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암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암서원은 김대유와 박하담을 모시기 위해 1567년(선조 원년)에 처음 건립되었으며, 여러 차례 중건과 훼철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1577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1676년에 재건되었으나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현재 건물은 1878년에 박하담의 후손들이 다시 지은 것이다. 주요 건물로는 안채, 득월정, 행랑채, 선암서당 등이 있으며, 14의사의 문집목판이 보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도군의 문화유산 -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는 경상북도 청도군 대전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 된 은행나무 수나무로, 천연기념물 제301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마을의 정자목이자 풍흉을 점치는 대상이었고, 도사와 여인에 얽힌 전설과 신라 말 행정구역 변경 시 경계목으로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문화적 가치가 높은 노거수이다. - 청도군의 문화유산 -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는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수령 약 800년의 은행나무로, 높이 25.5m, 둘레 8.7m이며, 3개의 가지로 갈라지는 특징을 보이고 천연기념물 제402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1878년 완공된 건축물 - 삿포로시 시계탑
삿포로시 시계탑은 1878년 삿포로 농학교 연무장으로 건설되어 윌리엄 호일러가 설계하고 1881년 하워드 사의 시계가 설치된 이후 현재까지 삿포로의 상징이자 박물관으로 운영되는 관광 명소이다. - 1878년 완공된 건축물 - 스웨덴 왕립도서관
스웨덴 왕립도서관은 16세기 왕실 컬렉션을 기반으로 설립되어 스웨덴에서 인쇄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고, 1,800만 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하며, 디지털 컬렉션을 구축하고 스웨덴의 모든 도서관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 청도군의 건축물 - 남성현역
남성현역은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에 위치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신호소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역사를 이전 및 신축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와 독특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대한민국 최초의 스위치백 흔적이 남아있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무궁화호 정차역이다. - 청도군의 건축물 - 청도역
청도역은 경상북도 청도군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04년에 신축되어 1905년에 영업을 시작했으며, 현재 ITX-새마을, 무궁화호, ITX-마음이 정차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로 운영된다.
선암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선암서원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선암로 455-27 (신지리) |
정보 |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79 |
지정일 | 1975년 8월 18일 |
시대 | 미상 |
관리 | 밀양박씨선암문중 |
면적 | 미상 |
수량 | 5동 |
전승지 | 미상 |
전승자 | 미상 |
참고 | 미상 |
문화재청 ID | 21,00790000,37 |
2. 역사
삼족당 김대유와 소요당 박하담을 모신 서원으로, 1567년(조선 선조 원년) 매전면 동산동 운수정에 향현사로 처음 건립되었다. 1577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선암서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676년(조선 숙종 2년)에 다시 지어졌으나 1868년(조선 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878년 박하담의 후손들이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1. 건립과 훼철 (1567년 ~ 1868년)
1567년 조선 선조 원년에 김대유와 박하담을 모시기 위해 매전면 동산동 운수정에 두 사람의 위패를 모시고 향현사라 하였다. 1577년(선조 10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기고 선암서원이라 하였다. 1676년(숙종 2년)에 다시 지었으나, 1868년(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2. 2. 복원과 현재 (1878년 ~ 현재)
1567년 조선 선조 원년에 김대유와 박하담을 모시기 위해 매전면 동산동 운수정에 두 사람의 위패를 모시고 향현사라 하였다. 1577년 선조 10년에 현재 위치로 옮기고 선암서원이라 하였다. 1676년 조선 숙종 2년에 다시 지었으나, 1868년 조선 고종 5년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1878년 고종 15년에 박하담의 후손들이 지금의 건물들을 다시 지었다.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득월정·행랑채가 ㄷ자 형을 이루고 그 뒤쪽으로는 선암서당이 있다. 선암서당은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이며,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이고 그 양쪽으로는 방을 들였다.
대문채 남쪽 칸에는 송은·우당·소요당·제우당 등 14의사의 문집목판이 보관되어 있다.
3. 건축
조선 선조 원년(1567)에 김대유와 박하담을 모신 서원으로 처음에는 향현사라 불렀으나, 선조 10년(1577)에 현재 위치로 옮기면서 선암서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숙종 2년(1676)에 다시 지었으나,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현재 건물들은 고종 15년(1878)에 박하담의 후손들이 다시 지은 것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득월정·행랑채가 ㄷ자 형을 이루고 그 뒤쪽으로는 선암서당이 있다.
3. 1. 배치 구조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득월정·행랑채가 ㄷ자 형을 이루고 그 뒤쪽으로 선암서당이 있다. 선암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이며,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이고 그 양쪽으로 방을 들였다.대문채 남쪽 칸에는 송은, 우당, 소요당, 제우당 등 14의사의 문집 목판이 보관되어 있다.
3. 2. 선암서당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득월정·행랑채가 ㄷ자 형을 이루고 그 뒤쪽으로 선암서당이 있다. 선암서당은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이며,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이고 그 양쪽으로는 방을 들였다.4. 인물
선암서원은 삼족당 김대유와 소요당 박하담을 배향한 서원이다.
4. 1. 소요당 박하담
소요당 박하담은 조선시대의 학자이다. 선조 원년(1567)에 삼족당 김대유와 소요당 박하담의 위패를 매전면 동산동 운수정에 모시고 향현사라 하였다. 선조 10년(1577)에 지금의 위치로 옮기고 선암서원이라 하였다.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고종 15년(1878)에 박하담의 후손들이 선암서원을 다시 지었다.5. 유물
선암서원에는 송은, 우당, 소요당, 제우당 등 14의사의 문집목판 외에도 여러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5. 1. 문집목판
대문채 남쪽 칸에는 송은, 우당, 소요당, 제우당 등 14의사의 문집목판이 보관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