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분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 분지는 오스트리아, 체코, 슬로바키아에 걸쳐 있는 가늘고 긴 물체 모양의 지형이다. 북쪽으로는 다뉴브강 너머 마르히펠트 고원까지, 남동쪽으로는 라이타 산맥이 헝가리 평원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북부 석회암 알프스 산맥과 빈 숲 산맥에 접한다. 지형적으로는 도나우강 하류로부터의 공격을 막기 쉬운 형태를 띠며, 12세기 말부터 헝가리로부터의 방어벽 역할을 했다. 빈 분지는 신생대에 퇴적된 퇴적암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빈 분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위치 | 중앙 유럽 |
면적 | 약 50,000 평방 킬로미터 |
길이 | 북동-남서 방향: 약 350 킬로미터 폭: 최대 200 킬로미터 |
깊이 | 최대 5,500 미터 |
형성과정 | 알프스 산맥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한 함몰 지형 |
주요 도시 | 빈 브라티슬라바 트르나바 니트라 기에르 트르나바 주 남모라비아 주 |
지질학적 정보 | |
퇴적층 깊이 | 최대 6,000 미터 |
주요 퇴적 시기 | 신생대 |
주요 구성 | 사암, 이암, 역암 |
주요 단층 | 빈 분지 단층 (Vienna Basin Transform Fault) 무어 단층 (Mur-Mürz Fault System) |
유역 국가 | |
국가 | 오스트리아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
자원 | |
주요 자원 | 석유 천연 가스 지열 |
명칭 | |
독일어 | Wiener Becken |
체코어 | Vídeňská pánev |
슬로바키아어 | Viedenská kotlina |
2. 지리
빈 분지는 비교적 평탄한 지형으로, 길이는 약 200km, 폭은 약 50km에 달하는 방추형 모양을 하고 있다. 북쪽으로는 다뉴브강 너머 마르히펠트 고원까지 이어지며, 남동쪽으로는 라이타 산맥이 헝가리 평원과의 경계를 이룬다. 서쪽으로는 북부 석회암 알프스의 일부인 구텐슈타인 알프스와 빈 숲 산맥과 접한다. 다뉴브강은 레오폴드스베르크산 근처의 빈 게이트 협곡을 통해 분지로 흘러 들어와, 하인부르크 안 데어 도나우 동쪽 작은 카르파티아 산맥의 데빈 게이트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러한 지형적 특징 때문에 빈 분지는 역사적으로 헝가리 등 외부 세력의 침입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2세기 말에는 분지의 동남쪽과 동쪽 가장자리에 비너 노이슈타트와 하인부르크 요새가 건설되어 방어선을 구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48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쟁 중 마차시 1세가 이끄는 헝가리 군대가 빈 분지로 진입하여 빈을 포위하기도 했다. 이후 유럽의 오스만 전쟁 시기에는 오스만 제국 군대가 침입하여 1529년과 1683년에 두 차례 빈을 포위 공격했다.
분지의 남쪽과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지열 구배가 나타나며, 광천수가 솟아나는 샘이 많다. 이 때문에 바덴, 바트 푀슬라우, 바트 피샤우-브룬 등 여러 온천 도시가 발달했다.
2. 1. 구성 지역
빈 분지 면적의 80% 이상이 오스트리아의 니더외스터라이히 주와 빈에 속하며, 나머지는 체코와 슬로바키아에 걸쳐 있다. 모라바 강 (Marchde)과 타야 강을 따라 북쪽 부분이 체코와 슬로바키아 영토이다.빈 분지를 구성하는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다.
국가 | 지역 구분 | 원어 명칭 | 비고 |
---|---|---|---|
오스트리아 | 빈 분지 자체 | 니더외스터라이히 주, 빈 | |
마르히펠트 | Moravské polecs | 니더외스터라이히 주 | |
체코 | 낮은 모라바 계곡 | Dolnomoravský úvalcs | 빈 분지의 체코 부분 |
슬로바키아 | 보르 저지대 | Borská nížinask | 빈 분지의 슬로바키아 부분, 자호리에 지역의 일부 |
흐보이니체 언덕 | Chvojnická pahorkatinask | ||
자호리에 저지대 | Záhorská nížinask | 보르 저지대와 흐보이니체 언덕을 합쳐 부르는 명칭 |
빈 분지의 지층은 신생대에 퇴적된 일련의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분지는 동알프스, 카르파티아 산맥, 판노니아 분지 시스템이 교차하는 알프스 습곡 및 추력 벨트 위에 위치하며, 주변 지질 시스템의 진화 과정에 영향을 받았다.[2] 이곳은 고전적인 고생물학 및 층서학 연구의 대상이었으며, 100년 이상 전 탄화수소 탐사가 시작된 이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3][4]
3. 지질
3. 1. 구조적 단계
빈 분지의 지층은 신생대에 퇴적된 일련의 퇴적암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분지는 동알프스, 카르파티아 산맥, 판노니아 분지 시스템이 만나는 지점의 알프스 습곡 및 추력 벨트 위에 자리하며, 각 지질 시스템의 진화 과정에서 영향을 받았다.[2] 빈 분지는 네 개의 뚜렷한 구조적 단계를 거치며 형성되었다.[3][4] 첫 번째 단계는 초기 미오세 시기의 피기백 분지 형성이다. 두 번째 단계는 중기에서 후기 미오세 동안의 풀어파트 분지로의 변화이다. 세 번째 단계는 후기 미오세부터 플라이오세에 걸쳐 압축력을 받아 분지가 반전되는 과정이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제4기 동안 현재와 같은 분지 모습이 형성된 것이다.
빈 분지의 지층은 주로 신제3기의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수면에서 분리되고[6] 지진성 지각 변동을 거치면서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이 분지가 위치한 빈 분지 단층 시스템은 지진 활동이 활발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기록된 주요 지진으로는 1590년에 발생한 노일렌바흐 지진과 4세기 중반 고대 도시 카르눈툼을 강타한 강진이 있다. 빈 분지는 고전적인 고생물학 및 층서학 연구의 대상이었으며, 100년 이상 전 탄화수소 탐사가 시작된 이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3. 2. 지진 활동
빈 분지가 위치한 빈 분지 단층 시스템은 지진 활동이 활발하게 유지되고 있다.[2] 빈 분지의 지층은 주로 신제3기의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6], 이러한 지질 구조는 지진 활동과 관련이 깊다. 실제로 이 지역에서는 역사적으로 큰 지진이 발생했는데, 대표적으로 4세기 중반 카르눈툼을 강타한 강진과 1590년의 노일렌바흐 지진이 있다.[3][4]
4. 역사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Italy, Switzerland and Austria. A Geographical Study.
Harrap, London
1974
[2]
간행물
Evolution and structure of the Western Carpathians: an overview.
Košice
1997
[3]
논문
Polyphase tectonic subsidence evolution of the Vienna Basin inferred from quantitative subsidence analysis of the northern and central parts
https://doi.org/10.1[...]
2017-03-01
[4]
논문
"3D visualization of the sedimentary fill and subsidence evolution in the northern and central Vienna Basin (Miocene)"
https://www.zobodat.[...]
2016
[5]
서적
Italy, Switzerland and Austria. A Geographical Study.
Harrap, London
1974
[6]
간행물
Evolution and structure of the Western Carpathians: an overview.
Košice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