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조영웅전 (201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조영웅전 (2017년)은 김용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로, 2017년 중국에서 처음 방영되었다. 1202년 정강의 변 이후를 배경으로 곽정과 양철심의 아들들이 성장하며 겪는 이야기를 그린다. 곽정을 비롯한 주요 인물들의 갈등과 성장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몽골 제국의 건국 과정과 무협 세계관을 결합하여 흥미로운 줄거리를 제공한다. 드라마는 중국 외에도 홍콩, 싱가포르 등 여러 지역에서 방영되었으며, 2017년 골든 구두오 미디어 어워드에서 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용 원작의 텔레비전 드라마 - 의천도룡기 (1986년 드라마)
《의천도룡기》는 1986년 홍콩에서 제작되어 양조위, 여미한, 등취문 등이 출연하고 KBS를 통해 한국에 방영된 김용의 동명 무협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TV 드라마로, 장무기를 중심으로 강호의 이야기와 등장인물들의 갈등을 그린다. - 김용 원작의 텔레비전 드라마 - 소오강호 (2001년 드라마)
소오강호 (2001년 드라마)는 김용의 소설을 원작으로, 2001년에 중국에서 제작된 무협 드라마이며, 리야펑, 허칭 등이 출연하고, 장기중이 프로듀서를 맡았으며, 원작 소설을 각색하여 제작되어 논란이 있었지만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 동방 위성 텔레비전의 텔레비전 드라마 - 후궁견환전
청나라 옹정제 시대 후궁의 권력 다툼 속에서 가문의 부흥을 위해 후궁에 들어간 견환이 황제의 총애와 궁중 암투를 거쳐 황태후가 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중국 드라마이다. - 동방 위성 텔레비전의 텔레비전 드라마 - 황진이 (2006년 드라마)
2006년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황진이》는 하지원이 황진이 역을 맡아 조선 시대 기생 황진이의 삶과 예술혼, 그리고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사랑받았다.
사조영웅전 (2017년)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射鵰英雄傳 (Shè Diāo Yīng Xióng Zhuàn) |
장르 | 무협 소설 |
방송 국가 | 중국 |
언어 | 중국어 (표준중국어) |
제작 | |
제작사 | 아이치이 |
프로듀서 | 우둔 |
방송 | |
방송 채널 | 드래곤 TV |
방송 기간 | 2017년 1월 9일 ~ 2017년 4월 17일 |
방송 횟수 | 52부작 |
회당 방영 시간 | 45분 |
스태프 | |
원작 | 김용의 사조영웅전 |
각본 | 선위천 |
감독 | 제프리 쟝 |
작곡가 | 조셉 쿠 |
출연 | |
주연 | 양쉬원 |
주제가 | |
오프닝 테마 | "我不歸去" (Wǒ bù guī qù, 나는 돌아가지 않겠다) - KaYee Tam |
촬영 정보 | |
촬영 장소 | 샹산 영화 및 텔레비전 도시 |
2. 등장인물
(내용 없음)
2. 1. 주요 인물
- 곽정 - 양욱문(楊旭文) 역 (아역: 동리무우)
- 황용 - 리이퉁(李一桐) 역
- 양강 - 진성욱(陳星旭) 역
- 목염자 - 멍쯔이(孟子義) 역
- 홍칠공 - 조립신(趙立新) 역
- 황약사 - 먀오차오웨이(苗僑偉) 역
- 구양봉 - 흑자(黑子) 역 (장용강)
- 일등대사 (단지흥) - 뤼량웨이(呂良偉) 역
- 주백통 - 녕문동(寧文彤) 역
- 왕중양 - 한동(韓棟) 역
- 가진악 - 왕쿠이롱(王奎栄) 역
- 주총 - 희신목(姫晨牧) 역
- 한보거 - 왕춘원(王春元) 역
- 남희인 - 마경경(馬京京) 역
- 장아승 - 신붕(信鵬) 역
- 전금발 - 용덕(龍徳) 역
- 한소영 - 초인(肖茵) 역
- 구처기 - 소봉(邵峰) 역
- 마옥 - 왕력(王力) 역
- 왕처일 - 왕강(王剛) 역
- 탄추돤 (담처단) - 조추생(趙秋生) 역
- 하오다통 (학대통) - 류위(劉威) 역
- 류추쉬안 (유처현) - 송도(宋涛) 역
- 손불이 - 조총(趙聡) 역
- 칭기즈 칸 (테무친) - 정빈휘(鄭斌輝) 역
- 툴루이 - 후예상(侯瑞祥) 역 (아역: 장쯔하오)
- 화쟁 (코진) - 대문문(代文雯) 역
- 제베 - 부천교(傅天驕) 역
- 주치 - 누오민다롱 역
- 차카타이 - 아이리쿠 역
- 오고타이 - 바오디 역
- 보르쿠 - 쑤리더 역
- 무칼리 - 안치얼 역
- 자무카 - 홍통바투 역
- 왕칸 - 우리지투 역
- 상쿤 - 바이사 역
- 두시 - 강더얼 역 (아역: 가오유양)
- 곽소천 - 소병(邵兵) 역
- 이평 - 증려(曾黎) 역
- 양철심 - 이종한(李宗翰) 역
- 포석약 - 류천함(劉芊含) 역
- 완안홍렬 - 종봉암(宗峰岩) 역
- 매초풍 - 미로(米露) 역
- 진현풍 - 장희래(張喜来) 역
- 구양극 - 류지양(劉智揚) 역
- 구천인 / 구천장 - 장일명(蒋一銘) 역
- 영고 (유영) - 장해의(張楷依) 역
- 윤지평 - 왕림(王林) 역
- 단천덕 - 여애뢰(余皚磊) 역
- 초목 (고목대사) - 후동강(侯桐江) 역
- 점창어은 - 후보(胡博) 역
- 초부 - 장로(張路) 역
- 무삼통 - 윤석(尹碩) 역
- 주자류 - 양진산(梁金山) 역
- 풍형 - 리이샤오(李依曉) 역
- 사고 (곡의 딸) - 하자동(夏梓桐) 역
- 육관영 - 궁정남(宮正楠) 역
- 정요가 - 수우몽(隋雨蒙) 역
- 육유교 - 송칭 역
- 육승풍 - 상성(常鋮) 역
- 령지 상인 - 임희홍(任希鴻) 역
- 양자옹 (량쯔웽) - 고옥경(高玉慶) 역
- 사통천 - 임이정(林以政) 역
- 후통해 (후통하이) - 고덕초(辜徳超) 역
- 팽련호 (팽연호) - 손호(孫皓) 역
- 완안홍희 - 차오양 역
- 팽로인 - 루선바오 역
- 간로인 - 판중화 역
- 량로인 - 류위 역
- 마청웅 - 자진 역
- 전청검 - 류타오타오 역
- 오청렬 - 자오솨이 역
- 심청강 - 판젠윈 역
- 위자오싱 - 쉬치항 역
- 이성 - 허궈쉬안 역
- 무함마드 2세 - 청류이 역
- 여문덕 - 양용원 역
2. 2. 조연
배역 | 배우 |
---|---|
곽정 | 양욱문 (William, 楊旭文) |
곽정 (아역) | 동리무우 |
황용 | 리이퉁 (李一桐) |
양강 | 진성욱 (陳星旭) |
목념자 | 멍쯔이 (孟子義) |
이평 | 증려 (曾黎) |
곽소천 | 소병 (邵兵) |
포석약 | 류천함 (Crystal, 劉芊含) |
양철심 | 이종한 (Calvin, 李宗翰) |
단천덕 | 여애뢰 (Ailei Yu, 余皚磊) |
초목대사 | 후동강 (侯桐江) |
일등대사 / 단지흥 | 뤼량웨이 (Ray Lui, 呂良偉) |
유영 / 영고 | 장해의 (張楷依) |
점창어은 | 후보 (胡博) |
초부 | 장로 (張路) |
무삼통 | 윤석 (尹碩) |
주자류 | 양진산 (梁金山) |
홍칠공 | 조립신 (赵立新) |
황약사 | 먀오차오웨이 (Michael Miu, 苗僑偉) |
풍형 | 리이샤오 |
구양봉 | 장용강 (黒子) |
주백통 | 녕문동 (寧文彤) |
왕중양 | 한동 (韓棟) |
완안홍렬 | 종봉암 (宗峰岩) |
매초풍 | 미루 (米露) |
구양극 | 류지양 (劉智揚) |
칭기즈 칸 / 테무친 | 테이 핑 후이 (鄭斌輝) |
툴루이 | 허루이샹 (侯瑞祥) |
툴루이 (아역) | 장쯔하오 |
화쟁 / 코진 | 다이원원 (代文雯) |
제베 | 푸톈자오 (傅天驕) |
주치 | 누오민다롱 |
차카타이 | 아이리쿠 |
오고타이 | 바오디 |
보르쿠 | 쑤리더 |
무칼리 | 안치얼 |
자무카 | 홍통바투 |
토그릴 / 왕칸 | 우리지투 |
상쿤 | 바이사 |
두시 | 강더얼 |
두시 (아역) | 가오유양 |
구처기 | 사오펑 (邵峰) |
마옥 | 왕리 (王力) |
왕처이 | 궈쥔 |
왕처일 | 왕강 (王剛) |
담처단 | 자오치우성 (趙秋生) |
학대통 | 류웨이 (劉威) |
유처현 | 쑹타오 (宋涛) |
손불이 | 자오총 (趙聡) |
가진악 | 왕쿠이롱 (王奎栄) |
주총 | 지천무 (姫晨牧) |
한보구 | 왕춘위안 (王春元) |
남희인 | 마징징 (馬京京) |
장아생 | 신펑 (信鵬) |
전금발 | 롱더 (龍徳) |
한소영 | 샤오인 (肖茵) |
구천인 / 구천장 | 장이밍 (蒋一銘) |
사고 / 곡의 딸 | 샤쯔통 (夏梓桐) |
육관영 | 궁정난 (宮正楠) |
정요가 | 쑤이유멍 (隋雨蒙) |
육유교 | 쑹칭 |
육승풍 | 창청 (常鋮) |
진현풍 | 장자라이 (張喜来) |
윤지평 | 왕린 (王林) |
영지상인 | 런시훙 (任希鴻) |
양자옹 | 가오위칭 (高玉慶) |
사통천 | 린이정 (林以政) |
후통해 | 구더차오 (辜徳超) |
팽련호 | 쑨하오 (孫皓) |
완안홍희 | 차오양 |
고목대사 | 허통장 |
초동산 | 후보 (胡博) |
장소수 | 장루 (張路) |
팽로인 | 루선바오 |
간로인 | 판중화 |
량로인 | 류위 |
마청웅 | 자진 |
전청검 | 류타오타오 |
오청렬 | 자오솨이 |
심청강 | 판젠윈 |
위자오싱 | 쉬치항 |
이성 | 허궈쉬안 |
무함마드 2세 | 청류이 |
여문덕 | 양용원 |
이 드라마는 김용의 소설 사조영웅전을 원작으로 하며, 김용이 소설을 마지막으로 개정한 이후 처음으로 제작된 각색 작품이다.[1][2]
혼돈 속 부귀공명을 쫓지 않고 대의를 위해 헌신한 영웅이었던 무림 고수들의 활약을 그린 드라마이다.
3. 제작진
프로듀서 궈징위(郭靖宇)는 2017년 1월 인터뷰에서 이전에 이미 10편 이상의 각색 작품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다시 드라마를 제작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최근 몇 년간 제작된 무협 드라마들에 대해 아쉬움을 느꼈으며, 자신이 즐겨 보았던 1983년 홍콩판 사조영웅전과 같은 작품을 젊은 시청자들을 위해 다시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 또한, 빠듯한 예산과 시간 제약 때문에 특수 효과 사용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배우들을 주연으로 캐스팅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고 언급했다.[3]
주요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역할 이름 원작 김용 (사조영웅전) 프로듀서 궈징위(郭靖宇) 감독 장자쥔(蒋家駿) 각본 선위천(沈昱辰), 왕쯔치(王自蹊), 자오웨이나(趙微娜), 쉬타오(徐涛) 무술 감독 류팡(劉方) 미술 감독 류징핑(劉京平) 의상 감독 관웨(関越) 음악 감독 하오이강(郝一剛) 주제가 "철혈단심" (작곡: 顧嘉輝 / 편곡: 胡皓)
4. 줄거리
4. 1. 1화 ~ 5화
1202년 정강의 변 이후 약 60년이 흐른 시점, 우가촌에 살던 곽소천과 양철심은 우연히 전진교의 도사 구처기를 만난다. 구처기는 송나라의 부패한 관리 왕도건(王道乾zho)을 처단하고 금나라 군사들에게 쫓기는 중이었다. 곽소천과 양철심은 구처기를 숨겨주고, 그의 의로운 행동에 감탄하여 의형제를 맺는다. 구처기는 곧 태어날 두 사람의 아이들에게 각각 '곽정', '양강'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이름이 새겨진 단검을 선물한다. 곽소천의 아내 이평과 양철심의 아내 포석약은 기념으로 단검을 교환한다. 그날 밤, 포석약은 부상을 입고 헛간에 숨어든 금나라의 왕자 완안홍렬을 발견하고 치료해준다.[4][5]
3개월 후, 포석약에게 연정을 품게 된 완안홍렬은 남송의 관리 단천덕을 매수하여 우가촌을 습격하게 한다. 이 습격으로 곽소천은 살해당하고, 양철심은 절벽 아래로 떨어져 행방불명된다. 이평은 단천덕에게 포로로 잡히고, 포석약은 완안홍렬에게 구출되어 금나라로 가게 된다. 뒤늦게 우가촌으로 돌아온 구처기는 참상을 목격하고 복수를 다짐한다. 구처기의 추격을 두려워한 단천덕은 이평을 데리고 가흥의 법화사(法華寺)로 숨어든다. 구처기는 법화사까지 쫓아가지만, 주지승 자목 대사와 강남칠괴가 단천덕을 비호하면서 싸움이 벌어진다. 치열한 싸움 끝에 오해가 풀리고, 강남칠괴는 구처기와 함께 단천덕을 처단하려 하지만 그는 이미 이평을 데리고 도주한 후였다. 구처기와 강남칠괴는 곽소천과 양철심의 후손들을 각각 찾아 무예를 가르친 뒤, 18년 후 취선루(醉仙楼)에서 비무를 통해 승부를 가리기로 약속한다.
한편, 단천덕에게서 탈출한 이평은 북쪽의 몽골 설원에서 아들 곽정을 낳고, 유목민들에게 구조되어 테무친(훗날의 칭기즈 칸)의 부족에 의탁하게 된다. 곽정은 몽골에서 자라면서 테무친의 아들 툴루이와 의형제를 맺고, 활의 명수 제베를 만나 그에게 활쏘기와 승마를 배운다. 곽정은 순박하고 의협심 강한 소년으로 성장하며 테무친의 신임을 얻는다. 어느 날, 곽정은 테무친에게 쫓기던 제베를 숨겨주었고, 이 인연으로 제베는 테무친의 수하가 되어 곽정과 툴루이의 스승이 된다. 이후 몽골 초원을 방문한 금나라의 완안홍렬과 그의 형 완안홍희가 오만한 태도를 보이자, 어린 곽정은 그들에게 반항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시간이 흘러 강남칠괴는 곽정을 찾아 몽골에 도착한다. 그들은 우여곡절 끝에 곽정을 찾아내 제자로 삼지만, 곽정의 무예 자질이 뛰어나지 않아 고된 수련을 시킨다. 그러던 중 강남칠괴는 잔혹한 살인 행각을 벌이는 '흑풍쌍살' 진현풍과 매초풍 부부를 만나 결투를 벌인다. 이 싸움에서 강남칠괴 중 장아생이 희생되고, 곽정은 우연히 진현풍의 약점을 찔러 그를 죽이게 된다. 곽정은 또한 테무친의 딸 화정과 가까운 친구가 되고, 뛰어난 활솜씨로 테무친의 총애를 받는다. 어느 날 밤, 곽정은 우연히 전진교의 도사 마유를 만나 도움을 받고, 그의 가르침을 받아 내공 수련을 시작한다. 낮에는 강남칠괴에게 외공을, 밤에는 마유에게 내공을 배우면서 곽정의 무공은 일취월장한다.
곽정의 무공 성장에 의문을 품은 강남칠괴는 곽정을 미행하다가 매초풍이 사악한 무공인 '구음백골조'(九阴白骨爪zho)를 연마하는 것을 목격한다. 한편, 테무친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경계한 상쿤, 자무카, 그리고 완안홍렬은 테무친을 암살할 음모를 꾸민다. 곽정은 우연히 이들의 음모를 엿듣고 화정을 통해 테무친에게 알린다. 테무친은 상쿤의 함정에 빠져 위기에 처하지만, 곽정의 활약과 제베, 툴루이 등의 도움으로 위기를 벗어난다. 이 과정에서 곽정은 상쿤의 아들 두시를 사로잡는 공을 세운다.
테무친은 자신을 배신한 의형제 자무카와 결별하고, 상쿤과의 결전을 준비한다. 곽정과 제베는 화정을 상쿤의 진영으로 호위하는 임무를 맡는다. 두시의 막사에서 화정은 곽정에게 사랑을 고백하지만, 술에 취해 들어온 두시가 이를 보고 질투심에 곽정을 공격한다. 화정은 곽정을 구하기 위해 단검으로 두시를 찔러 죽인다. 때마침 제베가 상쿤의 진영에 불을 지르고, 테무친이 군대를 이끌고 총공격을 감행하여 상쿤 세력을 격파한다. 이 승리로 테무친은 몽골 부족을 통일하고 '칭기즈 칸'으로 추대된다. 칭기즈 칸은 곽정의 공을 높이 사 그를 천호장으로 임명하고, 자신의 딸 화정과의 혼인을 약속한다.
18년의 기한이 다가오자, 곽정과 강남칠괴는 중원으로 돌아갈 준비를 한다. 몽골을 떠나 남쪽으로 향하던 곽정은 길에서 남장한 영리한 소녀를 만나 도움을 주고, 그녀에게 푸짐한 식사를 대접한다. 이 소녀가 바로 황용이다.
5. 평가 및 반응
2017년 제2회 골든 구두오 미디어 어워드에서 최고 품질의 네트워크 & 웹 시리즈 상을 수상했다.[7]
아래는 드래곤 TV에서 방영된 본 드라마의 CSM52 시청률이다.[6]
방송 날짜 | 회차 | 드래곤 TV CSM52 시청률 | |
---|---|---|---|
시청률 | 시청 점유율 | ||
2017.1.9 | 1-2 | 0.532 | 2.896 |
2017.1.10 | 3-4 | 0.65 | 3.514 |
2017.1.16 | 5-6 | 0.653 | 3.488 |
2017.1.17 | 7-8 | 0.513 | 2.680 |
2017.1.23 | 9-10 | 0.648 | 3.267 |
2017.1.24 | 11-12 | 0.675 | 3.290 |
2017.2.6 | 13-14 | 0.466 | 2.253 |
2017.2.7 | 15-16 | 0.613 | 2.998 |
2017.2.13 | 17-18 | 0.502 | 2.798 |
2017.2.14 | 19-20 | 0.446 | 2.517 |
2017.2.20 | 21-22 | 0.445 | 2.527 |
2017.2.21 | 23-24 | 0.554 | 3.076 |
2017.2.27 | 25-26 | 0.549 | 3.312 |
2017.2.28 | 27-28 | 0.424 | 2.489 |
6. 음악
- ''철혈단심''(铁血丹心|톄쉐단신중국어, A Bulletproof Heart): 이 시리즈의 오프닝 및 엔딩 테마곡이다. 고가휘가 작곡했으며, 본래 1983년 홍콩 텔레비전 드라마 《사조영웅전》의 오프닝 테마곡이었다. 원곡은 담영린과 증경이 광둥어로 불렀으나, 2017년 버전에서는 가사가 없는 기악 버전으로 사용되었다.
- ''애과수''(爱过谁|아이궈셰이중국어, Loved Who): 왕사문이 작곡하고 상문jie가 부른 삽입곡이다.
- ''강호천하''(江湖天下|장후톈샤중국어, The Pugilistic World): 담소총이 작곡하고 상문jie가 부른 삽입곡이다.
- ''검혼''(剑魂|젠훈중국어, Soul of the Sword): 왕사문이 작곡하고 이위가 부른 삽입곡이다.
- ''사조영웅''(射鵰英雄|서댜오잉슝중국어, Legend of the Condor Heroes): TVB 방영분의 오프닝 테마곡으로 호홍준이 불렀다 (확정되지 않음).
- ''오불귀거''(我不歸去|워부구이취중국어, I Won't Return): TVB 방영분의 엔딩 테마곡으로 담가이가 불렀다.
7. 한국 방영
2017년 11월에 맥스엄(MAXAM)에서 DVD가 발매되었다. 이후 2018년 1월부터 채널 NECO에서 방송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射雕英雄传》顺利杀青 恩仇江湖共赴甲子之约 ["The Legend of the Condor Heroes" Completes Shooting]
http://nb.ifeng.com/[...]
2016-09-02
[2]
웹사이트
《射鵰英雄傳》殺青 楊旭文李一桐赴約 ["The Legend of the Condor Heroes" Completes Shooting: Yang Xuwen and Li Yitong Meet Up]
http://dailynews.sin[...]
2016-08-29
[3]
웹사이트
新《射雕》监制:大明星请不起 档期不给够 还要抠像 [Interview with the producer of "The Legend of the Condor Heroes"]
http://yule.sohu.com[...]
2017-01-11
[4]
뉴스
新射雕英雄传曝海报 将于2017年1月9日登陆东方卫视
http://fun.youth.cn/[...]
2017-01-03
[5]
뉴스
新《射雕》演员背景:穆念慈黄蓉全是整容脸?
http://fj.people.com[...]
2017-01-26
[6]
웹사이트
电视剧收视率排行榜 {{!}} 收视率排行
http://www.tvtv.hk/a[...]
2020-06-07
[7]
웹사이트
2017金骨朵网络影视盛典 吴秀波谭松韵喜夺金骨朵
http://ent.people.co[...]
2017-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