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프로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프로스트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무지개 다리로, 신들의 세계인 아스가르드와 인간의 세계인 미드가르드를 연결한다. 어원은 "희미하게 빛나는 길" 또는 "하늘로 가는 흔들리는 길"을 의미하며, 문헌상으로는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등장한다. 비프로스트는 신들이 매일 우르다르브룬에 있는 법정으로 가기 위해 건너는 다리이며, 라그나로크 때 멸망할 것으로 묘사된다. 현대에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J. R. R. 톨킨의 소설, 마블 코믹스 등 다양한 작품에서 차용되었다.

2. 어원

앤디 오차드는 "비프로스트"란 "희미하게 빛나는 길"이라는 뜻이라고 해석한다. 그는 비프로스트의 다른 이름인 "빌뢰스트"의 "빌"(''bil'')은 "순간"을 의미하며, 이는 무지개의 일시적인 속성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또한 "비프로스트"의 앞부분인 "비파"(''bifa'')는 "희미하게 빛나는" 또는 "흔들리는"을 뜻하며, 다리가 빛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고 설명한다.[31] 루돌프 지메크는 "비프로스트"가 "하늘로 가는 흔들리는 길"이라고 해석한다.[32]

3. 문헌상의 출전

비프로스트는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등장한다.

다른 에시르는 비프로스트 위를 걸어가는데 토르는 혼자 강을 첨벙이며 건너간다. 로렌츠 프뢸리히의 1895년 그림.


고 에다》에서는 "빌뢰스트"라고 불리며, 〈그림니르가 말하기를〉과 〈파프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언급된다.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그림니르(변장한 오딘)는 아그나르에게 빌뢰스트가 다리 중 제일이라고 말하며, 토르는 코름트와 오름트와 케를라우가라는 강 네 개를 걸어서 건넌다고 한다.

신 에다》에서는 "비프로스트"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3. 1. 고 에다

고 에다》에서 이 무지개다리가 언급되는 문헌은 〈그림니르가 말하기를〉과 〈파프니르가 말하기를〉 두 개이며, 여기서는 "빌뢰스트"라고 한다.[33]그림니르가 말하기를〉 제44절에서 그림니르(변장한 오딘)이 어린 아그나르에게 우주론적 지식을 이야기해주는데, 빌뢰스트가 다리 중 제일이라고 말한다.[33]

그림니르가 말하기를〉 제29절에서는 그림니르는 아스브루(비프로스트)가 "불꽃으로 불타오른다"고 하며, 토르는 이 다리를 쓰지 않고 코름트와 오름트와 케를라우가라는 강 네 개를 첨벙거리며 헤쳐 걸어서 건넌다고 한다.



파프니르가 말하기를〉에서는 죽어가는 용 파프니르가 영웅 시구르드에게 라그나로크의 때가 오면 신들은 빌뢰스트 다리를 건너 오스콥니르로 향할 것인데, 다리를 건너는 도중에 다리가 무너져 버려 신들의 말들이 강속에서 허우적댈 것이라고 말한다.[36]

3. 2. 신 에다

신 에다》에서는 "비프로스트"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신들이 하늘과 땅 사이에 건설한 다리로 묘사되며, 세 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고 매우 견고하다고 설명한다.[9] 길피는 신들이 부서질 수 있는 다리를 건설한 이유를 묻고, 하이는 무스펠의 아들들이 공격할 때 세상에 안전한 것은 없다고 답한다.[9] 비프로스트는 아스브루(Asbrú)라고도 불리며, 신들이 매일 이 다리를 건너 우르다르브룬에 있는 법정으로 간다.[10] 헤임달은 비프로스트 옆 히민비요르그에 살며, 다리를 지킨다.[12] 〈시가(詩歌)의 말〉에서는 비프로스트가 "힘의 길"로 언급된다.[15]

4. 신화 해석

헨리 애덤스 벨로우즈(Henry Adams Bellows (businessman))는 『산문 에다』 번역에서 토르와 다리의 언급이 있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의 구절에 대해 "토르는 다리가 불타는 종말의 날에 걸어서 가야 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토르가 하늘을 떠날 때 (즉, 뇌우가 끝났을 때) 무지개 다리가 햇볕에 뜨거워진다는 것이다."라고 해석했다.[7]

존 린도(John Lindow)는 비프로스트가 "지상과 천국, 또는 지상과 신들의 세계 사이의 다리"라는 점에서 "지상과 지하 세계, 또는 지상과 죽은 자들의 세계 사이의 다리"인 걀라르브뤼(Gjallarbrú)와 유사하다고 지적했다.[16] 여러 학자들은 비프로스트가 은하수(Milky Way)를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했다.[17]

그리스 신화에도 무지개 다리가 등장한다. 무지개여신 이리스는 신들의 심부름꾼으로 무지개 다리를 건너 천지를 왕래한다. 그러나 그녀는 헤임달과 같은 유력한 신은 아니다. 마츠무라 타케오는 무지개 신의 성별, 관련 신의 중요도 차이에서 그리스인과 북유럽인의 무지개에 대한 생각 차이가 나타난다고 지적한다.[27]

5. 현대의 차용

리하르트 바그너의 1869년 오페라 ''라인의 황금''의 마지막 장면에서 신 프로는 무지개 다리를 소환하여 신들이 발할라로 들어가기 위해 건너간다.[18]

J. R. R. 톨킨전설에서 초기 버전인 ''아칼라베스''의 "누메노르의 멸망"에 등장하는 "수평 다리"는 비프로스트를 연상시킨다. 이 다리는 지구에서 접선으로 출발하며, 세계가 재창조된 후 불멸의 엘프는 잃어버린 지상 낙원인 발리노르로 옛 직선 도로를 여행할 수 있지만 필멸의 인간은 갈 수 없다.[18]

비프로스트는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토르와 관련된 만화책과 이후 만화책의 각색에 등장한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 ''토르''에서 제인 포스터는 비프로스트를 아인슈타인-로젠 다리로 묘사하며, 이는 짧은 시간 안에 우주를 횡단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18]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Bifrost http://www.collinsdi[...] Collins Dictionary 2014-10-16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웹사이트 Under the Microscope: Thor https://web.archiv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1-05-24
[1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などにみられる表記。
[20] 서적 『北欧の神話伝説 (I)』などにみられる表記。
[21] 서적 菅原邦城『北欧神話』にみられる表記で、これが古ノルド語の原音にもっとも近い。
[2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7] 서적 『北欧の神話伝説(I)』
[2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