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모펀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모펀드는 주로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 형태로, 유한책임사원조합(LLP) 형태로 운영되며, 기관 투자자로부터 자본을 조달한다. 펀드는 일반적으로 10년의 기간을 가지며, 운영보수, 수익 배분, 펀드 지분 이전, 일반 사원에 대한 제한 등의 조건이 유한책임사원조합 계약서(LPA)에 명시된다. 사모펀드는 기업의 지분이나 자산을 인수하며, 레버리지 인수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기도 한다. 투자자들은 높은 초기 투자금과 유동성 부족, 투자 위험 등의 특징을 고려해야 하며, 성공적인 경우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IMF 외환 위기 이후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활성화되었으며, 디지털 전환 관련 투자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모펀드 - UBS
    UBS는 1862년 스위스에서 설립된 금융 회사로, 스위스 유니온 은행과 스위스 은행 코퍼레이션의 합병을 거쳐 현재의 UBS AG가 출범했으며,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 투자 은행, 자산 운용 등의 사업을 운영하며 크레디트 스위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 사모펀드 - 블랙스톤 그룹
    블랙스톤 그룹은 1985년에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투자 회사로, 사모 펀드, 부동산, 헤지 펀드, 크레딧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며 세계 최대의 사모 펀드 회사 중 하나이고, 힐튼 월드와이드, 레고랜드 등에 투자했으며 최근에는 일본 시장에도 진출했지만, 서던 크로스 헬스케어 인수 및 운영 과정에서 사회적 책임 논란이 있었다.
  • 금융시장 - 2023년 미국 은행 위기
    2023년 미국 은행 위기는 금리 인상, 채권 가격 하락, 암호화폐 시장 붕괴를 주요 원인으로, 실리콘밸리 은행 등 여러 은행의 파산으로 이어졌으며 미국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금융 규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금융시장 - 투기
    투기는 단기 시세 차익을 노리는 자산 매매 행위로, 투자 및 도박과의 경계가 모호하며 시장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지만 유동성 확보에 기여하기도 한다.
  • 투자 - 신흥 시장
    신흥 시장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 과도기 국가들의 시장을 지칭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빠른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특징으로 하지만 불균형, 환경 문제, 정치적 불안정 등의 과제도 안고 있어 투자 및 무역 관점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용어 정의와 적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투자 - 투자 전략
    투자 전략은 투자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의 위험 감수 수준, 투자 기간, 자본 규모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체계적인 계획으로, 소극적 투자와 적극적 투자 등 다양한 전략이 존재하며, 신중한 결정과 장기적인 계획 및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
사모펀드
기본 정보
유형대체 투자
하위 유형사모 펀드
사용 분야기업 금융
개요
정의비공개 기업에 투자하거나 공개 기업을 인수하여 비공개로 전환하는 투자 펀드.
경영 개선, 구조 조정 및 재무 개선을 통해 투자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
특징투자 기간이 길고 (일반적으로 4~7년).
유동성이 낮음.
높은 수익률을 추구함.
기관 투자자, 고액 자산가 등 제한된 투자자에게만 판매됨.
투자 전략
바이아웃 (Buyout)기존 주주로부터 기업의 경영권을 인수하는 전략
벤처 캐피털 (Venture Capital)초기 단계의 스타트업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
높은 위험과 높은 수익 가능성을 가짐.
성장 자본 (Growth Capital)성장 단계에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
사업 확장, 구조 조정, 인수 합병 (M&A) 등을 지원함.
구조 조정 (Turnaround)경영난에 처한 기업에 투자하여 회생시키는 전략.
운영 효율성 개선, 자산 매각, 구조 조정 등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임.
메자닌 투자 (Mezzanine Debt)부채와 자본의 중간 형태인 메자닌에 투자하는 전략.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함.
부실 채권 투자 (Distressed Debt)채무 불이행 상태에 있거나 그 위험이 높은 기업의 채권에 투자하는 전략.
높은 위험과 높은 수익 가능성을 가짐.
세컨더리 투자 (Secondary Investment)다른 투자자가 보유한 사모 펀드 지분을 인수하는 전략.
기존 펀드의 만기가 임박하거나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때 활용됨.
인프라 투자 (Infrastructure Investment)도로, 항만, 발전소 등 사회 기반 시설에 투자하는 전략.
장기적인 수익을 추구하며,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기대할 수 있음.
부동산 투자 (Real Estate Investment)상업용 부동산, 주거용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전략.
임대 수익, 부동산 가치 상승 등을 통해 수익을 얻음.
투자 과정
1단계펀드 조성 (Fundraising)
2단계투자 대상 발굴 (Deal Sourcing)
3단계실사 (Due Diligence)
4단계투자 결정 및 실행 (Investment Decision & Execution)
5단계가치 창출 (Value Creation)
6단계투자 회수 (Exit)
투자자
유형연기금
국부 펀드
보험 회사
기금
고액 자산가
패밀리 오피스
주요 운용사 (한국)
관련 법규 (한국)

2. 법적 구조와 용어

사모펀드 구조도


일반적인 사모펀드 구조도


대부분의 사모펀드는 유한책임사원조합 형태로 구성되며, 유한책임사원조합 계약서(LPA)에 명시된 조건에 따라 운영된다.[3] 이러한 펀드는 일반 사원(GP)이 연금 계획, 대학, 보험 회사, 재단, 기금 및 고액 순자산가와 같은 현금이 풍부한 기관 투자자로부터 자본을 조달하고, 이들은 펀드의 유한책임사원(LP)으로 투자한다.[4][5]

사모펀드와 사모투자회사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사모투자회사사모펀드사모펀드 포트폴리오 투자 (일부)
콜버그 크래비스 로버츠 & Co. (KKR)KKR 2006 펀드, L.P.
(176억달러 약정)
얼라이언스 부츠
달러 제너럴
에너지 퓨처 홀딩스
퍼스트 데이터
병원공사
닐슨 컴퍼니
NXP 반도체


2. 1. 파트너십 기간

파트너십은 일반적으로 10년의 고정 기간 투자 수단이며, 경우에 따라 몇 년 더 연장될 수 있다.[3]

2. 2. 관리 비용

유한책임사원조합 계약서(LPA)에 명시된 조건에 따라, 펀드 투자자들은 사모펀드 운용에 대한 대가로 펀드 매니저에게 연간 운영보수를 지급한다. 이 금액은 일반적으로 펀드 약정 자본의 1~2% 수준이다.[6]

2. 3. 분배 폭포

분배 폭포는 투자 수익을 유한책임사원(LP)과 일반 사원(GP)에게 분배하는 방식이다. 여기에는 우선 수익률(예: 8%)과 이익 분배(carried interest) 조항이 포함된다. 우선 수익률은 일반 사원이 이익 분배를 받기 전에 달성해야 하는 최소 수익률을 의미하며, 이익 분배는 우선 수익률을 초과하는 이익에 대해 일반 사원이 받는 몫(예: 20%)을 의미한다.[6]

2. 4. 펀드 지분 이전

사모펀드는 이전하거나 거래할 목적은 아니지만, 다른 투자자에게 이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전은 펀드 매니저(GP)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펀드 매니저의 재량에 달려 있다.[31]

2. 5. 일반 파트너에 대한 제한 사항

펀드 매니저는 투자를 결정하고 펀드의 업무를 통제할 수 있는 상당한 재량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한책임사원조합 계약(LPA)은 허용되는 투자의 유형, 규모, 지역적 집중, 그리고 매니저가 신규 투자를 할 수 있는 기간 등 특정한 제한과 통제를 포함한다.[32]

3. 금융 투자

사모펀드는 주로 기업(포트폴리오 회사)에 투자하며, 레버리지 인수(LBO) 방식을 활용하기도 한다. 수십억 달러 규모의 사모펀드가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지만, 중견기업에서도 큰 역할을 한다.[9]

레버리지 인수(LBO) 금융은 대부분 시중은행에서 발생하지만, 헤지펀드나 메자닌 펀드와 같은 다른 금융 기관들도 금융을 제공할 수 있다. 2007년 중반 이후 사모펀드에 대한 채무 조달은 예년보다 훨씬 더 어려워졌다.[10][11]

3. 1. 투자 대상

사모펀드는 주로 비상장 기업에 투자하지만, 상장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도 있다. 중견 기업, 대기업, 부실 기업 등 다양한 규모와 상황의 기업에 투자한다.[9] 이러한 투자는 유한책임사원(LP)으로부터 조달된 자본으로 이루어지며, 일부 또는 상당 부분이 부채로 조달될 수 있다. 일부 사모펀드 투자 거래는 레버리지 금융을 통해 높은 레버리지를 활용하기도 한다.[9]

3. 2. 투자 방식

사모펀드는 일반적으로 기업(포트폴리오 회사)에 투자한다. 이러한 투자는 유한책임사원(LP)으로부터 조달된 자본으로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 또는 상당 부분이 부채로 조달될 수 있다. 일부 사모펀드 투자 거래는 레버리지 금융을 통해 높은 레버리지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레버리지 인수(LBO)라고 한다. 포트폴리오 기업의 현금 흐름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부채 상환의 원천이 된다.[9]

이러한 LBO 금융은 대부분 시중은행에서 제공하지만, 헤지펀드 및 메자닌 펀드와 같은 다른 금융기관도 금융을 제공할 수 있다. 2007년 중반 이후로 사모펀드가 부채 금융을 조달하기가 이전보다 훨씬 어려워졌다.[10][11]

LBO 펀드는 일반적으로 펀드가 관리하는 새로 설립된 특수목적 인수 자회사를 통해, 그리고 때로는 여러 개의 유사한 펀드 컨소시엄을 통해 포트폴리오 기업의 대부분의 지분 또는 자산을 인수한다.[12][13]

3. 3. 배수와 가격

기업 인수 가격은 일반적으로 회사의 과거 수익의 배수를 기준으로 하며, 대부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을 기준으로 한다. 사모펀드의 배수는 포트폴리오 회사의 산업, 회사 규모, LBO 금융의 가용성에 크게 좌우된다.[14]

3. 4. 포트폴리오 회사 매각 (출구)

사모펀드의 궁극적인 목표는 투자 원금보다 높은 수익률(IRR, 내부수익률)을 얻고 포트폴리오 회사를 매각하여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투자 회수 방식은 역사적으로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38]

  • 기업공개(IPO)
  • 인수합병(M&A)을 통한 전략적 인수자(전략적 매수자)에게 매각 (일반 매각)[38]
  • 다른 사모펀드에 매각하는 방식 (2차 시장 거래)[37]


과거에는 포트폴리오 회사가 사모펀드에 우선주 배당을 하여 투자 자본을 상환하는 방식도 회수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때로는 추가 부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기도 했다.[39][40]

4. 투자 특징 및 고려 사항

사모펀드 투자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과 위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사모펀드는 기본적으로 비상장 회사에 투자하므로 상장 회사에 투자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높다.[21] 특히 초기 단계의 기업이나 재무 레버리지가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털 펀드의 경우 자본 손실 위험이 더 크다.[21] 투자자는 투자금을 모두 잃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4. 1. 실질적인 진입 요건

대부분의 사모펀드는 상당한 초기 투자금(보통 100만달러 이상)을 필요로 하여 개인 투자자의 접근이 어렵다. 투자자는 장기간 자본이 묶이는 것과 상당한 금액을 잃을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성공적인 펀드의 경우 연간 수익률이 최대 30%에 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23]

4. 2. 유한 유동성

사모펀드 투자는 유한책임사원 지분 투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비유동성 자산으로 간주된다.[19] 투자 후 운용사가 포트폴리오 투자를 실현하기 전까지는 투자금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투자자의 자본은 최대 12년 동안 장기 투자에 묶일 수 있다.[19] 배당은 투자가 현금화될 때만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유한책임사원은 매각을 요구할 권리가 없다.[19] 이러한 특징 때문에 사모펀드는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전통적인 증권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해야 한다.[19]

4. 3. 투자 통제

사모펀드 투자자 대부분은 수동적인 투자자이며, 투자 및 자금 회수는 운용사(GP)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사모펀드의 유한책임사원(LP)은 지배권이 거의 없다.[43] 그러나 상당한 투자를 한 유한책임사원은 특별한 권리와 투자 조건을 누릴 수도 있다.[43]

4. 4. 미지원 약속

투자자는 약정 금액을 한 번에 납입하지 않고, 제너럴 파트너(GP)의 요청에 따라 단계적으로 납입한다. 사모펀드 운용사가 적절한 투자 기회를 찾지 못하면 투자자의 약정을 인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 투자자는 예상하거나 약정한 것보다 적게 투자할 수도 있다.[4][10]

4. 5. 투자 위험

사모펀드 투자는 다른 투자 형태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고려 사항이 있으며, 투자 위험성이 존재한다.[44]

  • 높은 초기 투자금: 대부분의 사모펀드는 상당한 초기 투자금(일반적으로 100만달러 이상)을 요구하며, 운용사는 펀드 운영 초기 몇 년 동안 자유롭게 자금을 인출할 수 있다.[18]
  • 유동성 부족: 유한책임사원 지분 투자(사모펀드 투자의 주된 법적 형태)는 비유동성 자산으로 간주되며,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전통적인 증권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해야 한다. 투자 후에는 운용사가 포트폴리오 투자를 실현하기 전까지 투자금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투자자의 자본은 최대 12년 동안 장기 투자에 묶일 수 있다. 배당은 투자가 현금화될 때만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유한책임사원은 매각을 요구할 권리가 없다.[19]
  • 투자 관리: 사모펀드 투자자 대부분은 수동적인 투자자이며, 투자 및 자금 회수는 운용사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사모펀드의 유한책임사원의 지배권은 미미하다. 그러나 상당한 투자를 한 유한책임사원은 특별한 권리와 투자 조건을 누릴 수 있는 경우도 있다.[20]
  • 미지급 약정: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자의 약정은 일반사원이 투자자에게 자본을 요청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족된다. 사모펀드 운용사가 적절한 투자 기회를 찾지 못하면 투자자의 약정을 인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 투자자는 예상하거나 약정한 것보다 적게 투자할 수도 있다.[4][10]
  • 투자 위험: 사모펀드 투자에는 위험이 따르므로 투자자는 투자금을 모두 잃을 수 있다. 자본 손실 위험은 특히 초기 단계의 기업이나 재무 레버리지가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털 펀드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다. 본질적으로 비상장 회사에 대한 투자는 상장 회사에 대한 투자보다 위험성이 높다.[21]
  • 높은 수익률: 위에서 언급한 위험과 일치하게, 사모펀드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최고의 사모펀드 운용사는 공개 시장을 크게 능가한다.[22]


위와 같은 이유로 사모펀드 투자는 장기간 자본이 묶여 있더라도 감당할 수 있고 상당한 금액을 잃을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이러한 단점은 성공적인 펀드의 경우 연간 수익률이 최대 30%에 달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이점으로 상쇄된다.[23]

4. 6. 고수익

위험이 높은 만큼, 성공적인 투자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다.[22] 최고의 사모펀드 운용사들은 공개 시장을 크게 능가한다.[22] 이러한 단점은 성공적인 펀드의 경우 연간 수익률이 최대 30%에 달할 수 있다는 잠재적인 이점으로 상쇄된다.[23]

5. 한국의 사모펀드

IMF 외환 위기 이후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사모펀드가 도입되어 활성화되었다.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 및 매각 과정에서 발생한 '먹튀' 논란은 사모펀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었다.[24][25] 최근에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활용한 투자 전략을 추구하는 사모펀드도 등장하고 있다.

국내 주요 사모펀드 운용사로는 MBK 파트너스, IMM 프라이빗에쿼티, 한앤컴퍼니 등이 있다.

6. 주요 글로벌 사모펀드


  • 콜버그 크래비스 로버츠(KKR): LBO의 선구자로 잘 알려진 미국의 대표적인 PE 펀드이다.[24][25]
  • 블랙스톤 그룹(The Blackstone Group):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업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기업이다.
  • 카일 그룹(The Carlyle Group): 미국을 대표하는 대형 PE 펀드 중 하나이다.[26]
  • 베인캐피털(Bain Capital): 투자 대상 기업의 실적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는 미국의 대형 PE 펀드이다.
  • 포트레스 인베스트먼트 그룹: 미국의 대형 PE( 부동산) 펀드이다.
  • TPG캐피털(TPG Capital): 텍사스에 본사를 둔 미국의 대형 PE 펀드이다.
  • 서버러스 캐피털 매니지먼트(Cerberus Capital Management, L.P.): 미국의 사모 펀드 회사이다.
  •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Apollo Global Management): 금융 위기 이후 가장 큰 규모의 PE 펀드를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7]
  • 퍼미라 어드바이저스(Permira): 유럽의 대형 PE 펀드이다.
  • CVC 캐피털 파트너스(CVC Capital Partners): 씨티그룹 출신의 유럽계 대형 PE 펀드이다.

7. 참고 문헌

김태엽, Private Equity Fund영어 투자와 경영의 비밀, 세이코리아, 2024. ISBN 9791193239162

참조

[1] 논문 The economics of private equity funds
[2] 논문 The economics of the private equity market
[3] 논문 Private equity performance: Returns, persistence, and capital flows
[4] 서적 Private Equity Funds: Business Structure and Operations https://books.google[...] Law Journal Press 1999-01-01
[5] 서적 Investing in Private Equity Partnerships: The Role of Monitoring and Report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6-17
[6] 웹사이트 Private equity industry dictionary http://www.calpers.c[...] 2008-05-05
[7] 서적 Venture Capital and Private Equity Contracting: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3-08-21
[8] 논문 The Economics of Private Equity Funds
[9] 웹사이트 Selling Your Business: Why Private Equity Can Be The Best Buyer https://www.transact[...] 2017-07-01
[10] 서적 An Introduction to Investment Banks, Hedge Funds, and Private Equit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0-03-19
[11] 서적 Investment Banks, Hedge Funds, and Private Equit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2] 서적 Private Equity and Its Impact https://books.google[...] Nova Science Publishers
[13] 서적 Merger and Acquisition Sourcebook https://books.google[...] The Company
[14] 서적 International Private Equ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6-24
[15] 서적 Private Equity Exits: Divestment Process Management for Leveraged Buyout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03-21
[16] 서적 Merger Arbitrage: How to Profit from Event-Driven Arbitrag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7-01
[17] 서적 Private Equity and Venture Capital in Europe: Markets, Techniques, and Deal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9-11-20
[18] 서적 How to Protect Investors: Lessons from the EC and the U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1-21
[19] 서적 Private Equity Fund Investments: New Insights on Alignment of Interests, Governance, Returns and Forecasting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5-05-01
[20] 서적 Pratt's Guide to Private Equity Sources https://books.google[...] Thomson Venture Economics
[21] 서적 Research Handbook on Hedge Funds, Private Equity and Alternative Investment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2-01-01
[22] 서적 Valuing the Closely Held Firm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Raising Venture Capital Finance in Europe: A Practical Guide for Business Owners, Entrepreneurs and Investors https://books.google[...] Kogan Page Publishers 2007-04-03
[24] 뉴스 KKR、転んでもただでは起きぬ 自らが招いた信用収縮に乗じるたくましい商魂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07-08-31
[25] 문서 정확하게는 프라이빗·에쿼티·펀드의 참가자로, 특히 그 펀드의 경영 고문이 되는 프라이빗·에쿼티·펌
[26] 뉴스 カーライル、投資ファンドの知られざる実像 安達・日本共同代表に聞く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3-04-03
[27] 뉴스 米アポロ、5月までに新設ファンドで200億ドル調達へ-関係者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17-03-08
[28] 웹사이트 ハゲタカファンド:弱肉国を貪る強食企業 http://globalnewsvie[...] 2019-01-15
[29] 서적 Private Equity Funds: Business Structure and Operations / 사모펀드: 비즈니스 구조 및 운영 https://books.google[...] Law Journal Press 2020-08-28
[30] 서적 Investing in Private Equity Partnerships: The Role of Monitoring and Reporting / 사모펀드 파트너십에 투자: 모니터링 및 보고의 역할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6-17
[31] 서적 Venture Capital and Private Equity Contracting: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 벤처 캐피털 및 사모 계약: 국제적 관점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3-08-21
[32] 논문 The Economics of Private Equity Funds / 사모펀드의 경제학 https://academic.oup[...] 2010-06-01
[33] 서적 An Introduction to Investment Banks, Hedge Funds, and Private Equity / 투자은행, 헤지펀드, 사모펀드 소개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0-03-19
[34] 서적 Investment Banks, Hedge Funds, and Private Equity / 투자은행, 헤지펀드, 사모펀드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2-09-03
[35] 서적 Private Equity and Its Impact / 사모펀드와 그 영향 https://books.google[...] Nova Science Publishers
[36] 서적 Merger and Acquisition Sourcebook = 인수합병 소스북 https://books.google[...] The Company 2006
[37] 서적 International Private Equity = 국제적인 사모펀드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6-24
[38] 서적 Private Equity Exits: Divestment Process Management for Leveraged Buyouts = 사모펀드 출구: 차입매입에 대한 분할 프로세스 관리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03-21
[39] 서적 Merger Arbitrage: How to Profit from Event-Driven Arbitrage = 합병 차익거래: 이벤트 중심 차익거래 방법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7-01
[40] 서적 Private Equity and Venture Capital in Europe: Markets, Techniques, and Deals = 유럽의 사모 및 벤처 캐피털: 시장, 기술 및 거래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9-11-20
[41] 서적 How to Protect Investors: Lessons from the EC and the UK = 투자자를 보호하는 방법: EC와 영국의 교훈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1-21
[42] 서적 Private Equity Fund Investments: New Insights on Alignment of Interests, Governance, Returns and Forecasting = 투자자 보호 방법: EC 및 영국 사모펀드 투자로부터의 교훈: 이해관계, 거버넌스, 수익 및 예측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4-30
[43] 서적 Pratt's Guide to Private Equity Sources = 사모펀드에 대한 Pratt's 가이드 https://books.google[...] Thomson Venture Economics 2003
[44] 서적 Research Handbook on Hedge Funds, Private Equity and Alternative Investments = 헤지펀드, 사모펀드, 대체투자 연구 지침서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