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하구는 부산의 서남단에 위치한 구로, 1983년 서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동래군 사천면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부산부 사하면으로 편입되었다. 198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6개 행정동과 8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낙동강 하구와 인접하여 지리적으로 서부산의 중심에 위치하며, 신평·장림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산업 경제가 발달했다. 다대포 해수욕장,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을숙도 등 관광 명소와 동아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가며, 안성시, 화순군, 상하이시 자베이 구, 톈진시 둥리 구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사하구의 행정 구역 - 괴정동 (부산)
괴정동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승학산 등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으로 선사시대부터 거주하기 좋은 조건을 갖춘 곳으로,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 부산 사하구의 행정 구역 - 다대동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위치한 다대동은 조선시대 동래군에서 유래하여 부산시에 편입되었으며, 다대포항과 남형제섬, 그리고 통일아시아드 공원과 꿈의 낙조분수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지역이다. - 부산 사하구 - 다대포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위치한 다대포항은 무역, 공업, 어촌 관광 등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하며 통일아시아드 공원 조성과 다대포 어항축제 개최를 통해 지역 관광 명소로 발전했고, 다대포 해수욕장과 연계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부산 사하구 - 부산광역시립사하도서관
1984년 개관한 부산광역시립사하도서관은 다양한 자료실 운영, 정보화 시스템 구축, 작은도서관 운영 등을 통해 지역 주민의 문화·교육·정보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는 공공도서관이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사하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사하구 |
한자 표기 | 沙下區 |
로마자 표기 | Saha-gu |
맥큔-라이샤워 표기 | Saha-ku |
지역 | 영남 |
광역시 | 부산광역시 |
행정 구역 | 16개 행정동 |
면적 | 41.77 km² |
인구 (2024년) | 292,717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방언 | 경상 방언 |
웹사이트 | 사하구청 |
![]() | |
정치 | |
구청장 | 이갑준(국민의힘) |
국회의원 (갑) | 이성권(국민의힘) |
국회의원 (을) | 조경태(국민의힘) |
하위 행정 구역 | |
법정동 | 8개 |
행정동 | 16개 |
상징 | |
구목 | 회화나무 |
구화 | 장미 |
구조 | 고니 |
기타 | |
행정구역분류 코드 | 21100 |
2. 역사
조선시대에는 경상도 동래군(東萊郡)[7] 사천면(沙川面)에 속한 지역이었는데, 사천면을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으로 각각 구분하게 되었고, 이후 사천면 상단 지역은 동래군 사상면이 되고, 하단 지역은 '''동래군 사하면'''이 되었다.[8]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7호로 '''부산부 사하면'''이 되었다.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로 사하면 암남리를 부산부에 편입하였다. 1942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242호로 부산부에 편입되면서 사하출장소가 설치되었다.[9]
1951년 9월 1일 한국전쟁 당시 부산시 서부출장소 사하지소로 개칭되었다. 1957년 1월 1일 구제실시로 부산시 서구 사하출장소로 개칭되었다. 1963년 1월 1일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되었고, 1975년 10월 1일 부산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되었다. 1983년 12월 15일 서구 괴정동, 당리동, 하단동, 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구평동, 감천동과 북구 대저2동 을숙도, 일웅도를 관할로 사하구가 신설되었다.[10] 1988년 5월 1일 자치구가 되었고, 1991년 5월 15일 부산직할시 사하구의회가 개원하였다.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사하구가 되었다.
2. 1.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조선시대에는 경상도 동래군 사천면(沙川面)에 속했으며, 사천면은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으로 구분되었다.[8] 이후 사천면 상단 지역은 동래군 사상면이 되고, 하단 지역은 동래군 사하면이 되었다.[8]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7호에 따라 부산부 사하면이 되었다.[9]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에 따라 사하면 암남리가 부산부에 편입되었다.[9] 1942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242호에 따라 부산부에 편입되면서 사하출장소가 설치되었다.[9]2. 2. 해방 이후 ~ 현재
조선시대에는 경상도 동래군(東萊郡) 사천면(沙川面)에 속한 지역이었는데, 사천면을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으로 각각 구분하게 되었고, 이후 사천면 상단 지역은 동래군 사상면이 되고, 하단 지역은 '''동래군 사하면'''이 되었다.[8]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7호로 '''부산부 사하면'''이 되었다.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로 사하면 암남리를 부산부에 편입하였다. 1942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242호로 부산부에 편입되면서 사하출장소가 설치되었다.[9]1951년 9월 1일 한국전쟁 당시 부산시 서부출장소 사하지소로 개칭되었다.[10] 1957년 1월 1일 구제실시로 부산시 서구 사하출장소로 개칭되었다.[10] 1963년 1월 1일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되었고,[10] 1975년 10월 1일 부산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되었다.[10] 1983년 12월 15일 서구 괴정동, 당리동, 하단동, 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구평동, 감천동과 북구 대저2동 을숙도, 일웅도를 관할로 사하구가 신설되었다.[10] 1988년 5월 1일 자치구가 되었고,[10] 1991년 5월 15일 부산직할시 사하구의회가 개원하였다.[10]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사하구가 되었다.[10]
3. 지리
부산의 서남단에 자리잡고 있는 사하는 장군봉, 천마산, 아미산, 시약산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서구와 접하고 있으며 낙동강을 경계로한 서쪽에는 강서구, 구덕산 서쪽 능선과 승학산 줄기를 경계로 북쪽에는 사상구, 그리고 남쪽으로 남해와 접하고 있어 서부산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11] 지형은 대체적으로 단층지형으로 단층산지, 단층곡지, 단층해안 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11] 낙동정맥의 줄기인 시약산에서 발원한 괴정천은 싸리골을 시작으로 괴정동을 반월형으로 감싸며 당리로 내려오다 승학산에서 내려오는 당리천과 만나 하단을 지나 낙동강으로 들어가는 하천이었으나 교통난 해소를 위한 복개도로 건설로 지금은 그 모습이 낙동강 하구쪽으로 일부만 남아 있다.[11] 천마산 줄기인 장군반도와 낙동강변 산줄기인 두송반도 사이의 감천만은 대부분 암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지금은 감천항 종합개발사업 추진으로 매립되어 화물 전용부두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으며 동아시아 최대 국제 수산물 시장이될 부산국제 수산물 거래소가 개설될 예정이다.[11]
3. 1. 지형
부산의 서남단에 자리잡고 있는 사하는 장군봉, 천마산, 아미산, 시약산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서구와 접하고 있으며 낙동강을 경계로한 서쪽에는 강서구, 구덕산 서쪽 능선과 승학산 줄기를 경계로 북쪽에는 사상구, 그리고 남쪽으로 남해와 접하고 있어 서부산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11] 지형은 대체적으로 단층지형으로 단층산지, 단층곡지, 단층해안 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11] 낙동정맥의 줄기인 시약산에서 발원한 괴정천은 싸리골을 시작으로 괴정동을 반월형으로 감싸며 당리로 내려오다 승학산에서 내려오는 당리천과 만나 하단을 지나 낙동강으로 들어가는 하천이었으나 교통난 해소를 위한 복개도로 건설로 지금은 그 모습이 낙동강 하구쪽으로 일부만 남아 있다.[11] 천마산 줄기인 장군반도와 낙동강변 산줄기인 두송반도 사이의 감천만은 대부분 암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지금은 감천항 종합개발사업 추진으로 매립되어 화물 전용부두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으며 동아시아 최대 국제 수산물 시장이될 부산국제 수산물 거래소가 개설될 예정이다.[11]3. 2. 기후
사하구는 온대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해안성 기후의 영향으로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가 비교적 적다. 봄철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씨가 많으나, 양자강 부근에서 발생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잦은 비가 내리기도 한다.[11] 여름철에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 사이에 형성된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으며, 이후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고온 다습한 날씨를 나타낸다. 태풍 이동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태풍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11] 가을철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씨가 많다.[11] 겨울철에는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한랭 건조하며 북서 계절풍이 불지만,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비교적 온화하다.[11]4. 행정 구역
사하구는 16개 행정동과 8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2]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괴정1동 | 槐亭洞 | 1.09 | 8,042 | 21,796 |
괴정2동 | 1.03 | 6,560 | 17,309 | |
괴정3동 | 1.90 | 6,156 | 14,985 | |
괴정4동 | 0.87 | 6,446 | 16,761 | |
당리동 | 堂里洞 | 3.87 | 10,976 | 30,823 |
하단1동 | 下端洞 | 5.06 | 8,866 | 24,706 |
하단2동 | 3.08 | 10,915 | 28,441 | |
신평1동 | 新平洞 | 1.65 | 8,354 | 20,204 |
신평2동 | 2.65 | 6,024 | 17,175 | |
장림1동 | 長林洞 | 2.53 | 6,146 | 15,907 |
장림2동 | 2.30 | 11,083 | 31,701 | |
다대1동 | 多大洞 | 6.50 | 16,786 | 46,575 |
다대2동 | 2.69 | 11,213 | 30,356 | |
구평동 | 舊平洞 | 3.48 | 2,541 | 7,009 |
감천1동 | 甘川洞 | 2.38 | 9,332 | 25,747 |
감천2동 | 0.62 | 4,429 | 10,155 | |
사하구 | 沙下區 | 41.70 | 133,869 | 359,651 |
사하구는 8개의 법정동(괴정동, 당리동, 하단동, 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구평동, 감천동)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다시 16개의 행정동으로 나뉜다.
행정동 | 법정동 |
---|---|
괴정제1동 | 괴정동 |
괴정제2동 | |
괴정제3동 | |
괴정제4동 | |
감천제1동 | 감천동 |
감천제2동 | |
당리동 | 당리동 |
하단제1동 | 하단동 |
하단제2동 | |
신평제1동 | 신평동 |
신평제2동 | |
장림제1동 | 장림동 |
장림제2동 | |
다대제1동 | 다대동 |
다대제2동 | |
구평동 | 구평동 |
4. 1. 행정동 및 법정동 목록
사하구의 행정 구역은 16개 행정동, 433통, 2,598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41.70km²이며, 2011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세부 현황은 다음과 같다.[12]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괴정1동 | 槐亭洞 | 1.09 | 8,042 | 21,796 |
괴정2동 | 1.03 | 6,560 | 17,309 | |
괴정3동 | 1.90 | 6,156 | 14,985 | |
괴정4동 | 0.87 | 6,446 | 16,761 | |
당리동 | 堂里洞 | 3.87 | 10,976 | 30,823 |
하단1동 | 下端洞 | 5.06 | 8,866 | 24,706 |
하단2동 | 3.08 | 10,915 | 28,441 | |
신평1동 | 新平洞 | 1.65 | 8,354 | 20,204 |
신평2동 | 2.65 | 6,024 | 17,175 | |
장림1동 | 長林洞 | 2.53 | 6,146 | 15,907 |
장림2동 | 2.30 | 11,083 | 31,701 | |
다대1동 | 多大洞 | 6.50 | 16,786 | 46,575 |
다대2동 | 2.69 | 11,213 | 30,356 | |
구평동 | 舊平洞 | 3.48 | 2,541 | 7,009 |
감천1동 | 甘川洞 | 2.38 | 9,332 | 25,747 |
감천2동 | 0.62 | 4,429 | 10,155 | |
사하구 | 沙下區 | 41.70 | 133,869 | 359,651 |
사하구는 8개의 법정동(괴정동, 당리동, 하단동, 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구평동, 감천동)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다시 16개의 행정동으로 나뉜다.
행정동 | 법정동 |
---|---|
괴정제1동 | 괴정동 |
괴정제2동 | |
괴정제3동 | |
괴정제4동 | |
감천제1동 | 감천동 |
감천제2동 | |
당리동 | 당리동 |
하단제1동 | 하단동 |
하단제2동 | |
신평제1동 | 신평동 |
신평제2동 | |
장림제1동 | 장림동 |
장림제2동 | |
다대제1동 | 다대동 |
다대제2동 | |
구평동 | 구평동 |
4. 2. 역대 구청장
역대 사하구청장 목록은 사하구청장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사하구청장 선거에 대한 내용은 사하구청장 선거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5. 인구
사하구의 인구는 1980년 208,787명에서 1995년 380,489명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2000년대 들어 감소 추세로, 2020년 기준 총인구는 311,757명이다.
연도 | 총인구 |
---|---|
1980년 | 208,787명 |
1985년 | 271,124명 |
1990년 | 342,647명 |
1995년 | 380,489명 |
2000년 | 374,476명 |
2005년 | 358,514명 |
2010년 | 340,844명 |
2015년 | 334,762명 |
2020년 | 311,757명 |
6. 산업
부산의 서남단 낙동강 하구에 자리 잡은 사하구는 김해공항, 감천항, 남해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와 인접한 서부산의 관문이자 신평·장림산업단지를 축으로 하는 부산 산업경제의 중심지이다. 전통적으로 물자가 집산되었던 낙동강 하구 하단을 제외하면 소외된 지역으로 일제시대 분뇨처리장이 설치되었고, 한국전쟁 때에는 피난민이 판자촌을 만들어 집단 거주했던 변두리 지역이었다. 사하구가 부산 서쪽의 관문이자 산업기지로 탈바꿈하기 시작한 것은 박정희 정권기 경제개발과 함께 시작되었다. 1960년대초 감천화력발전소(현재의 한국남부발전(주) 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 건설은 사하구의 산업기지로서의 발전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이어서 1970년대에는 산업기지 건설을 위한 기초 인프라 확충이 전개되었다. 서대신동과 괴정동을 있는 대티터널이 뚫리고, 괴정동에서 북구 엄궁동을 거쳐 남해고속도로와 김해공항까지 연결되는 낙동로가 확장·포장되는 한편으로 주요 간선도로인 다대로, 감천로가 확장되고 도시발전의 걸림돌이었던 분뇨처리장이 이전되면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사회 인프라가 갖춰지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이주해오고 공장이 들어섰다. 괴정과 하단 지역의 구획정리사업으로 많은 농경지가 주택지로 정비된 것은 사람들의 이주를 가속화시켰고, 준공업 지역으로 지정되었던 것은 공장의 설립, 이주를 보다 활성화시켰다. 사하구가 이웃 사상공업단지와 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의 위치로 부상했던 것도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었다. 이를 통해 사하구는 지역 변두리에서 차츰 시가지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13]
6. 1. 산업 단지
신평·장림산업단지를 중심으로 1,200여 개의 제조업체가 사하구에 위치해 있다.[13] 사하구는 김해공항, 감천항, 남해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와 인접한 서부산의 관문이자 부산 산업경제의 중심지이다.[13] 1960년대 초 감천화력발전소(현재의 한국남부발전(주) 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 건설은 사하구의 산업기지로서의 발전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13]6. 2. 수산업
국가어항인 다대포항과 감천항이 위치해 있다. 감천항에는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제 수산물 거래소가 개설될 예정이다.7. 관광
- 다대포 해수욕장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는 지름 60m, 최대 물높이 55m, 물 분사 노즐 수 1046개, 조명 511개, 소분수 24개 등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바닥음악분수이다.[14]
-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부산광역시 북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 일원으로 1966년 7월 13일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었다. 낙동강 유역 일대는 옛날부터 유명한 철새도래지로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그 유역은 사하구 다대동에서 장림동, 하단동을 경유하여 북구 금곡동에 이르기까지, 또 서쪽으로는 강서구 명지동과 가덕도동을 포함한 광활한 낙동강 하류 일대의 공유수면 일대까지 퍼져있다.[15]
낙동강하구에 삼각주로 이루어진 섬으로 갈대밭과 수초가 무성하고 어패류가 풍부하여 철새들의 보금자리이기도 한 이곳은 낙동강 하구둑 다리 건설로 교통이 편리하여 찾는 사람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을숙도 상단부에는 넓은 주차장, 문화회관, 자동차 전용극장, 야외공연장, 인라인 스케이트장, 간이축구장, 잔디광장, 휴게소 등 각종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가족 단위의 산책 장소 및 단체모임의 장소로 안성맞춤이다.[15]
7. 1. 자연 관광
- 다대포 해수욕장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바닥음악분수인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가 있다. 지름 60m, 최대 물높이 55m, 물 분사 노즐 수 1046개, 조명 511개, 소분수 24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4]
-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는 부산광역시 북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 일원에 걸쳐 있으며, 1966년 7월 13일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었다.[15] 낙동강 유역은 예로부터 철새 도래지로 유명하며, 사하구 다대동에서 장림동, 하단동을 거쳐 북구 금곡동, 서쪽으로는 강서구 명지동과 가덕도동을 포함하는 광활한 낙동강 하류 일대 공유수면까지 뻗어 있다.[15]
- 을숙도는 낙동강 하구에 있는 삼각주 섬으로, 갈대밭과 수초가 무성하고 어패류가 풍부하여 철새들의 보금자리이다.[15] 낙동강 하구둑 다리 건설로 교통이 편리해져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으며, 을숙도 상단부에는 문화회관, 자동차 전용극장, 야외공연장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가족 단위 산책 및 단체 모임 장소로 적합하다.[15]
7. 2. 문화 관광
다대포 해수욕장에 있는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바닥음악분수이다.[14]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는 1966년 7월 13일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었다.[15] 낙동강 유역은 사하구 다대동에서 장림동, 하단동을 경유하여 북구 금곡동에 이르기까지, 또 서쪽으로는 강서구 명지동과 가덕도동을 포함한 광활한 낙동강 하류 일대의 공유수면 일대까지 퍼져있다.[15] 을숙도는 낙동강하구에 삼각주로 이루어진 섬으로, 을숙도 상단부에는 넓은 주차장, 문화회관, 자동차 전용극장, 야외공연장, 인라인 스케이트장, 간이축구장, 잔디광장, 휴게소 등 각종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15]
감천문화마을은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형성한 마을로, 독특한 경관과 예술 작품으로 유명하다.
8. 교육
사하구에는 사립 대학교인 동아대학교와 사립 전문대학인 부산보건대학교, 동주대학교가 있다.
사하구에는 여러 공립/사립 고등학교와 특수학교가 있다. 자세한 목록은 부산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라.
8. 1. 대학교
사하구에는 사립 대학교인 동아대학교와 사립 전문대학인 부산보건대학교, 동주대학교가 있다.8. 2. 고등학교
사하구에는 여러 공립/사립 고등학교와 특수학교가 있다. 자세한 목록은 부산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라.9. 교통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는 다대포해수욕장역, 다대포항역, 낫개역, 신장림역, 장림역, 동매역, 신평역, 하단역, 당리역, 사하역, 괴정역, 대티역이 있다.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한다.
9. 1.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는 다대포해수욕장역, 다대포항역, 낫개역, 신장림역, 장림역, 동매역, 신평역, 하단역, 당리역, 사하역, 괴정역, 대티역이 있다.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한다.10. 자매 도시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자베이 구와 톈진시 둥리 구가 사하구와 자매결연 도시이다. 둥리 구와는 2009년 10월 19일에 자매결연을 맺었다.
10. 1. 국내
경기도 안성시, 전라남도 화순군과 1998년 12월 15일 자매결연을 맺었다.10. 2. 해외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자베이 구와 톈진시 둥리 구가 사하구와 자매결연 도시이다. 둥리 구와는 2009년 10월 19일에 자매결연을 맺었다.
11.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웹사이트
沙下区公式サイト
http://www.saha.go.k[...]
2011-01-24
[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PDF
사하이야기
http://www.saha.go.k[...]
[7]
일반
[8]
일반
[9]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사하구 연혁
http://www.saha.go.k[...]
2013-06-07
[10]
법률
대통령령 제11248호 부산직할시사하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1983-10-08
[11]
웹사이트
사하구 위치 / 자연환경
http://www.saha.go.k[...]
2013-06-07
[12]
웹사이트
제33회 통계연보
http://www.saha.go.k[...]
사하구청
2014-02-24
[13]
PDF
사하구지 - 제6장 경제와 산업
http://www.saha.go.k[...]
[14]
뉴스
[사진] 부산 다대포 국내 최대 음악분수
http://life.joins.co[...]
중앙일보사
2009-06-15
[15]
PDF
사하구지, 제4장 문화유산과 관광
http://www.saha.go.k[...]
2013-06-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윤밴 초청 ‘노무현 추모음악회’가 정치적 행사?…을숙도문화회관 대관 거절
부산 2개 학교서 잇단 억대 횡령…경찰 수사 착수
10년 넘게 복원공사했는데 오수 배출되는 다대포 해수욕장
‘서부산권’ 외국인 노동자 안전·처우개선 위해 뭉친 ‘하이파이브’
포스코이앤씨 ‘더샵 당리센트리체’ 견본주택 25일 개관
‘미분양 무덤’ 부산도 분양가는 자고나면 오르네
부산서 여자친구 흉기로 찌른 40대…익산 당구장서 체포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등 4월 전국 2만3730가구 분양
집행유예 기간 새끼 고양이 때리고 물고문…30대 법정구속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찾아가는 영화 상영회 열어
결혼축하금 2천만 원…부산 사하구판 '나는솔로' 파격 지원
이재성 민주당 2호 인재 “다대포, e스포츠 새로운 성지로 만들겠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