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국교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국교도는 영국 국교회와 다른 신념을 가진 개신교 분파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16세기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등장하여 청교도, 재세례파 등이 초기 비국교도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17세기에는 잉글랜드 공화국 시대를 거치며 침례교, 퀘이커, 디거스 등 다양한 분파들이 활동했다. 18세기에는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합리적 반체제자들이 등장했고, 감리교와 스베덴보리 교회가 생겨났다. 현대에도 침례교, 장로교, 감리교, 퀘이커, 구세군 등 다양한 교파들이 비국교도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정치 - 잉글랜드 웨일스
잉글랜드 웨일스는 잉글랜드와 웨일스로 이루어진 영국의 구성국이자 법역으로, 웨일스 법에 의해 잉글랜드 왕국에 병합된 후 단일 법역을 형성했으나, 웨일스 자치 정부와 웨일스 의회 설립 이후 잉글랜드와 법률이 점차 달라지고 있으며, 일부 영역에서는 하나의 단위로 취급된다. - 잉글랜드의 정치 - 잉글랜드의 국가
잉글랜드는 공식 국가가 없지만 스포츠 행사에서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희망과 영광의 땅", "예루살렘" 등이 사용되며, "희망과 영광의 땅"이 국민 선호도가 높고 국가 제정 논의가 진행 중이다. - 기독교 급진주의 - 자유주의 신학
자유주의 신학은 19세기 기독교 신앙을 당시 지성적 흐름에 맞게 재해석하려던 신학 운동으로, 과학적 발견과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성경 무오류설을 거부하고 역사비평을 통해 성경을 해석하며, 인간 이성과 경험을 중시하고 예수의 윤리적 가르침에 초점을 맞추며 사회정의와 평등을 강조했으나 보수적 신학으로부터 비판받았고 대한민국에서는 주류 신학으로 자리잡지 못했다. - 기독교 급진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기독교 공산주의는 신약성서의 초기 예루살렘 교회 공동체에서 기원하여 재산 공유와 필요에 따른 분배를 이상으로 삼지만, 마르크스주의의 무신론적 세계관이나 사회주의 건설 방식에는 이견을 가지며, 수용과 비판의 시각이 공존하는 사상이다. - 기독교 신비주의자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기독교 신비주의자 - 시몬 베유 (철학자)
시몬 베유는 20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사회운동가, 신비주의자로, 사회주의 노동운동 참여, 종교적 체험, 나치즘과 스탈린주의 비판, 그리고 《중력과 은총》 등의 저서와 '탈창조' 등의 개념을 통해 사회 정의와 인간 존엄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시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비국교도 | |
---|---|
개요 | |
종류 | 기독교 내의 다양한 교파 (주로 개신교) |
구성원 | 침례교도 회중교회 교도 퀘이커 교도 그 외 성공회에서 분리된 다양한 개신교 교파 |
주요 신념 | 국교회의 교리 및 의식에 대한 반대, 종교적 자유와 개인주의 강조 |
역사적 배경 | |
발생 시기 |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
주요 원인 | 영국 국교회의 보수적인 성격에 대한 불만 종교적 자유에 대한 열망 청교도 혁명과 그 이후의 정치적 변화 |
법적/사회적 제약 | |
차별 | 공직 취임 제한 대학 입학 제한 세금 납부 의무 종교 집회 장소에 대한 제약 |
권리 획득 노력 | 지속적인 탄원과 로비 활동 정치적 영향력 확대 관용법 (1689년) 및 기타 법률 개정을 통한 권리 확보 |
영향 | |
정치 | 의회 정치 발전에 기여 자유주의 이념 확산 |
사회 | 교육 및 사회 복지 사업 발전 노예 제도 폐지 운동 등 사회 개혁 운동 주도 |
문화 | 독특한 윤리관 및 생활 양식 형성 문학,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조적인 활동 |
주요 인물 | |
인물 | 존 밀턴 (John Milton) 존 버니언 (John Bunyan) 아이작 뉴턴 (Isaac Newton) 올리버 크롬웰 (Oliver Cromwell) |
관련 용어 | |
용어 | 비국교도 (Nonconformists) 분리주의자 (Separatists) 청교도 (Puritans) 관용법 (Act of Toleration) |
2. 역사
비국교도라는 용어는 1559년 통일령 시행 당시 서약을 거부하고 국교회를 떠난 성직자들을 가리키는 말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공통의 기준, 관습, 규칙, 전통, 법률을 거부하는 자"라는 의미를 지녔지만, 영국에서는 국교도가 아닌 사람들을 포괄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25] 명예 혁명 이후 1828년 심사율이 폐지될 때까지 비국교도는 공직 취임이 금지되었다. '영국 반체제 교도(English dissenters)'라는 용어는 비국교도보다 늦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영국에서도 국교회와 다른 신념을 가진 다양한 개신교 분파들이 등장했다. 17세기 잉글랜드 공화국 시대(1649~1660년)에는 침례교, 퀘이커, 디거스, 레벨러 등 다양한 비국교도 분파들이 활동했다. 18세기에는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합리적 반체제자들이 등장하여 이성과 합리성에 맞는 신앙을 추구했으며, 존 웨슬리에 의해 감리교 운동이 시작되었다.
2. 1. 17세기 이전
1559년 "통일령"이 시행되었을 때 서약을 거부하고 국교회를 떠난 성직자를 지칭하는 데서 ''비국교도''(Nonconformist)라는 용어가 시작되었다. ''비국교도''는 "공통의 기준, 관습, 규칙, 전통, 법률을 거부하는 자"라는 의미이지만, 영국에서는 널리 국교도가 아닌 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5] 명예 혁명 이후, 1828년 심사율이 폐지될 때까지 비국교도는 공직에 취임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영국 반체제 교도''(English dissenters)는 ''비국교도''보다 늦게 사용되기 시작했다.종교개혁의 영향으로 영국에서도 국교회와 다른 신념을 가진 다양한 개신교 분파들이 등장했다.
- '''청교도'''는 16세기와 17세기에 걸쳐 활동한 영국의 주요 개신교 집단이었다. 청교도주의는 1558년 엘리자베스 1세 여왕 즉위 직후 성직자 출신 메리 추방자들에 의해 잉글랜드 국교회 내의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청교도"라는 명칭은 종종 쾌락주의와 청교도주의가 반대 개념이라는 잘못된 가정에 근거하여 부적절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이 단어는 프랑스의 카타리파와 유사한 극단주의자로 개신교 집단을 특징짓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토머스 풀러는 그의 저서 《교회 역사》에서 이 단어가 15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기록했다. 매튜 파커 대주교는 "청교도"와 "엄격주의자"라는 단어를 엄격한 사람의 의미로 사용했다.[26] 따라서 T. D. 보즈먼은 잉글랜드와 뉴잉글랜드의 역사적 집단에 대해 대신 "엄격주의자"라는 용어를 사용한다.[27]
- '''재세례파'''는 종교 개혁 기독교인들 중 유아 세례 대신 신자 세례를 주장한 사람들에게 주어진 용어였다.[4] 일반적으로 잉글랜드 공화국 시대 동안 침례교와 다른 반체제 단체들이 영국 재세례파를 흡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침례교와 재세례파의 관계는 매우 긴장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다. 1624년, 런던의 다섯 개 침례교회는 재세례파에 대한 파문을 발표했다.[5] 오늘날에도 재세례파 단체들(예: 메노나이트 세계 회의)과 침례교 단체들 사이에는 대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브라우니스트'''의 로버트 브라운은 잉글랜드 교회를 위한 회중 조직 형태의 운동의 지도자가 되었고, 잉글랜드 노퍽 노리치에 별도의 회중교회를 세우려고 시도했다. 그는 체포되었으나 친척인 윌리엄 세실의 조언으로 풀려났다. 브라운과 그의 동료들은 1581년 네덜란드 미델부르흐로 이주했다. 그는 1585년 잉글랜드로 돌아와 잉글랜드 교회로 복귀하여 교사 및 교구 사제로 고용되었다.
- '''자코바이트'''
2. 2. 17세기
잉글랜드 공화국 시대(1649~1660년)에는 다양한 비국교도 분파들이 활동했다.- '''침례교''': 신자 세례를 주장하며, 17세기 영국 분리주의자들을 통해 기원했다는 것이 현대 학계의 통설이다. 1624년 런던의 다섯 개 침례교회는 재세례파를 파문하기도 했다.[5]
- '''퀘이커''': 조지 폭스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내면의 빛"을 강조하고 평화주의와 사회적 평등을 추구했다. 이들은 그리스도 외에는 죄악을 치유할 수 있는 존재가 없다고 믿었으며,[28] 하나님과의 영적 친밀함을 통해 죄와 유혹에 저항하는 능력을 얻는 완전함의 교리를 가르쳤다.[28]
- '''디거스''': 제라드 윈스턴리가 이끈 농업 공산주의 집단으로, 사도행전에 기반한 경제적 평등을 믿고 소규모 평등주의 농촌 공동체를 추구했다.[9][10]
- '''레벨러''': 국민 주권, 선거권 확대, 법 앞의 평등, 종교적 관용을 강조한 정치 운동으로, 자연권 개념을 지지했다. 토마스 레인즈버러는 퍼트니 논쟁에서 성경에 나타난 하느님의 법에서 비롯되는 자연권을 옹호했다.
- '''머글턴주의자''': 로도위크 머글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1651년 두 명의 런던 재단사가 성경의 요한 계시록에 예언된 마지막 선지자라고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랜터스에서 파생되었으며, 철학적 이성에 대한 적대감, 우주의 작동 방식에 대한 성경적 이해, 하느님이 그리스도 예수로 직접 지구에 나타났다는 믿음 등을 가졌다.
- '''그린들턴파''': 1627년 스티븐 데니슨은 세인트 폴 대성당 설교에서 그린들턴파가 반율법주의 성향의 9가지 항목을 고수한다고 비난했다.[17][18]
- '''5월 왕국주의자''': 1649년부터 1661년까지 활동한 비국교도들로, 다니엘서의 예언에 따라 네 개의 고대 왕국(바빌로니아, 페르시아, 마케도니아, 로마)이 그리스도의 재림에 앞설 것이라고 믿었다.
- '''탐구자''': 느슨한 종교 사회를 형성했으며, 모든 교회와 종파가 오류에 빠졌다고 믿고 오직 재림을 통해 세워질 새로운 교회만이 구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조용한 모임을 가지고, 성례전과 물 세례를 부정했다.[33][34]
- '''소시니언''': 유니테리언 또는 비삼위일체론자들이었으며, 폴란드 형제단의 영향을 받았다.
- '''배로주의자''': 헨리 배로우는 회중 독립을 옹호하고, 기존의 교회 질서를 로마 가톨릭교의 잔재에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여 순수한 예배와 규율을 위해 분리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 '''뵈메주의자''': 독일 신비주의자이자 신지학자인 야코프 뵈메의 저작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종교 운동이다.[7] 이들은 죄, 악, 구원의 본질에 대해 탐구했으며, 오직 믿음과 오직 은총의 개념을 거부했다.[8]
- '''열광주의자''': 16세기와 17세기의 몇몇 개신교 종파를 지칭하는 용어였다. 명예혁명 이후에는 정치적 또는 종교적 대의를 옹호하는 것에 대한 경멸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 '''가족주의자''': 16세기에 유럽 대륙에서 시작된 종교 종파로, 헨드릭 니클라스의 추종자들이었다. 이들은 아담과 이브 이전의 시간이 존재했다는 것, 천국과 지옥이 모두 지구에 존재한다는 것 등을 믿었다.[13] 17세기 중반까지 존재하다 퀘이커 운동에 흡수되었다.[14]
- '''랭터''': 영국 연방 시대에 존재했던 종파로, 범신론을 핵심 사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교회의 권위, 성경, 목사직 및 예배를 부정하고, 불멸과 인격신에 대한 믿음을 거부했다.[30]
- '''안식일 준수론자''': 엘리자베스 1세 시대부터 영국에서 알려졌으며, 성경을 연구하고 교회의 교리에 의문을 제기했다. 토요일 안식일 준수론자들은 교회의 안식일이 토요일이 아닌 일요일이라는 것에 이의를 제기했다.
2. 3. 18세기
18세기에는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이성과 합리성을 강조하는 합리적 반체제자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원죄, 삼위일체 등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를 비판하고, 이성에 부합하는 신앙을 추구했다. 합리적 반체제자들은 당시의 성공회에 더 가까웠지만, 국교가 양심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믿었으며, 국교의 계층 구조와 정부와 국교 간의 재정적 유착에 반대했다.감리교는 성공회 사제 존 웨슬리가 시작한 운동으로, 그는 거듭남과 온전한 성화라는 두 가지 은혜의 역사를 가르쳤다.[21] 웨슬리는 죄를 뉘우치고 예수를 구세주로 받아들여 칭의, 중생, 양자 됨을 이루는 첫 번째 은혜의 역사와, 사랑 안에서 완전해지고 원죄가 뿌리 뽑히며 하나님을 헌신하는 마음으로 섬길 수 있는 능력을 얻는 두 번째 은혜의 역사를 가르쳤다.[22] 초기 감리교인들은 단정한 옷차림, 금요 금식, 주님의 날 경건하게 지키기, 절주 등 신중한 생활 방식으로 알려졌다.[24]
18세기 말에는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저서를 읽는 모임에서 시작된 스베덴보리 교회가 등장했다. 스베덴보리 신봉자들 중 일부는 기존 교회를 떠나 뉴 예루살렘 총회를 결성했다. 스베덴보리는 삼위일체,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사상, 대속적 속죄에 대한 정통 신학을 비판하고, 성경을 상징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는 전통을 부활시켰다.
3. 현대의 비국교도
현대에도 비국교도 전통은 다양한 교파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 주요 교파는 다음과 같다.
교파 | 특징 및 설명 |
---|---|
재세례파 | 종교 개혁 당시 유아 세례를 반대하고 신자 세례를 주장. 현대에는 메노나이트 세계 회의 등과 같은 단체로 이어짐. |
침례교 | 17세기 영국 분리주의 운동에서 기원. 재세례파와는 긴장 관계였으나, 잉글랜드 공화국 시대에 영국 재세례파를 흡수. |
회중교회 | |
감리교 | 성공회 사제 존 웨슬리가 시작. 칭의, 중생, 양자 됨과 온전한 성화를 가르침. 단정한 옷차림, 금요 금식, 주님의 날 경건, 절주 등 신중한 생활 방식 강조. |
초교파 기독교 | |
장로교 | 스코틀랜드에서는 다수지만, 잉글랜드에서는 비국교도로 분류 (잉글랜드 장로교 참조). |
개혁교회 | 연합 개혁 교회 등. |
퀘이커교 | 조지 폭스가 "주 앞에서 떨게 하라"는 말에서 유래. 그리스도의 내적 경험을 중시하며, 완전함의 교리를 가르침. |
스웨덴보리안 |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저서를 읽는 모임에서 시작. 삼위일체,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사상, 대속적 속죄에 대한 비판적 관점. |
유니테리언 및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 |
구세군 |
4. 주요 비국교도 인물
- 다니엘 디포[28]
- 조지 폭스 : 퀘이커의 아버지로 불린다. 퀘이커는 1650년 한 판사가 그들을 "주 앞에서 떨게 하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했다. 조지 폭스는 "그리스도 외에는 불신과 죄악을 치유할 수 있는 지상의 존재는 아무도 없다"고 가르쳤다.[28]
- 존 웨슬리 : 감리교 운동을 시작한 성공회 사제이다. 그는 (1) 새로운 탄생과 (2) 온전한 성화라는 두 가지 은혜의 역사를 가르쳤다. 웨슬리는 새로운 탄생을 받은 자들은 고의적으로 죄를 짓지 않으며, 온전한 성화는 "느리고 점진적인 단계로 접근할 수 있지만,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고 가르쳤다.[23]
- 조지프 프리스틀리[28]
참조
[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7-03-13
[2]
서적
Dissenting academies in England: their rise and progress, and their place among the educational systems of the count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James I and VI (1566–1625)
https://www.bbc.co.u[...]
BBC
2011-05-29
[4]
웹사이트
What is an Anabaptist
http://www.anabaptis[...]
2014-09-05
[5]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Religions
[6]
간행물
A Very Brief Introduction to Baptist History, Then and Now.
The Baptist Observer.
[7]
백과사전
Boehme, Jakob
http://www.bartleby.[...]
[8]
웹사이트
The Way to Christ
http://www.passthewo[...]
Pass the Word Services
[9]
서적
The True Levellers Standard Advanced: or, The State of Community opened, and Presented to the Sons of Men
https://scholarsbank[...]
R.S. Bear
[10]
서적
Today's English Version
[11]
서적
Essays Moral, Political, and Literary (1742–1754)
[12]
서적
The Family of Love in English Society, 1550–163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Displaying of an Horrible Sect
[14]
백과사전
[15]
서적
The Family of Love
[16]
서적
Fifth Monarchy Men: Study in Seventeenth Century English Millenarianism
https://books.google[...]
[17]
서적
Heresiography
[18]
서적
"math|Πανσεβεια"
[19]
서적
The World Turned Upside Down
https://archive.org/[...]
New York: Viking Press
[20]
서적
Puritans and Puritanism in Europe and America: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2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Protestant Dissenting Traditions, Volume II: The Long Eighteenth Century c. 1689-c. 1828
Oxford Scholarship Online
2018-07-19
[22]
서적
Wesley on the Christian Life: The Heart Renewed in Love
Crossway
2013-08-31
[23]
웹사이트
Christian Perfection
https://place.asbury[...]
Asbury Theological Seminary
2024-07-02
[24]
서적
Autobiography of Peter Cartwright: The Backwoods Preacher
https://archive.org/[...]
Carlton & Porter
[25]
서적
A Book of Burlesques
[26]
백과사전
[27]
서적
The Precisianist Strain: Disciplinary Religion and Antinomian Backlash in Puritanism to 1638
[28]
문서
'Who are the Quakers?'
Oxford Academic
[29]
웹사이트
The Plymouth Brethren
https://victorianweb[...]
1996
[30]
백과사전
[31]
백과사전
Orgy: Orgy in Medieval and Modern Europe
[32]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the British Isles: From 1688 to 1914
Taylor & Francis
2013-09-27
[33]
웹사이트
Seekers
http://www.exlibris.[...]
Exlibris.org
2009-02-22
[34]
백과사전
Seeker
https://www.britanni[...]
2009-02-22
[35]
웹사이트
The Balby Seekers and Richard Farnworth
https://digitalcommo[...]
2003
[36]
문서
Philip
[37]
문서
[38]
서적
이야기교회사
살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