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봉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봉조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음보로 관직에 올라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성종 대에 걸쳐 활동하며, 특히 세조의 즉위와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에 책봉되었다. 최종 관직은 의정부 우의정이었으며, 창성부원군에 봉해졌다. 시호는 양정이며, 아들 성율은 참의를 지냈다.
세조가 즉위하자 성봉조의 아내가 세조비의 언니였기 때문에 특별히 자헌 대부(資憲大夫)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받았다. 공조·형조의 판서를 지내고, 1457년(세조 3)에 정헌 대부(正憲大夫)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이 되었다. 1458년 이조 판서를 거쳐 1462년(세조 8)에 숭정대부(崇政大夫) 우찬성(右贊成)에 올랐고, 1466년에 숭록대부(崇祿大夫)가 되었으며, 1468년(세조 14)에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었다.[1]
2. 생애
성종 즉위 후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으로 의정부 우의정(議政府右議政)에 오르고,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성봉조는 삼공(三公)의 지위가 높고 자신은 늙었다는 이유로 사양했으나, 임금이 허락하지 않고 궤장(几杖)을 하사하였다.[1]
시호(諡號)는 양정(襄靖)이니, 일로 인하여 공(功)이 있음이 ‘양(襄)’이고 부드럽고 곧으며 편히 죽음이 ‘정(靖)’이다.[1]
성봉조는 침착하고 후덕하며, 고사(故事)를 잘 알고 숙련되어 가는 곳마다 명성과 공적이 있었다. 아들 성율은 참의(參議)를 지냈다.[1]
2. 1. 초기 관직 생활
음보(蔭補)로 순승부 행수(順承府行首)가 되고 여러 번 옮겨 한성 소윤(漢城少尹)에 이르렀다. 1430년(세종 12) 지풍덕군사(知豊德郡事)로 나갔다가, 1438년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를 지냈다.[1]
1441년 동부승지(同副承旨)에 발탁되어 우부승지에 올랐다가 형조·호조·공조의 참의(參議)를 거쳐 경상도·충청도 관찰사를 지냈다. 1447년 가선 대부(嘉善大夫) 경상도 도절제사(都節制使)에 올랐고, 1449년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가 되었다.[1]
1452년(문조 2)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이 되고 1453년(단종 원년) 가정 대부(嘉靖大夫) 형조 참판에 올랐다가, 곧 함길도 도관찰사(咸吉道都觀察使)에 임명되었다.[1]
2. 2. 중앙 관직 진출과 승진
음보(蔭補)로 순승부 행수(順承府行首)가 되고 여러 번 관직을 옮겨 한성 소윤(漢城少尹)에 이르렀다. 1430년(세종 12) 지풍덕군사(知豊德郡事)로 나갔다가, 1438년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를 지냈다.
1441년에 동부승지(同副承旨)에 발탁되어 우부승지에 올랐다가 형조·호조·공조의 참의(參議)를 거쳐 경상도·충청도 관찰사를 지냈다. 1447년에 가선 대부(嘉善大夫) 경상도 도절제사(都節制使)에 올랐고, 1449년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가 되었다.
1452년(문조 2)에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이 되고 1453년(단종 원년)에 가정 대부(嘉靖大夫) 형조 참판에 올랐다가, 곧 함길도 도관찰사(咸吉道都觀察使)에 임명되었다.
세조가 즉위하자 성봉조의 아내가 세조비의 언니였기 때문에 특별히 자헌 대부(資憲大夫)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가자(加資)했다. 공조·형조의 판서를 지내고, 1457년(세조 3)에 정헌 대부(正憲大夫)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더했다. 1458년 이조 판서에 제배되었다가 1462년(세조 8)에 숭정대부(崇政大夫) 우찬성(右贊成)에 오르고, 1466년에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라서, 1468년(세조 14)에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더하였다.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으로 의정부 우의정(議政府右議政)에 오르고,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이 때 성봉조는 사양하기를, "삼공(三公)은 지위가 백관(百官)의 우두머리로서 나라의 균축(鈞軸)을 잡는 것인데, 신과 같은 작은 그릇으로 어찌 물망에 부합하겠습니까? 하물며 이제 쇠하고 늙었으므로 치사(致仕)함이 이치에 마땅하니 빌건대 기무(機務)를 해임하여 남은 여생을 보존하게 하소서." 하였으나, 임금이 허락하지 아니하고 궤장(几杖)을 하사하였다.[1]
2. 3. 단종, 세조 시대의 활동
음보(蔭補)로 순승부 행수(順承府行首)가 되고 여러 번 옮겨 한성 소윤(漢城少尹)에 이르렀다. 1430년(세종 12) 지풍덕군사(知豊德郡事)로 나갔다가, 1438년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를 지냈다.
1441년에 동부승지(同副承旨)에 발탁되어 우부승지에 올랐다가 형조·호조·공조의 참의(參議)를 거쳐 경상도·충청도 관찰사를 지냈다. 1447년에 가선 대부(嘉善大夫) 경상도 도절제사(都節制使)에 올랐고, 1449년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가 되었다.
1452년(문종 2)에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이 되고 1453년(단종 원년)에 가정 대부(嘉靖大夫) 형조 참판에 올랐다가, 곧 함길도 도관찰사(咸吉道都觀察使)에 임명되었다.
세조가 즉위하자 성봉조의 아내가 세조비의 언니였기 때문에 특별히 자헌 대부(資憲大夫)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가자(加資)했다. 공조·형조의 판서를 지내고, 1457년(세조 3)에 정헌 대부(正憲大夫)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더했다. 1458년 이조 판서에 제배되었다가 1462년(세조 8)에 숭정대부(崇政大夫) 우찬성(右贊成)에 오르고, 1466년에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라서, 1468년(세조 14)에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더하였다.[1]
2. 4. 성종 시대와 좌리공신 책봉
1468년에 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를 더하였다.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1471년(성종 2) 좌리공신 3등으로 의정부 우의정에 오르고, 창성부원군에 봉해졌다. 이 때 성봉조가 사양하기를, "삼공(三公)은 지위가 백관(百官)의 우두머리로서 나라의 균축(鈞軸)을 잡는 것인데, 신과 같은 작은 그릇으로 어찌 물망에 부합하겠습니까? 하물며 이제 쇠하고 늙었으므로 치사(致仕)함이 이치에 마땅하니 빌건대 기무(機務)를 해임하여 남은 여생을 보존하게 하소서." 하였으나, 임금이 허락하지 아니하고 궤장(几杖)을 하사하였다.[1]
2. 5. 평가
성봉조는 침착하고 후덕한 성품으로, 옛 제도와 관례(고사)를 잘 알고 숙련되어 가는 곳마다 명성과 공적을 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1] 벼슬이 참의에 이르렀던 아들 성율이 있다.
3. 가족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