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방부리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방부리도마뱀붙이는 1867년 알베르트 귄터가 처음 기술한 호주 전역에 분포하는 도마뱀붙이류이다. 부리도마뱀붙이속에 속하며, 돌도마뱀붙이속과 특징을 공유한다. 몸길이는 최대 95mm까지 자라며, 꼬리가 길고 가늘며 주둥이는 좁고 부리처럼 생겼다. 적갈색 바탕에 노란색, 갈색, 흰색 점무늬가 있으며, 야행성이다. 건조 및 반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뉴사우스웨일스주, 노던준주, 퀸즐랜드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빅토리아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등지에 분포한다.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빅토리아 야생 동물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7년 기재된 파충류 - 해안타이판
    해안타이판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뉴기니 남부에 서식하는 맹독성 뱀으로, 호주에서 두 번째로 긴 독사이며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소형 포유류를 잡아먹고, 1950년대 후반 항독소 개발 이후 생존율이 높아졌다.
  • 1867년 기재된 파충류 - 마다가스카르큰머리거북
    마다가스카르큰머리거북은 마다가스카르 섬의 담수 환경에 서식하는 자라거북과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큰 머리와 갈색 등갑을 가지며 잡식성이나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황어
    황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회유어로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이고 산란기에는 붉은 혼인색을 띠며 식용, 낚시 대상 등으로 활용된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가는장어속
    가는장어속은 뱀장어목 곰치아목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붉은장어와 오렌지장어 등 6종이 속해 있으며 진흙장어과에 속한다.
서방부리도마뱀붙이
기본 정보
학명Rhynchoedura ornata
명명자알베르트 귄터, 1867
이명Diplodactylus paraornatus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뱀목
하목도마뱀붙이하목
돌도마뱀붙이과
부리도마뱀붙이속
서방부리도마뱀붙이
보존 상태
IUCN Red ListLC - 관심 필요

2. 분류

서방부리도마뱀붙이는 1867년 알베르트 귄터가 최초로 기술하였다.[10][1] 호주 전역에 분포하는 부리도마뱀붙이속(Rhynchoedura)에 속하며, 돌도마뱀붙이속(Diplodactylus)과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10][2] 글렌 스토르는 부리도마뱀붙이속을 돌도마뱀붙이속에 포함시켜야 할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13][2] ''Diplodactylus stenodactylus''는 서식지, 분포, 생김새가, ''Diplodactylus pulcher''는 주둥이와 척추가 서방부리와 닮았다.[17][6]

유전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Lucasium이 부활하였고, 부리도마뱀붙이속은 ''D. byrnei'', ''D. steindachneri'', ''stenodactylus'' 와는 다르지만, 이들과 자매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14][5] Wells & Wellington이 발표한 ''Diplodactylus paraornatus''[3] 와 ''Rhynchoedura ormsbyi''[4]는 이 종의 동의어이다.

3. 형태

서방부리도마뱀붙이는 항문까지 50mm, 꼬리까지 95mm까지 자라는 소형 야행성 도마뱀붙이류이다.[15][16][17] 꼬리가 길고 가늘며, 주둥이는 좁고 부리같이 생겼다.[15] 수척한 머리는 다른 도마뱀붙이류와 즉시 분간할 수 있는 특징이다. 몸은 적갈색에서 적색 바탕에 작은 노란색, 갈색, 흰색 점무늬가 나있다. 머리의 일부분은 밝은 갈색이나 회색을 띈다. 크림색, 흰색 줄무늬는 눈의 밑부분에서 뻗어나가며, 몸의 밑부분은 흰색이다.

발가락은 작고 가늘고 휘어있다.[15] rostral and mental shields의 뾰족한 모양이 작은 부리 구조를 형성한다. 항문전공(Preanal pore)은 존재한다.[15] 이 도마뱀붙이류는 따뜻한 곳에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체온을 조절한다. 암컷은 수컷보다 큰 편이며, 1살이 되기 전에 성숙하고, 덕분에 알이 더 제대로 생겨나서 자식이 생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17] 한 번에 껍질이 부드러운 알을 두 개씩 낳는다.[16]

4. 분포와 서식지

서방부리는 호주 전역, 특히 내륙지역에 흔하게 분포한다.[13] 건조, 반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서식지와 토양의 종류를 그다지 가리지 않는다.[13] 뉴사우스웨일스주, 노던준주, 퀸즐랜드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빅토리아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에 서식한다.[13][2] 남부의 해안가와 북부의 열대지방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13][2]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는 사우스웨스트 북동부에 분포하며, 북부, 북서부 해안가에까지 뻗친다.[16][8] 모식지(:en:Type locality (biology))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니콜 만(:en:Nicol Bay, Western Australia)이다.[13][2]

서식지는 보통 스피니펙스가 자라나있는 모래언덕이나 모래평원일 수 있으며, 맬리(:en:Mallee Woodlands and Shrublands)와 멀가(:en:Acacia aneura)따위가 돋아난 시골일 수도 있다.[6] 개체의 활동범위는 평생 동안 반경 30m를 벗어나지 않는다.

5. 보존 상태

서방부리도마뱀붙이는 멸종 위기 종이며, 빅토리아 야생 동물법에 따라 소유하려면 "고급" 허가가 필요하고 관련 거래에 대한 서면 통지가 필요한 스케줄 4로 지정되어 있다.[6][7][8]

참조

[1] 논문 Additions to the knowledge of Australian reptiles and fishes https://www.biodiver[...] 1867
[2] 웹사이트 Rhynchoedura ornata Günther, 1867 http://reptile-datab[...] J. Craig Venter Institute 2009-01-26
[3] 논문 A synopsis of the class Reptilia in Australia
[4] 논문 A classification of the Amphibia and Reptilia of Australia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lizard genus Diplodactylus Gray and resurrection of Lucasium Wermuth(Gekkota, Diplodactylidae). 2007
[6] 웹사이트 Rhynchoedura ornata http://www.jcu.edu.a[...] James Cook University 2001
[7]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8] 서적 Reptiles and Frogs in the Bush: Southwestern Australia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Press
[9] 웹사이트 https://www.iucnredl[...]
[10] 논문 Additions to the knowledge of Australian reptiles and fishes https://www.biodiver[...] 2019-08-28
[11] 논문 A synopsis of the class Reptilia in Australia
[12] 논문 A classification of the Amphibia and Reptilia of Australia
[13] 웹인용 Rhynchoedura ornata Günther, 1867 http://reptile-datab[...] J. Craig Venter Institute 2009-01-26
[14]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lizard genus Diplodactylus Gray and resurrection of Lucasium Wermuth(Gekkota, Diplodactylidae). 2007
[15]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16] 서적 Reptiles and Frogs in the Bush: Southwestern Australia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Press
[17] 웹인용 Rhynchoedura ornata http://www.jcu.edu.a[...] James Cook University 2009-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