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희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희왕후는 고려 순종의 비로, 본관은 경주 김씨이며 김양검의 딸이다. 순종이 태자였을 때 후비로 입궁하여 총애를 받았으나, 시아버지 문종의 미움을 받아 궁에서 쫓겨났다. 1126년에 사망하여 선희왕후의 시호를 받았으며, 순종의 능인 성릉에 합장되었다. 이후 공의, 화순의 시호가 더해져 공의화순선희왕후가 되었다. 자녀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26년 사망 - 고구 (송나라)
    고구는 북송 휘종 황제의 총애를 받아 태위까지 올랐으나, 군자금 횡령 등 부정부패를 저질러 금나라의 침략에 일조했으며 소설 《수호전》에서는 간신으로 묘사된다.
  • 1126년 사망 - 기욤 9세 다키텐 공작
    기욤 9세 다키텐 공작은 1071년에 태어나 1126년에 사망한 아키텐 공작이자 트루바두르이며, 15세에 공작위를 계승하여 광대한 영토를 다스리고 1101년 십자군에 참여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을 남긴 작가로 서정시 전통 확립에 기여했다.
  • 고려의 왕비 - 희비 윤씨
    희비 윤씨는 고려 충혜왕의 후궁이자 충정왕의 생모로, 아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외척인 민씨 가문이 권력을 얻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친 파평 윤씨 가문 출신이다.
  • 고려의 왕비 - 순화원비
    고려 충선왕의 비인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딸이자 공원왕후의 언니이며 자녀는 없었고, 그녀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고려사》에 남아있지 않다.
  • 경주 김씨 - 김만제
    김만제는 1934년생으로 미주리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이며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 주요 직책을 거쳐 한국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관료, 기업인, 정치인으로, 삼성생명과 포항제철 회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하며 은탑산업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청조근정훈장 등을 수훈했다.
  • 경주 김씨 - 김석휘
    김석휘는 1935년 충북 청주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학교법인 홍익학원 이사로 재직 중이다.
선희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고려 순종의 왕비
출생일미상
사망일1126년 2월 22일 (음력)
배우자순종
자녀없음
아버지김양검
어머니미상
시호공의화순선희왕후 (恭懿和順宣禧王后)
가문경주 김씨 (본관), 왕가 (혼인)
칭호
추증 궁호 (1126년)연복궁주 (延福宮主)
시호공의화순선희왕후 (恭懿和順宣禧王后)
생애
시대고려
활동?–1083 (태자비), 1126년 사망
능묘개성 성릉 (成陵)
가계
아버지김양검
남편순종
왕후
존호선희왕태후 (宣禧王太后)
관련 정보
전임임씨 (의화왕후) (태자비)
후임왕씨 (태자비)

2. 생애

경주 김씨이며 대경 김양검(金良儉)의 딸이다. 순종이 태자로 있던 시절에 후비로 뽑혀 입궁하였으며, 남편의 총애를 받았다. 그러나 시아버지 문종이 그녀를 매우 미워하여, 결국 문종의 명에 의해 궁에서 쫓겨나 연복궁주(延福宮主)라 불렸다.

1126년(인종 4년) 음력 2월 22일에 사망하여 시호를 '''선희왕후'''(宣禧王后)라 하였고, 이후 1130년(인종 8년)에는 순종의 정비로써 태묘에 부묘되고 순종의 성릉(成陵)에 합장되었다. 훗날 수 차례에 걸쳐 시호가 가상되어 '''공의화순선희왕후'''(恭懿和順宣禧王后)가 되었다.

남편 순종과 함께 살지 못한 탓에 자녀는 없었다[6].

2. 1. 궁에서 쫓겨난 왕후

경주 김씨이며 대경 김양검(金良儉)의 딸이다. 순종이 태자로 있던 시절에 후비로 뽑혀 입궁하였으며, 남편의 총애를 받았다. 그러나 시아버지 문종이 그녀를 매우 미워하였고, 결국 문종의 명에 의해 궁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그리고 호를 연복궁주(延福宮主)라 하였다.[6]

3. 사후

1126년(고려 인종 4년) 음력 2월 22일에 사망하여 시호선희왕후(宣禧王后)라 하였다. 1130년(인종 8년) 순종의 정비로써 태묘에 부묘되고 성릉에 합장되었다. 훗날 시호가 추가되어 공의화순선희왕후(恭懿和順宣禧王后)가 되었다.[6] 남편 순종과 함께 살지 못한 탓에 자녀는 없었다.[6]

3. 1. 시호 추증

1126년(고려 인종 4년) 음력 2월 22일에 사망하여 시호를 '''선희왕후'''(宣禧王后)라 하였고, 이후 1130년(인종 8년)에는 순종의 정비로써 태묘에 부묘되고 순종의 성릉에 합장되었다.[6] 훗날 수 차례에 걸쳐 시호가 추가되어 '''공의화순선희왕후'''(恭懿和順宣禧王后)가 되었다. 시호가 추가된 시기는 다음과 같다.

추가된 시호시기
공의 (恭懿|공의hanja)1140년 4월 (고려 인종 18년)[4]
화순 (和順|화순hanja)1253년 10월 (고려 고종 40년)[4]


4. 가족 관계


  • 아버지 : 김양검
  • 어머니 : 미상
  • 남편 : 순종

참조

[1] 웹사이트 日曜野話 http://mobile.busan.[...] 1959-10-25
[2] 웹사이트 선왕의 미움을 받아 자식을 못낳은 선희왕후(宣禧王后) 김씨(金氏) https://www.culturec[...] 2021-08-10
[3] 서적 북타임스 고려왕비열전 23. 순종과 선희 왕후 김씨 https://books.google[...] Goldstar Publishing House 2016
[4]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8-08
[5] 문서 《고려사》 권15 〈세가〉 권15 - 인종 4년 2월 무오(戊午) 기사
[6]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