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바도르 라우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바도르 라우렐은 제2필리핀공화국 대통령 호세 P. 라우렐의 아들로,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변호사였다. 그는 1967년 최연소 상원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사법 개혁, 토지 개혁 등 다양한 입법 활동을 펼쳤으며, 1986년 피플 파워 혁명 이후 필리핀 부통령, 총리, 외교부 장관을 역임했다. 1992년 대선에서는 낙선하였고, 이후 국가 100주년 기념 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2004년 림프절암으로 사망했으며, 사후 라칸둘라 훈장 대십자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대학 교수 - 호세 라우렐
호세 라우렐은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변호사, 상원의원, 대법원 판사를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 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전후 전범으로 기소되었고, 사면 후 상원의원과 경제 사절 단장을 지내다 1959년 사망했다. - 필리핀의 총리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의 제10대 대통령으로 경제 발전과 사회 안정에 기여했으나, 계엄령 선포 후 권위주의 통치, 인권 유린, 부정 축재 등으로 논란이 많았으며 에드사 혁명으로 망명 후 사망, 영웅묘지 안장 또한 논쟁을 야기했다. - 필리핀의 총리 -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아폴리나리오 마비니는 필리핀의 사상가, 법률가, 독립운동가, 정치가로서 필리핀 혁명에 참여하여 제1 필리핀 공화국의 총리 겸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소아마비에도 독립운동에 헌신하여 "혁명의 두뇌", "고결한 불구자"로 불리는 필리핀의 국민적 영웅이다. - 필리핀 대통령의 자녀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필리핀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92년 상원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98년 부통령에 당선되어 2001년 에드사 혁명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고, 2004년 재선에 성공했다. - 필리핀 대통령의 자녀 - 크리스 아키노
크리스 아키노는 필리핀의 배우, 텔레비전 진행자, 영화 제작자, 사업가이며, 정치인 부모를 둔 연예인으로 토크쇼 진행, 영화 출연, 영화 제작, 사업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살바도르 라우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살바도르 로만 이달고 라우렐 |
원어 이름 | Salvador Roman Hidalgo Laurel |
출생일 | 1928년 11월 18일 |
출생지 | 필리핀 마닐라 파코 |
사망일 | 2004년 1월 27일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서턴 |
안장 장소 | 리빙안 응 망아 바야니 |
국적 | 필리핀 |
배우자 | 셀리아 디아스 라우렐 (1950년 결혼) |
가족 | 라우렐 가문 |
부모 | 호세 P. 라우렐 |
어머니 | 파센시아 이달고 |
종교 | 가톨릭 |
로마자 표기 | Salvador Roman Hidalgo Laurel |
경력 | |
직업 | 필리핀 케손 대학교 겸임교수 필리핀 마닐라 대학교 겸임교수 필리핀 국민당 명예고문위원 |
정치 경력 | |
직책 | 필리핀의 제8대 부통령 |
임기 시작 | 1986년 2월 25일 |
임기 종료 | 1992년 6월 30일 |
대통령 | 코라손 아키노 |
이전 부통령 | 재설립됨 직위 마지막 보유자 페르난도 로페스 |
다음 부통령 | 조셉 에스트라다 |
직책2 | 필리핀의 총리 |
임기 시작2 | 1986년 2월 25일 |
임기 종료2 | 1986년 3월 25일 |
대통령2 | 코라손 아키노 |
이전 총리 | 세사르 비라타 |
다음 총리 | 직위 폐지 |
직책3 | 제16대 필리핀 외무부 장관 |
임기 시작3 | 1986년 3월 25일 |
임기 종료3 | 1987년 2월 2일 |
대통령3 | 코라손 아키노 |
이전 외무부 장관 | 퍼시피코 A. 카스트로 (대행) |
다음 외무부 장관 | 마누엘 얀 |
직책4 | 임시 바타상 팜반사 의원 |
임기 시작4 | 1978년 6월 12일 |
임기 종료4 | 1983년 9월 16일 |
직책5 | 필리핀 상원 의원 |
임기 시작5 | 1967년 12월 30일 |
임기 종료5 | 1972년 9월 23일 |
정당 | |
소속 정당 | 국민당 (1967-2004) |
기타 정당 | UNIDO (1980–1988) KBL (1978-1979) |
훈장 | |
훈장 | KGCR |
기타 | |
![]() |
2. 초기 생애
살바도르 라우렐은 제2필리핀공화국 대통령을 지낸 호세 P. 라우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소테로 레모킬요 라우렐은 1899년 말로로스 의회 대표이자 에밀리오 아기날도 대통령 하 최초 필리핀 혁명 정부의 내무장관을 역임하는 등, 라우렐 가문은 여러 세대에 걸쳐 공직자를 배출했다.[3]
라우렐은 1933년부터 1935년까지 센트로 에스콜라르 데 세뇨리타스에 다녔다. 이후 아버지의 뜻에 따라 파코 초등학교(1935-36)와 후스토 루크반 초등학교(1936-37)에서 공립 교육을 받았다. 1941년 아테네오 드 마닐라 고등학교에서 초등학교 과정을 마쳤다.[3] 고등학교 1학년 때는 93.4점으로 2등을 차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1941년 12월 8일 태평양 전쟁 발발로 학업이 중단되었고, 미국 예수회가 운영하던 학교가 일본 정부에 의해 폐쇄되자 드 라 살레 칼리지 고등학교로 옮겨 1946년에 졸업했다.[3]
2. 1. 학창 시절
2. 2. 일본 체류
전쟁이 끝날 무렵, 일본 최고전쟁회의는 필리핀 정부 관리들을 일본으로 이동시키라는 명령을 내렸다. 라우렐 대통령은 내각 구성원들이 가족과 헤어지는 고통을 겪지 않도록 자신만 혼자 가겠다고 자원했지만, 그의 아내 파시엔시아와 일곱 자녀가 그와 함께 갔다. 그와 함께 간 관리들 중에는 전 하원 의장이자 국민의회 의원이었던 베니그노 아키노 1세, 전 교육부 장관 카밀로 오시아스와 그의 아내, 마테오 카핀핀 장군 등이 있었다.[4] 1945년 3월 22일, 이들은 바기오에서 대피하여 투게가라오까지 육로 여정을 시작했고, 그곳에서 일본 해군 비행기가 포르모사(현 타이완)와 상하이, 중국을 거쳐 일본으로 이들을 수송할 예정이었다.[4] 그들의 긴 여정은 나라에서 끝났고, 그들은 1945년 11월 10일까지 그곳에 억류되었다.[5]억류 기간 동안 15세의 살바도르는 시와 산문을 쓰고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냈다. 영어 책을 구할 수 있을 때마다 열심히 읽고 멘토인 카밀로 오시아스와 토론했다. 특히 아버지와 함께 공원에서 매일 아침 산책하며 아버지가 삶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이야기하는 시간을 소중히 여겼다.
1945년 9월 15일, 그의 아버지 호세 라우렐, 그의 형 호세 라우렐 3세, 베니그노 아키노 1세는 터너 대령이 이끄는 미국인들에 의해 체포되어 요코하마 감옥으로 옮겨졌다. 전 대통령과 호세 3세를 제외한 라우렐 가족은 두 달 후인 1945년 11월 2일에 마닐라로 비행기로 이송되었다.[5]
2. 3. 마닐라 귀환
1945년 크리스마스는 로렐 가족에게 가장 암울한 시기였다. 그들의 페냐프란시아 저택은 약탈당했고, 전 대통령이었던 아버지 호세 P. 로렐은 일본 스가모 감옥에 독방 감금되었다.[6] 살바도르 라우렐은 아버지에게 버켄헤드 백작이 쓴 ''2030년의 세계''라는 책을 선물했고, 필기구가 없어 책에 자신의 ''회고록''을 썼다.[6] 또한 아버지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해 ''사랑하는 아버지께''라는 시를 헌정했다.[6]1946년 3월, 라살 대학교에서 중등 교육을 마친 그는 바다를 통해 네덜란드령 동인도(인도네시아)로 가서 수카르노와 함께 독립 투쟁에 참여할 계획을 세웠으나, 현지 당국에 의해 저지되었다. 1946년 7월 23일, 아버지 호세 P. 로렐과 형 호세 3세가 필리핀으로 귀환했다.[5]
이후 그는 필리핀 대학교에 예과 의학생으로 입학, 2년 후 법학으로 전과하여 1952년 3월 법학사 학위를 받았다.[7] 그는 ''필리핀 법률 저널''의 학생 편집위원회 위원이었다.[7] 1949년 시민 자유 연맹 주최 대학 간 웅변 대회 등에서 3년 연속 1등을 차지하며 대학 웅변 챔피언으로 인정받았다. 변호사 시험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예일 대학교에서 유학, 1952년 석사 학위를, 1960년 법학 박사(J.S.D.) 학위를 취득했다.[8] 예일 로스쿨 명예 교수 마이어스 S. 맥두걸은 살바도르 라우렐이 예일 대학교에서 뛰어난 학자였다고 평가했다.
3. 법조 경력
마닐라에서 라우렐은 인트라무로스에 있는 로렐 법률 사무소에서 형제들과 함께 변호사로 일했다.[10] 그는 변호사 초기에는 법률 구조 활동에 깊이 관여했는데, 검찰청에 접수된 빈곤층 사건 중 94%가 변호인 부족으로 기각된다는 사실을 알고 1967년 필리핀 시민 법률 구조 협회(CLASP)를 설립했다.[10] 전국을 돌며 변호사들을 설득하여 가난한 사람들에게 정의를 가져다주는 활동에 동참하도록 했고, 그 첫해가 끝날 무렵 750명의 변호사가 CLASP에 합류했다.[10] "무방비 상태의 사람들의 수호자"로서 뛰어난 기록을 세운 공로로 사법 및 법정 기자 협회(JUCRA)로부터 "1967년 올해의 변호사" 상을 수상했다.[10]
1976년, 국제 변호사 협회(International Bar Association)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그에게 "세계 최고의 법률 구조 변호사" 상을 수여했다.[10] 당시 회의에는 전 세계 80개국에서 온 400명이 넘는 변호사들이 참석했으며, 로렐은 CLASP 설립, 1966년부터 법률 구조 활동 참여, 의회에서 추진한 빈곤층을 위한 정의 법안, 그리고 계엄령에도 불구하고 인권을 옹호한 공로를 인정받았다.[10]
리세움 대학교 법학과 교수이자 법학자인 로렐은 그의 아버지이자 바탕가스 출신의 헌법 회의 대표였던 호세 P. 로렐 박사가 직접 작성한 기록을 바탕으로 7권으로 구성된 『필리핀 헌법 회의 회의록』(1934~1935)을 편집하여 1966년에 출판했다.[10]
4. 정치 경력
4. 1. 상원 의원
살바도르 라우렐은 1967년 39세(선출 당시 38세)의 나이로 최연소 나시오날리스트당(Nacionalista) 상원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며, 이 기록은 40년간 유지되었다.[11] 상원 의원으로서 사법 개혁, 정부 재편성, 토지 개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입법 활동을 펼쳤다.[13]특히, 빈곤층을 위한 5개의 "로렐 법률(Laurel laws)"을 제정하여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했다.[12] 이 법률들은 빈곤한 소송 당사자들에게 무료 식사, 여행 및 숙박 수당을 제공하고,[12] 속기록 사본을 무료로 제공하며,[12] 경미한 사건에 대한 보석을 면제하고,[12] 수감자의 구금 기간을 전 기간 형기에서 공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2] 또한 법원이 빈곤한 소송 당사자들이 관련된 사건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했다.[12]
1968년부터 1970년까지 9개의 사법 개혁 법률, 정부 재편성 법률, 그리고 농지 개혁부(Department of Agrarian Reform)를 설립한 법률을 포함한 토지 개혁법 개정안을 제정하였다.[13] 상원 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중부 루손 지역 사법 행정(1969), 필리핀 형무소 및 형벌 제도의 현황(1969), 필리핀-미국 군사기지 협정의 형사 관할 조항(1969), 중부 루손의 반체제 문제(1971), 그리고 "황금 부처" 사건에서의 시민 자유 침해(1971)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라우렐은 세 차례 유엔 총회를 비롯, 1968년 페루 리마에서 열린 국제 의회 연맹 회의, 1978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ASEAN 국제 의회 기구(ASEAN Inter-Parliamentary Organization) 제1차 총회 등 여러 국제 회의에 필리핀 대표로 참석했다.
1972년에는 필리핀 고위 관리 중 최초로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주은래 총리, 리선념 부총리 등 중국 정부 고위 관리들을 만나 양국 관계 개선의 기틀을 마련했다. 귀국 후,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우호 관계 재개와 일중정책(One-China Policy) 채택을 강력히 주장했고, 이는 결국 필리핀의 공식 입장이 되었다.
1968년부터 1971년까지 "가장 뛰어난 상원의원"으로 선정되었다.
4. 2. 민주화 운동
4. 3. 부통령 및 총리
1986년 2월 말 발생한 피플 파워 혁명 이후 한 달 동안 라우렐은 필리핀 역사상 유일하게 부통령, 총리, 외교부 장관을 동시에 역임했다.[17] 총리직은 1986년 3월 말 폐지되었다.1986년 2월부터 1987년 9월까지 외교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라우렐 부통령은 여러 국가 원수들이 참석한 다양한 국제 회의에서 필리핀을 대표했다. 1986년 중국 방문은 "필리핀 외교 정책의 재편을 알리는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았다.[18]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라우렐은 1996년 6월 21일 최고 등급인 ''다킬랑 카마옹(dakilang kamaong)''의 가와드 마비니(Gawad Mabini) 상을 수상했으며, 1986년에는 스페인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으로부터 이사벨라 가톨릭 훈장(Order of Isabella the Catholic) 대십자훈장을, 1993년 뉴욕에서는 라틴 아메리카 통합 협회(Association for the Unity of Latin America)로부터 자유와 통일 훈장(Order of Liberty and Unity) 대십자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과의 "도덕적 원칙에 대한 근본적인 차이"를 이유로 1987년 9월 8일 외교부 장관직에서 사임했다.[18] 그의 뒤를 이어 1987년 2월 마누엘 얀(Manuel Yan)이 외교부 장관직을 맡았다.
4. 4. 1992년 대선
라우렐은 1992년 대선에 국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7명의 후보 중 7위를 기록하며 낙선했다.[19] 득표율은 3.40%로, 770,046표를 얻었다.[27] 이는 1967년 이후 그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선거 패배였다.[19]5. 부통령 퇴임 이후 (1992-2004)
1993년 라우렐은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필리핀 100주년 기념 행사를 앞두고 피델 라모스 대통령에 의해 국가 100주년 기념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20]
라우렐은 100주년 기념 행사 후 사임할 예정이었으나, 조지프 에스트라다 대통령은 그의 임기를 연장했고, 위원회는 1999년에야 해체되었다.[20] 몇 달 후, 라우렐은 클라크 자유무역지대 앙헬레스시에 있는 논란이 많은 11억 6,500만 필리핀 페소(₱) 규모의 센테니얼 엑스포 건설 자금 횡령 혐의로 산디간바얀에 기소되었다.[20] 라우렐은 이러한 주장을 강력히 부인하고 자신의 변호를 맡았다.[20]
그러나 이러한 혐의는 결국 법정에서 근거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20]
5. 1. 국가 100주년 기념 위원회
5. 2. 말년과 죽음
1999년 공직에서 은퇴한 후 라우렐은 변호사 활동, 국제 컨설팅, 무료 법률 지원, 저술 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또한 자신이 회장으로 있던 나시오날리스타당(Nacionalista Party)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003년 6월, 라우렐은 림프절암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기 위해 미국으로 갔다. 그는 2004년 1월 27일 캘리포니아주 애서턴(Atherton, California)의 임대 주택에서 사망했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는 75세였다.[21] 사망 후 며칠 뒤 그의 유해는 화장되었다. 1월 29일,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은 라우렐을 위한 7일간의 공식 추모 기간을 선포하는 대통령 선언 제544호를 발표했다.[22] 라우렐의 유골은 2월 5일 고향인 바탕가스주 타나우안(Tanauan, Batangas)으로 옮겨져 성 요한 복음사원(St. John the Evangelist Church)에서 추도식이 거행되었다. 그의 유골은 이후 바탕가스시(Batangas City)의 바탕가스 주청사(Batangas Provincial Capitol)로 옮겨져 추모식이 열렸다. 그의 유골은 2월 6일 타구이그의 국립영웅묘지(Libingan ng mga Bayani)에 안치되었다.[23]

또한 아로요 대통령은 2004년 2월 7일 라우렐에게 사후에 라칸둘라 훈장(Order of Lakandula) 대십자장을 수여했다.
6. 수상 및 서훈
7.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86년 선거 | 필리핀 부통령 | 8대 | 통합국민민주기구 | 45.85% | 9,173,105표[27] | 1위 | |
1992년 선거 | 필리핀 대통령 | 12대 | 국민당 | 3.40% | 770,046표 | 7위 | 낙선 |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Jose P. Laurel (1891–1959)
http://www.freewebs.[...]
2008-07-12
[3]
뉴스
Remembering Salvador 'Doy' Laurel
http://thestandard.c[...]
2016-11-15
[4]
웹사이트
Salvador H. Laurel
https://philippinedi[...]
2022-05-31
[5]
웹사이트
Jose P. Laurel A Register of His Papers in the Jose P. Laurel Memorial Library-Museum
http://eprints.rclis[...]
Jose P. Laurel Memorial Library
2022-08-16
[6]
웹사이트
Jose P. Laurel: Biographical Sketch
http://joseplaurel.c[...]
2022-08-16
[7]
학술지
An Inquiry into the Effects of the Suspension of the privilege of the writ of habeas corpus upon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an accused person except the right to bail
http://plj.upd.edu.p[...]
1952
[8]
웹사이트
Salvador H. Laurel
https://biography.yo[...]
2022-05-31
[9]
뉴스
Theater actress Celia Díaz-Laurel, 93
https://www.bworldon[...]
2021-07-13
[10]
서적
Doy Laurel in Profile
Lahi
1985
[10]
서적
President Marcos and the Philippine Political Culture
1987
[11]
서적
Building the Nation: First 100 Years: Nacionalista Party, 1907–2007
Villar Foundation
2007
[12]
간행물
Remembering the Late Former Vice President Dr. Salvador “Doy” H. Laurel
2004-03-31
[13]
법률
Republic Act No. 6389
https://elibrary.jud[...]
[14]
뉴스
Doy Laurel: The EDSA Icon You've Yet to Know
https://www.manilati[...]
2021-02-25
[15]
웹사이트
The Freedom Fighter
https://www.salvador[...]
[16]
서적
Highlights of Philippine History Volume 3: The Marcos Years 1965–1986
Pantas Publishing
2017
[16]
서적
DOY LAUREL in Profile
2012
[17]
문서
[18]
서적
Between Tiger and Dragon: A History of Philippine Relations with China and Taiwan
Anvil
2009
[19]
서적
Post-Marcos Politics: A Geographical Statistical Analysis of the 1992 Presidential Election
De La Salle University Press
1996
[20]
뉴스
Remembering Salvador 'Doy' Laurel
https://manilastanda[...]
2016-11-15
[21]
뉴스
Laurel, 75, Dies of Cancer in US
https://www.philstar[...]
2004-01-29
[22]
법률
Declaring the period of mourning over the death of Salvador H. Laurel, former Vice-President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www.official[...]
2004-01-29
[23]
뉴스
Doy buried today
https://www.philstar[...]
2004-02-06
[24]
웹사이트
Roster of Recipients of Presidential Awards
https://archive.org/[...]
2022-07-11
[25]
웹사이트
Gawad Mabini
https://www.official[...]
[26]
웹사이트
Our Story
https://www.knights-[...]
[2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