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귀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라진 귀부인은 1896년 조르주 멜리에스가 제작한 프랑스 영화로, 마술사가 조수를 사라지게 하는 마술을 보여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멜리에스는 자신이 운영하던 로베르 우댕 극장의 마술을 바탕으로 영화를 제작했으며, 대체 접합(스톱 트릭) 기술을 활용하여 조수가 사라지고 해골로 변하는 장면을 연출했다. 이 영화는 멜리에스의 스타 영화사를 통해 배급되어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한국 영화 초기에 상영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초기 한국 영화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르주 멜리에스 감독 영화 - 달세계 여행
1902년 조르주 멜리에스가 제작한 프랑스 무성 영화 《달세계 여행》은 천문학자들이 달에서 외계인을 만나는 이야기를 담은 최초의 SF 영화로 여겨지며, 혁신적인 특수 효과와 연극적 연출, 과학적 탐험과 풍자를 결합한 작품이다. - 1896년 영화 - 벽 부수기
뤼미에르 형제의 단편 영화인 벽 부수기는 인부들의 벽 철거 모습을 담았으며, 우연히 발견된 역재생 기법의 시초로 영화 감독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온라인에서 감상 가능하다. - 1896년 영화 - 키스 (1896년 영화)
1896년 제작된 미국 단편 영화 《키스》는 메이 어윈과 존 C. 라이스가 출연하여 브로드웨이 뮤지컬 《존스 미망인》의 키스 장면을 담고 있으며, 영화 역사상 최초의 키스 장면 중 하나로 외설 논란과 검열을 거쳤으나 이후 수많은 모방작에 영향을 주었고, 문화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미국 국립 필름 등록부에 등재되었다. - 무성 영화 - 전함 포템킨
《전함 포템킨》은 1905년 러시아 전함 포템킨호의 반란을 배경으로 혁명의 정당성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1925년 무성 선전 영화이며, 특히 오데사 계단 시퀀스는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 - 무성 영화 -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는 1914년 찰리 채플린의 '방랑자' 캐릭터가 등장하는 단편 코미디 영화로, 로스앤젤레스 베니스에서 열린 어린이 자동차 경주 촬영장에서 채플린이 촬영을 방해하는 해프닝을 코믹하게 담았다.
사라진 귀부인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Escamotage d'une dame chez Robert-Houdin |
영어 제목 | The Vanishing Lady |
감독 | 조르주 멜리에스 |
출연 | 조르주 멜리에스 잔 달시 |
제작사 | 스타 필름 |
개봉 연도 | 1896년 |
상영 시간 | 약 75초 |
제작 국가 | 프랑스 |
언어 | 무성 영화 |
2. 줄거리
마술사가 무대에 등장하여 카메라를 향해 인사를 한 뒤, 한 부인을 데려온다.[1] 마술사는 테이블 위에 놓인 신문지를 들고 바닥에 펼치고 그 위에 의자를 놓는다.[1] 마술사는 부인을 의자에 앉히고 큰 천(숄)으로 그녀를 덮어 가린다.[1] 잠시 후 마술사가 천을 걷어내자 부인은 갑자기 사라진다.[1] 다음에 마술사가 큰 몸짓으로 주문을 외우자, 이번에는 의자 위에 해골이 나타난다.[1] 마술사는 해골에게 다시 큰 천을 덮고 그것을 걷어내자, 사라졌던 부인이 다시 나타난다.[1] 마술사는 부인의 손을 잡고 카메라를 향해 두 번 인사를 한 뒤, 무대에서 퇴장한다.[1]
3. 출연
3. 1. 마술사
조르주 멜리에스는 프랑스의 마술사이자 영화 제작자로, 파리의 Théâtre Robert-Houdin|로베르 우댕 극장영어을 경영했다. 1895년 12월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 상영을 본 후 영화에 흥미를 느껴 1896년부터 영화 제작을 시작했다.[1] 멜리에스는 《사라진 귀부인》을 촬영하기 전에는 뤼미에르 형제의 영화를 모방하거나 로베르 우댕 극장의 연극을 그대로 촬영한 작품들을 만들었다.[1]
3. 2. 귀부인 (마술사의 조수)
잔 다르시는 1888년부터 로베르 우댕 극장의 무대에 출연했으며, 곧 조르주 멜리에스의 연인이 되었다.[7] 멜리에스와 다르시는 1925년에 정식으로 결혼했다.[7] 이 작품은 다르시의 첫 영화 출연작이며, 이후 멜리에스 작품의 주요 배우로 활동했다.[7]
4. 제작
이 영화는 프랑스 마술사 보티에 드 콜타의 마술 공연 '사라진 귀부인'을 바탕으로 한다.[1] 멜리에스는 이미 로베르-우댕 극장에서 이 마술을 모방하여 공연한 바 있다.[1] 1896년 10월, 몽트뢰유에 있는 멜리에스의 별장 정원에 설치된 세트에서 야외 촬영으로 제작되었다.[9] 로코코 양식의 실내처럼 보이는 세트는 멜리에스가 몽트뢰유소부아의 정원에 설치한 작은 야외 플랫폼에 연극용 플랫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2]
무대 버전에서는 무대 기계를 사용하여 조수를 사라지게 했지만,[1] 영화에서는 대체 접합(스톱 트릭)이라는 특수 효과를 사용했다.[3] 스톱 트릭은 촬영을 중단하는 동안 화면상의 인물이나 물건을 변경하거나 제거하는 기법이다.[8] 멜리에스는 이 효과를 사용하여 조수를 사라지게 하고 해골을 등장시키는 등 마법과 같은 장면을 연출했다.[8]
멜리에스는 나중에 카메라 고장이라는 우연한 사고로 스톱 트릭을 발견했다고 주장했지만,[9] 1895년 에디슨 매뉴팩쳐링 컴퍼니의 영화 《메리 스튜어트의 처형》에서 기본적인 버전을 본 후 이 기법을 개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9] 《사라진 귀부인》은 실용적인 목적이 아닌 마법적인 목적으로 스톱 트릭을 사용한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9] 이 효과는 이후 멜리에스 영화의 가장 기본적인 특수 효과가 되었다.[2]
5. 스타일
본작은 다른 멜리에스 작품과 마찬가지로 연극적인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영화 역사가 조르주 사둘은 이를 "영화 촬영된 연극"이라고 불렀다.[12] 멜리에스는 스크린을 무대와 같은 공간으로 간주하여 본작을 로베르-우댕 극장에서의 마술 연기와 같은 행동과 약속으로 촬영했다. 즉, 멜리에스가 무대 뒤에서 나와 인사를 하는 것으로 작품이 시작되고, 트릭을 연출한 후 스크린 너머에서 예상되는 관객의 박수갈채에 답례하는 듯 몇 번 인사를 하고 무대를 떠난다. 배우가 무대 뒤로 사라진 뒤 영화가 종료된다.[12] 카메라는 극장의 관람석 중앙에서 무대를 보고 있는 듯한 시점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사둘은 이를 "1층 최상등석 신사"의 시점이라고 불렀다.[12]
본작의 영상은 하나의 숏으로만 구성되어 있다.[13] 실제로는 숏 안에서 스톱 트릭에 의해 촬영이 중단되지만, 이 중단 전과 후의 테이크는 숏보다 작은 영상 단위로서의 세그먼트로 분절화할 수 있다. 본작에서는 스톱 트릭이 세 번 행해졌기 때문에, 네 개의 세그먼트가 있다고 할 수 있다.[13] 이러한 세그먼트는 변경 대상(본작에서는 부인이나 해골) 이외의 화면에 찍히는 것이 일치하도록 주의 깊게 연결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세그먼트마다 화면이 분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얻을 수 있는 영상은 보이지 않는 편집에 의한 긴 심리스한 원 숏으로 성립하고 있다.[12][13]
6. 공개
1896년, 이 영화는 멜리에스의 영화 회사 스타 필름을 통해 배급되었으며, 카탈로그 번호 70번이 부여되었다.[4] 이 영화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수년 동안 인기를 유지했다.[14] 현존하는 프린트는 흑백이지만, 개봉 당시에는 수작업으로 채색된 컬러 프린트도 판매되었다.[6] 1979년 멜리에스 전문가 자크 말테트는 실제 재료를 사용하여 이 영화의 수작업 채색 버전을 재구성했다.[3] 2017년 프랑스 시네마테크는 흑백 35mm 필름 사본을 4K 해상도로 디지털화했다.[5]
참조
[1]
간행물
Méliès, carrefour des attractions; suivi de Correspondances de Georges Méliès (1904-1937)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2]
서적
Artificially Arranged Scenes: The Films of Georges Méliès
G. K. Hall & Co.
[3]
간행물
Essai de reconstitution du catalogue français de la Star-Film; suivi d'une analyse catalographique des films de Georges Méliès recensés en France
Service des archives du film du Centre national de la cinématographie
[4]
간행물
L'oeuvre de Georges Méliès
Éditions de La Martinière
[5]
간행물
Escamotage d'une dame chez Robert-Houdin
https://www.cinemath[...]
Cinémathèque Française
2021-01-09
[6]
간행물
Essai de reconstitution du catalogue français de la Star-Film; suivi d'une analyse catalographique des films de Georges Méliès recensés en France
Service des archives du film du Centre national de la cinématographie
[7]
서적
世界映画大事典
日本図書センター
2008-7
[8]
간행물
Méliès, carrefour des attractions; suivi de Correspondances de Georges Méliès (1904-1937)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9]
서적
Artificially Arranged Scenes: The Films of Georges Méliès
G. K. Hall & Co.
[10]
간행물
Escamotage d'une dame chez Robert-Houdin
https://www.cinemath[...]
シネマテーク・フランセーズ
2022-01-21
[11]
간행물
100 Ideas That Changed Film
Laurence King Publishing
[12]
간행물
Translating Time: Cinema, the Fantastic, and Temporal Critiqu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3]
서적
Fantastic Voyages of the Cinematic Imagination: Georges Méliès's Trip to the Mo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4]
서적
L'oeuvre de Georges Méliès
Éditions de La Martiniè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