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라두코르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라두코르부는 포르투갈 아조레스 제도에 위치한 코르부 섬의 유일한 도시이다. 13세기 후반부터 섬의 존재가 언급되었으나, 1452년 디우구 드 테이베에 의해 발견되었고, 1453년 포르투갈의 아폰수 5세에 의해 정식으로 인정되었다. 빌라두코르부는 어업, 농업, 가축 사육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며, 매년 8월 15일 기적의 성모 마리아 축제를 개최한다. 주요 건축물로는 노사 세뇨라 도스 밀라그레스 성당, 풍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소르스 제도의 도시 - 마달레나 (아소르스 제도)
    마달레나는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 피쿠섬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와인 산업 번성으로 성장했으며 경제 다각화를 거쳐 현재는 에코투어리즘이 발전했고 파이알섬과의 주요 항구 역할을 하는 6개의 교구로 나뉜다.
  • 아소르스 제도의 도시 - 오르타 (아소르스 제도)
    오르타는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 파이알 섬에 있는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대서양 횡단 항로의 중요한 기항지이며 유럽과 아메리카를 연결하는 해상 무역 중심지이자 요트 관광의 중심지이다.
  • 포르투갈의 도시 - 마달레나 (아소르스 제도)
    마달레나는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 피쿠섬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와인 산업 번성으로 성장했으며 경제 다각화를 거쳐 현재는 에코투어리즘이 발전했고 파이알섬과의 주요 항구 역할을 하는 6개의 교구로 나뉜다.
  • 포르투갈의 도시 - 아르가닐
    아르가닐은 포르투갈 코임브라 현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 단체로, 선사 시대부터 근현대까지 다양한 역사를 거쳐 14개의 교구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농업, 임업, 경공업, 소매 및 서비스업이 경제의 중심을 이룬다.
빌라두코르부
지도
포르탕 전망대에서 바라본 빌라두코르부, [[코르부 공항|비행장]]과 정착지 포함
포르탕 전망대에서 바라본 빌라두코르부, 비행장과 정착지 포함
아조레스 군도에서 코르부 시의 위치
아조레스 군도에서 코르부 시의 위치
기본 정보
유형지방 자치체
이름빌라두코르부
위치코르부
지역아조레스
좌표39°40′22″N 31°6′52″W
면적17.11 km²
고도36 m
정치
시장마누엘 다스 페드라스 리타
역사
설립정착: 1475년-1503년경
교구: 1674년경
마을/지방 자치체: 1832년 6월 20일
인구
인구 (2011년)430명
기타 정보
우편 번호9980-024
지역 번호(+351) 292 XX XX XX
수호 성인노사 세뇨라 도스 밀라그레스
휴일6월 20일
웹사이트빌라두코르부 시청 웹사이트
언어 정보
포르투갈어Vila do Corvo

2. 역사

아소르스 제도의 일부인 코르부 섬의 역사는 14세기 지도상의 기록에서 암시되지만, 공식적인 발견은 15세기 포르투갈 항해사 디우구 드 테이베에 의해 이루어졌다.[5][6] 이후 여러 차례의 정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갔으나, 16세기 플로레스에서 온 이주민들이 정착하면서 자급자족적인 공동체가 형성되었다.[5] 이 시기 섬은 해적과 사략선의 잦은 침입에 시달렸으며, 특히 1632년 바르바리 해적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일화는 섬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남아있다.[5]

18세기부터는 미국 포경선과의 교류가 시작되어 북미 지역으로의 이민이 활발해졌으며, 이는 섬의 사회경제적 구조에 큰 영향을 미쳤다.[6] 19세기 자유주의 전쟁 이후에는 행정적으로 자치권을 획득하고 경제적 부담이 완화되는 등 변화를 겪었다.[6] 20세기에도 이민은 계속되었으며, 점차 외부 세계와의 연결이 강화되고 현대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2. 1. 초기 발견과 정착

플로레스 섬에서 바라본 코르부 섬


칼사다스 주변, 섬 동해안의 완만한 경사


19세기에 지어진 코르부의 전통 풍차


20세기 초 건설된


카르타고 동전 발견이나 코르부 조각상 존재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역사학계에서는 아소르스 제도의 역사가 13세기 후반 비공식적인 탐험에서 시작되었다고 본다. 예를 들어 1351년의 제노바 메디치 아틀라스에는 코르부 섬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7개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 중 Insula Corvi Marini|인술라 코르비 마리니la('바다 까마귀의 섬')가 언급된다. 1375년 스페인의 마파 카탈랑에는 코르부와 플로레스 두 섬이 명확히 나타난다.

포르투갈의 공식 역사 기록에 따르면, 서부 군도는 항해사 디우구 드 테이베와 그의 아들 주앙 드 테이베가 1452년 뉴펀들랜드 뱅크에서의 두 번째 탐험 항해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발견되었다.[5][6] 포르투갈 궁정은 이 새로운 섬들을 Ilhas das Flores|일라스 다스 플로레스pt('꽃의 섬')라 부르기 시작했고, 코르부를 Ilha de Santa Iria|일하 데 산타 이리아pt('성 이레네의 섬')로 명명했다. 하지만 다른 해상 지도에서는 이 섬을 Ilheu das Flores|일류 다스 플로레스pt('꽃의 작은 섬'), Ilha da Estátua|일하 다 에스타투아pt('조각상의 섬'), Ilha do Farol|일하 도 파롤pt('등대의 섬'), 또는 Ilha de São Tomé|일하 드 상 토마스pt('성 토마스의 섬') 등으로 계속 표기했다.[7] 섬은 발견자인 디우구 테이베에게 초대 선장-도나타리오로서 통치권이 주어졌다.[6]

1453년 1월 20일, 아폰수 5세 국왕은 이 발견을 공식 인정하고 그의 삼촌인 브라간사 공작이자 바르셀루스 백작인 브라간사의 아폰수 1세에게 섬을 하사했다.[5][6] 그러나 첫 소유주는 정착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의무적으로 가축만 보내 섬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데 그쳤다.

1475년에서 1503년 사이, 세 번째 선장-도나타리오인 페르나오 텔레스는 플랑드르 출신 사업가 빌렘 판 데르 하겐과 계약하여 코르부를 식민지화하려는 첫 시도를 했으나, 몇 년 만에 정착은 포기되었다.[5][6] 1507년 발렌틴 페르난데스는 코르부와 플로레스 섬을 무인도로 기록했다.[5] 디우구 다스 차가스는 1508년에서 1510년 사이 테르세이라 출신 안타옹 바즈와 로포 바즈 드 아제베두의 계약 하에 30명의 초기 정착민이 있었다고 언급했지만, 이들도 거의 성공하지 못하고 1515년 안토니오 실베이라 드 마차도를 남겨둔 채 테르세이라로 돌아갔다. 정착은 지속되지 못했다.[5][8] 이러한 연이은 실패 후, 1548년 11월 12일, 곤살루 드 소자(코르부와 플로레스의 두 번째 선장-도나타리오)는 농업과 목축을 위해 카보베르데 군도의 산투안탕에서 노예들을 플로레스와 코르부로 보낼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5]

1570년에는 훗날 노사 세뇨라 도스 밀라그레스 교회가 될 건물이 세워졌다.[6]

1580년경, 플로레스에서 온 식민지 개척자들이 코르부에 도착하여 작고 고립된 자급자족 정착촌을 형성했다. 이들 코르부 주민(코르비노)들은 생계를 위해 자급 농업, 양과 염소 방목, 그리고 어업에 종사했다. 교역은 주로 해협 건너 플로레스와 이루어졌지만, 기상 조건 때문에 다른 섬들과의 해상 연결은 3월에서 9월 사이로 제한되었다. 가스파르 프루투오소가 기록했듯이, 16세기 말 인구는 "20 가구의 이웃, 임차인, 주인의 흑인... 특정 노예, 노예와 결혼한 물라토..."로 구성되었다.[5]

플로레스와 함께 코르부는 1593년 마르티뉴 드 마스카레냐스의 소유가 되었다. 그러나 경제 상황은 악화되었다. 영주에게 내야 하는 연간 공물 부담은 커졌고(밀 40 모이오스[9]와 양모 직물 값으로 80,000 헤알), 인구는 증가했지만 경작지를 늘리기는 어려웠다. 또한, 이베리아 연합 시기에는 잉글랜드 사략선의 잦은 침입으로 고통받았다.[5]

16세기 말 다른 아소르스 공동체처럼 해적과 사략선의 활동이 지역 역사의 특징이 되었는데, 일부 주민들은 이들과 협력하기도 했다. 보호와 대가를 받고 식수, 식량, 노동력을 제공하고, 병자 치료나 선박 수리를 허용했다. 그러나 1587년 코르부는 라제스 다스 플로레스를 공격했던 잉글랜드 사략선에게 약탈당했다. 이후 1632년에는 바르바리 해적 (오스만 제국 소속)이 해적에게 접근하기 쉬운 작은 만인 Porto da Casa|포르투 다 카사pt를 통해 두 차례 상륙을 시도했다. 한 기록에 따르면, 남자들이 양떼를 돌보러 언덕에 가고 여자들만 남아 있을 때 해적들이 정착지 근처에 도착했다. 해적들이 총격을 가하자 주민들은 절벽 위에서 돌을 던져 맞섰다. 전투 중 지역 사제는 작은 Nossa Senhora do Rosário|노사 세뇨라 두 호자리우pt('묵주 기도의 성모') 성상을 들고 나와 Canada da Rocha|카나다 다 호샤pt에 놓았다. 이 성상은 오랫동안 Porto da Casa|포르투 다 카사pt 지역에 있었으나 이후 절벽 위 작은 예배당 제단으로 옮겨졌다. 전투는 치열했지만, 200명의 코르부 주민들은 사상자 없이 해적들을 물리치고 많은 무기를 빼앗고 포로를 잡았다. 이 승리는 코르부의 수호성인이자 해적의 총알을 신비하게 막아낸 성상 덕분이라고 전해진다. 해적들은 물러난 뒤 다시는 섬으로 돌아오지 않았고, 성상은 이후 Nossa Senhora dos Milagres|노사 세뇨라 두스 밀라그르스pt('기적의 성모') 성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플로레스의 이나시우 코엘류(디우구 다스 차가스의 형제)는 마르티뉴 드 마스카레냐스(두 번째 선장-도나타리오)를 설득하여 "성모 마리아의 이름으로" 교구를 돕도록 했다. 오늘날 이 성상은 교구 교회에 모셔져 있다.

코르부 교구는 1674년에 설립되었고, 첫 주임 신부는 파이알 출신 바르톨로메우 트리스탕이었다. 이전까지는 앙그라의 주교가 파견한 산타크루스 다스 플로레스의 사제가 매년 방문하여 고립된 공동체를 돌보았다.

18세기에는 미국 포경선들이 선원, 특히 작살잡이를 모집하고 보급품을 얻기 위해 플로레스에 도착했다. 이 경험을 통해 코르부 주민들은 미국 포경선과 계약을 맺기 시작했고, 이는 20세기까지 이어질 북미 뉴잉글랜드 지역과의 긴밀한 관계로 발전했다(때로는 리스본과의 관계보다 더 직접적이었다). 결과적으로 비밀 이민은 일상적인 일이 되었으며, 이는 의무 군 복무를 피하고 섬의 공물 수입 감소를 우려했던 포르투갈 당국에게 골칫거리였다. 코르부 정착민들은 선장-도나타리오에게 십일조를 바쳐야 했고, 1759년 이후(아베이루 8대 공작이자 산타 크루스 백작 사망 후)에는 왕실에 직접 납부해야 했다.[6] 자유주의 전쟁 동안, 코르부 대표단은 섭정 페드루 4세에게 주민들의 어려운 사정을 알리고 공물 부담을 완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대표단장 마누엘 토마스 데 아벨라르는 앙그라로 가서 자유주의 지도부에 청원했다. 모지뉴 다 실베이라는 섬의 지속적인 빈곤을 고려하여 십일조(밀)와 세금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1832년 5월 14일, 페드루 4세폰타델가다에서 법령을 발표하여 왕실 도나타리오(당시 페드루 호세 카우퍼스)에게 지불하던 십일조를 절반(밀 20 모이오스[9])으로 줄이고, 연간 80,000 헤알 납부 의무도 폐지했다. 왕실은 이후 도나타리오에게 보상했다. 공물은 1835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1832년 6월 20일, 섭정 페드루 4세는 코르부의 정착지를 마을(Vila)과 자치구(Concelho) 지위로 격상시켰다.[6] 이전까지 코르부는 해협 건너 이웃인 산타크루스 다스 플로레스의 관할 하에 있었다. 1853년 이후에는 포랄(왕실 헌장)을 통해 이중 관할권을 부여받았다. 자유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소작농들은 가축을 기르고 자신의 땅을 경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선박 지원을 기반으로 한 자급자족 경제가 시작되었다.[6]

1886년 오르타 지구의 시민 총독 마누엘 프란시스코 데 메데이로스가 섬을 방문하여 주민들의 요구 사항을 물었다. 그는 포르투갈 국기를 원한다는 소박한 요청에 놀랐다고 한다. 이 국기는 알베르 1세가 해양학 및 사진 탐사를 위해 섬을 방문했을 때 사용되기 시작했다. 또한 1924년에는 포르투갈 작가 라울 브란당이 방문하여 그의 저서 Ilhas Desconhecidas|일랴스 데스쿠녜시다스pt를 통해 지역 신화와 목가적인 공동체 이미지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19세기 초부터 20세기까지 이민은 끊이지 않았고(1925년~1955년 제외), 더 많은 코르부 주민들이 경제적 안정을 찾아 섬을 떠났으며, 이러한 추세는 198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1938년에는 섬 최초의 상주 의사인 조앙 로드리게스 페레이라 다 실바가 부임하여 1945년까지 머물렀으며, 현재 유일한 의료 건물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97년 4월 10일, 코르부 마을의 중심부(주로 오래된 1~2층 주택과 헛간으로 구성)는 IGESPAR의 지원을 받아 아소르스 지방 정부에 의해 Conjunto de Interesse Público|콘준투 드 인테레스 푸블리쿠pt('공공 관심 건축 그룹')로 지정되었다.[6]

2. 2. 해적의 침입과 저항

16세기 말, 다른 아조레스 공동체들과 마찬가지로 코르부 역시 해적 행위와 사략선 활동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지역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일부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약탈자들과 협력하거나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도 했다. 보호와 대가를 받는 조건으로, 섬 주민들은 해적들에게 신선한 물, 식량, 인력을 제공하고, 병든 선원을 치료하거나 선박 수리를 돕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가 항상 평화로운 것만은 아니어서, 1587년에는 라제스 다스 플로레스를 공격했던 잉글랜드 사략선에 의해 코르부가 약탈당하는 사건도 발생했다.[5]

이후 1632년에는 바르바리 해적 (오스만 제국 소속)이 해적들이 접근하기 쉬운 작은 만인 '포르투 다 카사'를 통해 두 차례 상륙을 시도했다. 한 기록에 따르면, 당시 섬의 남자들이 양떼를 돌보기 위해 언덕에 올라가 있었고 여자들만 마을에 남아 있을 때 해적들이 정착지 근처까지 접근했다. 해적들이 마을을 향해 총격을 가하자, 주민들은 절벽 위에서 돌을 던지며 격렬하게 저항했다. 전투 중에 지역 사제는 작은 '노사 세뇨라 도 로사리오'('우리 성모 마리아') 성상을 들고 나와 '카나다 다 로차'에 놓았다고 전해진다. 이 성상은 오랫동안 '포르투 다 카사' 지역에 있었으나 이후 절벽 위 작은 예배당 제단으로 옮겨졌다. 전투는 치열했지만, 약 200명의 코르부 주민들은 단 한 명의 희생자도 없이 많은 무기를 빼앗고 무어인 포로를 잡으며 해적들을 물리치는 데 성공했다. 이 놀라운 승리는 코르부의 수호 성인이자 해적들의 총탄을 신비롭게 막아주었다고 믿어지는 성모상 덕분이라고 여겨졌다. 이 사건 이후 바르바리 해적들은 코르부 섬으로 돌아오지 않았으며, 성상은 노사 세뇨라 도스 밀라그레스('기적의 성모')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교구 교회에 보관되어 있다.[5]

이후 플로레스 출신의 이나시우 코엘류(디우구 다스 차가스의 형제)는 당시 선장-도나타리오였던 마르티뉴 드 마스카레냐스를 설득하여 "성모 마리아의 이름으로" 교구를 지원하도록 이끌었다.

2. 3. 19세기 이후의 변화



18세기에는 미국 포경선들이 선원과 작살잡이를 모집하고 보급품을 조달하기 위해 플로레스에 도착했다. 이를 계기로 코르부 주민들은 미국 포경선과 계약을 맺기 시작했으며, 이는 20세기까지 이어질 북미 뉴잉글랜드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관계의 시작이었다. 이 관계는 때때로 리스본과의 연결보다 더 직접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은밀한 이민은 섬 생활의 지속적인 요소가 되었고, 이는 의무 군 복무를 피하려는 사람들과 섬의 공물을 줄이려는 포르투갈 당국에게 문제가 되었다. 코르부 정착민들은 선장-도나타리오에게 십일조를 지불해야 했고, 1759년 이후에는 왕실에 지불해야 했다.[6]

자유주의 전쟁 동안 코르부 대표단은 섭정 포르투갈의 페드루 4세에게 주민들의 곤궁한 처지를 호소하고 공물 부담 완화를 청원했다. 대표단의 수장인 마누엘 토마스 데 아벨라르는 안그라 두 에로이즈모로 가서 안그라 섭정의 자유주의 지도부에 청원했다. 모우지뉴 다 실베이라는 섬의 지속적인 빈곤을 고려하여 십일조(밀) 지불과 세금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포르투갈의 페드루 4세는 1832년 5월 14일 폰타 델가다에서 서명한 법령을 통해 왕실 도나타리오(당시 페드루 호세 카우퍼스)에게 지불하는 십일조를 절반(20 moios)[9]으로 줄였고, 연간 80,000 레알의 지불 의무도 면제했다. 왕실은 이후 도나토리오에게 보상했다. 공물은 1835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1832년 6월 20일, 섭정 포르투갈의 페드루 4세는 코르부 정착지를 마을(Vila) 및 자치구(Concelho)로 승격시켰다.[6] 이 시점까지 코르부는 해협 건너편의 이웃인 산타 크루스 다스 플로레스의 관할 하에 있었다. 1853년 이후 포랄(마을의 왕실 헌장)은 이중 관할권을 인정받았다. 이는 자유주의 운동의 결과로, 소작농들이 가축을 기르고 자신의 땅을 경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선박을 지원하는 자급자족 경제가 시작되었다.[6]

1886년, 오르타 지구의 시민 총독 마누엘 프란시스코 데 메데이로스가 지역 사회를 방문하여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물었다. 그는 섬을 위한 포르투갈 국기를 원한다는 소박한 요청에 뜻밖으로 여겼다. 이 국기는 모나코의 알베르 1세가 해양학 및 사진 탐험을 위해 섬을 방문했을 때 사용되기 시작했다. 또한 1924년에는 포르투갈 작가 라울 브란도가 방문하여 그의 저서 Ilhas Desconhecidaspt를 통해 지역 신화와 목가적인 공화국 공동체라는 인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19세기 초부터 20세기까지 이민은 1925년과 1955년 사이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끊이지 않았다. 더 많은 코르부 주민들이 경제적 안정을 찾아 섬을 떠났으며, 이러한 과정은 198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1938년에는 섬 최초의 상주 의사인 조앙 로드리게스 페레이라 다 실바가 부임했으며, 그는 1945년까지 섬에 머물렀고 유일한 의료 건물의 이름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97년 4월 10일, 코르부 마을의 도시 중심부는 '공공 관심의 건축 그룹'(Conjunto de Interesse Públicopt)으로 분류되었다. 이곳은 주로 자치구 중심부를 이루는 오래된 1~2층짜리 주택과 헛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IGESPAR의 지원을 받아 아조레스 지역 정부에 의해 지정되었다.[6]

3. 지리

빌라두코르부는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에 속한 코르부섬의 유일한 지방 자치체이다. 섬의 남쪽 해안가에 위치하며, 섬 전체 인구가 거주하는 중심지 역할을 한다.

3. 1. 지형

빌라두코르부가 위치한 코르부섬의 지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코르부섬 문서를 참고하라.

3. 2. 기후

빌라두코르부(Vila do Corvo)는 따뜻한 여름과 온화한 겨울을 보이는 온난 습윤 기후(''Cfa'')를 가지고 있다. 같은 위도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빌라두코르부는 주로 걸프 해류의 영향으로 뉴저지주의 롱 비치 섬보다 평균 5°C 더 따뜻하다.

코르부(Corvo)의 기후[2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최고 기온(°C)16.015.016.017.018.021.024.025.023.021.018.017.020.0
평균 기온(°C)14.013.014.015.016.019.021.023.021.019.016.015.018.0
최저 기온(°C)13.012.012.013.015.017.019.021.020.017.015.014.016.0
강수량(inch)5.95.04.62.72.41.71.22.33.93.23.53.339.8



코르부 공항의 기후 (1971년~1981년)[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C)16.215.816.217.018.721.023.825.023.821.019.117.2
평균 기온(°C)14.313.714.115.016.618.821.422.421.518.817.115.3
최저 기온(°C)12.311.712.013.014.416.619.019.919.116.715.113.4
강수량(mm)118.3124.795.175.861.653.759.074.289.1106.2124.6120.1


4. 인구

빌라두코르부(Vila do Corvopt)는 코르부 섬의 해안을 따라 자리 잡은 유일한 정착지이다.[6] 둘레 17km의 이 정착지는 해발 718m에 달하는 칼데이랑(Caldeirão) 화산 분화구의 가파른 절벽 아래에 위치한다.[6] 시가지는 남쪽의 고대 용암 지대, 노사 세노라 도 로사리우(Nossa Senhora do Rosário) 만을 따라 약 6.5m × 3m 크기의 좁은 지역에 형성되어 있다.[6] 정착지 북쪽으로는 돌담으로 나뉜 농경지와 목초지가 펼쳐져 있다.[6]

4. 1. 인구 변화

빌라두코르부의 인구 (1849–2011)
연도인구
1842800
1864883
1871887
1878880
1890806
1900808
1911746
1920661
1930676
1940691
1950728
1960681
1970485
1981370
1991393
2001425
2011430



19세기 후반 인구는 약 9% 감소했는데, 이는 당시 아소르스 제도 전반에서 나타난 미국으로의 이주 시기와 관련이 있다. 코르부와 뉴잉글랜드 간의 지속적인 이주는 20세기 인구 변동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5]


  • 첫째, 1925년까지 미국이 이민을 제한하기 시작하면서 지역 인구가 18% 감소했다.
  • 둘째, 1955년까지는 라틴 아메리카(주로 브라질)로의 이주가 비교적 적었고, 인구가 10% 증가했다.
  • 셋째, 1980년대 초까지 이어진 새로운 이주 물결로 인해 지역 주민이 49% 감소했다.
  • 넷째, 1980년대부터 21세기 초까지는 이주에 대한 새로운 제한과 지역 사회 및 경제 개발의 결과로 인구 변화가 거의 없었다.


21세기 들어 인구가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이민자들의 귀환, 새로운 고용 기회 창출, 그리고 젊은 인구 정착에 기여한 초등학교 설립 등에 기인한다.[5]

5. 경제

일반적으로 주민들은 어업, 농업 또는 가축 사육에 종사한다. 섬의 대부분 서비스는 이러한 활동과 함께 연간 관광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섬은 작지만, 시 정부는 매년 찾아오는 친환경 방문객을 지원하기 위해 프라이아 다 아레이아(Praia da Areia) 지역에 세면실, 바비큐 시설, 피크닉 테이블 등을 갖춘 작은 캠핑장을 건설했다.[11]

6. 문화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6. 1. 기적의 성모 축제

빌라두코르부에서는 매년 8월 15일에 수호성인인 기적의 성모 마리아( Nossa Senhora dos Milagres|노사 세뇨라 두스 밀라그르스pt )의 축일을 기념하는 축제를 개최한다.[20] 이 행사는 일주일 동안 기도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종교 행사이다. 8월 14일 저녁에는 촛불 행렬이 열리고, 축일 당일인 8월 15일에는 장엄 미사가 거행된다.[20] 이 축제와 함께 연례 행사로 '풍차 축제'(Festival dos Moinhos|페스티발 두스 모이뉴스pt, 문자 그대로 풍차 축제)도 열린다. 이는 작은 섬으로 관광객과 이주민들을 불러 모으는 세속적인 음악 행사로, 지역 및 대중 음악가들의 공연이 펼쳐진다.

7. 건축물

빌라두코르부의 중심부는 ''Rua da Matriz'' 동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좁은 길과 골목길, 미로처럼 얽힌 건물들이 특징인 역사적인 마을이다.[12] 이곳의 건물들은 대체로 남쪽을 향한 2층 구조이며, 기와 지붕을 얹었다. 일부 건물에는 여전히 돼지우리나 울타리 같은 부속 시설을 위한 공간이 골목길을 따라 남아 있다.[12]

7. 1. 공공 건물


  • 코르부의 우체국, 전신 및 전화 건물(Edifício dos Correios, Telégrafos e Telefones, CTT, do Corvo|pt): 아조레스 제도의 여러 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CTT 건물이다. 20세기에 지어졌으며, 리베이랑 광장(Largo do Ribeirão)에 위치한다.[13]
  • 준사 구덩이(Cova de Junça|pt): 곡물 저장을 위해 사용된 항아리 형태의 지하 사일로이다. 18세기에 건설되었다.
  • 폰타 네그라 등대(Farol de Ponta Negra|pt): 코르부 풍차 옆, 보케이랑(Boqueirão)의 작은 항구 서쪽에 위치한다. 섬의 남쪽 해안을 보호하기 위해 1910년에 설립되었다.[14]
  • 공공 사무소 건물(Edifício das Repartições Públicas do Corvo|pt): 20세기에 건설된 코르부 섬의 옛 공공 재정 건물이다.[15]
  • 마리아나 로페스 저택(Casa de Mariana Lopes|pt)
  • 타작 원(아베니다 노바)(Eira de Avenida Nova|pt)
  • 코르부 풍차(Moinhos de Vento|pt): 카미뇨스 도스 모이뇨스(Caminhos dos Moinhos, 풍차 길)를 따라 위치한 세 개의 풍차 그룹이다. 원뿔 모양의 화산암으로 건설되었으며, 나무 지붕과 팔각형 돛을 갖추고 있다. 화산암으로 만든 측면 대칭 계단이 있는 높은 출입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16][17]

7. 2. 종교 건축물


  • 노사 세노라 도스 밀라그레스 성당(Igreja Paroquial de Vila Nova do Corvo/Igreja de Nossa Senhora dos Milagrespor): 1570년에 건축되어 18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개조된 본당 교회이다. 16세기 해적의 공격으로부터 코르비노스 주민들을 기적적으로 구원했다는 기적의 성모상 전설과 관련된 성모상을 보관하고 있다.[18]
  • 신성한 성령의 임페리오(Casa do Divino Espírito Santopor): 1871년경 건축된 단순한 직사각형 건물로, 성령 숭배와 관련된 축제에 사용된다.[19]

참조

[1]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http://www.ine.pt/xp[...]
[2] Eurostat Eurostat http://epp.eurostat.[...] 2012-10-07
[3] 웹사이트 Phoenicians in the Azores, myth or reality? https://www.academia[...] 2024-05-27
[4] 간행물 Um Possível Columbário Fúnebre na Ribeira dos Bispos, nos Açores https://www.academia[...] 2024-05-27
[5] 서적 José Saramango 2006
[6] citation Núcleo urbano da vila do Corvo/Núcleo antigo da vila do Corvo (PT072001010003)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04-26
[7] 문서
[8] 문서
[9] 웹사이트 Moio Conversion Chart http://www.convert-m[...] convert-me.com 2016-12-02
[10] 웹사이트 Atlas Climático Ibérico http://www.ipma.pt/e[...] IPMA, AEMET 2020-12-06
[11] citation Do Corvo Para o Mundo!!! http://docorvoparaom[...] 2011-08-30
[12] 웹사이트 Vila Nova do Corvo http://www.inventari[...] Direcção Regional da Cultura/Secretaria Regional de Cultura 2011-03-14
[13] 웹사이트 Edifício dos Correios, Telégrafos e Telefones, CTT, do Corvo (PT072001010004)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11-10
[14] 웹사이트 Farol da Ponta Negra (PT072001010001)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11-10
[15] 웹사이트 Edifício das Repartições Públicas do Corvo (PT072001010002)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11-10
[16] 웹사이트 91.10.1 MOINHOS DE VENTO – AO CAMINHO DOS MOINHOS http://www.inventari[...] Direcção Regional da Cultura/Secretaria Regional de Cultura 2011-03-14
[17] 웹사이트 Moinhos de Vento do Corgo (PT072001010007)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11-10
[18] 웹사이트 Igreja Paroquial de Vila Nova do Corvo/Igreja de Nossa Senhora dos Milagres (PT072001010005)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11-10
[19] 웹사이트 Casa do Divino Espírito Santo (PT072001010006)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11-10
[20] citation Festa de Nossa Senhora dos Milagres-15 de Agosto http://docorvoparaom[...] 2011-09-05
[21]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http://www.ine.pt/xp[...]
[22] 웹인용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Corvo, Portugal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