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냥개박쥐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냥개박쥐속(Mormopterus)은 박쥐의 한 속으로, 1865년 빌헬름 페터스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다. 분자 서열 분석을 통해 사냥개박쥐속이 분기군임이 밝혀졌으며, 종 수준의 분류와 다른 몰로수스과 속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2014년 개정판에서는 형태학적 및 분자 분석을 결합하여 아속 Micronomus를 인정하고, Setirostris와 Ozimops라는 두 개의 새로운 분류군을 세분화했다. 사냥개박쥐속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아프리카, 인도네시아,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7종이 발견된다. 이전에는 4개의 아속으로 구성되었으나, Ozimops는 속으로 승격되었고, Micronomus와 Setirostris는 호주 고유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큰귀박쥐과 - 망그로브자유꼬리박쥐
망그로브자유꼬리박쥐는 오지몹스속에 속하며 몸무게가 약 6.8~10.5g이고 맹그로브 숲의 나무 구멍을 서식지로 사용하며 해안 지역 개발에 취약하다고 평가받는다. - 큰귀박쥐과 - 베카리사냥개박쥐
베카리사냥개박쥐는 1881년 빌헬름 페터스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인도네시아와 파푸아뉴기니에서 발견되고,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평가받는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사냥개박쥐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 | |
학명 | Mormopterus |
명명자 | Peters, 1865 |
모식종 | 모름opterus jugularis |
모식종 명명자 | Peters, 1865 |
하위 분류 | |
아속 | 사냥개박쥐아속 (Mormopterus) 이스트코스트자유꼬리박쥐아속 (Micronomus) 털코자유꼬리박쥐아속 (Setirostris) 오스트레일리아사냥개박쥐아속 (Ozimops) |
2. 분류
사냥개박쥐속(''Mormopterus'')은 큰귀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한 속이다. 1865년 빌헬름 페터스가 처음 큰귀박쥐속(''Nyctinomus'')의 아속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후 연구, 특히 분자 서열 분석을 통해 ''Mormopterus'' 속이 단일 계통군이 아닌 분기도일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는 속 분류의 복잡성을 야기했으며, 특히 호주 지역의 종 분류에 혼란을 가져와 보전 상태 평가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 형태학 및 분자 데이터를 종합한 연구를 통해 속을 재정리하는 주요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아속 ''Micronomus''를 인정하고, ''Setirostris''와 ''Ozimops''라는 두 개의 새로운 아속을 설정했다. 이후 2015년에는 호주 동물 목록(Australian Faunal Directory) 등에서 이들 아속을 각각 ''Micronomus'', ''Setirostris'', ''Ozimops''라는 별도의 속으로 승격시키는 분류 체계가 제안되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Mormopterus'' 속에 속했던 많은 종들이 이 새로운 속들로 재분류되었다.
2. 1. 계통 분류
1865년 빌헬름 페터스는 이 속을 ''Nyctinomus''와 관련된 새로운 아속으로 처음 설명했다.종 수준의 분류는 비교적 잘 정립되었지만, ''Mormopterus'' 속 자체의 통합성은 덜 명확했으며, 분자 서열 분석 데이터는 ''Mormopterus''가 분기도(하나의 공통 조상에서 유래하지 않은 분류군)임을 나타냈다. 예를 들어, ''M. kalinowski''는 ''Nyctinomops'' 속의 종들과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여러 지역의 종 그룹 간의 관계와 다른 큰귀박쥐과(Molossidae) 속들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계통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호주 박쥐 계통분류학 연구는 종 분류에 혼란을 야기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보전 상태 평가와 같은 다른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Mormopterus'' 속은 분류학자들에게 가장 큰 어려움을 안겨준 분류군 중 하나였다.
2014년의 개정 연구에서는 형태학적 분석과 분자 분석을 결합한 다중 유전자좌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속을 더 세분화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아속 ''Micronomus''를 인정하고, 새로운 아속으로 ''Setirostris''(단형 아속, 즉 하나의 종만 포함하는 아속)와 ''Ozimops''를 설정했다. 이들 아속에는 기존에 인정된 4종과 새롭게 기술된 3종의 ''Mormopterus''가 포함되었다. 이 개정 이전에는 일부 분류군에 대해 명확한 설명 없이 임시적인 이름(예: ''Mormopterus'' sp. 1, 2, 3 ...)이 부여되기도 했다.
호주 동물 목록(Australian Faunal Directory)은 2014년 연구에서 제시된 아속들을 속(genus) 수준으로 승격시킨 2015년 분류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Ozimops'', ''Setirostris'', ''Micronomus''를 독립된 속으로 인정하고, 이전에 ''Mormopterus'' 속에 속했던 종들을 이 새로운 속들로 재분류했다.
2. 2. 하위 종
빌헬름 페터스가 1865년 큰귀박쥐속(''Nyctinomus'')의 아속으로 처음 기술했다. 그러나 이후 분자 서열 분석 연구 결과, 사냥개박쥐속(''Mormopterus'')은 단계통군이 아니며 여러 계통이 섞여 있음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칼리노프스키사냥개박쥐(''M. kalinowskii'')는 민얼굴자유꼬리박쥐속(''Nyctinomops'')과 더 가까운 관계이다. 특히 호주 지역의 사냥개박쥐류는 종 분류에 혼란이 많아 보전 상태 평가 등에도 어려움이 있었다.2014년, 형태학적 및 분자 데이터를 종합한 다중 유전자좌 분석 연구를 통해 기존의 사냥개박쥐속(''Mormopterus'')을 재정리하는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아속인 이스트코스트자유꼬리박쥐아속(''Micronomus'')을 인정하고, 털코자유꼬리박쥐아속(''Setirostris'')과 오스트레일리아사냥개박쥐아속(''Ozimops'')이라는 두 개의 새로운 아속을 설정했다. 이후 2015년 호주 동물 목록(Australian Faunal Directory, AFD)은 이들 아속을 별개의 속인 이스트코스트자유꼬리박쥐속(''Micronomus''), 털코자유꼬리박쥐속(''Setirostris''), 오스트레일리아사냥개박쥐속(''Ozimops'')으로 승격시키는 분류학적 견해를 채택했다.
따라서 현재 사냥개박쥐속(''Mormopterus'')에는 과거 사냥개박쥐아속(''Mormopterus'')으로 분류되었던 종들이 주로 포함된다. 현재 사냥개박쥐속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
학명 | 일반명 |
---|---|
Mormopterus acetabulosus | 나탈자유꼬리박쥐 |
Mormopterus francoismoutoui | 프랑수아무투사냥개박쥐 |
Mormopterus doriae | 수마트라사냥개박쥐 |
Mormopterus jugularis | 페테르스주름입술박쥐 |
Mormopterus kalinowskii | 칼리노프스키사냥개박쥐 |
Mormopterus minutus | 작은고블린박쥐 |
Mormopterus phrudus | 잉카작은사냥개박쥐 |
과거 사냥개박쥐속의 아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 별도의 속으로 인정되는 종들은 다음과 같다.
- 이스트코스트자유꼬리박쥐속(''Micronomus''): 이스트코스트자유꼬리박쥐(''M. norfolkensis'') 1종을 포함한다.
- 털코자유꼬리박쥐속(''Setirostris''): 털코자유꼬리박쥐(''M. eleryi'') 1종을 포함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사냥개박쥐속(''Ozimops''): 베카리사냥개박쥐(''M. beccarii''), 로리아사냥개박쥐(''M. loriae''), 남부자유꼬리박쥐(''M. planiceps''), 내륙자유꼬리박쥐(''M. petersi''), 서부자유꼬리박쥐(''M. kitcheneri''), 동부자유꼬리박쥐(''M. ridei''), 북부자유꼬리박쥐(''M. lumsdenae''), 케이프요크자유꼬리박쥐(''M. halli''), 망그로브자유꼬리박쥐(''M. cobourgianus'') 등을 포함한다.
또한, 과거에 피터스납작머리박쥐(''Platymops setiger'')와 로버츠납작머리박쥐(''Sauromys petrophilus'')도 한때 사냥개박쥐속으로 분류된 적이 있다.
3. 분포 및 서식지
사냥개박쥐속(''Mormopterus'')은 지리적으로 흩어져 7종이 서식한다.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서인도양 지역: 3종이 서식하며, 마다가스카르, 마스카린 제도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에티오피아(추정)를 포함한다.
- 서부 인도네시아: 1종이 서식하며, 수마트라에서 발견된 단일 표본만이 알려져 있다. 이 종은 서인도양 지역의 종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신열대 지역: 3종이 서식하며, 남아메리카 서부, 칠레 북부, 쿠바에 분포한다.
과거 사냥개박쥐속의 아속으로 분류되었으나 나중에 별도의 속으로 승격된 분류군들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 ''오지몹스''(''Ozimops''): 호주에서 가장 다양한 종이 발견되며, 인도네시아 제도, 할마헤라, 암본, 세람, 서파푸아, 파푸아뉴기니에서도 서식한다.
- ''미크로노무스''(''Micronomus''): 단형 속으로 호주 고유종이다.
- ''세티로스트리스''(''Setirostris''): 단형 속으로 호주 고유종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