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빈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토는 1658년부터 1662년까지 사용된 베트남 막 왕조의 연호이다. 1658년 2월에 개원하여 1662년 9월에 반카인으로 개원되었다. 동시대에 중국에서는 청나라의 순치와 강희, 남명의 영력, 동녕국의 영력, 소유당의 천순이 사용되었고, 일본에서는 메이레키, 만지, 간분 연호가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 레 왕조의 연호 - 까인흥
    까인흥은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연호로 레 현종과 레 민제가 사용했으며, 찐씨 정권의 통치하에 떠이선 왕조와 청나라의 연호가 함께 사용되다가 응우옌 왕조 개창 후 자롱으로 바뀌었다.
  • 후 레 왕조의 연호 - 즈엉호아
    즈엉호아는 1635년부터 1643년까지 사용된 베트남 연호이며, 막 왕조와 명나라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연호를 사용했다.
빈토
개요
연호 명칭영수(永壽)
연호 종류연호
시대후 레 왕조
연도1458년 ~ 1460년
이전 연호천흥(天興)
다음 연호광순(光順)

2. 연대 대조표

빈토서기
(西紀)
간지
(干支)
막 왕조 연호
(까오방 정권)
응우옌 주 기년남명 연호청나라 연호
원년1658년무술(戊戌)투언득(順德) 21년현주(賢主) 10년영력(永曆) 12년순치(順治) 15년
2년1659년기해(己亥)투언득 22년현주 11년영력 13년순치 16년
3년1660년경자(庚子)투언득 23년현주 12년영력 14년순치 17년
4년1661년신축(辛丑)투언득 24년
빈쓰엉(永昌) 원년
현주 13년영력 15년순치 18년
5년1662년임인(壬寅)빈쓰엉 2년현주 14년영력 16년강희(康熙) 원년


3. 개원

레 왕조틴득(盛德) 6년(1658년) 2월에 연호를 '''빈토'''(永壽)로 개원하였다가,[1][2] 빈토 5년(1662년) 9월반카인(萬慶)으로 개원하였다.[1][2]

3. 1. 빈토(永壽)로 개원

틴득(盛德) 6년(1658년) 2월에 연호를 '''빈토'''(永壽)로 개원하였다.[1][2]

3. 2. 반카인(萬慶)으로 개원

빈토 5년(1662년) 9월에 연호를 반카인(萬慶)으로 개원하였다.[1][2]

4. 동시대 연호

빈토[1]원년2년3년4년5년
서력1658년1659년1660년1661년1662년
간지무술기해경자신축임인
순치 15년순치 16년순치 17년순치 18년강희 원년
남명영력 12년영력 13년영력 14년영력 15년정무 16년
동녕국영력 15년영력 16년
기타 (소유당 천순)천순 원년
(투언득)투언득 21년투언득 22년투언득 23년투언득 24년, 빈쓰엉 원년빈쓰엉 2년
일본만지 원년만지 2년만지 3년간분 원년간분 2년


4. 1. [[베트남의 연호|베트남]]

막 왕조


4. 2. [[중국의 연호 목록|중국]]



남명

동녕국

기타


4. 3. [[일본의 연호|일본]]


연호원년2년3년4년5년
서력1658년1659년1660년1661년1662년
간지무술기해경자신축임인


참조

[1] 서적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본기속편(本紀續編) 권3 - 여황조기(黎皇朝紀) 9 https://zh.wikisourc[...]
[2] 서적 《대남식록전편》(大南寔錄前編) 〈태종실록〉(太宗實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