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낙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낙인은 대한민국의 헌법학자이자 법학자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대학원 명예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학사 및 석사 학위를, 프랑스 파리 제2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영남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제26대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위원,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 위원, 헌법재판소 자문위원 등 다양한 공직을 수행했으며, 현재 포항지진 피해구제심의위원회 위원장, 미디어·콘텐츠산업융합발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1989년 한국공법학회 학술장려상, 2005년 대한민국황조근정훈장, 2010년 제20회 상허대상 법률부문 대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대학교 총장 - 박봉식 (정치학자)
박봉식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교육자로, 서울대학교 교수 및 총장, 부산외국어대학교와 금강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활동, 총선 무소속 출마, 토지매입 알선 사기 사건 연루, 서울대학교 본부 점거 사태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 서울대학교 총장 - 신태환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관료인 신태환은 경성고등상업학교와 도쿄상과대학을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경제학회 설립에 기여했고 건설부 장관, 서울대학교 총장, 초대 국토통일원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 발전과 국토 통일에 힘썼다. - 헌법학자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 헌법학자 - 게오르크 옐리네크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 그의 저서 《일반 국가론》과 《인권선언론》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성낙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성낙인 |
원어 이름 | 成樂寅 |
출생일 | 1950년 8월 24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창녕 |
직업 | 대학 교수, 교육인 |
종교 | 불교 |
학력 | |
학력 | 파리 제2대학교 대학원 국내공법(헌법학) 법학박사 |
경력 | |
경력 | 영남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서울대학교 총장 |
상훈 | |
상훈 | 대한민국황조근정훈장(2005년) |
2. 학력
- 대구복명초등학교 졸업
- 대구중학교 졸업
- 경기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법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 졸업 (법학석사, 학위논문명: 헌법상 경제질서의 연구)
-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수료
- 프랑스 파리 제2대학교 대학원 국내공법(헌법학) 박사과정 졸업 (법학박사, 학위논문명: Les Ministres de la Ve Republique Francoaise)
3. 경력
성낙인은 영남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교수, 한국법학교수회 회장, 세계헌법학회 한국지부 회장 등 학계에서 활동했다.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위원,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 위원, 헌법재판소 자문위원, 서울대학교 총장 등 공직도 역임했다.[1]
그 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한국언론법학회, 동아일보, 한국공법학회, 동아시아연구중심대학협의회,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경남의힘정책포럼, 한국전쟁기념재단, 국민의힘 등에서도 활동했다.[1]
3. 1. 학계 경력
- 1980년 ~ 1999년 8월: 영남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 1999년 9월 ~ 2014년 7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대학원 교수
- 2000년 6월 ~ 2002년 6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무담당 부학장 겸 법학부장
- 2002년 ~ 2004년: 서울대학교 교수협의회 이사
- 2003년 ~ 2004년: 서울대학교 교수윤리위원회 위원
- 2003년 ~ 2004년: 서울대학교 대학인사위원회 및 양성평등위원회 위원
- 2004년 6월: 서울대학교 법학발전재단 이사장
- 2004년 6월 ~ 2006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 2008년 ~ 2010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위원
- 2008년 ~ 2010년: 서울대학교 법인화위원회 거버넌스분과위원장
- 2009년 1월 ~ 2012년 12월: 한국법학교수회 회장
- 2013년: 세계헌법학회 한국지부 회장
- 2018년 7월 ~ 현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대학원 명예교수
3. 2. 공직 경력
- 1991년 3월 ~ 1997년 3월: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 1996년 4월 ~ 1997년 3월: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위원
- 1997년 9월 ~ 2005년 2월: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 위원(정보공개전문위원장)
- 2001년 3월 ~ 2003년: 행정자치부 사법시험위원회 위원
- 2002년 3월 ~ 2004년 2월: 정보통신부 인터넷주소자원관리법 제정추진위원회 위원장
- 2004년 3월: 법무부 사법시험관리위원회 위원
- 2004년 7월 ~ 2005년 4월: 대검찰청 인권존중을 위한 수사제도관행개선위원회 위원장
- 2005년 5월 ~ 2011년: 헌법재판소 자문위원
- 2008년 8월 ~ 2010년: 국회 헌법연구자문위원회 부위원장
- 2009년 ~ 2012년: 대법원 대법관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2010년 ~ 2013년: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 2011년 4월 ~ 2014년 6월: 초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
- 2012년 7월 ~ 2014년 8월: 제8대 경찰위원회 위원장
- 2014년 7월 ~ 2018년 7월: 제26대 서울대학교 총장
- 2020년 5월 ~ 현재: 포항지진 피해구제심의위원회 위원장
- 2023년 4월 ~ 현재: 미디어·콘텐츠산업융합발전위원회 공동위원장
3. 3. 기타 경력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권지원지위원회 위원장 및 교권옹호위원회 위원장[1]
- 한국언론법학회 부회장[1]
- 한국공법학회 부회장[1]
- 동아일보 내셔날아젠다위원회 정치·통일·외교분과위원회 위원장[1]
- 한국공법학회 회장[1]
- 동아시아연구중심대학협의회 의장[1]
-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고문[1]
- 경남의힘정책포럼 공동대표[1]
- 재단법인 한국전쟁기념재단 이사[1]
- 국민의힘 김병욱 국회의원 후원회장[1]
4. 저술 활동
성낙인 교수는 헌법학 분야에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쳐왔다. 그의 저서는 헌법학 연구자뿐만 아니라 법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도 널리 읽히고 있다. 특히, 《헌법학》은 1999년 초판 발행 이후 지속적으로 개정판을 내며 헌법학의 주요 교재로 자리 잡았으며, 《판례헌법》, 《만화판례헌법》 등을 통해 헌법 판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4. 1.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97년 | 《한국헌법연습》 | 언약 | |
1998년 | 《언론정보법》 | 나남 | |
1998년 | 《한국헌법연습》 | 언약 | |
1998년 | 《선거법론》 | 법문사 | |
2001년 | 《헌법연습》 | 법문사 | |
2001년 | 《헌법학》 | 법문사 | |
2002년 | 《헌법학》 | 법문사 | |
2003년 | 《헌법학》 | 법문사 | |
2005년 | 《헌법학 2005》 | 법문사 | |
2006년 | 《헌법학 제6판》 | 법문사 | |
2006년 | 《헌법학 2006》 | 법문사 | |
2006년 | 《한국법과 세계화》 | 법문사 | 성낙인, 김재형 공저 |
2007년 | 《헌법학 2007》 | 법문사 | |
2007년 | 《자금세탁 방지법제론》 | 경인문화사 | 성낙인, 권건보 공저 |
2007년 | 《공직선거법과 선거방송심의》 | 나남 | |
2008년 | 《헌법 실전예상답안(사시 2차 대비)》 | 고시계사 | 성낙인, 김철수 공저 |
2008년 | 《헌법학 2008》 | 법문사 | |
2008년 | 《판례헌법》 | 법문사 | |
2008년 | 《우리헌법읽기(법과사회 칼럼집)》 | 법률저널 | |
2008년 | 《개인정보보호법제에 관한 입법평가》 | 한국법제연구원 | |
2009년 | 《헌법학 2009》 | 법문사 | |
2009년 | 《판례헌법》 | 법문사 | |
2010년 | 《헌법학 2010》 | 법문사 | |
2011년 | 《헌법학 입문》 | 법문사 | |
2012년 | 《대한민국 헌법사》 | 법문사 | |
2012년 | 《헌법소송론》 | 법문사 | 성낙인, 이효원, 권건보, 정철, 박진우 공저 |
2012년 | 《헌법학 2012》 | 법문사 | |
2012년 | 《판례헌법》 | 법문사 | |
2012년 | 《만화판례헌법 1(헌법과 정치제도)》 | 법률저널 | |
2012년 | 《헌법학입문》 | 법문사 | |
2013년 | 《헌법학 2013》 | 법문사 | |
2013년 | 《만화판례헌법 2(헌법과 기본권)》 | 법률저널 | |
2013년 | 《헌법학 입문》 | 법문사 | |
2014년 | 《헌법학 2014》 | 법문사 | |
2014년 | 《판례헌법》 | 법문사 | |
2014년 | 《국민을 위한 사법개혁과 법학교육(법과사회 칼럼집)》 | 법률저널 | |
2015년 | 《헌법학 2015》 | 법문사 | |
2015년 | 《헌법학 입문》 | 법문사 | |
2016년 | 《헌법학 2016》 | 법문사 | |
2016년 | 《헌법학 입문》 | 법문사 | |
2017년 | 《헌법학 2017》 | 법문사 | |
2017년 | 《헌법학 입문》 | 법문사 | |
2017년 | 《헌법과 생활법치》 | 세창출판사 |
5. 수상
연도 | 수상 내용 |
---|---|
1989년 | 한국공법학회 학술장려상 본상(헌법부분)[1] |
2005년 | 대한민국 황조근정훈장 (대통령) |
2010년 | 제20회 상허대상 법률부문 대상 |
2012년 | 한국헌법학회 학술상 |
2014년 | 제6회 대한민국법률대상 (학술부문) |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관련 사건 타임라인
‘권한대행’이 대통령 몫 재판관 지명할 수 있나···법조계 “위헌적 월권행위”
전 서울대 총장 “하해와 같은 마음으로 용서하자”…윤석열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