우드무르트 공화국의 도시로, 카마강 지역의 유래 깊은 도시이며, 기계 및 통신 공업이 발달했고, 대륙성 기후를 띠는 곳이다. - 러시아의 항구 - 북부강 터미널
북부강 터미널은 모스크바 지하철 레치노이 보크잘 역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현대적인 모습과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보여주는 곳이다.
| 블라디보스토크항 | |
|---|---|
| 위치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블라디보스토크 항 |
| 원어 이름 | Порт Владивостокский |
| 소재지 |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
| 개항 | 1861년 |
| 운영 정보 | |
| 관리 | 블라디보스토크 해상 무역항 |
| 통계 (2016년) | |
| 화물 취급량 | 5,637,000 톤 |
| 컨테이너 처리량 (2014년) | 513,481 TEU |
| 기타 | |
| 웹사이트 | 블라디보스토크 해상 무역항 웹사이트 |
2. 지리
블라디보스토크의 금각만 북서부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러시아에서는 몇 안 되는 부동항이다. 시차는 그리니치 표준시보다 10시간 늦으며, 수심은 -20m~-30m로 구성된다. 관제는 블라디보스토크 무선 센터이다. 이 항구는 한반도와도 가장 가까운 러시아의 항구이지만, 맑고 쾌청한 날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물론 포시예트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 또한 라선특별시까지 뱃길로도 충분히 이어주는 중요 항구이다. 콜사인은 블라디보스토크 항만 관제이며, VHF 67 채널이다.[1]
블라디보스토크항은 15개의 선석을 가진 항구로, 부두의 총 길이는 4km이다. 하역장은 368000m2, 창고는 65900m2 규모이며, 항내 임항선의 총 연장은 20km이다.
3. 시설
정기 항로는 14개로, 12개는 컨테이너선, 2개는 RORO선이 운항한다. 부두에서는 낱개 형태의 상품, 컨테이너, 자동차, Oil terminal|정유 시설영어 등을 취급하며, 부두의 평균 수심은 20m에서 30m 사이이다. 정온 컨테이너 전용 전원은 600개소가 마련되어 있고, 옥외 하역장과 자동차 전용 창고도 갖추고 있다.
2014년 6월, 블라디보스토크항은 월간 컨테이너 물동량 47,777TEU를 기록하여 극동 러시아 지역 항만 중 월간 최고 기록을 경신하였다. 같은 해 연간 물동량은 513,481 TEU로, 이 역시 극동 러시아 지역 항만 중 최고 기록이었다.[1]
3. 1. 주요 시설
| 항목 | 내용 |
|---|---|
| 부두 수 | 15개 |
| 부두 총 연장 | 4km |
| 하역장 | 368000m2 |
| 창고 | 65900m2 |
| 항만 내 임항선 총 연장 | 20km |
정기 항로는 14개이며, 이 중 12개 항로는 컨테이너선이고, 2개 항로는 Ro-Ro선 항로이다.
부두는 벌크 화물, 컨테이너, 자동차, 유조소 등 총 15개의 선석이 있다. 부두의 수심은 20m~30m이다. 또한, 정온 컨테이너용 전원은 600곳이 마련되어 있다. 항만 지구의 창고는 65900m2이며, 옥외는 368000m2이다. 자동차용 보관소도 있다.
2014년 6월에는 블라디보스토크항 사상 최고인 47,777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했다. 이는 러시아 극동 항만에서의 컨테이너 처리량 월간 최고 기록이었다. 또한, 같은 해 연간 처리량은 513,481TEU가 되었으며, 이는 러시아 극동 지역 항만의 연간 처리량 최고 기록이기도 하다.
3. 2. 운항 항로
정기 항로는 14개이며, 이 중 12개 항로는 컨테이너선이, 2개 항로는 Ro-Ro선이 운항한다.3. 3. 물동량
블라디보스토크항은 15개의 부두를 가지고 있으며, 부두의 총 길이는 4km이다. 하역장은 368000m2, 창고는 65900m2 규모이다. 항내 임항선의 총 연장은 약 20km이다.정기 항로는 14개이며, 이 중 12개는 컨테이너선, 2개는 RORO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두에서는 낱개 형태의 상품, 컨테이너, 자동차, Oil terminal|정유 시설영어 등을 취급하며, 총 15개의 선석이 있다. 부두의 평균 수심은 20m에서 30m 사이이다. 정온 컨테이너 전용 전원은 600개소가 마련되어 있다. 항만 지구의 창고는 65900m2이고, 옥외 하역장은 368000m2이다. 자동차 전용 창고도 갖추고 있다.
2014년 6월, 블라디보스토크항은 월간 컨테이너 물동량 47,777TEU를 기록하여, 극동 러시아 지역 항만 중 월간 최고 기록을 경신하였다. 같은 해 연간 물동량은 513,481 TEU로, 이 역시 극동 러시아 지역 항만 중 최고 기록이었다.
4. 화물
러시아 혁명 직후 블라디보스토크항은 군항이 인접해 있어 폐쇄 도시로 지정되었고, 러시아 자국 내 화물 또는 북한 및 일본 수출용 화물만 제한적으로 취급하였다. 1991년 국제무역항으로 개방된 이후에는 무역항으로서의 기능이 확대되었지만, 개방을 계기로 무역 화물과 러시아 국내용 화물의 비중이 역전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화물 물동량은 한국, 일본, 대만, 필리핀, 홍콩, 중국,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호주,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4. 1. 외항 화물
1991년 국제 무역항으로 개방된 이후 해마다 외항과 내항 화물의 비율이 역전되고 있다. 2016년의 화물 처리량은 5637000ton이다.[1]블라디보스토크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외항 화물 취급 품목은 슬래브, 빌릿, 강판, 주철, 스크랩, 코크스, 유황, 곡물 등 다양하다. 이들의 목적지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타이완, 태국, 베트남 등 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국가들이다.[3]
4. 2. 내항 화물
러시아 혁명 이후 군항이 인접해 있어 폐쇄 도시로 지정되어 국내 화물을 주로 취급했으나, 1991년에 국제 무역항으로 개방된 이후에는 해마다 외항과 내항 화물의 비율이 역전되고 있다. 내항 화물은 주로 기계, 곡물, 건축 자재, 연료, 윤활유 등이다. 내항 화물의 주요 목적지는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마가단, 아나디리, 코르사코프 등 축치 자치구의 항구까지 이른다.[1]4. 3. 역사적 배경
러시아 제국에 의해 건설되어 개항 후 자유항으로 운영되었으나, 러일 전쟁 이후 1909년에 연해주에서의 일본의 영향력을 낮추기 위해 자유항으로서의 기능을 정지했다. 러시아 혁명 직후에는 군항이 인접해 있어 폐쇄 도시로 지정되어 국내 화물을 주로 취급했으나, 1991년에 국제 무역항으로 개방되었다.
개방 이후에는 해마다 외항과 내항 화물의 비율이 역전되고 있다. 다만 화물 물동량은 전부 한국, 일본, 대만, 필리핀, 홍콩, 중국,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호주,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의 총합 물동량은 5637000ton의 화물이 누적으로 처리되었다.
2015년부터 연해주 15개 도시에 자유항 제도가 적용되어, 자루비노, 나홋카,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등과 함께 자유항으로 지정되었다.
4. 4. 총 물동량
1991년 국제 무역항으로 개방된 이후 해마다 외항과 내항 화물의 비율이 역전되고 있다. 2016년의 화물 처리량은 5637000ton이다.[1]5. 여객 항로
여객선은 블라디보스토크 여객선 터미널에서 발착한다.
5. 1. 한일 항로
두원상선(본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이 2020년 9월 17일부터 주 1회 왕복 운항을 시작하였다.[2]6. 자유항
러시아 제국에 의해 건설되어 개항 후 자유항으로 운영되었으나, 러일 전쟁 이후 1909년에 연해주에서의 일본의 영향력을 낮추기 위해 자유항으로서의 기능을 정지했다.[1] 또한 적화 이후 폐쇄 도시 지정 등으로 상항으로서 활용되지 않았지만, 2015년부터 연해주 15개 도시에 자유항 제도가 적용되어, 자루비노, 나홋카,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등과 함께 지정을 받았다.[1]
7. 대외 관계
8. 교통
블라디보스토크항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블라디보스토크 역과 인접해 있다.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까지 이동할 경우, 블라디보스토크 역을 기준으로 대중교통은 107번 버스를 이용하면 2시간 8분이 소요되며, 자가용으로는 1시간 5분이 소요된다. 107번 버스 요금은 100RUB (Euro|유로영어화와 한화로 환산 시 약 1.11€/1490KRW)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ВМТП входит в состав Группы FESCO
http://www.vmtp.ru/p[...]
Владивостокский морской торговый порт
2008-04-12
[2]
웹사이트
京都舞鶴港と韓国・ロシアを結ぶ直行フェリー輸送の開始
http://www.pref.kyot[...]
2020-09-13
[3]
서적
新聞に見る20世紀の富山 第3巻
北日本新聞社
2000-11-26
[4]
문서
중국은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구간을 보면 [[라선특별시]]를 통해 [[두만강]]을 경유하면 중국([[훈춘시]])과도 바로 이어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