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엔티안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엔티안주는 라오스 중부에 위치한 주로, 15,927km²의 면적에 11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적으로는 란쌍 왕국의 중요한 행정 도시였으며, 이후 비엔티안 왕국의 독립, 시암의 지배, 프랑스 식민지 시대를 거쳐 라오스 내전의 영향을 받았다. 현재는 관광 산업이 발달하여 방비엥과 남응음 댐 등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주 - 세콩주
    세콩 주는 라오스 남동부에 위치한 주로, 1984년 사라완 주와 아타푸 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낮은 인구 밀도, 다양한 소수 민족, 높은 산림 피복률, 풍부한 수자원, 열악한 교통 인프라, 독특한 직물 공예, 그리고 국제적으로 중요한 조류 지역과 보호 구역을 특징으로 한다.
  • 라오스의 주 - 캄무안주
    캄무안주는 라오스 중부에 위치한 주로, 삼림이 우거진 산악 지형이며, 주도 타케크는 메콩 강에 위치하고, 탐콩롤 동굴 등 다양한 자연 명소와 라오스바위쥐와 같은 희귀 동물의 서식지를 포함하며, 2015년 인구는 39만 명 이상이고 9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담배 생산 지역이다.
비엔티안주
지도 정보
비엔티안주 지도
비엔티안주 지도
라오스 내 비엔티안주의 위치
라오스 내 비엔티안주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ແຂວງວຽງຈັນ (라오어)
로마자 표기Khwaeng Viangchan
행정 구역
국가라오스
설립1989년
명칭 유래비엔티안
중심지므앙폰홍
면적15,610 km²
인구 (2020년)462,142명
인구 밀도29.6명/km²
시간대ICT
UTC 오프셋+7
ISO 코드LA-VI
웹사이트비엔티안주 역사 (론리플래닛)
인문 지표
인간 개발 지수 (2018년)0.618
인간 개발 지수 순위3위
기타
인구 통계2015년 인구: 419,090명
인구 밀도: 26명/km²

2. 역사

라오스의 전설에 따르면, 탓타라타 왕자는 동생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메콩강 서쪽 강둑에 도시를 건설했는데, 이 도시가 오늘날 태국의 우돈타니가 되었다고 한다. 어느 날, 일곱 머리를 가진 나가가 탓타라타에게 강 동쪽 강둑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라고 말했고, 왕자는 이 도시를 찬타불리 시 삿타나카나후드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현대 비엔티안의 전신이라고 여겨진다.[3]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비엔티안이 힌두교 사원을 중심으로 한 초기 크메르 제국의 정착지였다고 믿는다. 11세기와 12세기, 라오스인태국인중국 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 들어오면서, 그 지역에 남아 있던 소수의 크메르인들은 쫓겨나거나 라오스 문명에 동화되었다.[3]

1354년, 파 응음이 란쌍 왕국을 건국했을 때, 비엔티안은 중요한 행정 도시가 되었다. 셋타티랏 왕은 버마의 침입을 피하기 위해 1563년에 비엔티안을 란쌍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 그 후 수세기 동안 비엔티안의 지위는 불안정했다. 때로는 강력한 지역 중심지였지만, 많은 경우 베트남, 버마 또는 시암의 지배를 받았다.[3]

1707년 란쌍 왕국이 붕괴되자 비엔티안 왕국이 독립했다. 1779년, 시암의 장군 프라야 부다 요파 쭐라록(차크리)에게 정복당해 시암의 속국이 되었다. 아누봉 왕이 독립을 시도하다 실패한 반란을 일으키자, 1827년 시암 군에 의해 멸망당했다. 도시는 불타 없어졌고, 불상과 사람들을 포함한 거의 모든 라오스 유물이 약탈당했다. 시암군은 아누봉을 격파하고 도시를 파괴했으며, 왓 시사껫만이 온전하게 남았고 모든 사람들이 이주당했다.[3][4]

1867년 프랑스인이 도착했을 때, 비엔티안은 폐허가 되고 인구가 감소하여 숲 속으로 사라져 가고 있었다. 1893년 프랑스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1899년에는 프랑스 라오스 보호령의 수도가 되었다. 프랑스는 도시를 재건하고 파탓 루앙, 왓 프라깨오 등 불교 사찰을 재건 또는 수리했으며 많은 식민지 건물을 남겼다. 1900년 주지사 폴 두메르가 서명한 법령에 따라, 이 지역은 보리칸, 파춤, 투라콤, 비엔티안의 네 개 무앙(muang, 행정구역)으로 나뉘었다. 2년 전, 이 네 개의 무앙 출신 남성들은 비엔티안의 초대 행정관인 피에르 모린을 위한 집을 짓는 일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비엔티안은 사코 마사노리의 지휘 아래 일본군에 점령당했다. 1945년 3월 9일 프랑스 공수부대가 도착하여 1945년 4월 24일 비엔티안을 "해방"시켰다.

라오스 내전이 왕국 정부와 파테트 라오 사이에서 발발하면서 비엔티안은 불안정해졌다. 1960년 8월, 콩 레가 수도를 장악하고 수반나 푸마를 총리로 임명할 것을 주장했다. 12월 중순, 푸미 노사반 장군이 수도를 장악하고 푸마 정부를 전복시키고 분 움을 총리로 임명했다. 1975년 중반, 파테트 라오군이 도시로 이동했고 미군 인원이 수도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1975년 8월 23일, 50명의 파테트 라오 여성 부대가 상징적으로 도시를 "해방"시켰다. 1975년 12월 2일, 파테트 라오의 공산주의가 비엔티안을 장악하고 라오스 왕국을 무너뜨리면서 라오스 내전이 종식되었지만, 파테트 라오가 몽족과 망명 왕당파와 싸우면서 라오스 내전이 정글에서 계속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프랑스 인도차이나 전쟁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수천 명의 난민이 이 지역에 도착했다. 1963년까지, 특히 시엥쿠앙 주 출신 몽족을 포함하여 약 12만 8천 명이 도착했다. 1970년대 초에는 15만 명이 더 도착했다. 많은 난민들이 아편 중독자였다. 1989년, 이 지역은 수도 비엔티안을 포함한 비엔티안 특별시와 나머지 지역인 비엔티안 주로 나뉘었다.

2006년 말, 콘케안 마을에서 13명의 크무족 기독교인이 체포되었다. 한 명은 2007년 4월에 석방되었고, 5월 16일에는 다른 9명이 힌헵의 경찰 시설에 수감된 후 석방되었다.

사이솜분 지역에서는 정부군과 몽족 반군 사이에 산발적인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5] 1989년 현재 수도인 비엔티안 시를 포함하는 비엔티안 특별시와 분리되어 설치되었다. 2008년 주청 소재지가 폰혼군에서 비엔캄군으로 이전했다.

2. 1. 고대

라오스 전설에 따르면, 탓타라타 왕자는 동생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메콩강 서쪽 강둑에 도시를 건설했다고 한다. 이 도시는 오늘날 태국의 우돈타니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3] 어느 날, 일곱 머리를 가진 나가(Naga)가 탓타라타에게 강 동쪽 강둑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라고 말했고, 왕자는 이 도시를 찬타불리 시 삿타나카나후드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현대 비엔티안의 전신이라고 여겨진다.[3]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비엔티안이 힌두교 사원을 중심으로 한 초기 크메르 제국의 정착지였다고 믿는다. 11세기와 12세기, 라오스인태국인중국 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 들어오면서, 그 지역에 남아 있던 소수의 크메르인들은 쫓겨나거나 라오스 문명에 동화되었다.[3]

1354년, 파 응음이 란쌍 왕국을 건국했을 때, 비엔티안은 중요한 행정 도시가 되었다. 1563년, 셋타티랏 왕은 미얀마의 침입을 피해 비엔티안을 란쌍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 그 후 수세기 동안 비엔티안은 때로는 강력한 지역 중심지였지만, 많은 경우 베트남, 미얀마, 태국(시암)의 지배를 받았다.[3]

2. 2. 란쌍 왕국 시대

1354년, 파 응음이 란쌍 왕국을 건국했을 때, 비엔티안은 수도는 아니었지만 중요한 행정 도시가 되었다.[3] 셋타티랏 왕은 버마의 침입을 피하기 위해 1563년에 비엔티안을 란쌍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3] 그 후 수세기 동안 비엔티안의 지위는 불안정하여, 때로는 강력한 지역 중심지였지만, 많은 경우 베트남, 버마, 시암의 지배를 받았다.[3]

1707년 란쌍 왕국이 붕괴되자 비엔티안 왕국이 독립했다.[3]

2. 3. 비엔티안 왕국과 시암의 지배

1707년 란쌍 왕국이 붕괴되자 비엔티안 왕국이 독립했다.[3] 1779년, 시암의 장군 프라야 부다 요파 쭐라록(차크리)에게 정복당해 시암(태국)의 속국이 되었다.[3] 아누봉 왕이 독립 왕국을 건설하려고 시도하다 실패한 반란을 일으키자, 1827년 시암 군에 의해 멸망당했다.[3][4] 도시는 불타 없어졌고, 불상과 사람들을 포함한 거의 모든 라오스 유물이 약탈당했다. 시암군은 아누봉을 격파하고 도시를 파괴했으며, 왓 시사껫만이 온전하게 남았고 모든 사람들이 이주당했다.[3]

2. 4.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독립

1893년 프랑스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1899년에는 프랑스령 라오스 보호령의 수도가 되었다.[3] 프랑스는 도시를 재건하고 파탓 루앙, 왓 프라깨오 등 불교 사찰을 재건 또는 수리했으며 많은 식민지 건물을 남겼다. 1900년 주지사 폴 두메르가 서명한 법령에 따라, 이 지역은 보리칸, 파춤, 투라콤, 비엔티안의 네 개 무앙(행정구역)으로 나뉘었다. 2년 전, 이 네 개의 무앙 출신 남성들은 비엔티안의 초대 행정관인 피에르 모린을 위한 집을 짓는 일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비엔티안은 일본군에 점령당했다가, 1945년 3월 9일 프랑스 공수부대가 도착하여 1945년 4월 24일 비엔티안을 "해방"시켰다.

라오스 내전이 왕국 정부와 파테트 라오 사이에서 발발하면서 비엔티안은 불안정해졌다. 1960년 8월, 콩 레가 수도를 장악하고 수반나 푸마를 총리로 임명할 것을 주장했으나, 12월 중순 푸미 노사반 장군이 수도를 장악하고 푸마 정부를 전복시키고 분 옴을 총리로 임명했다. 1975년 중반, 파테트 라오군이 도시로 이동했고 미군 인원이 수도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1975년 8월 23일, 50명의 파테트 라오 여성 부대가 상징적으로 도시를 "해방"시켰다. 1975년 12월 2일, 파테트 라오의 공산당이 비엔티안을 장악하고 라오스 왕국을 무너뜨리면서 라오스 내전이 종식되었지만, 파테트 라오가 몽족과 망명 왕당파와 싸우면서 라오스 내전이 정글에서 계속되었다.

2. 5. 현대

1707년 란쌍 왕국이 붕괴되자 비엔티안 왕국이 독립했다.[3] 1779년, 시암의 장군 프라야 부다 요파 훌라록(차크리)에게 정복당해 시암(태국)의 속국이 되었다.[3] 아누봉 왕이 독립 왕국을 건설하려고 시도하다 실패한 반란을 일으키자, 1827년 시암 군에 의해 멸망당했다.[3][4] 도시는 불타 없어졌고, 불상과 사람들을 포함한 거의 모든 라오스 유물이 약탈당했다. 시암군은 아누봉을 격파하고 도시를 파괴했으며, 왓 시 사켓만이 온전하게 남았고 모든 사람들이 이주당했다.[3]

1867년 프랑스인이 도착했을 때, 비엔티안은 폐허가 되고 인구가 감소하여 숲 속으로 사라져 가고 있었다. 1893년 프랑스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1899년에는 프랑스 라오스 보호령의 수도가 되었다. 프랑스는 도시를 재건하고 파탓 루앙, 왓 프라깨오 등 불교 사찰을 재건 또는 수리했으며 많은 식민지 건물을 남겼다. 1900년 주지사 폴 두메르가 서명한 법령에 따라, 이 지역은 보리칸, 파춤, 투라콤, 비엔티안의 네 개의 무앙(muang, 행정구역)으로 나뉘었다. 2년 전, 이 네 개의 무앙 출신 남성들은 비엔티안의 초대 행정관인 피에르 모린을 위한 집을 짓는 일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비엔티안은 거의 저항 없이 함락되어 사코 마사노리의 지휘 아래 일본군에 점령당했다. 1945년 3월 9일 프랑스 공수부대가 도착하여 1945년 4월 24일 비엔티안을 "해방"시켰다.

라오스 내전이 왕국 정부와 파텟 라오 사이에서 발발하면서 비엔티안은 불안정해졌다. 1960년 8월, 콩 레가 수도를 장악하고 수반나 푸마를 총리로 임명할 것을 주장했다. 12월 중순, 푸미 노사반 장군이 수도를 장악하고 푸마 정부를 전복시키고 분 움을 총리로 임명했다. 1975년 중반, 파텟 라오군이 도시로 이동했고 미군 인원이 수도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1975년 8월 23일, 50명의 파텟 라오 여성 부대가 상징적으로 도시를 "해방"시켰다. 1975년 12월 2일, 파텟 라오의 공산주의가 비엔티안을 장악하고 라오스 왕국을 무너뜨리면서 라오스 내전이 종식되었지만, 파텟 라오가 몽족과 망명 왕당파와 싸우면서 라오스 내전이 정글에서 계속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프랑스 인도차이나 전쟁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수천 명의 난민이 이 지역에 도착했다. 1963년까지, 특히 시엥쿠앙 주 출신 몽족을 포함하여 약 12만 8천 명이 도착했다. 1970년대 초에는 15만 명이 더 도착했다. 많은 난민들이 아편 중독자였다. 1989년, 이 지역은 수도 비엔티안을 포함한 비엔티안 특별시와 나머지 지역인 비엔티안 주로 나뉘었다.

2006년 말, 콘케안 마을에서 13명의 크무족 기독교인이 체포되었다. 한 명은 2007년 4월에 석방되었고, 5월 16일에는 다른 9명이 힌헵의 경찰 시설에 수감된 후 석방되었다.

사이솜분 지역에서는 정부군과 몽족 반군 사이에 산발적인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3. 지리

비엔티안주는 면적이 15927km2이며 10개 구로 이루어진 큰 주이다.[6] 북쪽으로는 루앙프라방주, 북동쪽으로는 시엥쿠앙주, 동쪽으로는 볼리캄사이주, 남쪽으로는 비엔티안 시와 태국, 서쪽으로는 싸이냐부리주와 접한다. 주요 도시로는 방비엥과 무앙 폰홍이 있다. 방비엥은 남쪽으로 비엔티안에서 도로로 약 170km 떨어져 있으며, 북서쪽으로는 주에서 가장 중요한 고속도로인 13번 국도를 통해 루앙프라방과 연결된다. 그 다음으로 10번 국도가 있다.[7] 주민 대부분은 13번 국도를 따라 또는 그 근처의 도시와 마을에 거주한다. 남쪽에서 북쪽으로 반 폰숭, 반 사카, 투락홈(13번 국도 동쪽의 10번 국도를 따라), 반 날라오, 반 농카이, 반 켄캉, 반 방카이, 반 후아이파몬, 반 나모네, 방비엥, 반 남포, 반 파탕, 반 보메 펙, 반 티엥, 무앙 카시, 반 남 산 노이 등이 시엥쿠앙주와의 국경 근처에 있다.[7]

방비엥에서 남쪽으로 수킬로미터 떨어진 곳에는 라오스에서 가장 큰 호수 중 하나인 남응음이 있다. 이 지역의 많은 부분, 특히 남부의 숲은 푸카오쿠아이 국립 생물다양성 보존 지역에 속한다.[7] 동쪽에는 라오스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푸비아가 있으며, 반 탐칼롱 동쪽의 울창한 숲으로 뒤덮인 구릉 지대이다. 이 주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는 남송강, 남응음강, 남릭강이 있다.

라오스의 계림처럼 여행객들에게 유명한 관광지인 방비엥과 남응음댐으로 유명한 Ang Nam Ngum|남응음 인공호수nl도 같은 현에 속한다.

4. 행정 구역

비엔티안 주는 11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다.[11]

지도코드이름라오어
10-01폰홍군ເມືອງໂພນໂຮງ|므앙 폰홍lo
10-02투라콤군ເມືອງທຸລະຄົມ|므앙 투라콤lo
10-03케오우돔군ເມືອງແກ້ວອຸດົມ|므앙 깨우오돔lo
10-04카시군ເມືອງກາສີ|므앙 까시lo
10-05방비엥군ເມືອງວັງວຽງ|므앙 왕위앙lo
10-06훼앙군ເມືອງເຟືອງ|므앙 틍lo
10-07사나카암군ເມືອງຊະນະຄາມ|므앙 싸나캄lo
10-08매드군ເມືອງແມດ|므앙 왇lo
10-09비엥캄군ເມືອງວຽງຄໍາ|므앙 위앙캄lo
10-10힌흫프군ເມືອງຫີນເຫີບ|므앙 힌흡lo
10-11므은군ເມືອງໝື່ນ|므앙 믄lo


5. 인구

1943년 23,200명에서 1955년 45,000명 사이로 비엔티안주의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1943년 인종별 구성은 라오스인 41.5%, 베트남인(아나미트) 53%, 중국인 4%, 기타 1.5%였다.[2]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비엔티안주의 인구는 419,090명이며, 주도는 폰홍이다.

6. 경제

2000년 이후 비엔티안주의 관광 산업은 급격히 성장하여 매년 수천 명의 관광객이 비엔티안방비엥을 방문하고 있다.[12] 최근 몇 년 동안 비엔티안 교외 지역에 새로운 투자가 이루어졌는데, 파이롬 마을에는 타일 공장이, 동시엥디 마을에는 바이오 유기 비료 공장이 설립되었다. 케오우돔군의 하뜨드아 마을에도 타일 공장이 설립되었다.[12] 론리 플래닛은 방비엥 마을에 대한 관광의 영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방비엥의 성장은 그에 따른 희생을 치렀다. 필연적으로 마을의 모습이 변했고, 여행객들이 처음 이곳에 온 이유 - 아름다운 환경 속에서 작은 라오스 마을을 경험하는 것 - 는 여러 층의 게스트하우스로 대체되었다. 심지어 현지 시장조차도 마을 북쪽의 큰 콘크리트 건물로 이전했다." 투알라콤군의 "반보 마을"에서는 소금 채취가 인기 있는 부업이다. 이 마을은 비엔티안에서 60km 떨어져 있으며, 전통적인 방식으로 소금을 채취한다.[12]

관광 산업이 급성장했지만, 대부분의 농촌 주민들은 여전히 생계를 위해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 비엔티안 주와 비엔티안 시를 포함하는 비엔티안 평야는 라오스의 6대 주요 쌀 생산 평야 중 하나이다. 공예와 재봉업 또한 상당수의 사람들을 고용하고 있으며, 이 주의 대부분의 농촌 마을에는 바지, 셔츠, 모기장, 시트를 만드는 재봉사들이 있다. 마을에는 한약사와 목수들도 소수 존재한다. 투알라콤군의 반보 마을에는 소금 채취 공장이 있으며, 대부분의 주민들이 전통적인 채취 방식으로 일하고 있다.[12]

2008년 기준 광물 부문의 주요 운영 회사는 다음과 같다.

회사명
파디앙 산업 공사
푸빈밍 유한회사
라오스 시멘트 유한회사
완롱 시멘트 I
바라이트 광업 유한회사



2009년 기준으로 비엔티안의 126개 부처 사무실 각각에는 "서버 1대, PC 10대, 화상 회의실, 국가 전자 정부 인프라에 연결된 지역 네트워크"를 포함한 IT 시설이 갖춰져 있었다.

7. 관광 명소

비엔티안주에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다. 방비엥은 특히 동굴과 사원으로 유명하며, 생태관광카약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남응음 저수지는 보트 타기와 피크닉 장소로 인기가 높다.


  • 동굴: 방비엥 지역에는 파탕, 파토 녹캄, 방상, 탐창 등 수많은 동굴이 있다. 특히 방상 동굴은 '코끼리 법원'으로도 불리며, 라네쌍 왕국 이전 시대의 사원 유적과 불상이 남아있다.[12]
  • 사원: 방비엥에는 16~17세기에 건립된 왓 시 비엥 송(왓 탓), 왓 캉, 왓 시 섬 등 여러 불교 사원이 있다.
  • 생태관광: 어드벤처 라오는 남송강, 남응음강, 남릭강에서 카약 투어를 운영하여 관광객들이 여러 마을을 방문할 수 있도록 돕는다.[13]
  • 반 파코 마을: 비엔티안에서 5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마을은 40ha의 숲 보호구역 위에 에코 롯지가 있어 관광 명소로 꼽힌다. 2000년 전 정착지의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 시장: 무앙 나카이통의 반 일라이 시장에서는 바구니, 도자기 등 전통 공예품을 판매한다.[13]
  • 반 탈라드 마을: 비엔티안에서 약 80km 떨어진 이 마을에는 남응음 저수지를 따라 떠다니는 레스토랑과 스포츠 시설이 있다.[12]


7. 1. 자연

푸 카오 쿠아이 국립 생물다양성 보전 지역은 비엔티안에서 북동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있는 보호지역이다. 1993년 10월 29일에 설립되었으며, 면적은 2000km2이다. 이 지역은 해발 200m에서 1761m까지 다양한 고도의 산악 지형으로, 사암층, 사암 절벽, 강 협곡 등이 나타난다. 또한, 메콩 강으로 흘러드는 세 개의 큰 강과 그 지류가 있는 긴 산맥이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1936mm(고지대는 더 많음)이며, 계절풍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26.6°C이고, 평균 최고 기온은 31.6°C, 평균 최저 기온은 21.5°C이다. 숲은 상록수림, 쇼레아(Shorea) 혼합 활엽수림, 건조 디프테로카프(dipterocarp)림, 소나무림, 대나무, 화재극상 초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끼리, 호랑이, 곰, 흰뺨긴팔원숭이, 랑구르 등 다양한 동물과 파충류, 양서류, 조류가 서식한다.

반 나 보호구역은 야생동물 보호지역으로, 주변 지역에서 트레킹을 즐길 수 있다. 이 곳은 대나무, 울창한 숲, 야생 코끼리 서식지로 유명하다.

비엔티안 상류 메콩강 중요조류보호구역(IBA)은 면적이 18,230 헥타르이다. 비엔티안 상류 약 300km 구간의 메콩 강을 포함하며, 얽힌 하천, 관목 지대, 자갈톱, 열린 모래섬, 암석 노출지, 모래톱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서 주목할 만한 조류로는 큰장다리물떼새, 제르돈덤불찌르레기, 강물떼새, 작은칼새, 쇠꼬리제비 등이 있다.

프랑스령 라오스 비엔티엔 주, 특히 방비엥 지역에는 수많은 동굴이 있다. 그 중에서도 파탕, 파토 녹캄, 방상, 탐창 동굴이 유명하다.

푸 카오 쿠아이에서는 타트 사이(7단 폭포), 그 아래쪽의 파 사이(40m 높이), 타트 루엑과 같은 유명한 폭포들을 볼 수 있다.

타 파 바트의 왓 파 밧 폰손은 암석 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부처의 발자국, 와불, 그리고 1933년에 건립된 큰 장식 스투파가 있는 사원이다.

남응음 저수지는 남응음 보호구역에 있는 중요한 수자원 프로젝트로, 우기에는 1280ha의 수면을 자랑한다. 이 호수에서는 보트 타기, 피크닉과 같은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즐길 수 있다.

툴라콤 동물원에는 라오스의 이국적이고 희귀한 동물들이 있다.

7. 2. 문화/역사 유적

프랑스령 라오스 비엔티엔 주, 특히 방비엥 지역에는 파탕, 파토 녹캄, 방상, 탐창 등 수많은 동굴이 있다. 방상 동굴은 코끼리 법원(Elephant Court)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라네쌍 왕국 이전 시대의 고대 사원 유적이 남아 있고, 분홍색 사암으로 조각된 다섯 개의 조각상과 두 개의 큰 불상이 있다.[12] 방비엥에는 16세기와 17세기에 건립된 왓 시 비엥 송(왓 탓), 왓 캉, 왓 시 섬 등 여러 불교 사원이 있다.

생태관광은 주 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어드벤처 라오는 남송강, 남응음강, 남릭강에서 카약 운영을 통해 관광객들이 많은 마을을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13] 반 시빌라이 마을 근처에는 인공 호수가 있으며, 이곳은 보호되는 조류 서식지이다.[13] 무앙 나카이통의 반 일라이 시장은 바구니, 도자기 및 기타 전통 공예품을 판매하는 곳으로 유명하다.[13]

푸 카오 쿠아이에서는 타트 사이(7단 폭포), 그 아래쪽의 파 사이(40m 높이), 타트 루엑 등 유명한 폭포를 볼 수 있다.

타 파 바트의 왓 파 밧 폰손은 암석 지대에 있으며, 부처의 발자국, 와불, 그리고 큰 장식 스투파(1933년 건립)가 있는 사원이 있다.

비엔티안에서 55km 떨어진 울창한 숲 속에 있는 반 파코 마을에는 40ha의 숲 보호구역 위에 에코 롯지가 있으며, 이는 관광 명소이다. 이 마을의 집들은 대나무 지붕으로 지어졌으며, 고립된 위치에 있고 2000년 전의 정착지였다고 알려져 있으며, 유물 발굴을 통해 증명되었다. 이곳에는 왓과 폭포도 있다.

남응음 저수지는 남응음강에 있으며, 남응음 보호구역에 위치한 중요한 수자원 프로젝트로 우기에는 1280ha의 수면을 자랑한다.[9] 이 호수는 보트 타기와 피크닉과 같은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제공한다.[12] 비엔티엔에서 약 80km 떨어진 케오우돔현의 반 탈라드 마을에서는 떠다니는 레스토랑과 스포츠 활동이 인기 있다.[12]

주에 있는 많은 동굴 중 방상 동굴(코끼리 법원이라고도 함)에는 라네쌍 왕국의 고대 사원 유적이 있다. 13번 국도(북쪽)를 따라 km 48 지점에 위치하며, 분홍색 사암으로 만들어진 5개의 큰 조각상과 두 개의 거대한 불상이 있다.[12]

툴라콤 동물원에는 라오스의 이국적이고 희귀한 동물들이 있다.[12]

라오스의 계림처럼 여행객들에게 유명한 관광지인 방비엥과 남응음 인공호수도 같은 현에 속한다.

7. 3. 기타

프랑스령 라오스 비엔티안 주, 특히 방비엥 지역에는 파탕, 파토 녹캄, 방상, 탐창 등 수많은 동굴이 있다. 방상 동굴은 코끼리 법원(Elephant Court)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라네쌍 왕국 이전 시대의 고대 사원 유적이 남아 있고, 분홍색 사암으로 조각된 다섯 개의 조각상과 두 개의 큰 불상이 있다.[12] 방비엥에는 16세기와 17세기에 건립된 왓 시 비엥 송(왓 탓), 왓 캉, 왓 시 섬 등 여러 불교 사원이 있다. 생태관광은 주 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어드벤처 라오는 남송강, 남응음강, 남릭강에서 카약 운영을 통해 관광객들이 많은 마을을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13] 반 시빌라이 마을 근처에는 인공 호수가 있으며, 이곳은 보호되는 조류 서식지이다.[13] 무앙 나카이통의 반 일라이 시장은 바구니, 도자기 및 기타 전통 공예품을 판매하는 곳으로 유명하다.[13]

푸 카오 쿠아이에서는 타트 사이(7단 폭포), 그 아래쪽의 파 사이(40m 높이), 타트 루엑 등 유명한 폭포를 볼 수 있다.

타 파 바트의 왓 파 밧 폰손은 암석 지대에 있으며, 부처의 발자국, 와불, 그리고 큰 장식 스투파(1933년 건립)가 있는 사원이 있다.

비엔티엔에서 55km 떨어진 울창한 숲 속에 있는 반 파코 마을에는 40ha의 숲 보호구역 위에 에코 롯지가 있으며, 이는 관광 명소이다. 이 마을의 집들은 대나무 지붕으로 지어졌으며, 고립된 위치에 있고 2000년 전의 정착지였다고 알려져 있으며, 유물 발굴을 통해 증명되었다. 이곳에는 왓과 폭포도 있다.

남응음 저수지는 남응음강에 있으며, 남응음 보호구역에 위치한 중요한 수자원 프로젝트로 우기에는 1280ha의 수면을 자랑한다.[9] 이 호수는 보트 타기와 피크닉과 같은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제공한다.[12] 비엔티엔에서 약 80km 떨어진 케오우돔현의 반 탈라드 마을에서는 떠다니는 레스토랑과 스포츠 활동이 인기 있다.[12]

주에 있는 많은 동굴 중 방상 동굴(코끼리 법원이라고도 함)에는 라네쌍 왕국의 고대 사원 유적이 있다. 13번 국도(북쪽)를 따라 km 48 지점에 위치하며, 분홍색 사암으로 만들어진 5개의 큰 조각상과 두 개의 거대한 불상이 있다.[12]

툴라콤 동물원에는 라오스의 이국적이고 희귀한 동물들이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https://globaldatala[...] 2018-09-13
[2] 웹사이트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https://lao.unfpa.or[...] Lao Statistics Bureau 2020-11-07
[3] 웹사이트 History of Vientiane Province http://www.lonelypla[...] 2012-11-30
[4] 서적 Summary of World Broadcasts: Far East https://books.google[...] Monitoring Service of 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11-30
[5] 뉴스 China issues security alert in Laos after national shot dead https://www.reuters.[...] 2017-06-18
[6] 웹사이트 Home https://web.archive.[...] 2013-01-07
[7] 지도 Maps Google Maps
[8] 웹사이트 Phou Khao Khouay https://web.archive.[...] 2012-12-10
[9] 웹사이트 Phou Khao Khouay NBCA https://web.archive.[...] 2012-12-10
[10] 웹사이트 Important Bird Areas factsheet: Mekong Channel upstream of Vientiane http://www.birdlife.[...] 2012-12-09
[11] 웹사이트 Destination: Vientiane Province https://web.archive.[...] Official website of Laos Tourism Organization 2012-12-10
[12] 웹사이트 Vientiane Province https://web.archive.[...] Lao Tourism Organisation 2012-11-30
[13] 웹사이트 Vientiane Province https://web.archive.[...] GMS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Project in Lao PDR 2012-12-01
[14] 기타
[15] 기타
[16] 기타
[1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