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고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고어는 원래 응반디어 계통 언어를 사용하는 상고 부족의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중앙아프리카 지역의 교통어,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상고어를 응반디어 기반의 크레올로 보지만, 다른 학자들은 크레올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고어의 성립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1800년대 후반 프랑스 식민지화 이전부터 우방기 강을 따라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프랑스군의 징병과 선교사들의 장려로 사용이 확대되었다. 1960년대 이후 방기 도시의 급성장으로 모국어 사용 인구가 증가하면서, 상고어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상고어는 7개의 구강 모음과 5개의 비강 모음, 자음, 세 가지 성조를 가지며, SVO 어순과 고립어적 특징을 보인다. 1984년에는 공식 철자법이 제정되었으며, 현재 22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피진과 크리올 - 히리 모투
히리 모투는 파푸아뉴기니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모투족의 전통 무역 방식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공용어로 사용되다 현재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 피진과 크리올 - 크리올 (언어학)
크리올은 여러 언어가 혼합되어 피진에서 발전, 모어 화자를 가지게 된 언어 유형으로, 식민지 무역의 결과로 발생하여 다양한 언어 요소들을 포함하며, 탈식민화 이후 언어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상고어 | |
---|---|
기본 정보 | |
사용 국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 민주 공화국 |
사용 지역 | 중앙 아프리카 |
화자 수 | 제1언어: 약 617,000명 (2017년) 제2언어: 약 34,500명 (1996년) |
공용어 지정 국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소수 언어 인정 국가 | 차드 콩고 민주 공화국 |
![]() | |
언어 분류 | |
어족 | 크레올 언어 |
기반 언어 | 응반디어 기반 크레올 언어 |
문자 |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1 | sg |
ISO 639-2 | sag |
ISO 639-3 | sag snj (강변 상고어) |
Glottolog | sang1327 |
기타 |
2. 역사
상고어는 원래 응반디어계통의 언어를 쓰는 상고 부족이 쓰던 말에서 비롯되었으며, 강에서 교역활동을 하는 서로 다른 말을 쓰는 부족사이에서 교통어로 쓰였다. 일부 언어학자(윌리엄 J. 사마린)는 상고어를 응반디어에 기반한 크레올로 보고 있으나, 다른 학자들은 크레올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 상고어 구조만으로 상고어의 성립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에 이를 부정한다.[4]
1800년대 후반, 프랑스 식민지화 이전 상고어는 우방기 강을 따라 공용어로 사용되었다.[4] 프랑스군은 중앙아프리카인들을 징집했고, 이로 인해 그들은 상호 소통 수단으로 상고어를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4] 20세기 동안 선교사들은 상고어의 광범위한 사용을 장려했다.[4]
어휘 가운데 약 절반 가량이 프랑스어 차용어이나, 입말에서 자주 쓰이는 낱말의 90%는 상고어 고유어이고, 프랑스어계 차용어는 주로 전문용어, 학술용어에 가까울수록 많이 나타나 어휘구성은 고급용어에 라틴, 그리스계 어휘와 한자어가 많은 영어나 한국어와 비슷하다. 상고어는 성조언어로 말에 고중저의 세 가지 높낮이가 있다. 저성조는 무표시, 중성조는 ë, 고성조는 ê로 표시한다. 어순은 SVO로 영어와 같다.
2. 1. 기원과 발전
원래 응반디어계통의 언어를 쓰는 상고 부족이 쓰는 말에서 비롯되었으며, 강에서 교역활동을 하는 서로 다른 말을 쓰는 부족사이에서 교통어로 쓰였다. 일부 언어학자(윌리엄 J. 사마린)는 상고어를 응반디어에 기반한 크레올로 보고 있으나, 다른 학자들은 크레올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 상고어 구조만으로 상고어의 성립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에 이를 부정한다.[4]1800년대 후반, 프랑스 식민지화 이전 상고어는 우방기 강을 따라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프랑스군은 중앙아프리카인들을 징집했고, 이로 인해 그들은 상호 소통 수단으로 상고어를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20세기 동안 선교사들은 상고어의 광범위한 사용을 장려했다.[4]
원래 강에서 거래하는 상인들이 사용하던 상고어는 북부 응반디어 방언을 기반으로 한 공용어로, 응반디어군에 속하는 상고 부족의 언어이며, 약간의 프랑스어 영향을 받았다.
1960년대 이후 방기 도시의 급속한 성장은 상고어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처음으로 모국어 사용 인구가 생겨났다. 도시에 이주한 시골 사람들은 여러 다른 언어를 사용했고 상고어는 단지 공용어로만 사용했지만, 그들의 자녀들은 상고어를 주된 언어(때로는 유일한 언어)로 사용한다. 이는 공식적인 용어와 속어를 포함한 어휘의 급속한 확장을 이끌었다. 또한 수도의 일상 언어라는 새로운 위치로 인해 상고어는 더 높은 지위를 얻게 되었고, 이전에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분야에서도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2. 방기 도시화의 영향
1960년대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수도인 방기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상고어의 발전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디 교역어, 교통어로 모어 화자 수가 적었으나, 원어민이 많이 생겨났고, 특히 다른 말을 쓰는 지방 사람들이 수도로 오면서 1세는 계속 상고어를 제2언어로만 썼으나, 2세들은 부모의 모어 대신 상고어를 모어로 쓰기 시작했다.[4]방기 도시의 급속한 성장은 상고어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처음으로 모국어 사용 인구가 생겨났다. 도시에 이주한 시골 사람들은 여러 다른 언어를 사용했고 상고어는 단지 공용어로만 사용했지만, 그들의 자녀들은 상고어를 주된 언어(때로는 유일한 언어)로 사용했다. 이는 공식적인 용어와 속어를 포함한 어휘의 급속한 확장을 이끌었다. 또한 수도의 일상 언어라는 새로운 위치로 인해 상고어는 더 높은 지위를 얻게 되었고, 이전에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분야에서도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4]
3. 분류
일부 언어학자들은 윌리엄 J. 사마린을 따라 상고어를 응반디어 기반 크리올 언어로 분류하지만, 다른 언어학자들(마르셀 디키-키디리, 찰스 H. 모릴 등)은 그러한 분류를 거부하며, 상고어 구조의 변화(내부적, 외부적 모두)는 크리올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충분히 잘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6]
크리올화 가설에 따르면 상고어는 유럽 기반이 아닌 아프리카 기반 크리올 언어라는 점에서 예외적이다.[6] 프랑스어에서 많은 차용어가 유입되었지만, 상고어의 구조는 완전히 아프리카적이다.[6]
4. 사용 지역
상고어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1970년 인구 조사에서 35만 명의 화자를 기록했다.[1] 또한 상고어는 차드 남부에서도 공용어로 사용되지만, 아마도 모국어로 사용되지는 않으며 사용 빈도가 감소하고 있다.[1]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는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1]
오늘날 상고어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며, 이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을 자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몇 안 되는 아프리카 국가 중 하나로 만든다.[1]
5. 음운
상고어는 파열음, 비음, 마찰음, 접근음 등 다양한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양순연구개음, 성문음 등 다양한 위치에서 소리난다.[14][13]
일부 방언에서는 ([ᶬv]와 [m], [ᵐb]와 [ᵑ͡ᵐg͡b], [ᵐb] 와 [b], 어중 [l]과 [r], 어두 [h]와 [ʔ])처럼 자음 소리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13]
5. 1. 모음
상고어에는 7개의 구강 모음과 5개의 비강 모음이 있다.[5] 모음의 음질과 비음화된 모음의 수는 상고어 비원어민의 모국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5]
5. 2. 자음
colspan="2" | | 순음 | 치음 | 치경음 | 구개음 | 연구개음 | 순-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voiceless|무성음영어 | |||||||
voiced|유성음영어 | () | |||||||
prenasalized|비음화영어 | ||||||||
비음 | ||||||||
마찰음 | voiceless|무성음영어 | |||||||
voiced|유성음영어 | ||||||||
prenasalized|비음화영어 | () | |||||||
설전음 | ||||||||
접근음 | plain|평음영어 | |||||||
prenasalized|비음화영어 |
구개 파찰음은 차용어와 특정 방언에서 나타난다.[5] 일부 방언에서는 [ᶬv]와 [m], [ᵐb]와 [ᵑ͡ᵐg͡b], [ᵐb]와 [b], 단어 중간의 [l]과 [r], 단어 시작의 [h]와 [ʔ] 사이의 교체가 있다.[5] [ᶬv]는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5]
구개 파찰음은 외래어와 일부 방언에 나타난다.[13] 또한 일부 방언에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괄호 안의 자음의 대체가 있다. ([ᶬv]와 [m], [ᵐb]와 [ᵑ͡ᵐg͡b], [ᵐb] 와 [b], 어중 [l]과 [r], 어두 [h]와 [ʔ])[13] [ᶬv]는 드물게 나타난다.[13]
5. 3. 음절 구조
상고어의 음절 구조는 일반적으로 자음(C)과 모음(V)의 결합(CV)이다.[5] 연속된 모음은 드물지만 존재한다.[5] 자음은 구개음화 또는 순음화될 수 있으며, 표기상 각각 Ci|영어와 Cu|영어로 나타낸다.[5]단어는 일반적으로 단음절 또는 이음절이지만 삼음절인 경우도 드물다.[5] 사음절 단어는 중복과 복합을 통해 생성되며, 두 단어로 쓰이기도 한다(''kêtêkêtê'' 또는 ''kêtê kêtê'' '아주 작은', ''walikundû'' 또는 ''wa likundû'' '마법사').[5]
5. 4. 성조
상고어는 성조 언어이다. 이 언어는 세 가지 기본 성조(높음, 중간, 낮음)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프랑스어 차용어에서 윤곽 성조도 나타난다.[5] 성조의 기능 부하는 낮지만, 최소 대립쌍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dü''는 '출산하다'를 의미하고, ''dû''는 '구멍'을 의미한다.프랑스어에서 온 단음절 차용어는 대개 높은-낮음 하강 성조 패턴을 갖는다(''bâan''은 프랑스어 ''banc''에서 유래된 '벤치'를 의미한다). 다음절 단어에서는 모든 음절이 낮은 성조를 가지며, 마지막 음절은 길게 발음되고 하강 성조를 띤다. 마지막 성조는 명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중간-낮음 하강이며(''ananäa''는 프랑스어 ''ananas''에서 유래된 '파인애플'을 의미한다), 동사에서는 높은-낮음 하강이다(''aretêe''는 프랑스어 ''arrêter''에서 유래된 '멈추다'를 의미한다).
고립된 상태에서 성조는 개인 언어적 변동을 보이며, 비원어민의 모국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5]
6. 문법
상고어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고립어이며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따른다.[7] 명사구는 한정사-형용사-명사 형태를 가진다.[7]
mbênï kêtê môlengê|작은 아이sg
복수는 명사구 앞에 오는 전철 ''â-''로 표시된다.[7]
â-mbênï kêtê môlengê|몇몇 작은 아이들sg
일부 화자는 명사구의 여러 항목에 ''â-''를 붙이지만, 이는 덜 일반적이다.[7]
â-kötä (â)zo|중요한 사람들/고위 인사들sg
파생 접미사 ''-ngö''는 동사를 명사화한다. 또한 동사의 모든 성조를 중간으로 변경한다.[7]
원형 | 뜻 | 명사형 | 뜻 | |
---|---|---|---|---|
kono | 자라다, 크다 | könöngö | 크기 | |
kîri | 돌아오다, 반복하다 | kïrïngö | 반환 |
속격은 일반적으로 전치사 ''tî'' '~의'를 사용하여 형성된다.[7]
dû tî ngû|물의 구멍sg
하지만 복합어가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dûngü'' '우물'(성조의 변화에 유의).[7] 이러한 복합어는 때때로 두 개의 개별 단어로 쓰여진다.[7]
동사 접두사 ''a-''는 주어가 명사 또는 명사구일 때 사용되지만, 주어가 대명사 또는 암시적인 경우(명령문에서처럼)에는 사용되지 않는다.[7]
â-môlengê tî lo a-gä|그의 아이들이 왔다sg
a-dü lo|그는 태어났다sg
löndö mo gä|일어나서 (여기) 오너라sg
접두사는 때때로 별도의 단어로 쓰여진다.[7]
대명사는 ''mbï'' "나", ''mo'' "너 (단수)", ''lo'' "그, 그녀, 그것", ''ë'' "우리", ''ï'' "너희 (복수)", ''âla'' "너희 (복수)", ''âla'' "그들"이다.[8] 동사는 대명사가 앞에 오지 않는 경우 접두사 ''a-''를 사용한다: ''mo yeke'' "너는 ~이다"이지만 ''Bêafrîka ayeke'' "중앙아프리카는 ~이다". 특히 유용한 동사로는 ''yeke'' "이다", ''bara'' "인사하다" (''bara o'' "안녕!"), ''hînga'' "알다"가 있다. 소유격과 동격은 단어 ''tî'' "의"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ködörö tî mbï'' "내 나라", ''yângâ tî sängö'' "상고어". 또 다른 흔한 전치사는 ''na''이며, 다양한 장소격, 여격, 그리고 도구격 기능을 포괄한다.
7. 표기법
상고어는 프랑스 선교사들에 의해 쓰이기 시작했으며, 가톨릭과 개신교의 표기법이 약간 달랐다.[9] 1966년 성경과 1968년 찬송가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9]
1984년, 앙드레 콜링바 대통령은 상고어의 공식 철자법을 제정하는 "Décret No 84.025"에 서명했다.[10] 공식 상고어 알파벳은 22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들은 y프랑스어를 [j]로 발음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IPA 표기에 따라 발음된다. 또한, 이중 자음 kp, gb, mb, mv, nd, ng, ngb, nz프랑스어는 각각 k͡p, ɡ͡b, ᵐb, (ᶬv), ⁿd, ᵑɡ, ᵑ͡ᵐɡ͡b 및 ⁿz로 발음된다.
’b프랑스어, ty프랑스어, dy프랑스어는 상고어의 음운 체계에 완전히 통합되지 않은 차용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10]
공식 철자법은 다음과 같은 자음을 포함한다: p, b, t, d, k, g, kp, gb, mb, mv, nd, ng, ngb, nz, f, v, s, z, h, l, r, y, w프랑스어: 일부는 내파음 ɓ을 위해 ’b프랑스어를 추가한다. 상고어에는 7개의 구두 모음 a, e, ɛ, i, o, ɔ, u가 있으며, 이 중 5개 ĩ, ã, ɛ̃, ɔ̃, ũ가 비모음으로 나타난다. 공식 철자법에서 e프랑스어는 e와 ɛ를 모두 나타내며, o프랑스어는 o와 ɔ를 모두 나타낸다. 비모음은 in, en, an, on, un프랑스어으로 표기한다.
상고어에는 세 개의 성조가 있다: 낮은 성조, 중간 성조, 높은 성조. 표준 철자법에서 낮은 성조는 표시되지 않고, e프랑스어로 표기하며, 중간 성조는 분음 부호를 사용하여 ë프랑스어로 표시하고, 높은 성조는 곡절 부호를 사용하여 ê프랑스어로 표시한다. '도-레-미'는 do-rë-mî프랑스어로 표기된다.
상고어는 종교 문헌 외에는 쓰여진 자료가 거의 없지만, 기본적인 문해 자료가 일부 개발되었다.[11]
7. 1. 역사
상고어는 원래 응반디어계통의 언어를 쓰는 상고 부족이 쓰는 말에서 비롯되었으며, 강에서 교역활동을 하는 서로 다른 말을 쓰는 부족사이에서 교통어(交通語)로 쓰였다. 일부 언어학자(윌리엄 J. 사마린)는 상고어를 응반디어에 기반한 크레올로 보고 있으나, 다른 학자들은 크레올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 상고어 구조만으로 상고어의 성립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에 이를 부정한다.[9]어휘 가운데 약 절반 가량이 프랑스어 차용어이나, 입말에서 자주 쓰이는 낱말의 90%는 상고어 고유어이고, 프랑스어계 차용어는 주로 전문용어, 학술용어에 가까울수록 많이 나타나 어휘구성은 고급용어에 라틴, 그리스계 어휘와 한자어가 많은 영어나 한국어와 비슷하다.
1960년대 이후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수도인 방기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상고어의 발전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디 교역어, 교통어로 모어 화자 수가 적었으나, 원어민이 많이 생겨났고, 특히 다른 말을 쓰는 지방사람들이 수도로 오면서 1세는 계속 상고어를 제 2 언어로만 썼으나, 2세들은 부모의 모어대신 상고어를 모어로 쓰기 시작했다.
상고어는 성조언어로 말에 고중저의 세 가지 높낮이가 있다. 저성조는 무표시, 중성조는 ë, 고성조는 ê로 표시한다. 어순은 SVO로 영어와 같다. 상고어는 프랑스 선교사들에 의해 쓰이기 시작했으며, 가톨릭과 개신교의 표기법이 약간 달랐다.[9] 1966년 성경과 1968년 찬송가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9]
1984년, 앙드레 콜링바 대통령은 상고어의 공식 철자법을 제정하는 "Décret No 84.025"에 서명했다.[10] 공식 상고어 알파벳은 22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들은 y프랑스어를 [j]로 발음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IPA 표기에 따라 발음된다. 또한, 이중 자음 kp, gb, mb, mv, nd, ng, ngb, nz프랑스어는 각각 , , , , , , 및 로 발음된다.
’b프랑스어, ty프랑스어, dy프랑스어는 상고어의 음운 체계에 완전히 통합되지 않은 차용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10]
공식 철자법은 다음과 같은 자음을 포함한다: p, b, t, d, k, g, kp, gb, mb, mv, nd, ng, ngb, nz, f, v, s, z, h, l, r, y, w프랑스어: 일부는 내파음 을 위해 ’b프랑스어를 추가한다. 상고어에는 7개의 구두 모음 이 있으며, 이 중 5개 가 비모음으로 나타난다. 공식 철자법에서 e프랑스어는 와 를 모두 나타내며, o프랑스어는 와 를 모두 나타낸다. 비모음은 in, en, an, on, un프랑스어으로 표기한다.
상고어에는 세 개의 성조가 있다: 낮은 성조, 중간 성조, 높은 성조. 표준 철자법에서 낮은 성조는 표시되지 않고, e프랑스어로 표기하며, 중간 성조는 분음 부호를 사용하여 ë프랑스어로 표시하고, 높은 성조는 곡절 부호를 사용하여 ê프랑스어로 표시한다. '도-레-미'는 do-rë-mî프랑스어로 표기된다.
상고어는 종교 문헌 외에는 쓰여진 자료가 거의 없지만, 기본적인 문해 자료가 일부 개발되었다.[11]
7. 2. 1984년 공식 철자법
1984년, 앙드레 콜링바 대통령은 상고어의 공식 철자법을 제정하는 "Décret No 84.025"에 서명했다.[10] 공식 상고어 알파벳은 22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들은 y프랑스어를 [j]로 발음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IPA 표기에 따라 발음된다. 또한, 이중 자음 kp프랑스어, gb프랑스어, mb프랑스어, mv프랑스어, nd프랑스어, ng프랑스어, ngb프랑스어, nz프랑스어는 각각 k͡p, ɡ͡b, ᵐb, (ᶬv), ⁿd, ᵑɡ, ᵑ͡ᵐɡ͡b 및 ⁿz로 발음된다.
’b프랑스어, ty프랑스어, dy프랑스어는 상고어의 음운 체계에 완전히 통합되지 않은 차용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10]
공식 철자법은 다음과 같은 자음을 포함한다: p프랑스어, b프랑스어, t프랑스어, d프랑스어, k프랑스어, g프랑스어, kp프랑스어, gb프랑스어, mb프랑스어, mv프랑스어, nd프랑스어, ng프랑스어, ngb프랑스어, nz프랑스어, f프랑스어, v프랑스어, s프랑스어, z프랑스어, h프랑스어, l프랑스어, r프랑스어, y프랑스어, w프랑스어. 일부는 내파음 ɓ을 위해 ’b프랑스어를 추가한다. 상고어에는 7개의 구두 모음 a, e, ɛ, i, o, ɔ, u가 있으며, 이 중 5개 ĩ, ã, ɛ̃, ɔ̃, ũ가 비모음으로 나타난다. 공식 철자법에서 e프랑스어는 e와 ɛ를 모두 나타내며, o프랑스어는 o와 ɔ를 모두 나타낸다. 비모음은 in프랑스어, en프랑스어, an프랑스어, on프랑스어, un프랑스어으로 표기한다.
상고어에는 세 개의 성조가 있다: 낮은 성조, 중간 성조, 높은 성조. 표준 철자법에서 낮은 성조는 표시되지 않고, e프랑스어로 표기하며, 중간 성조는 분음 부호를 사용하여 ë프랑스어로 표시하고, 높은 성조는 곡절 부호를 사용하여 ê프랑스어로 표시한다. '도-레-미'는 do-rë-mî프랑스어로 표기된다.
8. 어휘
Taber(1964)의 연구에 따르면 약 490개의 고유 상고어 단어가 구어의 약 90%를 차지하지만, 프랑스어 차용어는 훨씬 덜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특히 학식이 있는 사람들의 말에서 어휘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상황은 대부분의 어휘, 특히 "학술적" 단어가 라틴어, 그리스어, 또는 프랑스어에서 파생되는 반면, 기본 어휘는 게르만어에 남아있는 영어와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그 결과는 특정 사회 방언, 소위 "공무원" 변종에 특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에 완료된 Morrill의 연구에 따르면 상고어에서 세 가지 사회학적으로 구별되는 규범이 나타났다. 인터뷰 대상자의 80%가 평가하고 프랑스어 차용어가 거의 없는 도시 "라디오" 변종, 60%가 평가되는 소위 "목사" 변종, 그리고 프랑스어 차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여 상고어를 사용하는 학식이 있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무원" 변종은 40%를 기록했다.[1]
상고어의 기본 어휘, 인사말, 수사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8. 1. 기본 어휘
프랑스어 | 상고어 | 비고 |
---|---|---|
terre | sesé | |
ciel | ndozu | |
eau | ngu | |
feu | wa | |
homme | koli | |
femme | wali | |
manger | tè | |
boire | nyon | |
grand | kota | |
petit | ketè | |
nuit | bi | |
jour | la | |
tout | yezu | |
aimer | yezo |
8. 2. 인사말
상고어 | 일본어 |
---|---|
Balaô | 안녕하세요 |
Nzönî lakwi | 안녕히 주무세요 |
Töngana nye? | 안녕하십니까? |
Singîla mîngi | 감사합니다 |
Sengue | 천만에요 |
En | 네 |
Ên-ën | 아니요 |
8. 3. 수사
상고어 | 일본어 |
---|---|
ôko | 1 |
ûse | 2 |
otâ | 3 |
osïö | 4 |
okü | 5 |
omenë | 6 |
mbâsâmbâlâ | 7 |
miambe | 8 |
gümbâyä | 9 |
balë-ôko | 10 |
9. 학습
상고어는 배우기 매우 쉬운 언어로 여겨진다. 사마린에 따르면, "노력하면 3개월 만에 이 언어를 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진정한 유창성에 도달하는 데는 훨씬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영어 사용자들이 겪는 두 가지 주요 어려움이 있다. 우선, 이중 자음을 분리하여 발음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밤바리는 '밤-바-리'가 아니라 '바-음바-리'로 발음해야 한다. 또한, 다른 성조 언어와 마찬가지로, 문맥에 따라 성조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영어처럼 상승조로 질문을 발음하면, 의도치 않게 문장 끝에서 완전히 다른 부적절한 상고어 단어를 말하게 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Language Change and Language Contact in Pidgins and Creoles
John Benjamins
[2]
서적
Language Change and Language Contact in Pidgins and Creoles
John Benjamins
[3]
서적
Language Change and Language Contact in Pidgins and Creoles
John Benjamins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8]
문서
Wikibooks:Sango/Pronouns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