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노즈 (고등어목 어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루노즈는 고등어목 샛돔과에 속하는 어류로, 도미목 도미과의 블루노즈와는 다른 종이다. 옆줄은 아가미에서 꼬리지느러미까지 이어져 있으며, 등쪽은 푸른색, 아랫쪽은 흰색을 띤다. 큰 눈과 청동색 광택이 특징이며, 두 개의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피낭동물을 주로 먹지만, 작은 물고기, 두족류, 갑각류도 섭취하며, 동족포식도 한다. 남부 태평양, 특히 뉴질랜드 일대에 주로 서식하며, 수심 40~1500m에서 발견된다. 밤에는 먹이를 찾아 표해수대로 올라오며, 62~72cm 크기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뉴질랜드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회 등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 쓰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9년 기재된 물고기 - 작은입우럭
작은입우럭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검정우럭과 어종으로, 큰입우럭보다 입이 작고 맑은 물에 사는 특징을 가지며, 스포츠 피싱 대상이지만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는 외래종으로 관리된다. - 1819년 기재된 물고기 - 블루길
블루길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민물고기로 아가미뚜껑 뒤쪽의 푸른빛 때문에 이름 붙여졌으며, 강한 번식력과 포식성으로 한국과 일본 등에서 생태계 교란종으로 여겨지지만 북미에서는 식용 및 낚시 대상으로 이용된다. - 고등어목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고등어목 - 참다랑어
참다랑어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온혈 어류로, 굵고 짧은 방추형 몸체와 짙은 감청색 등, 은회색 배를 가지며 높은 경제적 가치로 인해 과도한 어획과 함께 양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블루노즈 (고등어목 어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Hyperoglyphe antarctica |
명명자 | Carmichael, 1819 |
이명 | Perca antarctica Carmichael, 1819 Palinurichthys antarcticus (Carmichael, 1819) Diagramma porosa Richardson, 1845 Hyperoglyphe porosa (Richardson, 1845) Palinurichthys porosus (Richardson, 1845) Eurumetopos johnstonii Morton, 1888 Seriolella amplus Griffin, 1928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고등어목 |
과 | 샛돔과 |
종 | 블루노즈 (H. antarctica) |
이미지 | |
![]() | |
![]() |
2. 특징
도미목 도미과에 속하는 블루노즈와 이름이 같지만, 이 물고기는 고등어목 샛돔과에 속하는 다른 종이다. 옆줄은 아가미부터 꼬리지느러미까지 이어져 있으며, 몸은 옆줄을 기준으로 등 쪽은 푸른색, 배 쪽은 흰색을 띤다. 눈이 크고 파란색이 밝으며, 눈 주변에는 청동색 광택이 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두 번째 등지느러미가 첫 번째 등지느러미보다 크다. 육식성 어류이다.
2. 1. 먹이
블루노즈는 육식성 어류로, 주로 피낭동물을 먹는다. 하지만 멸치, 청어, 정어리와 같은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 문어와 같은 두족류, 그리고 새우와 게 같은 갑각류도 잡아먹는다. 때로는 같은 종끼리 잡아먹는 동족포식을 하기도 한다.3. 생태
블루노즈는 주로 남부 태평양의 뉴질랜드 인근 해역에 분포하는 심해어로, 수심 40m에서 1500m 사이의 깊은 곳에서 서식한다.[1] 낮에는 주로 심해에 머물다가 밤에는 먹이를 찾아 표층으로 이동하는 습성을 보이기도 한다.[1] 일반적으로 8세에서 12세 사이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산란기에는 수컷 간의 경쟁이 나타나고 암컷은 많은 수의 알을 낳는다.
3. 1. 서식지
블루노즈의 주요 서식지는 남부 태평양이며, 특히 뉴질랜드 일대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발견된다.[1] 이 종은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호주 남부, 생폴 & 암스테르담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제도, 그리고 뉴질랜드의 다섯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수심 40m에서 1500m 사이에 사는 심해어이다.[1] 낮에는 주로 심해에 머물지만, 밤이 되면 표층 해역으로 올라와 먹이를 찾는 활동을 하기도 한다.[1]
블루노즈의 알과 유생 단계에 대해서는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약 10cm 크기의 어린 블루노즈는 물에 떠다니는 큰 다시마 덩어리와 함께 생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어린 개체들이 50cm 크기까지 자라면, 바닥 근처에서 생활하는 반(半)저서성 생활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어린 물고기들은 수심 약 350m에서 450m 사이의 단단한 해저 바닥 위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성장함에 따라 점차 더 깊은 바다로 이동한다. 산란은 주로 태즈메이니아 북동쪽 해역에서 3월과 4월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3. 2. 번식
블루노즈는 몸길이가 62cm에서 72cm 사이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하며, 이는 대략 8세에서 12세 사이의 연령에 해당한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들은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기도 한다. 수정이 이루어진 암컷은 한 번에 200만 개에서 1,100만 개의 알을 낳는다.산란은 주로 태즈메이니아 북동쪽 해역에서 3월과 4월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블루노즈의 알과 유생 단계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히 알려진 바가 적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약 10cm 크기의 어린 블루노즈(남극 버터피쉬)가 물에 떠다니는 큰 다시마 덩어리 주변에서 생활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 어린 개체들은 몸길이가 약 50cm에 이르면 해저 바닥 근처에서 생활하는 반(半)저서성 생활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린 블루노즈는 수심 약 350m에서 450m 사이의 단단한 해저 바닥 위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성장하면서 점차 더 깊은 바다로 이동한다.
3. 3. 성장
블루노즈의 알과 유생 단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최근 약 10cm 크기의 어린 블루노즈가 부유하는 대량의 다시마 덩어리와 함께 서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어린 개체들이 50cm 크기에 도달하면 바닥에 가까운 곳에서 생활하는 반(半)저서성 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이 시기의 어린 물고기들은 수심 약 350m에서 450m 사이의 단단한 바닥 위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성장함에 따라 점차 더 깊은 해역으로 이동한다.
블루노즈는 몸길이가 62cm에서 72cm 정도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하는데, 이는 대략 8세에서 12세 사이의 연령에 해당한다. 산란은 태즈메이니아 북동쪽 해역에서 3월과 4월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들은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기도 한다. 수정된 암컷은 한 번에 200만 개에서 1,100만 개에 이르는 많은 수의 알을 낳는다.
4. 인간과의 관계
블루노즈는 인간에게 주로 식용 자원으로 이용된다.
4. 1. 어획 및 이용
블루노즈는 먹을 수 있는 어류로, 뉴질랜드에서는 블루노즈를 어획하여 회나 다양한 요리로 만들어 먹는다.4. 2. 갤러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