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뿔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뿔복(Lactoria cornutus)은 상자복과의 물고기로, 1758년 칼 린네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눈 위에 뿔 모양의 가시가 있어 젖소(cow)를 뜻하는 락토리아(Lactoria)라는 속명과 뿔이 있다는 의미의 코르누투스(cornutus)라는 종명을 갖는다. 인도양과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 홍해, 동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석호, 암초 평원, 산호초 등에서 서식한다. 뿔복은 잡식성으로, 독특한 오스트라키형 수영 방식으로 움직이며, 스트레스를 받으면 치명적인 파후톡신 독소를 분비한다. 뿔과 단단한 외골격, 독성 분비물을 방어 수단으로 사용하며, 관상어로 거래되기도 하지만 식용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북복과 - 노랑거북복
    노랑거북복은 인도-태평양, 홍해, 지중해 등지에 서식하며 육각형 골판으로 덮인 독특한 외형과 신경독 분비로 자신을 보호하는 거북복과의 어류로, 자동차 디자인 등에 영감을 주었고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된다.
  • 1758년 기재된 물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1758년 기재된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뿔복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긴뿔복
긴뿔복 (스페인 아쿠아리움 피니스테라에)
학명Lactoria cornuta
명명자Linnaeus, 1758
이명Ostracion cornutus Linnaeus, 1758
영명Longhorn cowfish
형태
크기50 cm
서식 깊이50 m
생태
상태관심 필요
서식지인도양태평양의 열대 해역

2. 분류 및 명칭

뿔복은 1758년 칼 린네가 출판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Ostracion cornutus''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모식 산지는 인도로 지정되었다.[5] 1902년 데이비드 스타 조던과 헨리 위드 파울러는 ''Ostracion'' 내에 아속 ''Lactoria''를 제안하고 ''O. cornutus''를 모식 종으로 지정했다.[6] 《Fishes of the World》 제5판은 이 속을 Tetraodontiformes 내 Ostracioidea 아목의 Ostraciidae 과로 분류한다.[7]

뿔복의 속명 ''락토리아''는 "젖소"를 의미하는데, 이는 눈 위의 큰 가시가 소의 뿔을 닮았기 때문이다. 종명인 ''코르누투스''는 "뿔이 있는"을 의미하며, 이는 눈 앞에 있는 큰 가시를 가리킨다.[8] 이 속에 속하는 물고기들과 일부 관련 종들은 소치(cowfish)로 알려져 있다.

2. 1. 분류

칼 린네가 1758년에 출판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뿔복은 ''Ostracion cornutus''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모식 산지는 인도로 지정되었다.[5] 1902년 데이비드 스타 조던과 헨리 위드 파울러는 ''Ostracion'' 내에 아속 ''Lactoria''를 제안하고 ''O. cornutus''를 모식 종으로 지정했다.[6] 《Fishes of the World》 제5판은 이 속을 Tetraodontiformes 내 Ostracioidea 아목의 Ostraciidae 과로 분류한다.[7]

속명은 "젖소"를 의미하며, 눈 위의 가시가 소의 뿔과 닮은 데서 유래했다. 같은 이유로 뿔복과 근연종의 영어 이름도 "Cowfish(소 물고기)"가 되었다. 종소명은 "뿔이 있는"을 의미하며, 눈 앞에 있는 큰 가시를 나타낸다.[26]

2. 2. 명칭

뿔복은 "젖소"를 의미하는 속인 ''락토리아''에 속하는데, 이는 눈 위의 큰 가시가 소의 뿔을 닮았기 때문이다. 이 속에 속하는 물고기들은 소치(cowfish)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관련 종도 그렇다. 종명인 ''코르누투스''는 "뿔이 있는"을 의미하며, 이는 눈 앞에 있는 큰 가시를 가리킨다.[8]

1758년 카를 폰 린네는 자연의 체계영어 제10판에서 ''Ostracion cornutus''로 기재했으며, 기준 산지는 인도였다.[24] 1902년 데이비드 스타 조던과 헨리 위드 파울러는 상자복속에 ''Lactoria'' 아속을 제안하고, ''O. cornutus''를 그 기준종으로 삼았다.[25]

속명은 "젖소"를 의미하며, 눈 위의 가시가 소의 뿔과 닮은 데서 유래했다. 같은 이유로 본 종과 근연종의 영어 이름도 "Cowfish(소 물고기)"가 되었다. 종소명은 "뿔이 있는"을 의미하며, 눈 앞에 있는 큰 가시를 나타낸다.[26]

3. 분포 및 서식지

뿔복은 석호, 암초 평원, 강어귀, 만, 그리고 보호된 해양 암초의 산호초에 주로 서식한다.[9] 어린 뿔복은 ''아크로포라'' 산호와 연관되어 생활한다. 서식 수심 범위는 1m에서 45m이며, 최대 100m까지 가능하다.

홍해동아프리카에서 동쪽으로 인도네시아, 마르케사스 제도, 남부 일본을 거쳐 투아모투 제도, 남부 대한민국, 류큐 열도, 오스트레일리아, 로드하우 섬까지 널리 분포한다. 뿔복은 인도양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한다. 인도에서 발견된 표본은 최근 몇 년 동안의 새로운 발견이며, 사이클론이나 태풍이 뿔복(''Lactoria cornuta'')을 새로운 환경으로 운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11]

라군 내의 산호초, 암초, 하구, , 보초의 바깥쪽에 서식한다.[31] 또한 모래 바닥이나 해초밭에서도 발견된다.[28] 어린 물고기는 Acropora|미드리이시속영어 근처에서 생활한다.

4. 형태

뿔복은 몸길이가 30-50cm이다. 눈 위와 배 양쪽에 한 쌍의 가시가 뻗어 있는데, 각각 눈앞 가시, 허리뼈 가시라고 부른다.[27] 이 가시는 성장하면서 길어지지만, 늙으면 반대로 짧아진다.[27] 이 가시가 고대 인도의 무기인 금강저와 닮았기 때문에 일본어 이름이 붙었다.[32]

4. 1. 신체 특징

성적 이형성은 알려진 바가 없으며, 수컷과 암컷 모두 흰색 또는 푸르스름한 반점으로 장식된 노란색에서 올리브색을 띤 기본 색상을 나타낸다.[9] 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크며, 수컷과 암컷의 크기와 무게는 아래 표와 같다.[9]

구분평균 길이성장 범위평균 무게무게 범위
수컷103 mm65–155 mm26 g12–116 g
암컷121 mm83–250 mm33 g17–156 g



다른 물고기와 구별되는 점은 아가미 덮개가 없다는 것으로, 작은 틈이나 구멍으로 대체된다는 것이다. 육각형 판 모양 비늘은 융합되어 튼튼한 삼각형 상자 모양의 갑각을 형성하며, 이 갑각에서 지느러미와 꼬리가 튀어나온다. 뿔 바로 뒤에 큰 눈을 가지고 있다.[9] 그들의 독특한 수영 방식은 오스트라키형 수영이라고 불리며, 마치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골반 골격이 없어서 골반 지느러미도 없다.

뿔복의 꼬리 지느러미는 몸통과 길이가 같을 수 있으며, 움직임은 지느러미에 의존한다.[12] 뿔복은 수영 속도가 매우 느려서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으며, 잡힐 때 끙끙거리는 소리를 낸다. 뿔복은 또한 부레에 연결된 근육을 사용하여 두 가지 종류의 소리, 즉 윙윙거리는 소리와 딸깍거리는 소리를 낼 수 있다.[13]

정면에서 본 모습


전장은 30-50cm이다. 눈 위와 배 양쪽에 1쌍의 가시가 뻗어 있으며, 각각 눈앞 가시, 허리뼈 가시라고 불린다.[27] 이 가시는 성장하면 길어지지만, 늙으면 반대로 짧아진다.[27]

4. 2. 성적 이형성

성적 이형성은 알려진 바가 없으며, 수컷과 암컷 모두 흰색 또는 푸르스름한 반점으로 장식된 노란색에서 올리브색을 띤 기본 색상을 나타낸다. 일몰 전후에 짝짓기 구애를 한다. 알과 어류 플랑크톤은 원양성이다. 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크며, 수컷은 평균 103mm(65mm~155mm), 암컷은 평균 121mm(83mm~250mm)이다. 암컷 뿔복은 수컷보다 무게가 더 나가며, 암컷은 평균 33g(17g~156g), 수컷은 평균 26g(12g~116g)이다.[9]

5. 생태

성적 이형성은 알려진 바가 없으며, 수컷과 암컷 모두 흰색 또는 푸르스름한 반점으로 장식된 노란색에서 올리브색을 띤 기본 색상을 나타낸다. 다른 물고기와 구별되는 점은 아가미 덮개가 없고 작은 틈이나 구멍으로 대체된다는 것이다. 육각형 판 모양 비늘은 융합되어 튼튼한 삼각형 상자 모양의 갑각을 형성하며, 이 갑각에서 지느러미와 꼬리가 튀어나온다. 뿔 바로 뒤에 큰 눈을 가지고 있다.[9] 골반 골격이 없어서 골반 지느러미도 없다. 뿔복의 꼬리 지느러미는 몸통과 길이가 같을 수 있으며, 움직임은 지느러미에 의존한다.[12]

수컷과 암컷의 크기 차이가 있는데, 평균적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고 무겁다. 수컷은 평균 103mm, 암컷은 평균 121mm까지 자라며, 무게는 수컷이 평균 26g, 암컷이 평균 33g이다.[9]

뿔복의 암수 크기 및 무게 비교[9]
성별평균 길이평균 무게최소 길이최대 길이최소 무게최대 무게
수컷103 mm26 g65 mm155 mm12 g116 g
암컷121 mm33 g83 mm250 mm17 g156 g



뿔복의 독특한 수영 방식은 오스트라키형 수영이라고 불리며, 마치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파후톡신이라는 치명적인 독소를 분비할 수 있는데, 이는 어독성, 용혈성을 가지며 열에 안정적이고 단백질이 아닌 독소로 피부의 점액 분비물에 존재한다. 이는 알려진 어독 중에서 독특하며, 상자고기에게 독성이 있고, 일반적인 특성에서 해삼 독소를 모방한다.

뿔복의 뿔은 포식자에게 삼키기 어렵게 진화했을 수 있으며, 포식자를 향해 돌진하여 물리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4] 손상된 경우 몇 달 안에 다시 자랄 수 있다.[15] 뿔은 대부분 비어 있으며, 광물화된 콜라겐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16] 단단한 갑옷 외골격과 독성 분비물은 포식자에 대한 강력한 방어 수단이다.

팜반 섬에서는 섬의 땅이 분리되었을 때 섬의 암소들이 이 물고기로 변태하여 해조류를 먹었다는 지역의 믿음이 있었다.[19]

5. 1. 행동

뿔복은 단독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영역 의식이 강하다. 잡식성으로 조류, 미생물, 유공충, 해면동물, 모래 바닥의 다모류, 연체동물, 소형 갑각류, 작은 물고기 등을 먹는다. 해저에 물을 분출하여 모래를 휘저어 나온 무척추동물을 먹기도 한다.[35] 산호초를 파괴하는 무척추동물을 먹어 산호초의 성장과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5]

수영 속도가 매우 느려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으며, 잡힐 때 끙끙거리는 소리를 낸다. 부레에 연결된 근육을 사용하여 윙윙거리는 소리와 딸깍거리는 소리 두 가지를 낼 수 있다.[13]

일몰 직전 또는 직후에 암수 한 쌍으로 번식한다. 알과 자어는 플랑크톤이며, 해류를 타고 광범위하게 퍼진다.[28] 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크다.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피부에서 파프트키신이라는 치명적인 독소를 포함하는 점액을 분비하는데, 이는 알려진 어독 중에서는 특이하며, 뿔복 자신에게도 유독하고, 일반적인 성질은 해삼의 독과 유사하다.

뿔복의 가시는 포식자에게 잡아먹히기 어렵게 하기 위한 목적이 있을 수 있다. 포식자에게 돌진하여 쫓아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36] 가시는 손상되어도 수개월 이내에 재생된다.[37] 뿔은 대부분 속이 비어 있으며, 광물화된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38] 단단한 외골격과 독은 포식자에 대한 강력한 방어 수단이다. 놀래기자리돔은 알을 먹는다. 어미는 이러한 알의 포식자를 쫓아낼 수 있지만, 포식자로부터 자신과 알을 숨기기 위해 해저 부근에서 산란한다.[39]

3~4마리의 암컷으로 이루어진 하렘을 형성한다. 암컷은 일몰 직후, 또는 흐린 날 낮에 산란한다. 산란기는 2월부터 10월 상순까지이다.[39] 알은 타원형이며, 부화한 자어는 이미 상자 모양의 껍질을 가지고 있다.[40]

5. 2. 섭식

잡식성이며, 조류, 미생물, 유공충, 해면동물, 모래 바닥의 다모류, 연체동물, 소형 갑각류, 작은 물고기 등을 포식한다. 해저에 물을 분출하여 모래를 휘저어 나온 무척추동물을 포식하는 행동도 알려져 있다[35]。 산호초를 파괴하는 무척추동물을 포식함으로써, 산호초의 성장과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5]

5. 3. 번식

뿔복은 3~4마리의 암컷으로 하렘을 형성한다. 암컷은 해질 무렵이나 구름이 많이 낀 낮 동안에 산란하며, 산란기는 2월부터 10월 초까지이다.[17] 황소돔속 종의 타원형 알은 어린 유생으로 부화한다. 이 유생들은 뿔돔에 존재하는 상자형 등갑 갑옷을 형성하기 때문에 뚜렷하게 구별된다.[18]

암수 한 쌍은 일몰 직전 또는 직후에 번식한다. 알과 자어는 플랑크톤이며, 해류를 타고 광범위하게 분산된다.[28] 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크다. 놀래기자리돔은 알을 포식한다. 어미는 이러한 알의 포식자를 쫓아낼 수 있지만, 포식자로부터 자신과 알을 숨기기 위해 해저 부근에서 산란한다.[39] 알은 타원형이며, 부화한 자어는 이미 상자 모양의 껍질을 가지고 있다.[40]

6. 방어 기제

뿔복은 뿔, 단단한 갑옷 외골격, 독성 분비물 등 다양한 방어 수단을 가지고 있다. 뿔은 포식자가 삼키기 어렵게 하고, 포식자를 향해 돌진하여 물리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4],[36] 손상된 뿔은 몇 달 안에 다시 자랄 수 있으며,[15],[37] 대부분 비어 있는 광물화된 콜라겐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16],[38]

놀래기자리돔과 같은 알 포식자도 있지만, 뿔복은 자신과 알을 숨기기 위해 기질 가까이에서 산란한다.[17],[39]

6. 1. 파후톡신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 종은 치명적인 독소인 파후톡신을 분비할 수 있으며, 이는 어독성, 용혈성이 있고 열에 안정적이며, 투석되지 않으며, 단백질이 아닌 독소로 피부의 점액 분비물에 존재한다. 이는 알려진 어독 중에서 독특한 것으로 보이며, 상자고기에게 독성이 있고, 일반적인 특성에서 해삼 독소를 모방한다.[14]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피부에서 파후톡신이라는 치명적인 독소를 포함하는 점액을 분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알려진 어독 중에서는 명백히 특이하며, 본 종에게도 유독하며, 일반적인 성질은 해삼의 독과 유사하다.[35]

7. 인간과의 관계

판반 섬에서는 땅이 분단되었을 때 섬의 소가 이 물고기로 변신하여 해조류를 먹었다는 전설이 있다.[41] 뿔복은 독성이 있어 식용으로는 사용되지 않으며[42], 관상어로 거래된다.

참조

[1] iucn Lactoria cornuta 2024-10-07
[2] FishBase
[3] 웹사이트 Longhorn Cowfishes, Lactoria cornuta http://marinebio.org[...] MarineBio Conservation Society 2016-10-06
[4] 논문 Testing animal-assisted cleaning prior to transplantation in coral reef restoration
[5] Cof genus 2024-10-08
[6] Cof genus 2024-10-08
[7]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8] 웹사이트 Order TETRAODONTIFORMES: Families MOLIDAE, BALISTIDAE, MONACANTHIDAE, ARACANIDAE and OSTRACI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2024-08-21
[9] 간행물 Some population parameters of Longhorn Cowfish Lactoria cornuta (Linnaeus, 1758) in Laikang Bay, Takalar District, South Sulawesi, Indonesia (preliminary study) IOP Publishing
[10] bioRxiv First Report of Lactoria cornuta from Karnataka, West coast of India–Role of tropical cyclones in Range Extension
[11] 서적 The Fishes of India. Volume I https://archive.org/[...] Bernard Quaritch
[12] 간행물 Fishes of family diodontidae, ostraciidae and molidae from Pakistan coast
[13] 논문 Sound production, hearing sensitivity, and in‐depth study of the sound‐producing muscles in the cowfish (Lactoria cornuta)
[14] 간행물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compressive behavior of the boxfish horn
[15] 학술지 New record of the longhorn cowfish Lactoria cornuta (Linnaeus 1758) from inshore waters of the Bay of Bengal, Bangladesh
[16] 학술지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compressive behavior of the boxfish horn http://meyersgroup.u[...]
[17] 학술지 Mating Strategies and Reproductive Behavior of Ostraciid Fishes at Miyake-jima, Japan
[18] 학술지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pelagic juveniles of three Indo-Pacific ostraeiid fishes (tetraodontiformes):ostracion Meleagris, Lactoria Fornasini Andl. Diaphana
[19] 서적 The Madras presidency, with Mysore, Coorg and the associated stat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iucn Lactoria cornuta 2024-12-05
[21] FishBase
[22]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23] 웹사이트 Longhorn Cowfishes, Lactoria cornuta http://marinebio.org[...] MarineBio Conservation Society 2016-10-06
[24] 웹사이트 CAS -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Lactoria https://researcharch[...] 2024-12-05
[25] 웹사이트 CAS -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Ostraciidae https://researcharch[...] 2024-12-05
[26] 웹사이트 Order TETRAODONTIFORMES: Families MOLIDAE, BALISTIDAE, MONACANTHIDAE, ARACANIDAE and OSTRACI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2024-08-21
[27] 서적 新訂 原色魚類大圖鑑 圖鑑編 北隆館 2005-12-15
[28] 서적 "コンゴウフグ"中坊徹次(編/監修)『小学館の図鑑Z 日本魚類館』 小学館
[29] bioRxiv First Report of Lactoria cornuta from Karnataka, West coast of India–Role of tropical cyclones in Range Extension
[30] 서적 The Fishes of India. Volume I https://archive.org/[...] Bernard Quaritch
[31] 간행물 Some population parameters of Longhorn Cowfish Lactoria cornuta (Linnaeus, 1758) in Laikang Bay, Takalar District, South Sulawesi, Indonesia (preliminary study) IOP Publishing
[32] 서적 フィールドベスト図鑑 日本の海水魚 学習研究社 2000-08-04
[33] 간행물 Fishes of family diodontidae, ostraciidae and molidae from Pakistan coast
[34] 학술지 Sound production, hearing sensitivity, and in‐depth study of the sound‐producing muscles in the cowfish ( Lactoria cornuta ) https://onlinelibrar[...] 2021-04
[35] 논문 Testing animal-assisted cleaning prior to transplantation in coral reef restoration
[36] 논문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compressive behavior of the boxfish horn
[37] 논문 New record of the longhorn cowfish Lactoria cornuta (Linnaeus 1758) from inshore waters of the Bay of Bengal, Bangladesh
[38] 논문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compressive behavior of the boxfish horn http://meyersgroup.u[...]
[39] 논문 Mating Strategies and Reproductive Behavior of Ostraciid Fishes at Miyake-jima, Japan https://www.jstage.j[...] 1979
[40] 논문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pelagic juveniles of three Indo-Pacific ostraeiid fishes (Tetraodontiformes):Ostracion meleagris, Lactoria fornasini andL. diaphana https://link.springe[...] 1985-08
[41] 서적 The Madras presidency, with Mysore, Coorg and the associated stat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市場魚介類図鑑 コンゴウフグ https://www.zukan-bo[...] 2024-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