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꼭대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상은 상당한 돌출도와 고립도를 가진 산의 가장 높은 지점을 의미한다. 국제산악연맹(UIAA)에서는 30미터 이상의 돌출도를 가진 지점을 독립적인 산정으로, 300미터 이상을 산으로 정의한다. 빙식첨봉과 같은 침식 지형이 정상의 형태를 만들기도 하며, 도로, 고속도로, 철도 등의 최고 지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 - 국제 산의 날
국제 산의 날은 매년 12월 11일로, 지속 가능한 산악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념하기 위해 유엔 총회에서 지정되었다. - 산 - 탁상지
- 지지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지지학 - 표고 (높이)
표고는 지리학에서 지표면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평균 해수면을 0미터로 하여 측정한 높이를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도쿄만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표기하는 문제점이 있어 고유의 표고 기준 확립에 대한 논의가 있다. - 경사지형 - 평야
평야는 고도 변화가 크지 않고 풀로 덮인 평평한 땅으로, 하천, 바람, 빙하 등의 작용으로 형성되며, 농업, 교통, 도시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경사지형 - 언덕
언덕은 산보다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형으로, 지형학적 현상으로 형성되며, 역사적으로 방어, 정착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스포츠 및 레저 활동에도 활용된다.
산꼭대기 | |
---|---|
지리 정보 | |
일반 정보 | |
정의 | 표면에서 바로 인접한 모든 지점보다 높은 지점 |
관련 용어 | 정점 꼭대기 고점 최고점 마루 |
등반 | |
등반 난이도 | 산의 경사 눈과 얼음의 상태 날씨 등반가의 경험 사용되는 장비 |
관련 정보 | |
설명 | 일반적으로 산이나 언덕의 가장 높은 지점을 지칭 지질학적, 지리적 맥락에서 사용 |
추가 정보 | |
에베레스트산 높이 | 8848.86m |
몽블랑산 높이 | 4808m |
아이거산 높이 | 3970m |
융프라우산 높이 | 4158m |
아이거 북벽 높이 | 1800m |
아이슬란드 봉우리 높이 | 6160m |
2. 정의 및 분류
산꼭대기, 즉 정상은 일반적으로 주변의 다른 모든 지점보다 높이 솟아있는 상당한 돌출도(prominence)와, 더 높은 지점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는 고립도(isolation)를 가진 지점을 가리킨다.[1] 예를 들어, 어떤 산의 가장 높은 지점 바로 옆에 약간 낮은 봉우리가 있더라도, 그것은 독립된 정상으로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돌출도나 고립도가 부족한 봉우리는 부봉(subpeak)으로 간주하며, 같은 산의 일부로 본다.[1]
정상이라는 용어는 길이나 도로에서 가장 높은 지점을 의미하기도 한다. 특히 미국 서부에서는 일반 도로나 고속도로, 철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을 '정상(summit)'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주를 지나는 주간 고속도로 80호선의 가장 높은 지점은 도너 정상(Donner Summit)이라고 불리며, 이는 근처의 도너 고개(Donner Pass)와는 다른 지점이다.[1]
2. 1. 국제산악연맹(UIAA)의 분류
국제산악연맹(UIAA)은 산과 정상을 구분하기 위해 돌출도(prominence)를 기준으로 삼는다. 일반적으로 '정상'이라는 용어는 상당한 양의 돌출도와 충분한 고립도(isolation)를 가진 산의 최고 지점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돌출도나 고립도가 부족하여 특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봉우리는 '부봉(subpeak)'으로 간주하며, 같은 산의 일부로 본다.[1]UIAA의 기준에 따르면, 돌출도가 30m 이상이면 독립적인 '산정(summit)' 또는 '피크(peak)'로 간주하고, 돌출도가 300m 이상이면 '산(mountain)'으로 정의한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구분 | 돌출도 |
---|---|
부봉(Subpeak) | 30m 미만 |
피크 또는 산정 (Independent peak or summit) | 30m 이상 |
산(Mountain) | 300m 이상 |
2. 2. 침식 지형
피라미드형 정상은 침식 작용에 의해 형성된 특징적인 모양의 산꼭대기를 말한다.3. 정상의 다양한 의미
(Independent peak or sum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