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은 1882년 창단된 러시아의 교향악단으로, 1772년 설립된 페테르부르크 음악협회 부속 관현악단과 1802년 창단된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협회 관현악단의 계보를 잇는다. 1938년부터 1988년까지 예프게니 므라빈스키가 상임 지휘자로 50년간 재임하며 연주력을 크게 향상시켰고, 므라빈스키 사후 유리 테미르카노프가 지휘자로 활동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홀을 주요 공연장으로 사용하며, 한국을 여러 차례 방문하여 공연을 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2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1882년 창단된 독일의 대표적인 오케스트라로, 한스 폰 뷜로,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등 당대 최고의 지휘자들이 거쳐갔으며, 자체적인 운영 시스템과 다양한 공연 및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음악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극장은 1783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설립된 러시아 대표 극장으로, 제정 러시아 시대에는 황실 극장으로서 오페라와 발레의 중심이었으며, 현재는 마린스키 발레단, 마린스키 오페라, 마린스키 극장 관현악단이 상주하고, 건물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음악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1862년 안톤 루빈스타인이 설립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은 러시아 음악 협회와 협력하여 설립되었으며, 림스키코르사코프 등 저명한 음악가들이 교수로 재직하며 차이콥스키, 프로코피예프, 쇼스타코비치 등 세계적인 음악가를 배출한 러시아의 대표적인 음악 교육 기관이다.
  • 러시아의 관현악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은 1928년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가 창단한 러시아군의 공식 합창단으로, 군가, 민요, 오페라 아리아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독창자, 합창단, 오케스트라, 무용단으로 구성되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2016년 사고로 단원을 잃고 재편성되었다.
  • 러시아의 관현악단 - 러시아 내셔널 오케스트라
    러시아 내셔널 오케스트라는 미하일 플레트네프가 1990년에 창설한 러시아의 대표적인 오케스트라로, 세계적인 수준의 연주와 다양한 음반 발매를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
기본 정보
명칭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
영문 명칭Saint Petersburg Philharmonic Orchestra
개요
종류오케스트라
위치상트페테르부르크
장르클래식 음악
활동 기간1772년 ~ 현재
공식 웹사이트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 공식 웹사이트
구성원
현재 주요 구성원수석 지휘자
니콜라이 알렉세예프
관련 정보
기타
혼동 방지상트페테르부르크 교향악단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

2. 역사

1882년 창단된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772년에 발족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 협회와 1802년 창단된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협회의 관현악단이 그 기원이다. 1824년에는 베토벤의 "장엄 미사"를 세계 초연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황실 소속 관현악단으로 시작하여, 독일 출신 지휘자 헤르만 플리게가 초대 상임 지휘자를 맡았다. 이후 후고 바를리흐가 뒤를 이었으며, 아르투르 니키슈,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바실리 사포노프,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등 유명 지휘자들이 객원으로 참여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세르게이 쿠세비츠키가 상임 지휘자를 맡아 악단을 이끌었으나, 소련 문화 정책과의 갈등으로 1920년 사임했다. 이후 악단은 '페트로그라드 국립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로 개칭되었고, 1924년에는 '레닌그라드 국립 필하모니 아카데미 교향악단'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알렉산드르 가우크, 프리츠 슈티드리를 거쳐 1938년 예프게니 므라빈스키가 상임 지휘자로 취임하며 악단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므라빈스키는 쇼스타코비치, 프로코피예프 등의 작품을 초연하며 악단의 명성을 높였다. 독소전쟁 중에는 노보시비르스크로 피난을 가기도 했지만, 1946년부터 핀란드, 체코, 오스트리아, 영국, 폴란드, 루마니아, 미국, 캐나다, 동독, 일본 등지로 해외 순회 공연을 시작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988년 므라빈스키의 타계 후 유리 테미르카노프가 상임 지휘자를 맡았고, 1991년 소련의 붕괴와 함께 현재의 명칭인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는 니콜라이 알렉세예프가 지휘자로 임용되었다.

2. 1. 창단 초기 (1882-1917)

페테르부르크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관현악단은 1772년에 설립된 페테르부르크 음악협회의 부속 관현악단으로 기록되며, 1802년에는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협회의 관현악단이 창단되어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 악단은 대부분 단명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의 계보를 잇는 첫 악단은 1882년에 창단된 황실 소속 관현악단이었다. 창단과 동시에 독일 출신 지휘자인 헤르만 플리게를 상임 지휘자로 초빙했으며, 플리게는 1902년까지 재임했다.

플리게의 후임으로는 후고 바를리흐가 임명되어 활동했고, 제정 말기였던 1912년부터는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공개 연주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아르투르 니키슈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등의 외국 지휘자들이 객원으로 출연했으며, 바실리 사포노프나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등 국내 지휘자들도 자주 초빙되어 지휘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되면서 황실 소속 자격을 자동으로 상실했으며, 사임한 바를리흐의 후임으로 세르게이 쿠세비츠키가 상임 지휘자에 취임했다.

2. 2.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 (1917-1991)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되면서 황실 소속 관현악단은 자격을 상실했고, 후고 바를리흐가 사임한 후 세르게이 쿠세비츠키가 상임 지휘자에 취임했다. 소비에트 정권 치하에서 악단은 인민의 관현악단으로 이미지를 바꾸기 위해 대중 음악회에 자주 출연하는 등 새로운 활동을 추구했다. 그러나 쿠세비츠키는 소련 문화 정책에 거부감을 표명하며 1920년에 사임했고, 이후 악단 내부에서는 혼란이 빚어졌다. 같은 해 '페트로그라드 국립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로 개칭되어 정식 국립 관현악단이 되었으나, 쿠세비츠키의 후임 알렉산드르 헤신은 임기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퇴임했다. 그 후임이었던 에밀 쿠페르도 1923년에 사임한 뒤 이듬해 서방으로 망명하는 등 침체기가 계속되었다.

1924년 페트로그라드가 레닌그라드로 개칭되면서 악단 명칭도 '레닌그라드 국립 필하모니 아카데미 교향악단(약칭 레닌그라드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으로 바뀌었다. 상임 지휘자로는 발레리 베르댜예프와 니콜라이 말코가 차례로 임명되어 악단 재건이 조금씩 진행되기 시작했다. 1930년 알렉산드르 가우크가 신임 상임 지휘자에 취임하면서 연주력 회복에 주력했고, 가우크의 후임으로는 오스트리아 출신 망명 지휘자 프리츠 슈티드리가 임명되었다. 그러나 슈티드리는 스탈린 치하의 획일적이고 국수적인 문화 정책에 환멸을 느껴 미국으로 재이주했고, 후임으로 당시 35세였던 예프게니 므라빈스키가 임명되었다.

므라빈스키는 재임 초기 일부 노장 단원들로부터 실력을 의심받기도 했으나, 엄격하고 꼼꼼한 리허설 방식과 효과적인 지도력으로 악단의 연주력 향상에 크게 이바지했다. 쇼스타코비치프로코피예프 등의 동시대 작품들도 적극적으로 초연했다. 독소전쟁 중 레닌그라드 포위전 시기에는 노보시비르스크를 임시 본거지로 삼아 공연했고, 레닌그라드 해방 후 다시 복귀했다. 1946년부터 해외 순회 공연을 시작해 핀란드, 체코, 오스트리아, 영국, 폴란드, 루마니아, 미국, 캐나다, 동독, 일본 등을 방문했다.[1] 이후 다양한 아카이브 라이브 녹음이 상업적으로 출시되었다.[2][3] 므라빈스키의 지휘 아래 오케스트라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7곡을 초연했다.

1988년 므라빈스키가 50년간의 장기 재임을 마치고 타계하자, 므라빈스키의 부지휘자로 재직했던 유리 테미르카노프가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2. 3. 소련 붕괴 이후 (1991-현재)

1991년 소련 붕괴와 함께 레닌그라드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다시 개칭되면서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으로 최종 변경되었다.[4] 2000년에는 니콜라이 알렉세예프가 지휘자로 임용되어 재임 중이다.

3. 주요 활동 및 평가

주요 공연장으로는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홀을 사용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각 자치공화국에서 열리는 음악제에도 참가하고 있다. 1912년에 외부 지휘자들에게 개방된 이후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고 러시아 혁명 뒤에도 레닌 집권기까지는 해외에도 유명한 악단이었으나, 스탈린 집권 후에는 쇄국 정책과 파시즘의 대두로 인한 세계 정세의 악화 등으로 외국과의 교류가 거의 단절되어 있었다. 또 유태인에 대한 탄압으로 많은 유태계 단원들이 사직해야 했고, 이 때문에 연주력 유지에도 큰 어려움을 겪었다.[1]

종전 후 해외 공연이 허가되면서 다시 서방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특히 1956년에 모차르트 탄생 200주년 기념으로 오스트리아를 방문해 잘츠부르크에서 공연한 것이 큰 화제가 되었다. 이어 프라하의 봄 국제음악제와 바르샤바의 가을 국제음악제 등 동구권 음악제에도 출연했고, 1960년에 영국에서 공연했을 때는 도이체 그라모폰과 계약이 성사되어 므라빈스키의 지휘로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제 4-6번 세 곡이 녹음되었다. 이 녹음은 지금도 해당 작품들의 명연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외에도 므라빈스키의 부지휘자였던 쿠르트 잔데를링도 모노 녹음 시대에 도이체 그라모폰에 베토벤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들을 녹음했다.[1]

그러나 대부분의 녹음은 러시아에서 제작되었고, 주로 국영 음반사인 멜로디야를 통해 음반 발매가 이루어졌다. 므라빈스키는 차이콥스키나 글린카 등 제정 시대의 작품 외에도 쇼스타코비치 등의 동시대 작품과 베토벤, 브루크너, 힌데미트 등 서구 작곡가들의 작품 등 방대한 양의 녹음을 남겼다. 이외에도 방송용으로 제작된 녹음들이 소련 붕괴 후 공개되어 음반으로 복각되고 있다. 므라빈스키 외에도 잔데를링과 마찬가지로 부지휘자 활동을 했던 마리스 얀손스키릴 콘드라신,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등의 객원 지휘자들도 녹음을 남기고 있다.[1]

테미르카노프는 소련 붕괴 후 RCA 등 해외 음반사와 녹음을 진행하기도 했으며, 최근에는 홈페이지에서 연주 실황 음원을 판매하는 등 새로운 판로를 모색하고 있다. 므라빈스키 이후로는 실력이나 명성이 다소 퇴색되었다는 비판 여론도 있지만, 여전히 러시아의 대표적인 악단으로 입지를 굳히고 있다.[1]

4. 한국과의 관계

1958년 레닌그라드 필하모닉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1970년에도 방문했지만, 두 번 모두 수석 지휘자 므라빈스키는 동행하지 않았다. 므라빈스키와 함께한 첫 내한은 1973년이었다. 이후 1975년, 1977년, 1979년에 므라빈스키와 함께 1년 간격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1986년 10월에도 한국을 방문하여 마리스 얀손스의 지휘로 도쿄 산토리 홀에서 공연을 했다. 이 공연은 NHK 텔레비전에서 방송되기도 했다. 원래 이 연주회에는 므라빈스키가 함께 할 예정이었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취소되었다.[1]

5. 역대 상임 지휘자


  • 헤르만 플리게 (1882년-1907년)
  • Варлих, Гуго Иванович|후고 바를리흐ru (1907년-1917년)
  • 세르게이 쿠세비츠키 (1917년-1920년)
  • 알렉산드르 헤신 (1920년)
  • 에밀 쿠퍼 (1920년-1923년)
  • Бердяев, Валериан Валерианович|발레리 베르댜예프ru (1924년-1926년)
  • 니콜라이 말코 (1926년-1930년)
  • 알렉산드르 가우크 (1930년-1934년)
  • 프리츠 슈티드리 (1934년-1937년)
  • 예프게니 므라빈스키 (1938년-1988년)
  • 유리 테미르카노프 (1988년-2022년)
  • Алексеев, Николай Геннадиевич|니콜라이 알렉세예프ru (2022년-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 교향악단의 전 예술 감독 유리 테미르카노프

6. 명칭 관련 혼란

상트페테르부르크 필 외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교향악단(구 레닌그라드 교향악단)이라는 악단도 활동하고 있지만, 이 둘은 러시아 혁명 이후에 창단된 별개의 단체이다. 하지만 명칭이 거의 비슷하고 같은 공연장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종 혼란이 일어나기도 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교향악단의 경우 상트페테르부르크 필이 보유하고 있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명칭'은 붙어 있지 않다. 그러나 1990년대에 부곡무역이나 삼성 나이세스 등에서 출반한 음반들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필의 정식 명칭을 오용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1]

참조

[1] 뉴스 Tchaikovsky Symphonies https://www.gramopho[...] Gramophone 2022-06-16
[2] 뉴스 Recordings View; A Russian Maestro Out of Isola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6-16
[3] 뉴스 Beethoven: Symphonies Nos 5 & 7; Leningrad Philharmonic/Mravinsk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2-06-16
[4] 웹사이트 Nikolay Alekseev Takes Over as Chief Conductor of the St. Petersburg Philharmonic https://www.thevioli[...] 2022-06-16
[5] 웹사이트 St. Petersburg Philharmonic Orchestra https://www.philharm[...] "'''サンクトペテルブルク・フィルハーモニー交響楽団'''" 2019-06-26
[6] 웹사이트 Persons - Yuri Temirkanov - Artistic Director and Chief Conductor of The St.Petersburg Philharmonic Orchestra https://www.philharm[...] "'''サンクトペテルブルク・フィルハーモニー交響楽団'''" 2019-06-26
[7] 문서 Юрий Темирканов оставил пост главного дирижера Заслуженного коллектива России — оркестра Филармонии https://www.fontank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