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양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양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북서쪽 해안에 위치한 섬으로, 협재리에서 약 2km 떨어져 있다. 섬 중앙에는 114m 높이의 비양봉이 있으며, 쌍둥이 분화구와 펄랑못, 기암괴석 등 화산 활동의 흔적이 잘 보존되어 있어 지질학적 가치가 높다.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옛 문헌에 비양도로 기록되어 있으며, 1002년 화산 폭발로 섬이 형성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며, 농업과 관광도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섬 - 마라도
    마라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의 섬으로,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태계, 최남단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관광 명소이지만, 최근 고양이 개체 수 증가로 인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섬 - 가파도
    가파도는 제주도 남쪽의 평탄한 섬으로, 청보리밭과 관광 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며, 과거 마라도의 본섬이었고 해산물과 고구마가 특산물이며, 섬 이름은 가오리 모양이나 파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제주시의 지리 - 한라산
    한라산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남한 최고봉의 휴화산으로, 백록담 화산호와 다양한 화산 지형, 식생, 동식물상을 보유하여 국립공원 및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고 문화·역사적 가치도 지닌다.
  • 제주시의 지리 - 거문오름
    거문오름은 숲이 우거져 검게 보이는 한라산의 단성화산체로,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용암 동굴 형성 및 일본군 군사시설 존재로 천연기념물과 과거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화산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대한민국의 화산 - 황령산
    황령산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산으로, 봉수 전망대, 감로사,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등의 명소와 문화재가 있으며, 다양한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부산, 울산, 경상남도, 경상북도 일부 지역, 일본 쓰시마시 일부 지역에서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1991년에는 황령산레포츠공원이 조성되었다.
비양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비양도
비양도
면적0.52㎢
위치남해
민족한민족
인구 기준2019년
인구166명
행정 구역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2. 위치 및 지형

비양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북서쪽 해안에 있는 섬으로, 협재리에서 약 2km 떨어져 있다. 섬의 모양은 전체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이다. 비양도 분화구에는 비양도가 원산지인 비양나무 군락이 형성돼있다.[2]

비양도는 원시 상태의 화산 활동과 관련한 화산 지질층 및 화산쇄설물, 호니토 등을 비롯해 화산의 흔적들이 잘 보존되어 있어 화산지질학적으로 가치가 높다.

비양도 동쪽에는 펄랑못이 있다. 펄랑못은 우리나라 유일의 염습지로 밀물 때는 해수가 밀려들고 썰물이 되면 다시 담수호가 되는 얕은 이다.[3]

2. 1. 지형 특징

섬 모양은 전체적으로 원형이다. 최고지점은 114m의 분화구로 섬의 북쪽에 솟아 있으며, 남쪽은 대체로 평탄하다. 해안선의 드나듦은 단조로우며 대부분 암석해안이다. 비양도는 타원형의 섬으로, 중앙에는 비양봉이 위치해 있다. 해안 주변에는 "애기 업은 돌"을 비롯한 기암괴석들이 여기저기 형성되어 있다. 비양봉 정상에는 등대기준점이 있으며, 비양봉 바로 옆에는 쌍둥이 크리에이터(분화구)가 있다.[2]

3. 자연 환경

비양도는 비양나무 자생지로 유명하며, 섬 안의 분화구에는 비양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섬 동쪽에는 우리나라 유일의 염습지인 펄랑못이 있는데, 밀물 때는 바닷물이 들어오고 썰물 때는 민물 호수가 되는 얕은 못이다.[3] 비양도는 화산 활동과 관련된 화산 지질층, 화산쇄설물, 호니토 등 화산의 흔적들이 잘 보존되어 있어 화산 지질학적 가치가 높다.[2]

3. 1. 식생

비양도는 비양나무 자생지로 유명하며, 비양도 분화구 내에는 비양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2]

3. 2. 펄랑못

비양도 동쪽에는 펄랑못이 자리잡고 있다. 펄랑못은 우리나라 유일의 염습지로 밀물 때는 해수가 밀려들고 썰물이 되면 다시 담수호가 되는 얕은 이다.[3]

3. 3. 지질학적 가치

비양도는 원시 상태의 화산 활동과 관련한 화산 지질층 및 화산쇄설물, 호니토 등 화산의 흔적들이 잘 보존되어 있어 화산 지질학적으로 가치가 높다.[2]

4. 역사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는 '비양도(飛揚島)'로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비양도는 제주목 서쪽 80리에 있으며, 양목장이 있었다고 한다. 여러 옛 기록에는 '상서로운 산'이라는 뜻의 '서산(瑞山)'으로도 불렸다고 전해진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1002년(고려 목종 5년) 화산 폭발로 인해 섬이 형성되었다는 기록이 있다.[5]

4. 1. 전설

1,000년 전 제주도에는 99개의 봉우리밖에 없어서 100봉을 채우지 못해 대국을 형성하지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 중국 쪽에서 봉우리 하나가 제주도를 향해 날아오고 있었는데, 한림 앞바다에 이르렀을 때 한 여인이 굉음에 놀라 집 밖으로 나갔다가 이를 보고 가만히 있으면 마을과 부딪칠 것 같아서 멈추라고 소리쳤다. 이로 인해 지금의 위치에 떨어져 섬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5]

5. 산업 및 현황

하추자도에서 남쪽으로 58.1km, 협재리에서 2km 떨어져 있다. 동경 126°14′, 북위 33°24′에 위치하며, 면적은 0.58km2, 해안선 길이는 3.15km이다. 비양도는 작은 화산섬으로 섬 전체가 원형을 이루고 있다.

섬의 북쪽에는 높이 114m의 분석구(噴石丘)가 솟아 있고, 남쪽 평탄면에는 취락이 형성되어 있다. 1월 평균기온은 2.9℃, 8월 평균기온은 27.3℃, 연강수량은 1371mm, 연강설량은 215mm이다.

5. 1. 산업

비양도 주민들은 어업을 주로 하며, 농업도 병행한다. 비양도 주변은 80여 종의 어족 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논은 없지만, 밭 7ha와 임야 32ha가 있다. 주요 농산물은 유채, 고구마, 보리, 들깨 등이다. 주 산업은 어업으로, 멸치, 갈치, 방어가 주로 잡히며, 소라, 전복, 해삼, 천초 등을 양식하는 양식업도 활발하다.[4]

5. 2. 관광

인근 본섬의 협재해수욕장, 협재리의 용암동굴지대, 한림항과의 연결이 용이하여 여름철에는 낚시꾼들이 많이 찾는다.[4]

5. 3. 교육

한림초등학교 비양분교가 있다.[4]

5. 4. 인구

1994년 기준으로 205명이 비양도에 거주하였다.[4]

참조

[1] 뉴스 ‘천년의 섬’이 아니라 2만7000년전 생성 - 강순석 박사의 제주 지질 이야기, ⑫비양도 http://www.jejumaeil[...] 제주메일 2015-05-24
[2] 뉴스 강순석 박사의 제주 지질 이야기, ⑫비양도 http://www.jejumaeil[...] 제주메일
[3] 뉴스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
[4] 간행물 비양도(飛楊島) 한국학중앙연구원
[5] 서적 비양도(飛陽島) 국토지리정보원 2010-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