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강대교는 서울특별시를 가로지르는 한강에 건설된 다리이다. 1980년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예산 문제 등으로 중단되었다가 1993년 재개되어 1996년 양화대교의 통행 제한에 따라 조기 개통되었다. 철새 도래지인 밤섬을 지나가는 노선으로 건설되어 환경 단체의 반발이 있었고, 건설 방식 변경과 철새 보호를 위한 조치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홍예교 - 방화대교
방화대교는 2000년 11월 21일 개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일부이자 한강의 26번째 다리이다. - 대한민국의 홍예교 - 일산대교
일산대교는 고양시와 인천 서구를 잇는 다리로, 2008년 개통 이후 통행료 문제로 논란이 있었으며, 보행자와 자전거 통행도 가능하다. - 서울 마포구의 건축물 - 광성고등학교 (서울)
광성고등학교 (서울)는 1894년 평양에서 기독교 선교와 교육을 위해 설립된 사숙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변화를 겪었으며, 1961년 서울 마포구 신수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서울 마포구의 건축물 - 가양대교
가양대교는 1994년 착공하여 2002년 준공된 다리이며, 난지도와 가양동·등촌동을 잇는 다리 건설 계획으로 시작되어 지역 주민들의 명칭 변경 요구에 따라 가양대교로 명명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교량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교량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서강대교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서강대교 (西江大橋) |
다른 이름 | 서강대교 |
횡단 | 한강 |
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마포구 |
관리 | 서울특별시청 |
구조 및 디자인 | |
설계 | 강판 거더교, 닐센계 아치교 |
주경간 | 150m |
길이 | 1,320m |
너비 | 29m |
운행 높이 | 21m |
차선 수 | 6 |
건설 정보 | |
착공일 | 1980년 6월 7일 |
개통일 | 1996년 12월 30일 |
교통 정보 | |
통과 도로 | 국회대로 서강로 |
기타 정보 | |
![]() |
2. 역사
1980년 6월 7일 착공되었으나,[13][5] 서울시의 재정 문제, 연결 도로 미확보,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 등으로 인한 예산 집행 우선순위 문제로 1983년 공사가 중단되었다. 10년간 방치되어 '서울의 흉물, 한강의 괴물'이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다.[10] 1990년대 초 서울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1993년 공사가 재개되었고,[11] 양화대교 일부 통행 제한에 따라 1996년 12월 30일 조기 개통되었다.[14][6] 다만, 당시 서강대교 북단은 강변북로를 통해서만 진출입이 가능했다.[14][6] 1997년 4월 30일 양화대교 구교 철거를 앞두고 서강대교 북단과 신촌교차로를 잇는 임시가교가 설치되었으나,[15][7] 1998년 10월 서강대교 북단 진입도로 개통으로 임시가교는 철거되었다.[16][8]
2. 1. 건설 과정
서강대교는 1980년부터 공사를 시작하였으나 1983년 이후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0년 만인 1993년 공사가 재개되었고, 양화대교 일부 폐쇄에 따른 교통량을 흡수하기 위해 1996년 말 개통되었다.처음에는 사장교 형태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서울시의 재정 문제 및 연결 도로 미확보 문제로 인해 1983년에 교각 17개만 건설된 채 중단되었고, 이후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 등으로 예산 집행 우선순위에서 밀려 10년간 방치되어 '서울의 흉물, 한강의 괴물'이라는 오명을 사기도 했다.[10] 1990년대 초 최악으로 치닫는 서울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서 1993년부터 공사를 재개하였다.[11]
그러나 서강대교가 밤섬을 거치게 건설되고 있었기 때문에 철새가 사라질 것을 우려한 환경 단체의 반발이 있었고, 이를 반영해 서강대교 건설 방식을 변경하였다. 밤섬이 위치하는 150m 구간에는 닐슨 아치교 형식으로 건설하기로 했는데, 이 방법으로 건설할 경우 양쪽 아치가 맨 위에서 모아지며 강선으로 고정되어 있어 곡선의 아름다움을 최대로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나머지 구간은 콘크리트 박스를 밀어내는 연속압출공법으로, 강북 구간은 스틸박스교로 건설하기로 변경하였다. 또한 철새 보호를 위해 철새가 번식하는 4~6월에는 공사를 중지하기도 했다.[12]
2. 2. 연혁
- 1980년 6월 7일: 착공[13][5]
- 1996년 12월 30일: 양화대교 일부 통행 제한에 따라 조기 개통. 다만, 당시 서강대교 북단은 강변북로를 통해서만 진출입 가능.[14][6]
- 1997년 4월 30일: 양화대교 구교 철거를 앞두고, 서강대교 북단과 신촌교차로를 잇는 임시가교 설치.[15][7]
- 1998년 10월: 서강대교 북단 진입도로 개통, 임시가교 철거.[16][8]
3. 서강대교와 밤섬
서강대교는 철새 도래지로 유명한 밤섬을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밤섬 구간에는 아치형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어 이 곳이 밤섬임을 알려준다.[12]
3. 1. 생태계 보호 노력
서강대교는 철새 도래지로 유명한 밤섬을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건설되어, 건설 과정에서 환경 단체의 반발이 있었다.[12] 이를 반영하여 밤섬이 위치하는 150m 구간은 닐슨 아치교 형식으로 건설하고, 나머지 구간은 연속압출공법, 강북 구간은 스틸박스교로 건설하는 등 공사 방식을 변경하였다.[12] 또한 철새 보호를 위해 철새가 번식하는 4~6월에는 공사를 중지하기도 했다.[12]
서강대교 개통 초기에는 차량의 소음과 매연으로 밤섬 생태계가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17]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Han River-Bamseom Islets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4-03-25
[2]
뉴스
Seven years since Sogang Bridge construction was suspended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hinmun
2024-03-26
[3]
뉴스
Soegang Bridge construction resumes after 10 years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hinmun
1992-12-25
[4]
뉴스
Acceleration of the reconstruction of Soegang Bridge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hinmun
1993-09-16
[5]
뉴스
Construction of Soegang Bridge begins
Donga Ilbo
1980-06-07
[6]
뉴스
Soegang Bridge passage
https://newslibrary.[...]
The Hankyoreh
1996-12-30
[7]
뉴스
The temporary bridge between the northern end of Sogang Bridge and Changcheon-ro opened today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97-04-30
[8]
뉴스
Four of the eight lanes at the Sogang Bridge-Sinchon intersection will open early next month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98-09-19
[9]
뉴스
Migratory birds are leaving Bam Island in the Han River due to noise and smoke from Sogang Bridge and Gangbyeonbuk-ro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hinmun
1997-10-26
[10]
뉴스
서강대교 공사중단 7년째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9-08-07
[11]
뉴스
서강대교 10년만에 공사재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2-12-25
[12]
뉴스
서강대교 재건설 박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3-09-16
[13]
뉴스
서강대교 착공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0-06-07
[14]
뉴스
서강대교 통행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6-12-30
[15]
뉴스
서강대교 북단~창천로 임시가교 오늘 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4-30
[16]
뉴스
서강대교~신촌교차로 8개 차로 중 4개 차로 내달 초 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8-09-19
[17]
뉴스
서강대교·강변북로 소음·매연으로 한강 밤섬 '철새는 떠나가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10-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마포 합정역 초고층 주상복합 ‘라비움 한강’ 내달 분양
"서강대교 넘지 마라"…조성현 대령 특진할까 [소셜픽]
[포토뉴스] ‘흙탕물’ 한강
국방부, 비상계엄 ‘위법 명령’ 불복종 군인 포상… "서강대교 넘지 마라" 학군 출신 조성현 대령 가능성
어른이 된 동구는 다시 계엄을 목격하고 [.txt]
“달리면 나무 1그루 기부”…현대차, 내달 ‘포레스트런’ 행사 개최
탄핵심판 선고가 여의도 벚꽃축제일도 바꿨다…4일→8일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