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삼청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삼청동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다.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진장방 지역이었으며, 도교의 삼청전을 모시던 곳에서 유래했다. 1914년 팔판동 일부와 통합되어 삼청동이 되었고,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주요 유적으로는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삼청동문 각자, 운룡천 각자가 있으며,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총리관저, 감사원 등 주요 기관과 시설이 위치해 있다. 교통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을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술관지구 - 인사동
    인사동은 서울의 전통 문화와 예술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조선 시대 양반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골동품 거래 지역을 거쳐 현재는 전통 공예품, 찻집, 갤러리 등이 밀집된 관광지로 발전했다.
  • 미술관지구 - 트라팔가 광장
    트라팔가 광장은 1805년 트라팔가 해전 승전을 기념하여 조성되었으며, 넬슨 제독 기념비, 분수, 국립 미술관 등이 있고, 정치적 시위와 문화 행사의 장으로 활용되다가 2003년 재개발을 통해 보행자 중심 공간으로 변화했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동 - 평창동
    평창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쪽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평창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고급 주택가와 문화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다양한 문화재와 촬영지가 있는 곳이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동 - 혜화동
    혜화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부 동쪽에 위치한 행정동이자 법정동으로,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동부 숭신방, 일제강점기에는 경성부 혜화정으로 불렸으며, 해방 이후 혜화동으로 복구되어 2012년 명륜3가동과 합동되었고, 북쪽과 동쪽으로는 성북구와 경계를 이루며 여러 교육기관과 문화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 구역 - 청운동
    청운동은 청풍계와 백운동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 구역으로,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지역이었으며, 서울청운초등학교, 청와대, 경복궁 등을 포함하고 최규식 경무관 동상 등의 기념물과 장의문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 구역 - 평창동
    평창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쪽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평창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고급 주택가와 문화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다양한 문화재와 촬영지가 있는 곳이다.
삼청동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삼청동
한글삼청동
한자三淸洞
로마자 표기Samcheong-dong
맥큔-라이샤워 표기Samch'ŏng-dong
면적1.49km²
인구 (2001년)5374명
인구 (2012년)3485명
남자 인구 (2012년)1679명
여자 인구 (2012년)1806명
인구 밀도2339명/km²
세대수 (2012년)1558
세대수 (2022년 1월 31일)1232
인구 (2022년 8월)2384명
10
50
행정 정보
국가대한민국
광역시/도서울특별시
시/군/구종로구
법정동팔판동
삼청동
안국동
소격동
화동
사간동
송현동
동주민센터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107
웹사이트종로구 삼청동
사진
삼청동주민센터
역사
이름 유래세 곳의 맑은 곳에서 유래
기타
행정 구역 분류 코드1111054000

2. 역사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진장방(鎭長坊) 지역이었다. 1914년 삼청동과 팔판동(八判洞)의 일부를 통합하여 삼청동이 되었고, 1936년 삼청정(三淸町)으로 바뀌었다. 1943년 종로구에 편입되었고, 1946년 다시 삼청동으로 돌아왔다.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팔판동 일부와 삼청동이 통합되어 삼청동이 되었다.[10] 같은 해 9월 27일 경기도 경성부 북부출장소에 배속되었다.[11] 1915년 6월 1일 북부출장소가 폐지되면서 경기도 경성부에 배속되었다. 1936년 4월 1일에는 동(洞)이 정(町)으로 변경되면서 삼청정(三淸町)이 되었다.[12]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종로구에 배속되었고,[13] 1946년 10월 1일 다시 동(洞)으로 변경되면서 삼청동으로 돌아왔다.[14]

1955년 4월 18일 행정동 설치[15] 때, 삼청동(35번지 제외)과 팔판동은 태화동, 삼청동 35번지는 백록동에 속했다. 1970년 5월 18일 태화동은 삼청동, 백록동은 가회동으로 변경되었다.[16] 1975년 10월 1일 안국동이 삼청동에 합쳐졌고, 삼청동 35번지도 삼청동에 편입되었다.[17]

2. 1. 지명 유래

도교주신삼청(옥청, 상청, 태청)을 모시는 신전인 삼청전(三淸殿)이 있었던 데에서 유래하였다.[8] 삼청전의 제사는 소격서에서 주관하였다. 한편, 《한경지략》에는 ‘산이 맑고’(山淸), ‘물도 맑으며’(水淸), 그래서 ‘사람의 인심 또한 맑고 좋다’(人淸)는 뜻에서 삼청이라 불렀다고 기록되었다.[9][4]

2. 2. 연혁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팔판동 일부와 삼청동이 통합되어 삼청동이 되었다.[10] 같은 해 9월 27일 경기도 경성부 북부출장소에 배속되었다.[11] 1915년 6월 1일 북부출장소가 폐지되면서 경기도 경성부에 배속되었다. 1936년 4월 1일에는 동(洞)이 정(町)으로 변경되면서 삼청정(三淸町)이 되었다.[12]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종로구에 배속되었고,[13] 1946년 10월 1일 다시 동(洞)으로 변경되면서 삼청동으로 돌아왔다.[14]

1955년 4월 18일 행정동 설치[15] 때, 삼청동(35번지 제외)과 팔판동은 태화동, 삼청동 35번지는 백록동에 속했다. 1970년 5월 18일 태화동은 삼청동, 백록동은 가회동으로 변경되었다.[16] 1975년 10월 1일 안국동이 삼청동에 합쳐졌고, 삼청동 35번지도 삼청동에 편입되었다.[17]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진장방(鎭長坊) 지역이었다.

3. 법정동

종로구 삼청동의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5]

4. 유적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이 있다. 인조 때 김경문이 새긴 글씨인 삼청동문(三淸洞門) 각자가 총리 공관 인근에 위치하며, 보물 제1560호 도성도에도 기록되어 있다.[18] 정조의 수라상에 진상하던 우물인 운룡천(雲龍泉)의 각자가 남아 있다.[19] 국립민속박물관과 벨벳 및 인큐베이터 미술관도 삼청동에 위치한다.

5. 주요 기관

총리관저, 감사원, 한국금융연수원이 삼청동에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삼청동우체국, 안국우체국, 삼청파출소도 삼청동에 위치해 있다. 국군서울지구병원, 주한 폴란드 대사관 역시 삼청동에 있다.

6. 교통

삼청동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을 이용할 수 있다.

7. 문화 시설

국립민속박물관이 삼청동에 있다. 벨벳 및 인큐베이터 미술관도 삼청동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archive.toda[...] Doosan Encyclopedia 2008-04-23
[2] 웹사이트 Origin of Samcheong-dong's name https://archive.toda[...] Jongno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23
[3] 웹사이트 鐘路区 > 行政情報 > 統計情報 > 2012年 四半期 住民登録人口(2012年12月31日現在) http://www.jongno.go[...]
[4] 웹사이트 三清洞住民センター > 私たちの洞案内 > 洞名由来 http://www.jongno.go[...]
[5] 웹사이트 鐘路区 > 鐘路紹介 > 鐘路区案内 > 洞住民センター http://www.jongno.go[...]
[6] 뉴스 [커버스토리] 삼청동 은근히 폼나는 동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08-03-28
[7] 뉴스 삼청동에서 브런치를 먹으며, 다시 자유를 느낀다 http://www.seouland.[...] 한겨레 2020-05-07
[8] 뉴스 너무나 익숙해서 인식 못했던…길 위에서 만난 ‘도교’ http://www.korea.kr/[...] 정책브리핑 2014-03-20
[9] 뉴스 주말 삼청동서 정갈하게 먹는 고기와 식사 http://food.chosun.c[...] 조선일보 2017-08-18
[10] 간행물 경기도고시 제7호 s:1914년 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11] 간행물 경성부조례 제8호
[12] 간행물 경기도고시 제32호
[13]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s:1943년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06-09
[14] 간행물 서울시헌장 제1조
[15] 간행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
[16] 간행물 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
[17] 간행물 서울특별시조례 제981호
[18] 뉴스 서울 ‘三淸洞門’ 표지석 아시나요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09-05-15
[19] 뉴스 고사리손으로 살려냈죠, 희미한 옛 서울의 흔적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09-05-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